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8745U -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745U
KR20000018745U KR2019990004916U KR19990004916U KR20000018745U KR 20000018745 U KR20000018745 U KR 20000018745U KR 2019990004916 U KR2019990004916 U KR 2019990004916U KR 19990004916 U KR19990004916 U KR 19990004916U KR 20000018745 U KR20000018745 U KR 20000018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rinter
developing
sensing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4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745U/ko
Publication of KR20000018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4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Landscapes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여 현상기가 정품인 경우에만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정품 사용 풍조가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상기 감지장치는, 현상기 케이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피감지부재와, 상기 현상기가 장착된 경우 상기 피감지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중 어느 일측방향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프린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피감지부재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피감지부재가 현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육안 식별이 불가능하여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기가 정품인 경우에만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정품 사용 풍조가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DEVELOPER OF LASER PRINTER}
본 고안은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여 현상기가 정품인 경우에만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정품 사용 풍조가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트 등과 같은 인쇄장치는, 대전 롤러에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감광체와 접촉 회전시켜 감광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노광 주사계(Laser Scanning Unit)를 통해 감광체의 표면을 주사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int Image)을 생성시킨 후 현상기를 통해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상으로 현상한다. 그리고, 전사 롤러와 감광체 사이에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므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토너로 형성된 상을 전사하고, 정착기를 통과시켜 열과 압력으로 용지에 상을 정착한 후 배출시키며, 제전 램프를 통해 전사를 마친 감광체를 제전시켜 한 사이클의 화상 형성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1)과, 감광 드럼(11)과 접촉되는 현상 롤러(12)와, 현상 롤러(12)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13)와, 현상 롤러(12)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하는 블레이드(미도시)와, 토너를 토너 공급 롤러(13)측으로 공급하는 교반기(미도시)와, 이들이 장착되는 케이스(14)로 이루어지며, 현상기(10)는 케이스(14)에 의해 단품화되어 시중에 유통된다.
이와 같이 단품화되어 유통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케이스(14)와 프린터 본체에는 현상기 제조 회사별로 현상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키(Key)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키 장치는 일반적으로 케이스(1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14')과, 케이스(14)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프린터 본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정품이 아닌 현상기 또는 서로 다른 제조 회사의 현상기는 프린터 본체에 장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키 장치에 의하면, 현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요홈의 형상 및 개수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지극히 용이하여 시중에서 불법 제조된 현상기가 많이 유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키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기 케이스에 요홈을 형성하고 프린터 본체에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제조 회사별로 서로 다른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어 불필요한 중복 투자의 불합리한 점이 있으며, 소비자가 다른 회사의 현상기를 억지로 장착할 경우에는 현상기의 파손 및 프린터 오동작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여 현상기가 정품인 경우에만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정품 사용 풍조가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상기 케이스 제조용 금형의 불필요한 중복 투자의 불합리한 점과 현상기의 파손 및 프린터의 오동작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현상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기 케이스 2 : 마그네트
3 : 리드 스위치 4 : 제어 유닛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현상기 감지장치는, 현상기 케이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피감지부재와, 상기 현상기가 장착된 경우 상기 피감지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중 어느 일측방향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프린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피감지부재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피감지부재와 감지수단은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리드 스위치로 각각 이루어지고, 마그네트는 현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몰드물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마그네트가 현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육안 식별이 불가능하여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마그네트의 설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제조 회사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드 스위치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에 의해 프린터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소비자가 정품의 현상기를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감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감지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감지장치는, 현상기 케이스(1)를 사출 성형할 때 상기 케이스(1)의 내부, 특히 케이스(1)의 전면중 소정 위치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마그네트(2)와, 마그네트(2)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리드 스위치(3) 및 리드 스위치(3)에 의해 마그네트(2)가 감지된 경우에만 레이저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 유닛(4)은 프린터 본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메시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감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현상기를 새로 구입하여 이 현상기를 프린터 본체내에 장착하면, 새로 구입한 현상기가 정품인 경우에는 마그네트(2)와 리드 스위치(3)의 설치 위치가 동일하여 마그네트(2)의 자력에 의해 리드 스위치(3)가 온/오프 작동되고, 리드 스위치(3)의 온/오프 신호는 제어 유닛(4)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리드 스위치(3)의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유닛(4)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현상기가 정품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한다.
그런데, 새로 구입한 현상기가 불법 제조된 현상기인 경우에는 마그네트(2)와 리드 스위치(3)의 설치 위치가 동일하지 않아 리드 스위치(3)가 작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제어 유닛(4)은 현상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프린터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마그네트 및 리드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제조 회사별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마그네트는 동일 제품의 현상기에 대해 서로 다른 제조 회사별로 정하여진 각기 다른 위치(예를 들어 a,b,c,d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를 감지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는 동일 제품의 현상기에 대해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프린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각기 다른 위치(예를 들어 A,B,C,D의 위치)로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이저 프린터용 현상기 감지장치에 의하면, 피감지부재가 현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육안 식별이 불가능하여 현상기의 불법 제조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감지수단으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린터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소비자가 정품의 현상기를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감지부재가 현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므로, 현상기 제조용 금형에 대한 중복 투자 위험이 없고, 불법 제조된 현상기를 프린터 본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현상기의 파손 및 프린터의 오작동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피감지부재의 설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제조 회사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현상기 케이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피감지부재와, 상기 현상기가 장착된 경우 상기 피감지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프린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기의 정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피감지부재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프린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재는 마그네트이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마그네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리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현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몰드물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KR2019990004916U 1999-03-26 1999-03-26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KR200000187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16U KR20000018745U (ko) 1999-03-26 1999-03-26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16U KR20000018745U (ko) 1999-03-26 1999-03-26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45U true KR20000018745U (ko) 2000-10-25

Family

ID=547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916U KR20000018745U (ko) 1999-03-26 1999-03-26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7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60B1 (ko) * 2004-05-17 2007-03-0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60B1 (ko) * 2004-05-17 2007-03-0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5724A (en) System for recognizing interchangeable articles
US6498905B1 (en) Image forming cartridge set-up and control
US2004010132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for replacement part used therefor, and management program for replacement part
US89297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0320773B (zh) 图像形成装置和显影剂收纳部的装拆限制的解除方法
US548689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identifying a toner cartridge
US8977162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5319915A (zh) 定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5510884A (en) Supply accessory for a printing machine with hidden identifier
US2017022791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599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5268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apparatus main unit
KR20000018745U (ko)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감지장치
CN101063867B (zh) 图像形成装置
JP2003098789A (ja) 画像形成装置、機器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非接触情報読み取り方法
US70355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nsumable product engagement in a printing device
US75228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elt recognition device
JP20043545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4539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装着されるトナー補給ユニット
JP50243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03117A (ja) トナー補給ユニット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不正使用防止機能付トナー補給ユニット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本体
JP6617743B2 (ja) 画像形成装置
JP73470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11100A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10698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ontainer used in the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itability of ton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2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