[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21663A -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663A
KR20000021663A KR1019980040889A KR19980040889A KR20000021663A KR 20000021663 A KR20000021663 A KR 20000021663A KR 1019980040889 A KR1019980040889 A KR 1019980040889A KR 19980040889 A KR19980040889 A KR 19980040889A KR 20000021663 A KR20000021663 A KR 2000002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mode
mode selection
error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762B1 (ko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7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3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with erasure correction and erasure determination, e.g. for packet loss recovery or setting of erasures for the decoding of Reed-Solom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04L1/006Trellis-code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잔류측파대(VSB)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멀티패스나 위상잡음 에러의 영향없이 정확하게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VSB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 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레벨고정되어 입력되는 제1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제2신호로 레벨증가하여 등화처리하는 적응등화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위상 추적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에 따라 상기 위상 추적기의 출력을 트레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트레리스 디코더와, 상기 위상추적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에러를 측정하고 측정된 에러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HDTV 수신기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 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본 발명은 영상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패스(multi-pass)나 위상 에러의 영향이 없는 영상신호 수신기와 그 수신기에서의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레벨모드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HDTV방송을 위한 전송방식으로 잔류측파대(Vestigial Side Band:이하 VSB라함)변조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United States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에서 1995년 4월 12자로 발행한 Guide to the use of the digital television standard for HDTV transmission이라는 책 제목의 104 내지 107페이지에는 동일채널 간섭 처리방법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처리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신 시스템은 USP 5,594,496호에 첨부된 도 1의 구성을 갖으며, 그중 본 발명과 관련된 일부 구성만을 도 1에 도시하였다. VSB 변조방식은 현재의 NTSC방식과 동일채널 동시방송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채널 간섭을 줄이기 위한 NTSC 제거필터(이하 NRF라함)(10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VSB 변조방식에서는 동일채널 간섭을 줄이기 위한 NRF(106)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콤필터(comb filter)를 사용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HDTV 수신기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12개의 심볼딜레이(116)와 감산기(118)로 이루어지는 콤 필터(106)를 이용하여 에너지가 집중된 NTSC신호의 캐리어(carrier) 부분을 제거하므로써 동일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CCI라함)을 처리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A-VSB(Grand Alliance Vestigial Side Band) 변조방식의 HDTV신호가 현재의 방송방식인 NTSC 신호와 전송대역 동일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도 3의 (a),(b)에서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도 3의 (a) 내지 (d)는 USP 5,546,132호의 도 4a 내지 도 4d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a)는 HDTV신호의 RF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며, (b)는 NTSC신호의 RF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c)와 (d)는 각각 NTSC제거필터와 NTSC추출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변조 캐리어 부분(즉, picture carrier, color carrier, audio carrier)을 제거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GA-VSB방식에서는 송신단의 프리코더(pre-coder)와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2개의 심볼딜레이(116)를 갖는 콤 필터(106)를 이용하여 동일채널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NTSC방송의 주요 캐리어 부분(PICTURE CARRIER, COLOR SUB-CARRIER,..)에 널(null)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신호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콤필터(106)를 통과시키게 되면 동일채널 간섭신호가 상당 부분 제거될 수 있다.
한편 ATSC 표준에서 제안한 콤필터는 NTSC 간섭신호의 제거 성능이 우수한 반면, 콤필터의 출력은 전체 이득(full gain)을 갖는 두 신호의 감산이기 때문에 8레벨신호가 15레벨로 증가됨과 동시에 가산 가우시안 잡음(additive Gaussian noise)의 전력을 3dB 증가시켜 콤필터의 전후에서 3dB의 SNR(Signal to Noise Ratio) 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CCI양에 따라 NRF(106)의 구동을 선택제어하기 위한 NRF 구동 선택제어기(108)의 구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NRF구동 선택제어기(108)의 구성을 예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일반적인 NTSC 간섭 검출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USP 5,546,132호의 도 3에 개시된 도면이기도 하며, 전술한 책제목 Guide to the use of the digital television standard for HDTV transmission의 106페이지에 개시된 도 10.8과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4에 도시한 NTSC 간섭 검출기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NTSC 간섭 검출기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 필드 씽크 기준패턴(Data Field Sync Rerefence Pattern)과 수신되는 데이터 심볼중에서 필드 씽크와 비교해서 그 차의 자승 누적치(에너지)를 이용하여 NTSC신호가 HDTV신호와 혼입하는 지에 대해 판정하고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VSB 데이터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고, 각 필드의 첫 번째 세그먼트인 필드 씽크 세그먼트에는 필드의 시작을 나타내는 필드 씽크 신호열이 삽입되어 있다. 이 필드 씽크 신호열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므로 알고 있는 신호로서 이용된다.
즉, NTSC 간섭 검출기는 콤필터들(120, 132)을 거치지 않고 저장된 기준신호(필드 씽크 기준패턴)와 수신되는 알고 있는 신호(필드 씽크)를 비교해서 그 차의 자승 누적치를 계산하는 제1경로(126,128,130)와, 콤필터(120)에 의해 필터링된 수신된 필드 씽크와 콤필터(132)에 의해 필터링된 필드 씽크 기준패턴을 비교해서 그 차의 자승 누적치를 계산하는 제2경로(138,140,142)와, 상기 두 경로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에너지를 갖는 경로를 선택하고, NTSC신호의 혼입여부를 판정하는 구동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최소 에너지 검출기(1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선택신호는 NTSC신호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NTSC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로직레벨 "1"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직레벨 "0"으로 MUX(146)에 입력되므로써 수신된 데이터 심볼이 선택출력되거나 콤필터(120)를 거친 데이터 심볼이 데이터출력으로서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동선택신호는 도 1에 도시한 적응 등화기(110), 위상 추적기(112) 및 트레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114)로 출력되어 각각의 후처리부(110,112,114)가 8레벨 또는 15레벨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수신기의 NRF구동 선택제어기(108)에서 행해지는 NRF(106)의 구동선택이 적응등화기(110), 위상추적기(112) 및 트레리스 디코더(114) 보다 먼저 처리되므로 NRF 구동 선택제어기(108)의 입력신호에 동일채널 간섭신호 뿐만 아니라 AWGN, 고스트, 위상잡음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특허(USP 5,594,496)에서는 필드 콤필터를 이용하여 연속되는 필드의 필드씽크를 포함한 수신신호를 콤필터링해서 정적 고스트(static ghost), DC오프셋, 심볼간 간섭 등이 제거된 감산신호를 발생하고, 콤필터링된 감산신호와 콤필터링되지 않은 감산신호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NRF의 구동을 선택하므로 NTSC 동일채널 간섭 및 다른 간섭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에서도 동적 고스트(moving ghost)나 위상 잡음 등은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여전히 NRF 구동선택의 제어에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된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방법"이 있다. 상술한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방법"은 NRF의 구동선택제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입력신호에 포함된 다른 간섭신호를 제거해서 최대한 동일채널 간섭신호만이 포함된 입력신호가 NRF구동 선택제어기에 입력되도록 하여 입력신호에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판정여부에 따라 NRF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단순화함은 물론, 다중경로(multi-pass)나 위상잡음에러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히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수신기의 구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패스나 위상잡음 에러의 영향없이 정확하게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VSB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 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하드웨어의 구성만으로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VSB 변조방식 채택형 수신기와 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레벨고정되어 입력되는 제1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제2신호로 레벨증가하여 등화처리하는 적응등화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위상 추적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위상 추적기의 출력을 트레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트레리스 디코더와,
상기 위상추적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에러를 측정하고 측정된 에러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동일채널 간섭 제거필터를 포함하는 HDTV 수신기의 일부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중 동일채널 간섭 제거필터(NRF:NTSC Rejection Filter)(106)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HDTV신호와 NTSC신호의 RF스펙트럼과 NTSC제거필터 및 NTSC추출필터의 주파수 특성도.
도 4는 일반적인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류측파대(VSB) 변조방식을 채택한 영상신호 수신기의 블럭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의 동작수행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측파대(VSB) 변조방식을 채택한 영상신호 수신기의 블럭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SB 변조방식을 채택한 영상신호 수신기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튜너(100)는 안테나를 통해 유입되는 HDTV신호를 소정 주파수의 중간주파수(이하 "IF"라함)신호로 변환출력한다. 인접 채널의 신호는 원하는 채널의 신호에 대하여 간섭을 유발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튜너(100)의 출력은 대역폭이 정확히 6MHz대역인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102)를 거친다. 블럭 104는 상기 IF신호의 진폭을 증폭하고, 상기 IF신호에 포함된 파일롯(pilot)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출력한다.
한편, 상기 블럭 104와 적응 등화기(110) 사이에는 종래의 수신기에서와 같은 NRF블럭이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적응 등화기(110)가 NTSC제거기능을 갖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능의 적응 등화기(110) 구성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1998년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된 특허출원번호 98-16288호 "기준신호를 갖는 변복조방식 디지털 통신 시스템 수신장치에서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와 동일채널 간섭신호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적응 등화기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하기 설명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적응 등화기(110)는 후술하는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로부터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동일 형태(예컨대, 8레벨)로 고정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15레벨로 증가된 신호를 등화처리함으로써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생기는 멀티패스 왜곡(일명 고스트라함)을 제거한다.
위상추적기(112) 역시 상기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적응 등화기(110)로부터 출력되는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며, 트레리스 디코더(114) 또한 상기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위상 추적기(112)의 출력을 트레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위상추적기(112) 및 트레리스 디코더(114)에 의해 동일채널 간섭신호 이외의 다른 간섭신호들이 대부분 제거 내지는 감소하게 된다.
한편,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상기 위상추적기(1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에러를 측정하고 측정된 에러값을 미리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한후 비교결과에 따른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레벨모드선택신호에 의해 상술한 적응 등화기(110), 위상추적기(112), 트레리스 디코더(114) 각각은 8레벨 모드 및 15레벨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러측정은 알고 있는 신호구간의 데이터(GA-VSB의 경우 필드 씽크 세그먼트구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NRF된 경로(15레벨)와 NRF되지 않은 경로(15레벨)의 채널상태를 검출해서 더 좋은 채널상태를 갖는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로서, 상술한 문헌에 제안한 방법 그리고 동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5-38752"호에 개시된 에러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7-17055"호에 개시된 심볼에러율(SER)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위상추적기(11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8레벨과 15레벨의 결과를 비교하여 에러가 적은 레벨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의 동작수행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수신기의 파워(power)가 "온(on)"되거나 채널선택이 있으면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200단계에서 적응 등화기(110), 위상추적기(112) 및 트레리스 디코더(114)가 8레벨모드로 동작하도록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210단계로 진행하여 위상추적기(1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에러를 측정한다. 이때 에러측정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드 씽크구간에 존재하는 PN(Pseudo Noise)시퀀스를 이용하여 SNR을 구하거나 심볼에러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는 8레벨모드에서 측정된 에러값을 제1측정값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정값을 획득한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이후 220단계로 진행하여 제1측정값을 문턱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정값이 문턱값 보다 작다면 27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세팅되어 있는 8레벨모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적응등화기(110), 위상 추적기(112) 및 트레리스 디코더(114)가 15레벨모드로 동작하도록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15레벨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이후 240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에러를 측정한후 250단계로 진행한다. 15레벨모드에서 측정된 에러값을 제2측정값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250단계에서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제1측정값과 제2측정값을 비교하여 제1측정값이 제2측정값 보다 크다면 26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기를 15레벨모드로 고정시킨다. 반면, 상기 제1측정값이 제2측정값 보다 작다면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270단계로 진행하여 8레벨모드로 고정시키기 위한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즉,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160)는 8레벨 및 15레벨모드에서 각각 동작하는 위상추적기(112)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에러율을 비교하여 에러가 적은 레벨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므로서 최적의 레벨모드가 설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신기 초기화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혹은 채널변경에 따른 레벨모드 선택방법의 수행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채널메모리에 레벨모드 선택결과를 저장하여 채널선택시마다 이용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채널에서 얻어진 최적의 레벨모드를 채널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은후 채널선택시마다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레벨모드로 수신기를 동작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수신기에서는 동일채널 간섭신호는 물론 멀티패스나 위상잡음과 같은 간섭까지도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위상추적기(11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8레벨과 15레벨의 결과를 비교하여 에러가 적은 레벨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도 7에서와 같이 RS-디코더(170)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정정 불능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카운트값이 적은 레벨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VSB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는 트레리스 디코더(114) 후단에 에러정정을 위한 RS-디코더(170)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RS-디코더(170)는 패킷단위로 에러정정을 수행하는데, GA-VSB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패킷에서 최대 10개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고 그 이상에서는 에러 정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러측정 및 모드 제어기(160)가 각각의 레벨모드에서 상기 RS-디코더(170)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정정 불능 카운트값을 비교하고, 작은 에러값을 가지는 레벨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채널 간섭신호에 대응하는 VSB 수신기의 동작레벨모드를 수신기의 동작결과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VSB 수신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레벨고정되어 입력되는 제1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제2신호로 레벨증가하여 등화처리하는 적응등화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위상 추적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위상 추적기의 출력을 트레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트레리스 디코더와,
    상기 위상추적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에러를 측정하고 측정된 에러값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는 초기구동시 상기 제1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레벨고정되어 입력되는 제1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제2신호로 레벨증가하여 등화처리하는 적응등화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위상 추적기와,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위상 추적기의 출력을 트레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트레리스 디코더와,
    리드-솔로몬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고 에러정정된 바이트 스트림과 에러정정불능 카운트값을 발생시키는 리드-솔로몬 디코더와,
    각각의 레벨모드에서 상기 리드-솔로몬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정정 불능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작은 에러값을 가지는 레벨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측정 및 모드제어기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입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레벨고정되어 입력되는 제1신호를 등화처리하거나 제2신호로 레벨증가하여 등화처리하는 적응등화기를 구비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의 레벨모드 선택방법에 있어서,
    제1동작상태에서 무선 수신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위상 추적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제1에러율을 측정하는 제1과정과,
    제2동작상태에서 상기 위상 추적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제2에러율을 측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에러율 및 제2에러율을 비교하여 적은 에러율을 가지는 동작상태가 선택되도록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상기 적응등화기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모드 선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상태가 수신기 초기구동시에 우선 선택되도록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모드 선택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 내지 제3과정은 채널 선택시마다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모드 선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시마다 최종 출력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들 각각을 채널메모리에 저장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모드 선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수행후의 채널변경시에는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레벨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모드 선택방법.
KR1019980040889A 1998-09-30 1998-09-30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7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89A KR100273762B1 (ko) 1998-09-30 1998-09-30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89A KR100273762B1 (ko) 1998-09-30 1998-09-30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663A true KR20000021663A (ko) 2000-04-25
KR100273762B1 KR100273762B1 (ko) 2000-12-15

Family

ID=1955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8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3762B1 (ko) 1998-09-30 1998-09-30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45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잔류측파방식 복조기
KR101019373B1 (ko) * 2002-08-29 2011-03-07 톰슨 라이센싱 시변 다중경로 성분의 특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45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잔류측파방식 복조기
KR101019373B1 (ko) * 2002-08-29 2011-03-07 톰슨 라이센싱 시변 다중경로 성분의 특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762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7603B2 (ja) 複数の信号対雑音比測定源を使用した非線形信号歪み検出
KR100698630B1 (ko) 스텝사이즈 조정기능을 구비한 등화기 및 등화방법
KR100238301B1 (ko)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방법
JP2983951B2 (ja) 同一チャンネル干渉除去器及びその駆動方法
US5748226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219636B1 (ko) 레벨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ntsc 제거필터의 설계방법과 이를 채용한 수신기
KR100247967B1 (ko) 동일채널간섭검출기와그방법
KR100219643B1 (ko)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구동방법
KR100238311B1 (ko) 시뮬캐스트 수신기의 동일채널 간섭 제거기와 그 방법
US5801759A (en) Digital TV receiver circuitry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US5835131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557122B1 (ko) 동일채널간섭을 받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용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273762B1 (ko)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을 채택하는 영상신호 수신기와그 수신기에서의 레벨모드 선택방법
KR10026042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KR20000048803A (ko)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AU702333B1 (en) Digital TV receiver circuitry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AU702137B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329148B1 (ko) 동일채널 간섭 제거 필터 구동제어기 및 구동제어방법
KR10055640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 수신 시스템에서의ntsc 신호 제거 방법
MXPA98005806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er filter circuits to remove the n deco-channel interference
KR20020061839A (ko) 디지털 티브이의 ntsc 인접 채널 간섭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9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