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9760A -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760A
KR20000019760A KR1019980038030A KR19980038030A KR20000019760A KR 20000019760 A KR20000019760 A KR 20000019760A KR 1019980038030 A KR1019980038030 A KR 1019980038030A KR 19980038030 A KR19980038030 A KR 19980038030A KR 20000019760 A KR20000019760 A KR 2000001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developer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dis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주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760A/ko
Priority to US09/396,939 priority patent/US6215966B1/en
Priority to DE19944257A priority patent/DE19944257A1/de
Priority to CN99121965A priority patent/CN1122195C/zh
Publication of KR2000001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having lifetime indic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기가 새것으로 교체되면 이를 인식하여 인쇄 매수를 초기화함으로써 현상기의 교체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없어도 현상기의 교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인쇄 매수로 현상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의 워밍-업이 시작되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퓨즈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퓨즈가 단선되지 않았으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퓨즈를 단선시키고, 퓨즈가 단선되면 제어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며; 1장의 인쇄가 수행될 때마다 저장 매체에 기저장된 인쇄 매수에 1매씩 증가시키며, 증가 인쇄 매수를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본 발명은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기에 퓨즈를 설치하고, 현상기가 교체되면 퓨즈의 단선 여부로 새 현상기로 교체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새 현상기로 교체되었으면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는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전자사진장치, 예컨대 복사기, 레이저(Laser) 프린터 등은 대전롤러가 회전하면서 대전롤러가 고압으로 감광드럼의 외주면상에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감광드럼의 외주면상에 대전된 감광체는 디지털 신호를 레이저 광으로 바꾸는 노광장치,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선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를 지나면서 현상기에서 배출되는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고 아울러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 급지되는 용지에 대전됨으로써 감광드럼의 가시상이 용지 위에 전사된다. 전사된 용지는 정착기의 열과 압력에 의해 상이 융착된 후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프린터는 토너가 담겨 있는 현상기를 일정 매수 이상을 사용하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보통 레이저 프린터에서 이러한 현상기의 교체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확인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현상기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난 후부터 인쇄되는 용지의 매수를 계속하여 카운트함으로써 현상기 제조사에서 보증하는 현상기의 수명인 보증 인쇄 매수와 비교함으로써 현상기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린터에서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가인 별도의 센서가 설치되며, 별도의 센서를 프린터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기계적인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작원가가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를 현상기에 설치하고, 프린터의 상부 덮개가 열렸다가 닫히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투입되면 현상기의 퓨즈 단선 여부로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하고, 현상기가 새것으로 교체되면 인쇄 매수를 초기화함으로써 현상기의 교체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없이도 현상기의 교체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정확한 인쇄 매수로 현상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를 보인 블록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
60 : 퓨즈 70 : 단선부
71 : 트랜지스터 72 : 다이오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현상기는 감광 드럼과 공급 롤러 및 현상 롤러가 일체로 형성되며, 프린터에 토너를 공급하며; 퓨즈는 현상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현상기를 최초로 사용할 때 단선되어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퓨즈는 현상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단선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퓨즈에 소정 레벨의 전류를 인가시켜 퓨즈를 단선시키고, 퓨즈의 단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퓨즈와 대응되는 위치인 프린터 본체에 구성되며; 제어부는 워밍-업이 시작되면 단선부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퓨즈의 단선 여부 및 퓨즈가 단선되지 않았으면 퓨즈를 단선시키고,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도록 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퓨즈가 단선되면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또한, 단선부는 중앙처리장치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전원단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는 퓨즈와 접속되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1 소정 레벨의 전류를 베이스로 공급받아 턴-온되어 전원단에서 퓨즈로 제2 소정 레벨의 전류를 공급받아 퓨즈를 단선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중앙처리장치의 입력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와 퓨즈의 노드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퓨즈가 단선되면 트랜지스터를 통해 인가되는 제2 소정 레벨의 전류로 인해 턴-온되어 중앙처리장치에 퓨즈의 단선을 알리는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프린터를 보인 블록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방법 및 그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보면, 중앙처리장치(10)는 컴퓨터(PC)에서 문서 작성기(word processor)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한 후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를 통해 프린터 명령(printer command) 또는 프린터 언어(printer language)로 번역하여 전송하면,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이를 전송받아 해석하여 최종 인쇄할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로 변환한 후 메모리(20)에 임시 저장하며, 이처럼 메모리(2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엔진부(30)로 출력되어 기록지에 인쇄된다. 특히, 워밍-업이 시작되면 즉, 프린터의 상부 덮개(미도시)가 열렸다가 닫히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투입되면 단선부(70)의 트랜지스터(71)로 제1 소정 레벨의 전류를 출력하여 퓨즈(60)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고, 퓨즈(60)가 단선이 안된 상태(즉, 새 현상기로 교환)이면 단선부(70)를 제어하여 퓨즈(60)를 단선시킨 후 메모리(20)에 기저장된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킨다.
메모리(20)는 각종 프로그램 및 중앙처리장치(1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특히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현상기(미도시)가 새것으로 교체되면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킨다.
엔진부(3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컴퓨터(PC)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인터페이스부(40)는 컴퓨터(PC)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조작패널(Operating Panel; OPE)(50)에 구비된 표시창으로 프린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한편 조작패널(50)에 구비된 각종 키(key)를 입력받아 프린터를 초기화시키는 등 각종 프린터 상태를 조정한다.
퓨즈(6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단선되도록 현상기(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다.
단선부(70)의 트랜지스터(71)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1 소정 레벨의 전류를 베이스로 공급받아 턴-온되어 전원단(Vcc)에서 퓨즈(60)로 제2 소정 레벨의 전류(예컨데, 퓨즈(60)가 단선되기 위한 최소전류 이상)를 공급하도록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전원단(Vcc)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퓨즈와 에미터가 접속된다. 단선부(70)의 다이오드(72)는 퓨즈(60)가 단선되면 트랜지스터(71)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 레벨 크기의 전류로 인해 턴-온되어 중앙처리장치(10)에 퓨즈(60)의 단선을 알리도록 중앙처리장치(10)의 입력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71)와 퓨즈(60)의 노드(A)에 캐소드가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교체 인식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처리장치(10)는 프린터의 상부 덮개가 열렸다가 닫히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투입되면 즉, 워밍-업이 시작되면(S10), 트랜지스터(71)의 베이스로 제1 소정 레벨의 전류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71)를 턴-온시킨다(S20).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기의 퓨즈(60)가 단선되지 않았으면(즉, 현상기가 새것으로 교체되면)(S30), 카운팅값을 '0'으로 설정한 후(S40), 퓨즈 단선모드를 수행한다(S50). 즉, 트랜지스터(71)를 통해 제2 소정 레벨의 전류가 퓨즈(60)로 공급되어 퓨즈(60)를 단선시킨다.
그리하여, 퓨즈(60)의 단선이 인식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20)에 기저장된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킨다(S70).
그런 후, 인쇄가 수행되면(S80), 1장이 인쇄될 때마다 인쇄 매수를 1매씩 증가한 후 이를 메모리(20)에 저장시킨다(S90). 여기서, 사용자가 현상기의 인쇄 매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작 패널(50)의 소정 키를 조작하면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쇄 매수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쇄 매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30(S30)에서 퓨즈(60)가 단선된 상태(즉, 기존의 현상기)이면 트랜지스터(71)를 통해 인가된 전류가 다이오드(72)로 인가되어 다이오드(72)가 턴-온되어, 다이오드(72)를 통해 인가된 전류가 중앙처리장치(10)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퓨즈(60)의 단선을 인식하여, 단계 80(S80)으로 패스된다.
또한, 단계 60(S60)에서 퓨즈(60)가 단선되지 않으면 카운팅값에 '1'을 증가시킨 후(S100), 카운팅값이 N(소정 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110), 카운팅값이 N과 같거나 이상이면 조작 패널에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S120), N미만이면 단계 50(S50)으로 복귀하여 단계 50(S50)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상기를 새것으로 교체하면 인쇄 매수를 자동으로 초기화시킴으로써 별도의 센서가 필요없이 현상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퓨즈를 현상기에 설치하고, 프린터의 상부 덮개가 열렸다가 닫히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투입되면 현상기의 퓨즈 단선 여부로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하고, 현상기가 새것으로 교체되면 인쇄 매수를 초기화함으로써 별도의 센서가 없어도 사용자가 언제든지 인쇄 매수를 확인하여 현상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감광 드럼과 공급 롤러 및 현상 롤러가 일체로 형성되며, 프린터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기를 최초로 사용할 때 단선되어 상기 현상기의 교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2. 현상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퓨즈;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퓨즈에 소정 레벨의 전류를 인가시켜 상기 퓨즈를 단선시키고, 상기 퓨즈의 단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퓨즈와 대응되는 위치인 프린터 본체에 구성되는 단선부; 및
    워밍-업이 시작되면 상기 단선부로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퓨즈의 단선 여부 및 상기 퓨즈가 단선되지 않았으면 상기 퓨즈를 단선시키고,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퓨즈가 단선되지 않았으면 상기 현상기의 교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퓨즈가 단선되면 상기 인쇄 매수를 초기화시키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전원단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는 상기 퓨즈와 접속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1 소정 레벨의 전류를 베이스로 공급받아 턴-온되어 전원단에서 상기 퓨즈로 제2 소정 레벨의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퓨즈를 단선시키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입력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퓨즈의 노드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상기 퓨즈가 단선되면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 소정 레벨의 전류로 인해 턴-온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상기 퓨즈의 단선을 알리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KR1019980038030A 1998-09-15 1998-09-15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KR20000019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30A KR20000019760A (ko) 1998-09-15 1998-09-15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US09/396,939 US6215966B1 (en) 1998-09-15 1999-09-15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replacement of developing machine
DE19944257A DE19944257A1 (de) 1998-09-15 1999-09-15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identifizieren des Austausches einer Entwicklungsmaschine
CN99121965A CN1122195C (zh) 1998-09-15 1999-09-15 显影仪的更换识别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30A KR20000019760A (ko) 1998-09-15 1998-09-15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60A true KR20000019760A (ko) 2000-04-15

Family

ID=1955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30A KR20000019760A (ko) 1998-09-15 1998-09-15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5966B1 (ko)
KR (1) KR20000019760A (ko)
CN (1) CN1122195C (ko)
DE (1) DE19944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462B2 (en) * 2002-01-11 2003-08-12 Xerox Corporation Reliability model based copy count correction with self modification during system recovery for predictive diagnostics
JP2004029396A (ja) * 2002-06-26 2004-01-2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247747B2 (ja) * 2005-01-20 2009-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EP1895755B1 (en) * 2006-08-04 2019-01-02 Ricoh Company, Ltd. Model-performance determi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208661B1 (en) * 2014-10-17 2019-05-29 SOC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exchange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change unit
JP6980431B2 (ja) * 2017-06-30 2021-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3662A (ja) * 1988-04-15 1989-10-20 Fuji Xerox Co Ltd 記録装置およびその消耗部品
US5315351A (en) * 1991-04-08 1994-05-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699091A (en) * 1994-12-2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JPH09244484A (ja) * 1996-03-12 1997-09-19 Brother Ind Ltd 構成ユニットの寿命計測装置
US5758224A (en) * 1996-09-23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Fusable life indicator and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nsumabl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195C (zh) 2003-09-24
DE19944257A1 (de) 2000-05-04
CN1251919A (zh) 2000-05-03
US6215966B1 (en) 2001-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2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waste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5296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消耗材管理方法
US200201270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emory thereof
KR20000019760A (ko) 현상기의 교체상태 인식 장치
JP4026540B2 (ja) プリンタ、その設定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カートリッジ
US7821665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firmware overwriting method
US8606123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mounted replaceable unit, method of checking operation in that image form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hecking program directed to that image forming device
JP200129678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42356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용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8129184A (ja) 画像形成装置、メモリ制御方法、およびメモリ制御プログラム
KR100325815B1 (ko)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JP453025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6920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判定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2538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11194279B2 (en)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3710280B2 (ja) 複合機能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20000019775A (ko)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 방법
KR101193455B1 (ko) 불량 화상 인쇄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사진방식화상 형성 장치
JPH109096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636219B1 (ko)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상장치에서 화상 형성을 제어하는방법 및 그 장치
JP200011231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2543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282016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4265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235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이 장치의 레이저 스캐닝유니트 모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