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8276U -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276U
KR20000018276U KR2019990004186U KR19990004186U KR20000018276U KR 20000018276 U KR20000018276 U KR 20000018276U KR 2019990004186 U KR2019990004186 U KR 2019990004186U KR 19990004186 U KR19990004186 U KR 19990004186U KR 20000018276 U KR20000018276 U KR 20000018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bundle
shaft
locker
wind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윤
Original Assignee
임원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윤 filed Critical 임원윤
Priority to KR2019990004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276U/ko
Publication of KR20000018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27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등에 화물을 적재하고 적재된 화물이 흐트러지거나 추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끈을 묶을 때 묶어지는 끈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축(2)과 걸림턱(5,5a)을 가진 기체(3)에, 스톱퍼(6,6a)와, 걸림부(7,7a) 및 작동부(16)를 가진 록커(8)를 탄력설치하고, 상기 기체(3)의 일단에는 삽입부(9)와 삽입부(9)의 90도 방향으로 2개의 걸림돌기(20)가 형성된 권취축(10)을 설치하여 이의 양단에 랫치기어(11,11a)를 설치하며, 상기 권취축(10)의 일단에는 랫치기어(12)를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하면서 걸림편(15)이 일체인 스톱퍼(6,6a)를 설치한 핸들(1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서 구성되어져, 화물차에 사용되는 모든 묶음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용이하게 사용되며,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A portable fastening equipment for binding baggage with belt}
본 고안은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의 선단에 권취축이 설치되고 권취축 양단에는 랫치기어가 설치되며, 이들 랫치기어를 제어하기 위한 록커 및 스톱퍼가 형성된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등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 적재된 화물이 흐트러지거나 추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묶음용 끈등을 이용, 적재화물을 묶고 있다.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축으로 연결된 기체에 작동공과 걸림턱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작동공에는 스톱퍼와 걸림부 및 작동부를 양측에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시킨 록커를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한다.
상기 기체(3,3a)의 선단에는 삽입부(9)를 형성시킨 권취축(10)을 설치하고 이 권취축(1O)의 양단에는 랫치기어(11,11a,)를 설치하되, 이들 랫치기어(11,11a)는 상기 권취축(10)과 함께 회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8a)에 의해 상향 탄성을 받는 록커(8)의 스톱퍼(6,6a)가 상기 랫치기어(11,11a)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권취축(10)의 일단에 랫치기어(12)를 가진 핸들(13)을 설치하고, 상기 랫치기어(12)에는 록커(8)의 작동부(16)에 걸릴수 있도록 한 것으로 23은 상기 기체(3,3a)의 고정축(2)에 권취된 고정끈이고 17은 이의 걸고리이며, 18은 묶음끈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제4도에서와 같이 묶음끈을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을 권회하여 묶고 이의 일단을 상기 기체(3,3a)에 설치된 권취축(10)의 삽입부(9)에 삽입시키며 기체(3,3a)는 고정축(2)에 고정된 고정끈을 걸고리를 이용하여 화물차의 적재함 일단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권취축(10)의 타측에 설치된 핸들(13)을 좌,우로 계속해서 교변 회전시키면 핸들(13)에 지지된 걸림편(15)이 작동부(16)에 걸린 록커(8)도 회동하면서 랫치기어(11,11a)와 각 스톱퍼(6,6a)에 의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묶음끈이 권취축(10)에 감겨지면서 묶음끈이 점점 조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을 계속함에 따라 묶음끈이 최대한으로 감겨져 화물을 견고하게 묶게 되며 이상태에서 화물을 운송하게 된다.
한편,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킬때에는 상기 기체(3,3a) 사이에 설치된 록커(8)를 잡아당겨 걸림턱(5,5a)에 걸게 되는데, 상기 록커(8)는 스프링(8a)을 당기면서 작동공을 따라 하향 이동하며 상기 걸림턱(5,5a)에 걸림부(7,7a)가 걸리게 된다.
이때, 록커(8)의 작동부(16)는 핸들(13)의 스톱퍼(6,6a)에 형성된 걸림편(15)을 함께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록커(8)와 스톱퍼(6,6a)의 해제로 인하여 각 랫치기어(11,11a)는 해제 상태가 되며 권취축(1O)은 자유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묶음끈을 위로 잡아당기면 권취축(1O)이 랫치기어(11,11a)와 함께 공회전하면서 묶음끈이 풀려지고 다풀은 다음 권취축(10)의 삽입부(9)에서 그 일단을 빼낸후 묶음끈을 화물에서 풀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묶음끈은 풀어놓은 다음, 상기 록커(8)는 다시 원위치시켜 다음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는 실제로는 몇 년전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예전부터 지금까지 사용된 화물 묶음용 끈 조임 장치로는 휴대용과 차량부착용이 있으며, 휴대용은 벨트만을 사용할 수 없었고 차량부착용은 로프 및 벨트를 사용하였지만, 휴대용은 사용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휴대용과 차량부착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기능을 합쳐진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로써 벨트는 물론 로프, 고무바(19)등, 화물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줄을 사용할 수 있도록된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조임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부착용 화물 끈 조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2 - 고정축
3,3a - 기체 5,5a - 걸림턱
6,6a - 스톱퍼 7,7a - 걸림부
8 - 록커 9 - 삽입부
10 - 권취축 11,11a,12 - 랫치기어
13 - 핸들 16 - 작동부
2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에 있어서, 고정축(2)으로 연결된 기체(3,3a), 기체(3,3a)의 선단부에 삽입부(9)를 형성시킨 권취축(10), 권취축(10)삽입부(9)의 90도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20), 권취축(10)의 양단에 설치된 랫치기어(11,11a), 상기 스프링(8a)에 의해 상향 탄성을 받는 록커(8)의 스토퍼(6,6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의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종래 형상을 도시한 도4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축(2)으로 연결된 기체(3,3a)에 작동공과 걸림턱(5,5a)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작동공에는 스톱퍼(6,6a)와 걸림부(7,7a) 및 작동부(16)를 양측에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시킨 록커(8)를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한다.
또, 상기 기체(3)의 선단에는 삽입부(9)와 삽입부(9)의 90도 방향으로 2개의 걸림돌기(20)를 형성시킨 권취축(10)을 설치하고, 이 권취축(10)의 양단에는 랫치기어(11,11a)를 설치하되, 이들 랫치기어(11,11a)는 상기 권취축(1O)과 함께 회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성을 받는 록커(8)의 스톱퍼(6,6a)가 상기 랫치기어(11,11a)를 탄력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권취축(10)의 일단에 랫치기어(12)를 가진 핸들(1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랫치기어(12)에는 록커(8)의 작동부(16)에 걸릴수 있도록 한 것으로, 23은 상기 기체(3,3a)의 고정축(2)에 권취된 고정끈이고 17은 이의 걸고리이며, 18은 묶음끈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화물 묶음용 끈조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ㄴ자 형상의 브라켓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이 차량의 적재함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있도록 2개의 볼트 홈을 형성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서 차량에 고정되어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묶음끈을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을 권회하여 묶고 이의 일단을 상기 기체(3,3a)에 설치된 권취축(10)의 삽입부(9)에 삽입시키며 기체(3,3a)는 고정축(2)에 고정된 끝을 걸고리를 이용하여 화물차의 적재함(22) 일단에 고정시키며, 또한 고무바(19) 및 로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권취축(10)에 형성된 걸림돌기(20)에 고무바(19)등의 끝을 매듭지어 걸림돌기(20)에 걸어둔다.
상기한 상태에서 권취축(10)의 타측에 설치된 핸들(13)을 좌,우로 계속해서 교변 회전시키면 핸들(13)에 지지된 걸림편(15)이 작동부(16)에 걸린 록커(8)도 회동하면서 랫치기어(12)와 각 스톱퍼(6,6a)에 의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묶음끈이 권취축(10)에 감겨지면서 묶음끈이 점점 조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계속함에 따라 묶음끈이 최대한으로 감겨져 화물을 견고하게 묶게 되며 이 상태에서 화물을 운송하게 된다.
한편,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킬때에는 상기 기체(3,3a) 사이에 설치된 록커(8)를 잡아당겨 걸림턱(5,5a)에 걸게 되는데, 상기 록커(8)는 스프링(8a)을 당기면서 작동공을 따라 하향 이동하며 상기 걸림턱(5,5a)에 걸림부(7,7a)가 걸리게 된다.
이때, 록커(8)의 작동부(16)는 핸들(13)의 스톱퍼(6,6a)에 형성된 걸림편(15)을 함께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록커(8)와 스톱퍼(6,6a)의 해제로 인하여 각 랫치기어(11,11a)는 해제 상태가 되며 권취축(1O)은 자유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묶음끈을 위로 잡아당기면 권취축(1O)이 랫치기어(11,11a)와 함께 공회전하면서 묶음끈이 풀려지고 다풀은 다음 권취축(10)의 삽입부(9)에서 그 일단을 빼낸후 묶음끈을 화물에서 풀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묶음끈을 풀어놓은 다음, 상기 록커(8)는 다시 원위치시켜 다음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에서 고무바(19) 및 로프를 사용함에 있어서, 끈의 끝 부분을 매듭지어 권취축(10)에 형성된 걸림돌기(20)에 매듭을 걸고 상기에서 서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된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화물 끈 묶음 조임장치로써 권취축(10)에 형성된 걸림돌기(20)가 형성되어 화물차에 사용되는 모든 묶음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이동 사용이 용이하며 묶음끈을 최대한 조일 수있고 이에 따라 묶음끈을 화물에 견고하게 묶을 수 있으며 화물이 온반도중 풀어지거나 추락되는 일이 없게하는 점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고정축(2)과 걸림턱(5,5a)을 가진 기체(3,3a)에, 스톱퍼(6,6a)와 걸림부(7,7a) 및 작동부(16)를 가진 록커(8)를 탄력설치하고, 상기 기체(3,3a)의 일단에는 삽입부(9)와 삽입부(9)의 90도 방향으로 2개의 걸림돌기(20)가 형성된 권취축(1O)을 설치하여 이의 양단에 랫치기어(11,11a)를 설치하며, 상기 권취축(1O)의 일단에는 랫치기어(12)를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하면서 걸림편(15)이 일체인 스톱퍼(6,6a)를 설치한 핸들(1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휴대용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ㄴ자 형상의 브라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착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19990004186U 1999-03-16 1999-03-16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00018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186U KR20000018276U (ko) 1999-03-16 1999-03-16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186U KR20000018276U (ko) 1999-03-16 1999-03-16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76U true KR20000018276U (ko) 2000-10-16

Family

ID=5476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186U KR20000018276U (ko) 1999-03-16 1999-03-16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2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608A (en) Strap tightening device
CA2685383C (en) Tie-down and tensioning system
US5611520A (en) Strap collector
US8079116B2 (en) Tie-down strap device
US9751449B2 (en) Ratchet strap apparatus including easily attachable cargo strap
US5063641A (en) Buckle for locking straps
US7412754B2 (en) Bi-directional load securing ratchet method and apparatus
US5816185A (en) Ratcheting means for quickly securing a cover over a boat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US4243350A (en) Winch load fastening apparatus
US7108246B2 (en) Winch for cargo tie-down straps
US20150089779A1 (en) Closure devices for coupling components to racks and methods therefor
WO1989009350A1 (en) Rope tying device
WO2005012036A1 (en) Rope tensioning device
US10814772B2 (en) Rope tie down apparatus
US7658578B1 (en) Tarp lashing system
US6273654B1 (en) Cargo holding device
US4659122A (en) Automobile trunk tie-down
US7681286B1 (en) Device for storing a cargo strap
KR20000018276U (ko)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930004733Y1 (ko)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AU2014344797B2 (en) A tie down assembly
KR940006120Y1 (ko) 화물자동차의 화물결박장치
KR102454212B1 (ko)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KR200166926Y1 (ko)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US20100127026A1 (en) Lockdown soft roof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21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