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8578U -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578U
KR20000018578U KR2019990004639U KR19990004639U KR20000018578U KR 20000018578 U KR20000018578 U KR 20000018578U KR 2019990004639 U KR2019990004639 U KR 2019990004639U KR 19990004639 U KR19990004639 U KR 19990004639U KR 20000018578 U KR20000018578 U KR 200000185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ink plate
tightening nut
close contact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군선
Original Assignee
홍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군선 filed Critical 홍군선
Priority to KR2019990004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578U/ko
Publication of KR20000018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7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설치공(25)이 형성된 싱크대판(20);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21a)가 설치공(25)에 삽입되고, 하단에 형성된 돌출환부(21b)가 싱크대판(20)에 밀착되는 하부 플러그(21);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17a)가 하부 플러그(21)의 수나사(21a)에 체결되어, 저면이 싱크대판(20)의 상면에 밀착되고, 외주에 수나사(17b)가 형성된 조임너트(17); 수도꼭지(10)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14b); 및 단턱(14b)에 회전가능케 결합되고,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14a)가 조임너트(17)의 수나사(17b)에 체결되어, 조임너트(17)가 단턱(14b)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 플러그(1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 플러그(21)를 먼저 싱크대판(20)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하여 조임너트(17)로 체결한 후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조임너트(17)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수도꼭지(10)를 용이하게 싱크대판(20)에 조립할 수 있고,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사용중에 고장이 발생하여 교체 작업시에도 싱크대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조임너트(17)에서 수도꼭지(10)만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하면 되므로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A tap assembled to a sink plate}
본 고안은 씽크대판에 대붙이 수도꼭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붙이 수도꼭지란 주방용 수도꼭지류에서 제품이 설치된 장소가 벽이 아닌 씽크대판에 부착되는 수도꼭지를 말하고, 현재 이 대붙이 수도꼭지가 싱크대판에 부착되는 위치는, 싱크볼이 1개인 경우 좌측 상단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싱크볼이 2개인 경우 싱크볼의 중앙에 설치된 분리대의 상단에 설치된다.
종래의 대붙이 수도꼭지가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과정은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수도꼭지(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러그(51)의 외주에 패킹(52)을 끼운 후, 싱크대판(60)에 형성된 설치공(65)을 통해 하방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개스킷(61), 패킹(64) 및 와셔(62) 순으로 싱크대판(60)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51)의 외주에 끼워 상방으로 밀착되게 한다.
그런 후에, 조임너트(63)를 싱크대판(60)의 내부에서 수도꼭지(50)의 플러그(51)에 체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붙이 수도꼭지(50)가 싱크대판(60)에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대붙이 수도꼭지(50)를 싱크대판(60)에 조립하는 경우, 싱크대판(60)의 상부에서 일체형인 대붙이 수도꼭지(50)를 내측으로 삽입하고, 싱크대판(60) 내측에서 조임너트(63)를 체결한 후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해 조여지도록 했기 때문에, 싱크대판(60)을 설치한 후에는 시공장소가 협소하고 싱크대판(60)의 내측에 공구를 삽입하기 어려워, 조임너트(63)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으므로 사용중에 수도꼭지(50)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체형인 대붙이 수도꼭지(50)를 사용 중에 고장 등의 이유로 교체시공을 하는 경우, 싱크대판(60)의 내부에 많은 부속물이 이미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초기 시공시보다 시공이 더욱 어려워 시공비의 증가를 가져오고 정상적으로 시공되지 않아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대붙이 수도꼭지를 싱크대판에 조립시 하부 플러그를 조임너트로 체결한 후에 싱크대판의 상방에서 대붙이 수도꼭지 본체를 조립하면 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한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대붙이 수도꼭지가 싱크대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대붙이 수도꼭지가 싱크대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3의 싱크대판의 저면에 플러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조립후 씽크대판의 상면에 수도꼭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도꼭지 14 : 상부 플러그
14a,17a : 암나사 14b : 단턱
15,18 : 슬립 플레이트 16,19 : 패킹
17 : 조임너트 17b,21a : 수나사
20 : 싱크대판 21 : 하부 플러그
21b : 돌출환부 22 : 개스킷
23 : 와셔 25 : 설치공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설치공(25)이 형성된 싱크대판(20);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1a)가 상기 설치공(25)에 삽입되고, 하단에 형성된 돌출환부(21b)가 상기 싱크대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 플러그(2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7a)가 상기 하부 플러그(21)의 수나사(21a)에 체결되어, 저면이 상기 싱크대판(20)의 상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17b)가 형성된 조임너트(17); 수도꼭지(10) 몸체의 내주면 하단에 형성된 단턱(14b); 및 상기 수도꼭지(10)의 단턱(1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4a)가 상기 조임너트(17)의 수나사(17b)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너트(17)의 상면이 단턱(14b)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 플러그(14)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대붙이 수도꼭지를 싱크대판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과 같이, 본 고안의 대붙이 수도꼭지(10)는 상단에 냉온수를 개폐하는 핸들(11)이 설치되어 카트리지(12)에 조립되고, 내부에 냉온수가 공급되는 호스(13)가 설치되어, 상기 냉온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 개폐밸브인 카트리지(12)에 연설된다. 그리고 대붙이 수도꼭지(10) 몸체의 내측 하단에는 단턱(14a)이 형성되고, 이 단턱(14a)에 상부 플러그(14)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이 상부 플러그(14)의 내주면에 암나사(14a)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싱크대판(20)의 상면에는 설치공(25)이 형성되는데, 씽크대볼이 2개인 경우에는 분리대의 상단에 형성되고, 싱크대볼이 1개인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플러그(21)는 외주면에 수나사(21a)를 갖는 원형관으로 하단에 돌출환부(21b)를 갖고, 와셔(23)와 개스킷(22)이 외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싱크대판(20)의 설치공(25)에 끼워지는 것이다.
또한 조임너트(17)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암나사(17a) 및 수나사(17b)가 형성되어, 암나사(17a)는 하부 플러그(21)의 수나사(21a)에 체결되고, 수나사(17b)는 상부 플러그(14)의 암나사(14a)에 체결된다.
그리고 하부 플러그(21)에 삽입되는 한쌍의 패킹(16)(19)과 슬립 플레이트(15)(19)가 조임너트(17)의 상·하부 측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체결력이 향상되고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싱크대판(20)에 조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 플러그(21)의 외주에 와셔(23)와 개스킷(22)을 순서대로 끼운 후 하방으로 내려가도록하여 돌출환부(21b)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와셔(23)와 개스킷(22)이 조립되면, 하부 플러그(21)를 싱크대판(20)의 내부로 가져간 후 설치공(25)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하여, 하부 플러그(21)의 상단이 싱크대판(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싱크대판(20)의 상부로 돌출된 하부 플러그(21)에 패킹(19)과 슬립 플레이트(18)를 조립한 후, 조임너트(17)를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돤 바와 같이 고정한다. 즉, 하부 플러그(21)의 수나사(21a)에 조임너트(17)의 암나사(17a)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 간단하게 싱크대판(20)에 하부 플러그(21)를 조립할 수 있게된다. 이때, 개스킷(22)과 와셔(23)는 싱크대판(20)의 저면과 돌출환부(21b)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고, 조임너트(17)의 저면과 싱크대판(20)의 상면 사이에 패킹(19)과 슬립 플레이트(18)가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조임너트(17)가 단단히 체결된 하부 플러그(21)에 다시 패킹(16)과 슬립 플레이트(15)를 조립한 후, 대붙이 수도꼭지(10) 측의 상부 플러그(14)를 조임너트(17)의 외측에 체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붙이 수도꼭지(10)가 싱크대판(20)의 상방에 고정된다.
즉, 대붙이 수도꼭지(10) 측의 상부 플러그(14)를 하부 플러그(21)에 체결된 조임너트(17)의 외측에 삽입하여, 상부 플러그(14)의 암나사(14a)가 조임너트(17)의 수나사(17b)에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서, 상부 플러그(14)의 내측 단턱(14b)이 조임너트(17)의 상방에 조립된 패킹(16)과 슬립 플레이트(15)를 밀착하면서, 수도꼭지(10)가 조임너트(17)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 플러그(14)는 수도꼭지(10)의 몸체에 형성된 단턱(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꼭지(10)의 간섭없이 상부 플러그(14)를 조임너트(17)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싱크대판(20)에 조립된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사용하는 방법은, 대붙이 수도꼭지(10)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1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카트리지(12)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서 냉온수가 호스(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핸들(10)을 좌·우로 회전시켜 냉수와 온수의 비율을 적정히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설겆이 등 작업을 마친 후에는, 핸들(10)을 하방으로 내려 카트리지(12)의 밸브를 잠금으로서 냉온수가 호스(13)를 통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사용하는 중에 고장이 발생하여 교체 시공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10) 본체를 상기 조립시의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 상부 플러그(14)가 조임너트(17)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체할 수도꼭지(10) 본체를 다시 체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판(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부 플러그(21)를 돌출되게 하여 조임너트(17)로 고정한 후 수도꼭지(10) 본체를 조임너트(17)에 고정하면 되므로, 수도꼭지(10)를 싱크대판(20)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꼭지(10)의 플러그를 싱크대판(20)의 내부로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지 않고, 하부 플러그(21)를 먼저 싱크대판(20)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하여 조임너트(17)로 체결한 후 대붙이 수도꼭지(10) 측의 상부 플러그(14)를 조임너트(17)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 되므로, 수도꼭지(10)를 용이하게 싱크대판(20)에 조립할 수 있고, 대붙이 수도꼭지(10)를 사용중에 고장이 발생하여 교체 작업시에도 싱크대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조임너트(17)에서 수도꼭지(10)만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하면 되므로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설치공(25)이 형성된 싱크대판(20);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1a)가 상기 설치공(25)에 삽입되고, 하단에 형성된 돌출환부(21b)가 상기 싱크대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 플러그(2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7a)가 상기 하부 플러그(21)의 수나사(21a)에 체결되어, 저면이 상기 싱크대판(20)의 상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17b)가 형성된 조임너트(17);
    수도꼭지(10) 몸체의 내주면 하단에 형성된 단턱(14b); 및
    상기 수도꼭지(10)의 단턱(1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4a)가 상기 조임너트(17)의 수나사(17b)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너트(17)의 상면이 단턱(14b)에 밀착되게 하는 상부 플러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러그(21)의 돌출환부(21b)와 상기 싱크대판(20)의 저면 사이에 밀착되는 개스킷(22) 및 와셔(23);
    상기 싱크대판(20)의 상면과 상기 조임너트(17)의 저면 사이에 밀착되는 슬립 플레이트(18) 및 패킹(19); 및
    상기 조임너트(17)의 상면과 상기 상부 플러그(14)의 단턱(14b) 사이에 밀착되는 슬립 플레이트(15) 및 패킹(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KR2019990004639U 1999-03-23 1999-03-23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Ceased KR200000185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39U KR20000018578U (ko) 1999-03-23 1999-03-23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39U KR20000018578U (ko) 1999-03-23 1999-03-23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78U true KR20000018578U (ko) 2000-10-25

Family

ID=5476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639U Ceased KR20000018578U (ko) 1999-03-23 1999-03-23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57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63B1 (ko) * 2019-05-03 2019-10-04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102544832B1 (ko) * 2022-04-19 2023-06-16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63B1 (ko) * 2019-05-03 2019-10-04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102544832B1 (ko) * 2022-04-19 2023-06-16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US6367102B1 (en) Drain assembly with installation aid stopper guide
EP2103748A2 (en) Concealed, wide spread fauce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9896827B1 (en) Drainage overflow pipe structure for bathtub
US4917355A (en) Stop valve
US6192526B1 (en) Top mounted flush valve for a toilet tank
KR20100008883U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00018578U (ko) 싱크대판에 조립되는 대붙이 수도꼭지
RU2436903C2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и регулировки крана по высоте
KR20100011308U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CA1263501A (en) Toilet tank gasket
KR101974940B1 (ko) 누수 방지와 보수가 용이한 터치 수전시스템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JP2003214585A (ja) サドル分水栓
KR20230146258A (ko) 원홀 수전
KR200359770Y1 (ko) 탁상형 정수기연결구조를 갖춘 급수밸브
US20240318735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valve core seat of a pull-out faucet, and a pull-out faucet with a sensing function comprising said mounting structure
KR200225053Y1 (ko) 급수호스 연결용 소켓
CN221072888U (zh) 一种水箱上拆结构
KR200179157Y1 (ko) 3유로 연결밸브
KR200484514Y1 (ko)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연결장치
KR200173542Y1 (ko) 수도전의 결합구조
JP2000120120A (ja) 水栓の取付構造
JP3057539U (ja) シングルレバー式湯水混合栓用分岐装置
KR200197236Y1 (ko) 급수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20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