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251A - 상처용 드레싱 - Google Patents
상처용 드레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6251A KR20000016251A KR1019980709824A KR19980709824A KR20000016251A KR 20000016251 A KR20000016251 A KR 20000016251A KR 1019980709824 A KR1019980709824 A KR 1019980709824A KR 19980709824 A KR19980709824 A KR 19980709824A KR 20000016251 A KR20000016251 A KR 200000162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und dressing
- wound
- layer
- dressing
- bioabsorbable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0070 poly-3-hydroxybutyr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REKYPYSUBKSCAT-UHFFFAOYSA-N 3-hydroxy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O)CC(O)=O REKYPYSUBKSCA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SLXKOJJOQWFEFD-UHFFFAOYSA-N 6-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CC(O)=O SLXKOJJOQWF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54 Polyglycol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2684 aminocapro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JJTUDXZGHPGLLC-UHFFFAOYSA-N lactide Chemical compound CC1OC(=O)C(C)OC1=O JJTUDXZGHPGLL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33 polyglycol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84 succin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HBMMWSBFZVSSR-UHFFFAOYSA-M 3-hydroxybutyrate Chemical compound CC(O)CC([O-])=O WHBMMWSBFZVSSR-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HBMMWSBFZVSSR-UHFFFAOYSA-N R3HBA Natural products CC(O)CC(O)=O WHBMMWSBFZVSS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1
- 210000000416 exudates and transud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6010072170 Skin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115 angi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FERIUCNNQQJTOY-UHFFFAOYSA-M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N Butyr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062 Tissu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03 blood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8 necr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 A61F2013/0093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chi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조직 구조상의 상처 (2; 102; 202)를 드레싱하기 위한 상처용 드레싱 (10; 110; 210)은 상처용 드레싱이 상처 주위에 배치된 상처를 드레싱할 때 유체 투과성이고, 상처에서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생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하부 (1; 101; 201) 및 드레싱이 하부를 덮는 상처를 드레싱할 때 증기 투과성이고, 세균 불투과성인 상부 (3; 103; 203)를 포함한다. 이 상처용 드레싱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 통합된 구조이거나 상처를 드레싱할 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내부 또는 외부 조직 구조상의 상처를 드레싱하기 위한 상처용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상처용 드레싱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거어즈 드레싱이 화상, 벤 상처, 찰과상 및 기타 조직 장애와 같은 상처 치료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드레싱은 자주 교환해야 하고, 드레싱 후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 이를 제거할 때 환자에 통증을 유발한다. 사실 몇몇 드레싱은 매우 불편하여 환자를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EP-A-0349505 (아스트라 메디텍(Astra Meditec) AB)에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 동물에서 연질 조직의 치유는 물과 염의 투과는 허용하지만 세포 및 기타 조직 입자는 폐쇄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무단백질 생흡수성 중합체의 다공성 가요성 시이트의 사용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교시하였다. 이 시이트는 연질 조직에서 대식세포의 형성을 특정하게 자극하는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 대식세포가 조직 치유를 자극하는 성장 인자를 방출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시이트용으로EP-A-0349505에 기재된 적합한 중합체 재료는 폴리글리콜산, 글리콜산과 락트산의 공중합체, 락트산과 ε-아미노카프론산의 공중합체, 락티드 중합체, 폴리데속사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와 3-히드록시발레레이트의 공중합체,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기재의 것이다. EP-A-0349505는 US-A-4603070 (스틸(Steel) 등)에 따라 제조된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 용액-스펀 섬유를 함께 압축함으로써 필수 성질을 갖는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 부직 시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개시하였다.
EP-A-0349505의 시이트에서 기공의 크기는 물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로 충분하기 때문에, 시이트를 통해 상처로 세균이 통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시이트가 내부 용도, 즉 내부 상처를 덮기 위해 사람 또는 동물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지만, 피부 상처와 같은 외부 상처의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GB-A-2166354 (임페리얼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휘발성 용매에 용해되거나 팽윤되고, 바람직하게는 3-히드록시발레레이트 단위와 공중합된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을 기재하고 있다. 이 재료는 상처에 용액 또는 겔로서 도포되어 중합체의 박막을 처리 부위와 밀접하게 접촉시킨다.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는 친수성이어서 외부 친수성층의 필요를 제거한다. 이 드레싱은 일시적 커버링으로 상처 부위의 빠른 보호를 위해 특히 적합하다고 나타나 있다.
GB-A-2166354에 기재된 친수성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 박막은 상처용 드레싱으로서 다수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막이 특별히 흡수성이 아니고, 상처로부터의 삼출물이 그곳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량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설비가 없다. 또한, 개방된 상처로부터 드레싱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드레싱내 휘발성 용매가 세포에 독성이 될 수 있으며 상처 부위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층내 생긴 기공 크기 분포는 상처에 가까운 기공의 크기가 상처에서 먼 기공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세균의 침입에 의한 상처의 감염 가능성이 있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은 편리하게 도포하고 필요한 경우 제거할 수 있는 상처 표면의 부근에서 신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을 제공하고,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지만, 상처로부터 과량의 유체 제거는 허용하는 상처의 점진적인 치유 시의 사용을 위한 편리한 상처용 드레싱을 제공하는 문제를 처리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처를 드레싱할 때 상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유체 투과성, 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이고, 상처의 치유 과정을 촉진시키는 생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및 상처를 드레싱할 때 하부 위에 놓이며 증기에 대해서는 투과성이나 세균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인 상부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조직 구조상의 상처를 드레싱하기 위한 상처용 드레싱을 제공한다.
이러한 드레싱을 비교적 단순하게 제조된다. 또한, 이 드레싱은 드레싱하기 쉽고, 제거하기 쉽도록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드레싱은 상처 표면부에서 신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을 제공하고, 상처로부터 과량의 유체를 제거하면서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시킨다. 상부가 세균에 대해 본질적으로 불투과성이도록 하여 차단층으로서 감염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처로부터 삼출물의 제거는 상처와 떨어져 있는 하부의 윗쪽 표면 위에 축적된 삼출물이 빠져나갈 수단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 방해될 수 있다. 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예를 들면, 미세다공성인 상부를 제공하여 삼출물을 증발에 의해 서서히 분산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경감시킨다. 또한, 상처를 둘러싼 조직으로부터 나온 증기는 상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처로부터 하부로의 삼출물의 빠짐 및 이어서 과량의 습기 증발은 상처로부터 대기로 물질의 유동을 만들어 낸다. 이 유동은 따라서 반대로 세균의 통과 및 감염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상처용 드레싱은 비교적 장기간 동안 붙어있을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보다 드레싱을 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통증을 덜 어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증기 투과성인 상부의 사용은 상처로부터 과량의 유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지와 상관없이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처를 건조로부터 예방하는 것은 통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일체 통합형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통합된 구조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는 상처를 드레싱하기 전에 서로 커플링되는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으로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일단 상처가 드레싱된 후 형성되며,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는 상처에 개별적으로 도포되는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으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 예를 들면, 시이트로서 상처용 드레싱의 하부를 갖는다는 것은 쉽게 제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상처로부터 삼출물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차단층으로서 사용되고, 상처로부터 나온 삼출물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액체 흡수를 위해 적절한, 상부 및 하부 사이에 중간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다량의 삼출물이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제2 및 제3 형태에서 중간부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면, 처리한 셀룰로스 섬유 또는 폴리아크릴산일 수 있다. 그러나, 수성콜로이드가 특히 적합하다. 수성콜로이드는 통상적으로 자체 부피의 4 내지 6 배의 유체를 흡수할 수 있고, 신규 수성콜로이드는 자체 부피의 20 배를 흡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성콜로이드는 또한 피부에 접착성이어서 수성콜로이드는 중간 흡수층 및 드레싱을 위한 접착성 엣지의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중간부는 중간 상처 드레싱층 또는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 또는 하부 드레싱층의 일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상부 및 하부로 이루어지며, 하부 및 상부는 생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생흡수성 재료는 미립자 또는 섬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처용 드레싱은 히알루론산 등의 겔 메트릭스와 같은 매트릭스 재료내 생흡수성 재료인 미립자 또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상처용 드레싱은 생흡수성 재료의 섬유 시이트, 예를 들면, 부직 섬유 시이트일 수 있다.
제2 및 제3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서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층은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 시이트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드레싱층은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측 표면에 부착된다. 또한,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을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의 경우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상처용 드레싱의 나머지 부분에 탈착가능하게 붙여진다. 예를 들면,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 또는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떼어낼 수 있게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생흡수성 재료의 입자층으로 제공된다. 이 미립자는 매트릭스 재료,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겔 매트릭스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생흡수성 미립자 재료는 용매 중에 입자를 혼합하고, 하부 표면에 혼합물을 코팅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서 상부 또는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부착한다. 클로로포름이 적합한 용매로서 언급될 수 있다.
제3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을 상처에 드레싱할 때, 하부는 상처 상에 위치한 생흡수성 재료의 느슨한 입자 또는 섬유층으로 존재한다. 또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상처 위에 코팅된 생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겔 또는 상처를 덮는 하나 이상의 하부 상처용 드레싱 시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생흡수성 재료는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으로부터 형성된 겔 매트릭스와 같은 매트릭스에 지지된 섬유 형태이다. 또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하나 이상의 하부 상처용 드레싱 섬유 시이트, 예를 들면, 부직 섬유로 된 시이트의 형태를 취하고, 이 경우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을 조면화하여 섬유의 말단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의 생흡수성 재료는 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이 중합체는 무단백질, 예를 들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PHB), 폴리아세트산, 폴리글리콜산, 글리콜산과 락트산의 공중합체, 락트산과 ε-아미노카프론산의 공중합체, 락티드 중합체, 폴리데속사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히드록시발레레이트의 공중합체,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이다.
하부 중의 무단백질 생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대식세포를 자극하고, 주변에 대해 차단층을 형성하고 세포 성장을 위한 뼈대로서 작용함으로써 분해중에 치유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단백질 중합체에 의해 야기된 대식세포의 침입은 상처를 조직으로 덮고, 첫날 또는 둘쨋날내에 상처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혈관신생 및 미세혈관내 혈행이 발생하고, 다시 중합체에 의해 자극된다. 또한, PHB와 같은 특정 무단백질 중합체는 정균 및 정진균 효과를 가지고, 피부의 상처 치유를 용이하게 한다. 대식세포의 내습은 또한 살균 효과를 갖는다. 상처용 드레싱은 정균 및 정진균 특성을 가지므로 장기간 드레싱된 채로 사용될 수 고, 상처 치유 환경이 드레싱의 밑에서 만들어진다. 드레싱을 더 적게 교환하는 것은 치유 과정을 덜 방해하고, 환자의 통증을 덜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는 하부를 위한 바람직한 재료인데, 왜냐하면 본 출원인이 PHB가 시험한 기타 중합체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처 부위에서 대식세포를 끌어당기는 능력이 있음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PHB는 또한 아마도 PHB에 의해 증진된 대식세포 효과를 통해 증가된 혈관신생을 이끄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드레싱 기간은 PHB가 사용되는 경우 PHB의 분해에 따른 시간에 걸쳐 정균 및 정진균 특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추가로 증가된다.
또한, 하부가 소수성 섬유를 갖는 섬유성 PHB 시이트, 예를 들면, 부직 시이트로서 형성되는 경우, PHB 섬유의 성질은 시이트가 모세관 능력을 가져서 삼출물이 상처로부터 배출되고, 시이트와 상부 사이 영역에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부직 PHB 섬유 시이트는 섬유가 소수성임에도 불구하고 처음 10 일 동안 부풀거나 그의 구조 때문에 혈액 성분 및 주변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더함으로써 부푼다. 결론적으로 상처용 드레싱의 하부로서 PHB 섬유 시이트는 상처가 "호흡"하도록 하고, 증기를 수송하여 상처 표면에 적당한 습기를 남긴다.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가 3 내지 10개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올리고(3-히드록시부티레이트)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하부에 포함되거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광범위한 기타 물질이 하부의 기능에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쉽게 명백할 것이고, 비제한적인 예는 키토산과 같은 다당류, 콜라겐 또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가요성이어서 상처(예를 들면, 들어간 상처)의 윤곽을 따라 드레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예를 들면, 가요성이기 때문에 상처의 윤곽을 따라 감길 수 있다.
상처 치유 과정을 보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상처용 드레싱의 다양한 형태의 하부는 하나 이상의 성장 인자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중합체성 재료는 생흡수성일 수 있고, 추가로 무단백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는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부는 비생흡수성 비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중합체의 예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다양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는 다공성이다. 상부 및 하부가 모두 다공성인 경우 상부 공극의 크기는 하부 공극의 크기보다 작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의 공극의 크기는 약 0.25 ㎛ 미만이다.
다양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서 상처용 드레싱은 상처 주변 조직 구조의 표면에 뗄 수 있게 부착된 접착성 엣지를 제공한다. 이는 드레싱 또는 드레싱 상부 일부의 도포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은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경우에 접착성 엣지를 제공한다. 이상적인 오버랩 마진은 약 10 내지 15 mm이다.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중간부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성 엣지는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중간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형태의 실시 태양에서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은 접착성 엣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처내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생흡수성 재료의 유체 투과성 하부층을 상처에 도포하고, 증기는 투과성이지만 세균은 불투과성인 상부층으로 하부층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조직 구조상의 상처의 치료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처내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생흡수성 재료의 유체 투과성 층을 증기 투과성, 세균 불투과성인 층과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피부를 위한 상처용 드레싱의 제조에서 휘발성 용매가 실질적으로 없는 섬유 또는 분말의 형태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처용 드레싱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처용 드레싱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상처용 드레싱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처용 드레싱 (10)은 피부 상처 (2)에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는 섬유성 부직 시이트의 형태로 도포되는, 상처 치유 과정을 촉진시키는 생흡수성 물질, 이 경우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이하 "PHB")의 층 (1) 및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외부 미세다공성층 (3)을 포함한다. 외부 중합체층 (3)의 기공은 0.22 ㎛ 미만의 공극 크기를 갖는다. 이는 층 (3)이 세균에 대해서는 본질적으로 불투과성을 유지하면서 증기 및 가스에 투과성이게 한다.
드레싱 (10)은 편리하게 도포 및 제거할 수 있고, 외부 중합체층 (3)에 의해 상처 표면 부근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을 추가로 제공한다. 드레싱 (10)은 또한 상처 (2)를 촉촉하게 유지하지만, 수증기에는 투과성이어서 상처 (2)의 과량의 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드레싱 (10)은 건조에 대해 상처에서 신경이 죽는 것과 동시에 환자에게 통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드레싱 (10)의 도포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중합체층 (3)은 접착성 엣지 (4)를 갖는다.
드레싱 (10)에서 PHB 섬유는 소수성을 나타낸다. PHB 섬유의 성질은 삼출물이 상처 (2)로부터 나오게 하고, PHB층 (1) 및 PHB층 (1)과 외부 중합체층 (3) 사이 공간에 유지되게 한다.
상처용 드레싱 (10)은 비교적 장기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제시된 드레싱보다 더 적은 드레싱 교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에게 더 적은 통증으로 치유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피한다. 드레싱 (10)을 교체할 때의 한 가지 가능성은 외부 중합체층 (3)과 과량의 삼출물만을 제거한 다음, PHB층 (1)을 움직이지 않고 새로운 외부층 (3)을 대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대부분의 PHB층 (1)도 제거하여 새 PHB 조각으로 교체하며, 이때 상처 (2)에 부착된 PHB의 섬유는 남게 된다.
도 2에서는 피부 상처 (102)에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는 섬유성 부직 시이트의 형태로 도포된 PHB층 (101) 및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외부 미세다공층 (10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처용 드레싱 (110)을 나타내고 있다. PHB층 (101)은 패취 형태로서, 외부 중합체층 (103)에 의해 PHB 패취 (101) 주변에 남는 외부 중합체층 (103)의 10 내지 15 mm 마진 (m)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PHB 패취 (101)의 크기는 상처 (102)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수성콜로이드 재료의 중간 흡수층 (105)가 제공된다. 이는 PHB 패취 (101)에 의해 상처 (102)로부터 전달된 삼출물을 흡수하고, 추가의 삼출물의 이동을 증진시킨다. 폴리우레탄 외부층 (103)의 미세기공은 삼출물이 상처 (102)가 촉촉하게 유지되고, 동시에 세균을 배제하는 동안에도 서서히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처 (102)를 둘러싼 피부로부터의 증기는 또한 외부 중합체층 (103)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외부 중합체층 (103)은 접착성 엣지 (104)를 가져서 드레싱 (110)의 도포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도 3에 있어서는, 피부 상처 (202)에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는 섬유성 부직 시이트의 형태로 도포된 PHB층 (201) 및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미세다공층 (20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상처용 드레싱 (210)을 나타내고 있다. PHB는 패취 형태로서, 외부 중합체층 (203)에 의해 PHB 패취 주변에 남는 외부 중합체층 (203)의 10 내지 15 mm 마진 (m)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수성콜로이드 재료의 중간 흡수층 (205)가 또한 제공되지만, 이 경우에는 수성콜로이드층 (205)이 외부 중합체층 (203)과 일치한다. 수성콜로이드 재료는 피부에 접착성이기 때문에 그의 엣지 (204)에 의해 피부에 붙을 수 있다. 따라서, 수성콜로이드는 중간 흡수층 및 외부층 (203)에 대한 접착성 엣지로서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는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특정 상처용 드레싱 예에 제한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청구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 또는 변형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상처용 드레싱이 다음 목적을 만족시켜야 함을 발견하였다:
· 열 차단이 상처 표면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 상처는 촉촉하게 유지되는 반면, 과량의 유체는 제거되어야 한다.
· 드레싱은 증기 투과성이지만, 세균은 불투과성이다.
· 드레싱은 흡수성이고 통기성이어야 한다.
· 통증이 억제되어야 한다.
· 드레싱은 도포하기 쉽고, 원하는 경우 제거하기 쉬어야 한다.
· 드레싱은 치유를 자극해야 한다.
· 드레싱은 기타 치료, 예를 들면, 제공되야 하는 외부 압박 붕대를 허용하고, 괴사 피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 드레싱은 생체상용성이고 비독성이어야 한다.
· 드레싱은 환자를 고정시키지 말아야 한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상처용 드레싱은 이러한 목적을 단순하고 비싸지 않게 만족시킨다.
비교 시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처용 드레싱과 폴리우레탄 (등록상표 타거덤 (Tagerderm))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을 포유 동물 신체의 피부 상처에 드레싱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은 PHB의 부직 섬유 시이트 형태의 하부와 폴리우레탄 시이트의 상부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발명의 상처용 드레싱은 폴리우레탄 시이트 상처용 드레싱에 비해 개선된 상처 치유를 나타냈다. 이는 본 발명의 상처용 드레싱에 의해 덮혀서 치유된 상처가 폴리우레탄 시이트 상처용 드레싱에 의해 덮혀서 치유된 상처보다 재생된 조직에서 더 두껍고 양질의 상피 세포층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워졌다.
Claims (99)
- 상처용 드레싱을 상처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처를 드레싱할 때, 유체 투과성이고 상처의 치유 과정을 촉진시키는 생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부 및 하부를 덮는 상처를 드레싱할 때 증기 투과성이고 세균 불투과성인 상부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조직 구조상의 상처를 드레싱하기 위한 상처용 드레싱.
- 제1항에 있어서, 하부가 유체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의 하부에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상부 및 하부로 된 상처용 드레싱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상부 및 하부로 이루어져 있고, 이 하부 및 상부가 생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액체를 흡수하기에 적절한,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시이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흡수성 재료가 특히 미립자 또는 섬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매트릭스 재료내 생흡수성 물질의 미립자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0항에 있어서,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하여 매트릭스가 겔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1항에 있어서, 겔 매트릭스가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9항에 있어서, 제8항에 관련하여 상처용 드레싱이 생흡수성 재료의 섬유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3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부직 섬유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4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의 하부 표면이 조면화되어 섬유의 말단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의 생흡수성 재료가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6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무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7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세트산, 폴리글리콜산, 글리콜산과 락트산의 공중합체, 락트산과 ε-아미노카프론산의 공중합체, 락티드 중합체, 폴리데속사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히드록시발레레이트의 공중합체,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6항에 있어서, 하부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올리고(3-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의 생흡수성 재료가 키토산과 같은 다당류, 콜라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가요성이어서 움푹 패인 상처와 같은 상처의 윤곽을 따라 드레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3항에 있어서, 제22항에 관련하여 상부의 기공의 크기가 하부의 기공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부의 기공 크기가 약 0.2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처의 드레싱 전에 서로 커플링되는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에 있어서, 하부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에 있어서, 하부가 천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액체를 흡수하기에 적절한,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0항에 있어서, 중간부가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0항에 있어서, 중간부가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 또는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29항 및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각각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처용 드레싱의 나머지에 뗄 수 있게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5항에 있어서, 제27항 내지 제29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관련하여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뗄 수 있게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5항에 있어서, 제31항 또는 제34항에 관련하여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뗄 수 있게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생흡수성 재료의 입자층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8항에 있어서, 입자가 매트릭스 재료내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9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겔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0항에 있어서, 겔 매트릭스가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8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생흡수성 미립자 재료가, 용매에 입자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하부 표면에 코팅하고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상부 또는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2항에 있어서, 클로로포름이 용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층이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 시이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일단 상처가 드레싱된 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5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처에 도포된 상부 및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에 있어서, 하부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에 있어서, 하부가 천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액체를 흡수하기에 적절한,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9항에 있어서, 중간부가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9항에 있어서, 중간부가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 또는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생흡수성 재료의 입자층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2항에 있어서, 입자가 매트릭스 재료내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3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겔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4항에 있어서, 겔 매트릭스가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상처를 드레싱할 때 하부가 상처에 위치한 생흡수성 재료의 느슨한 입자 또는 섬유의 층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처 위에 코팅된 생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4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층이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 시이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58항에 있어서,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하여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처를 덮는 하나 이상의 하부 상처용 드레싱 시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37항, 제44항, 제46항 내지 제51항, 제58항 또는 제59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생흡수성 재료가 섬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0항에 있어서, 생흡수성 섬유 재료가 매트릭스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1항에 있어서, 생흡수성 섬유 재료가 겔 매트릭스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2항에 있어서, 생흡수성 섬유 재료가 히알루론산으로부터 형성된 겔 매트릭스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0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하나 이상의 상처용 드레싱 섬유 시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4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 섬유 시이트 또는 시이트들이 부직 섬유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5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하부 표면이 조면화되어 섬유의 말단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의 생흡수성 재료가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7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무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8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세트산, 폴리글리콜산, 글리콜산과 락트산의 공중합체, 락트산과 ε-아미노카프론산의 공중합체, 락티드 중합체, 폴리데속사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히드록시발레레이트의 공중합체, 숙신산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7항에 있어서, 하부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올리고(3-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67항에 있어서, 하부의 생흡수성 재료가 키토산과 같은 지방다당류, 콜라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가요성이어서 움푹 패인 상처와 같은 상처의 윤곽을 따라 드레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7항 내지 제44항, 또는 제46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처의 윤곽을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73항에 있어서, 하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가 하나 이상의 성장 인자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76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재료가 생흡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77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재료가 무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78항에 있어서, 상부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가 비생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0항에 있어서, 상부가 비생흡수성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1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재료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26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의 상부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3항에 있어서, 제28항 또는 제47항에 관련하여 상부의 기공의 크기가 하부의 기공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3항 또는 제84항에 있어서, 상부의 기공 크기가 약 0.2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이 상처 주위 조직 구조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성 엣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6항에 있어서, 제27항 내지 제44항, 제46항 내지 제71항, 제73항 또는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관련하여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접착성 엣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7항에 있어서,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상처용 드레싱의 나머지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7항 또는 제88항에 있어서,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약 10 내지 15 mm의 마진으로 상처용 드레싱의 나머지를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6항에 있어서, 제32항 또는 제51항에 관련하여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이 중간부를 포함하고, 접착성 엣지가 상부 상처용 드레싱층의 중간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86항에 있어서, 제31항 또는 제50항에 부속되는 경우 중간 상처용 드레싱층이 접착성 엣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제30항, 제31항, 제32항, 제34항, 제37항, 제49항, 제50항, 제51항, 제90항 또는 제91항에 있어서, 중간부가 수성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용 드레싱.
-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생흡수성 재료의 유체 투과성 하부층을 상처에 도포하고, 하부층을 증기 투과성이고 세균 불투과성인 상부층으로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체의 조직 구조상의 상처의 치료 방법.
-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생흡수성 재료의 유체 투과성층을 증기 투과성이고 세균 불투과성층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용 드레싱의 제조 방법.
- 제93항 또는 제94항에 있어서, 생흡수성 재료가 생흡수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5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무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6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피부를 위한 상처용 드레싱의 제조에서 실질적으로 휘발성 용매가 없는 섬유 또는 분말의 형태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의 용도.
- 제98항에 있어서, 섬유 또는 분말에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E9602200-9 | 1996-06-03 | ||
SE9602200A SE9602200D0 (sv) | 1996-06-03 | 1996-06-03 | Wound dress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251A true KR20000016251A (ko) | 2000-03-25 |
Family
ID=2040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9824A KR20000016251A (ko) | 1996-06-03 | 1997-05-30 | 상처용 드레싱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EP (1) | EP0906126A1 (ko) |
JP (1) | JP2000511446A (ko) |
KR (1) | KR20000016251A (ko) |
CN (1) | CN1226178A (ko) |
AR (1) | AR007386A1 (ko) |
BR (1) | BR9709639A (ko) |
CA (1) | CA2255627A1 (ko) |
CZ (1) | CZ388398A3 (ko) |
HU (1) | HUP0003151A3 (ko) |
ID (1) | ID17733A (ko) |
IL (1) | IL127107A0 (ko) |
IS (1) | IS4898A (ko) |
NO (1) | NO985628L (ko) |
NZ (1) | NZ332950A (ko) |
PL (1) | PL330307A1 (ko) |
SE (1) | SE9602200D0 (ko) |
TR (1) | TR199802501T2 (ko) |
TW (1) | TW347318B (ko) |
WO (1) | WO1997046265A1 (ko) |
ZA (1) | ZA97484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81679B1 (fr) * | 1998-07-31 | 2001-06-08 | Lhd Lab Hygiene Dietetique | Nouveau pansement hydrocellulaire etanche et utilisation d'une masse adhesive hydrocolloide |
DE50011995D1 (de) * | 1999-03-02 | 2006-02-02 | Tatjana Meyer-Schwarz | Pflaster zum aufbringen auf der haut mit vorsprüngen auf dem pflaster |
US7619130B2 (en) | 2000-07-18 | 2009-11-17 | Coloplast A/S | Multi-layer wound dressing formed as a single unit |
GB0025084D0 (en) | 2000-10-13 | 2000-11-29 | Cambridge Meditech | Improvements in detection |
US7041868B2 (en) | 2000-12-29 | 2006-05-0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Bioabsorbable wound dressing |
US7700819B2 (en) * | 2001-02-16 | 2010-04-20 | Kci Licensing, Inc. |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
US8790688B2 (en) | 2001-12-21 | 2014-07-29 | Coloplast A/S | Wound care device for local treatment of pain in a wound |
EP1640023B1 (en) * | 2003-06-26 | 2018-12-05 | Zuiko Corporation | Wound coating material and wound coating material kit |
DE102004063599B4 (de) | 2004-12-30 | 2007-07-12 | Bayer Innovation Gmbh | Verkürzte Wundheilungsprozesse mittels neuartiger Faservliese |
CN103170005A (zh) * | 2011-12-23 | 2013-06-26 | 闳晖实业股份有限公司 | 伤口敷料 |
US9561136B2 (en) | 2014-03-13 | 2017-02-07 | Gregory Troy Williams | Bandage |
CN107106720B (zh) | 2014-06-05 | 2020-06-16 | 约翰内斯堡威特沃特斯兰德大学 | 一种伤口敷料 |
KR101577140B1 (ko) | 2014-06-30 | 2015-12-11 | 박성훈 | 필름형 용해성 창상피복재 |
CN105688260A (zh) * | 2016-03-21 | 2016-06-22 | 江苏广达医材集团有限公司 | 一种生物可降解医用腹部手术伤口敷料 |
CN109069285B (zh) * | 2016-05-04 | 2021-06-22 | 科洛普拉斯特公司 | 具有中和剂基质的粘性薄片 |
CN105816903A (zh) * | 2016-05-12 | 2016-08-03 | 东华大学 | 一种载药透明质酸纳米纤维复合敷料及其制备方法 |
US11491254B2 (en) | 2017-11-08 | 2022-11-08 | Coloplast A/S | Adhesive wafer with a neutralizer matrix |
RU2020117765A (ru) | 2017-11-08 | 2021-12-08 | Колопласт А/С | Клейкая пластина с матрицей с нейтрализатором |
CN109125781B (zh) * | 2018-11-16 | 2021-09-07 | 南阳市中心医院 | 一种肝胆外科抗菌敷料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24304B1 (fr) * | 1982-03-31 | 1985-06-14 | Delalande Sa | Peau artificielle |
GB8424950D0 (en) * | 1984-10-03 | 1984-11-07 | Ici Plc | Non-woven fibrous materials |
GB2166354B (en) * | 1984-10-10 | 1987-12-09 | Ici Plc | Wound dressings |
SE8802414D0 (sv) * | 1988-06-27 | 1988-06-28 | Astra Meditec Ab | Nytt kirurgiskt material |
GB2272645B8 (en) * | 1992-11-23 | 2010-02-10 | Johnson & Johnson Medical | Wound dressing |
-
1996
- 1996-06-03 SE SE9602200A patent/SE9602200D0/xx unknown
-
1997
- 1997-05-30 JP JP10500486A patent/JP2000511446A/ja active Pending
- 1997-05-30 IL IL12710797A patent/IL127107A0/xx unknown
- 1997-05-30 CN CN97196710A patent/CN1226178A/zh active Pending
- 1997-05-30 TR TR1998/02501T patent/TR199802501T2/xx unknown
- 1997-05-30 BR BR9709639A patent/BR9709639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30 WO PCT/SE1997/000946 patent/WO1997046265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5-30 CZ CZ983883A patent/CZ388398A3/cs unknown
- 1997-05-30 HU HU0003151A patent/HUP0003151A3/hu unknown
- 1997-05-30 CA CA002255627A patent/CA2255627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5-30 EP EP97926340A patent/EP0906126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5-30 PL PL97330307A patent/PL330307A1/xx unknown
- 1997-05-30 KR KR1019980709824A patent/KR200000162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5-30 NZ NZ332950A patent/NZ332950A/xx unknown
- 1997-06-02 ZA ZA974846A patent/ZA974846B/xx unknown
- 1997-06-03 TW TW086107606A patent/TW347318B/zh active
- 1997-06-03 ID IDP971882A patent/ID17733A/id unknown
- 1997-06-03 AR ARP970102408A patent/AR007386A1/es unknown
-
1998
- 1998-11-19 IS IS4898A patent/IS4898A/is unknown
- 1998-12-02 NO NO985628A patent/NO985628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19419B2 (en) | 2000-05-11 |
ID17733A (id) | 1998-01-22 |
TR199802501T2 (xx) | 1999-02-22 |
ZA974846B (en) | 1998-12-02 |
NO985628L (no) | 1999-02-03 |
NO985628D0 (no) | 1998-12-02 |
CZ388398A3 (cs) | 1999-04-14 |
JP2000511446A (ja) | 2000-09-05 |
HUP0003151A3 (en) | 2002-05-28 |
AR007386A1 (es) | 1999-10-27 |
BR9709639A (pt) | 1999-08-10 |
NZ332950A (en) | 2000-05-26 |
SE9602200D0 (sv) | 1996-06-03 |
CN1226178A (zh) | 1999-08-18 |
EP0906126A1 (en) | 1999-04-07 |
WO1997046265A1 (en) | 1997-12-11 |
AU3112897A (en) | 1998-01-05 |
IL127107A0 (en) | 1999-09-22 |
TW347318B (en) | 1998-12-11 |
HUP0003151A2 (hu) | 2001-02-28 |
PL330307A1 (en) | 1999-05-10 |
CA2255627A1 (en) | 1997-12-11 |
IS4898A (is) | 1998-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16251A (ko) | 상처용 드레싱 | |
US8303551B2 (en) | Wound dressings | |
JP6936730B2 (ja) | 医療用包帯 | |
DE60126142T2 (de) | Bioabsorbierbare wundauflage | |
US10010452B2 (en) | Primary dressing for moist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rimary dressing | |
JP7429996B2 (ja) | 微小構造を含む組織処置デバイス | |
Kuroyanagi et al. | A silver‐sulfadiazine‐impregnated synthetic wound dressing composed of poly‐l‐leucine spongy matrix: An evaluation of clinical cases | |
JPS62246370A (ja) | 創傷被覆材 | |
WO1989008466A1 (en) | Medical material permitting cells to enter thereinto and artificial skin | |
RU2240140C2 (ru) | Медицинск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повязка и изделия на ее основе | |
AU719419C (en) | Wound dressing | |
JP2852954B2 (ja) | 人工皮膚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833672A (ja) | 創傷被覆材 | |
MXPA98010047A (en) | Aposito for heri | |
DE20122661U1 (de) | Biologisch absorbierbarer Wundverband | |
JPH0481466B2 (ko) | ||
JPH06125975A (ja) | 創傷治癒用基材 | |
JP2002200110A (ja) | 創傷被覆材 | |
JPH05261145A (ja) | 創傷被覆材用シート状素材 | |
CZ202214A3 (cs) | Nanogáza | |
JPH03206032A (ja) | 創傷被覆材 | |
RU2189210C1 (ru) | Многослой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повязка | |
JPH05337174A (ja) | 創傷被覆材 | |
JPH05285210A (ja) | 人工皮膚 | |
JPH01170454A (ja) | 創傷被覆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