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302A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1302A KR20000021302A KR1019980040318A KR19980040318A KR20000021302A KR 20000021302 A KR20000021302 A KR 20000021302A KR 1019980040318 A KR1019980040318 A KR 1019980040318A KR 19980040318 A KR19980040318 A KR 19980040318A KR 20000021302 A KR20000021302 A KR 20000021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tch stop
- stop layer
- layer
- trench
- semiconductor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식각 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패드 산화막과 제1식각 저지층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 소정 영역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결과물 전면에 트렌치를 매립하는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1절연막을 1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제2식각 저지층을 증착하는 단계, 제2식각 저지층이 증착된 결과물에 대해서 제2식각 저지층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제2식각 저지층이 제거된 결과물의 전면에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될 때까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는 단계, 및 제1식각 저지층과 필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식각 저지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식각 저지층은 디슁(dishing)이 예상되는 필드 영역에서 식각 저지층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칩 내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켜 이후 공정인 게이트 사진 공정에서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미세화 기술 중의 하나인 소자 분리 기술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모든 제조 공정 단계에 있어서 초기 단계의 공정으로서 활성영역의 크기 및 후공정 단계의 공정 마진을 좌우하게 된다. 소자 분리 영역 형성 방법 중에서 특히,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은 실리콘 기판의 소자 분리 부분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에 트렌치 내에 절연 물질을 채움으로써 소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 1(a)및 1(b)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1(a)는 트렌치 형성 및 절연막이 적층된 구조를 나타내고, 1(b)는 화학-기계적 폴리싱(Chemical-Mechanical Polishing) 공정이 완료되어 소자 분리막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은 실리콘 기판을 나타내고, 12는 패드 산화막을 나타내고, 14는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식각 저지층을 나타내고, 16은 절연막을 나타내고, 17은 소자 분리막을 나타내고, 15a, 15b는 트렌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은 실리콘 기판(10)에 패드 산화막(12)과 식각 저지층(14) 및 고온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이후에 사진/식각 공정을 거쳐서 고온 산화막, 식각 저지층(14) 및 패드 산화막(12)을 식각한 후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트렌치(15a, 15b)를 형성하는 단계, 트렌치 형성 후에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6)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연막(16)을 형성한 후에는, 절연막(16)과 식각 저지층(14)의 선택비가 높은 슬러리를 사용하여 식각 저지층(14)의 표면이 드러날 때까지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진행하게 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Shallow Trench Isolation:STI)은 칩 내부의 패턴 밀도 차이와, 필드 영역에서의 디슁(DISHING) 현상으로 인하여 식각 저지층(14)의 두께 변화가 심하고, 따라서 트렌치를 매립하는 절연막(16)의 두께도 변화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절연막(16)의 적층 두께의 변화는 이후 공정인 게이트 포토 공정 진행 시 공정 마진의 확보를 어렵게 하고,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악화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학-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1회 이상 진행함으로써 트렌치 형성 후에 적층되는 절연막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2(g)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식각 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패드 산화막과 제1식각 저지층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 소정 영역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결과물에 전면에 트렌치를 매립하는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1절연막을 1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제2식각 저지층을 증착하는 단계, 제2식각 저지층이 증착된 결과물에 대해서 제2식각 저지층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제2식각 저지층이 제거된 결과물의 전면에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될 때까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는 단계, 및 제1식각 저지층과 필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에 관하여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a)~2(g)는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20) 상에 패드 산화막(22)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제1식각 저지층(24)을 형성한다. 이 때, 패드 산화막(22)과 제1식각 저지층(24)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20)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킨다. 도 2(b)를 참조하면, 소정 영역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20)을 식각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트렌치 영역(30a, 30b)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30a는 폭이 좁은 트렌치 영역을 나타내고, 30b는 폭이 넓은 트렌치 영역을 나타낸다. 도 2(c)를 참조하면 트렌치 영역(30a,30b)이 형성된 후, 트렌치 영역(30a, 30b)을 매립하기 위한 절연막(26)을 형성한다. 이 때, 절연막(26)은 단일층 혹은 복합층의 산화막을 이용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절연막(26)이 형성된 후에 제1식각 저지층(24)이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막(26)을 1차 화학 -기계적 폴리싱하여 소자 분리막(27)을 형성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막(27)이 형성된 후, 소자 분리막(27)의 전면에 절연 물질과의 폴리싱 선택비가 큰 제2식각 저지층(28)을 증착한다. 예를 들어, 제2식각 저지층(28)으로는 실리콘 질화막 또는 폴리실리콘등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제2식각 저지층(28)은 트렌치 영역(30a, 30b)을 매립하는 소자 분리막(27)의 상부에만 형성된다. 또한, 제2식각 저지층(28)이 형성된 후, 제1식각 저지층(24)에 대해 액티브 리버스 사진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액티브 영역 위의 제2식각 저지층(24)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2식각 저지층 (24)이 제거된 결과물의 전면에 제1식각 저지층(24)이 노출될 때까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수행한다.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이 진행된 후에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식각 저지층(24)과 패드 산화막(22)을 제거함으로써 실제적인 소자 분리막(27)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 형성과 절연막 적층 후 제1식각 저지층(24)이 드러나지 않게 1차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수행하고, 폴리싱이 수행된 결과물에 선택비가 높은 제2식각 저지층(28)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액티브 영역의 제2식각 저지층(28)만을 제거한다. 이후에, 필드 영역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제2식각 저지층이 모두 제거되고, 제1식각 저지층(24)의 표면이 드러날 때까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제2식각 저지층(28)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 진행 시 패턴 밀도의 차이로 인해 디슁(DSHING)이 예상되는 필드 영역에서 식각 저지층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칩내에 평탄도를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식각 저지층(24)과 필드 산화막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인 소자 분리막(27)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막 성장량의 감소와, 화학-기계적 폴리싱되는 양을 줄임으로써 생산비가 감소되고, 그로 인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식각 저지층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고, 제2식각 저지층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의 패턴 밀도의 차이로 인래 디슁(dishing)이 예상되는 필드 영역에서 식각 저지층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칩 내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이후 공정인 게이트 사진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식각 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패드 산화막과 상기 제1식각 저지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상기 소정 영역이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결과물에 전면에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는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절연막을 1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소자 분리막에 제2식각 저지층을 증착하는 단계;상기 제2식각 저지층이 증착된 결과물에 대해서 상기 제2식각 저지층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상기 제2식각 저지층이 제거된 결과물의 전면에 상기 제1식각 저지층이 노출될 때까지 2차 화학-기계적 폴리싱하는 단계; 및상기 제1식각 저지층과 상기 필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2식각 저지층은 상기 제1절연막과의 폴리싱 선택비가 큰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0318A KR20000021302A (ko) | 1998-09-28 | 1998-09-28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0318A KR20000021302A (ko) | 1998-09-28 | 1998-09-28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1302A true KR20000021302A (ko) | 2000-04-25 |
Family
ID=1955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0318A Withdrawn KR20000021302A (ko) | 1998-09-28 | 1998-09-28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2130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14727A (zh) * | 2012-08-13 | 2012-12-12 |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浅沟槽隔离结构的化学机械研磨方法 |
-
1998
- 1998-09-28 KR KR1019980040318A patent/KR20000021302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14727A (zh) * | 2012-08-13 | 2012-12-12 |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浅沟槽隔离结构的化学机械研磨方法 |
CN102814727B (zh) * | 2012-08-13 | 2015-05-06 |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浅沟槽隔离结构的化学机械研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25465C (en) | Method of making integrated circuits | |
EP1487011B1 (en) | Integrated circuits having adjacent regions hav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s without liner layers therein therebetween and methods of forming same | |
KR100413905B1 (ko) | 반도체 칩 및 그의 제조 프로세스 | |
US20010036705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 |
KR0178823B1 (ko)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6559029B2 (en) |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ench isolation structure | |
US11810786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
US4981813A (en) | Pad oxide protect sealed interface isolation process | |
KR20030069776A (ko) |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
US6103581A (en) | Method for produc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 |
US6979651B1 (en) | Method for forming alignment features and back-side contacts with fewer lithography and etch steps | |
KR100245307B1 (ko) |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 |
KR20000021302A (ko) |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 |
JP2812013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20010107707A (ko) | St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
KR100289663B1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 |
KR100515383B1 (ko) |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형성 방법 | |
KR19980083839A (ko) | 반도체장치의 트랜치 소자분리방법 | |
US20010026995A1 (en) | Method of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 |
US798180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hallow trench isolation layer of semiconductor device | |
KR100509821B1 (ko) | 셀로우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제조 방법 | |
US6423612B1 (en) | Method of fabricat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with reduced topography | |
KR0172240B1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 방법 | |
KR100235951B1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 |
KR100849079B1 (ko) |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