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6183U -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 Google Patents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183U
KR20000016183U KR2019990001057U KR19990001057U KR20000016183U KR 20000016183 U KR20000016183 U KR 20000016183U KR 2019990001057 U KR2019990001057 U KR 2019990001057U KR 19990001057 U KR19990001057 U KR 19990001057U KR 20000016183 U KR20000016183 U KR 20000016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analyzer
solution
heat pump
analy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64978Y1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9-0001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7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3/00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4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ammonia evaporated from aqueous s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4Heat pumps of the 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3/00Details of 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모니아 흡수식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애너라이저의 충진재 구조를 변경하여 애너라이저에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Flooding)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러이저 충진재는 냉매증기와 강용액이 접촉되는 임의의 면적을 가지며, 이 면적은 스파이어럴 형상의 연속적인 간극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을 형성하는 스프링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애너라이저에 용액이 쌓이는 현상을 줄여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The packing material for analyzer of absorption heat pump}
본 고안은 암모니아 흡수식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히트펌프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애너라이저의 충진재 구조를 변경하여 애너라이저에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Flooding)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모니아 흡수식 히트펌프 사이클은 도 1과 같이 재생기(1), 응축기(2), 증발기(3), 용액가열재생기(4), 애너라이저(5), 수냉흡수기(6), 용액냉각흡수기(7), GAX흡수기/재생기(8), 냉매열교환기(9)로 크게 구성되며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재생기(1) 에서는 냉매인 암모니아를 분리 시키는데 버너(10)의 열을 가해주면 암모니아 농도가 약한 용액인 약용액이 얻어진다.
이 용액은 GAX흡수기/재생기(8) 상단부로 보내지기 전에 용액가열재생기(4)를 지나면서 재생과정의 일부를 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재생기(1)에서 냉매 재생에 필요한 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재생기(1) 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에는 암모니아와 물의 비등점 차가 크지 않은 관계로 수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용액가열재생기(4), 애너라이저(5)를 차례로 지나면서 재생기 칼럼 상부로 부터 떨어지는 강용액과 접촉하면서 1차적으로 냉매 증기의 순도가 높아지며, 정류기(11)에서 암모니아 냉매 증기의 농도를 보다 증가시켜 응축기(2)로 보낸다. 이 냉매 증기는 응축기(2)에서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어 액냉매로 되어진다.
한편 응축기(2)로 부터 냉매열교환기(9)를 지난 액냉매는 증발기(3)에서 다시 증발되어 냉매 증기를 생성하는데 이때 필요한 열량은 실내기로 부터 냉방을 수행하고 온도가 상승되어 들어오는 냉수로 부터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열량을 빼앗긴 냉수는 다시 온도가 떨어진 후 실내기로 보내져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증발된 냉매 증기는 냉매열교환기(9)를 거쳐 수냉흡수기(6) 하부로 유입되어 흡수기 상부로 부터 액막을 이루면서 떨어지는 약용액에 흡수되어 진다.
이 흡수기는 수냉흡수기(6), 용액냉각흡수기(7), GAX흡수기/재생기(8)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수냉흡수기(6)는 냉각수에 의해 약용액에 흡수되면서 발생하는 흡수열을 외기로 방출하며, 용액냉각흡수기(7)는 재생기(1)로 부터 보내져 온 약용액과 열교환을 하여 재생기(1)로 유입되는 강용액의 온도를 높여주며, GAX흡수기/재생기(8)는 "A" 부분에서 분지된 용액과 약용액과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 증기를 일부 발생시켜 재생기(1)에서 냉매 발생에 필요한 열량을 감소시켜 준다.
그리고 흡수기 하단부에서는 흡수가 완료된 강용액은 용액탱크(12)로 보내지며 용액펌프(13)에 의해 다시 펌핑되어 정류기로 보내진다. 또한 냉매열교환기(9)는 응축기(2)로 부터 나온 액냉매와 증발기(3)로 부터 나온 냉매 증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액냉매를 증발기(3)내의 증발온도에 가깝게 내려주고 흡수현상을 원활하게 한다.
도 2는 애너라이저(5)의 개략도 이다. 애너라이저(5)에는 충진재(14)가 채워져 있으며, 이 애너라이저(5)측으로는 재생기(1)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 C1이 용액가열재생기(4)를 지나 애너라이저(5) 하단부로 유입되며, 용액냉각흡수기(8)를 지난 강용액 P1이 애너라이저(5) 상단부에서 유입된다. 따라서 하단부에서 상승하는 냉매 증기 C1과 열 및 물질 전달을 통하여 냉매 증기의 농도를 1차적으로 높여서 정류기로 보낸다.
한편 애너라이저(5)를 지난 강용액 P1은 충진재(14)를 거쳐 밑으로 내려와 용액가열재생기(4)로 유입된다. 이때 애너라이저(5) 안에 있는 분배판(15)은 애너라이저(5) 상단부에서 강용액 P1을 충진재(14) 위로 고르게 분배하여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애너라이저(5)에 채워지는 종래의 충진재(14)는 도 3과 같이 조각링(Raschig Ring) 형태의 특성을 갖는다.
암모니아 흡수식 히트펌프에서는 소형화가 주요 과제인데, 그중에서도 애너라이저(5)의 높이가 시스템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냉매의 유속이 빠른 경우 그 만큼 유량이 많아져 플루딩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따라 애너라이저(5)의 증기 유량은 플루딩 유량의 50-80%의 범위내에서 설계하며, 또한 플루딩 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14)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충진재(14)의 선정은 대단히 중요한 요인으로 취급한다.
재생기(1) 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 C1과 애너라이저(5) 상부에서 떨어지는 강용액 P1과의 충분한 열전달 및 물질 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채워지는 종래의 충진재(14)의 형태는, 길이 6mm, 공극률 79%,단위체적당 표면적 790㎡인 조각 링 모양의 충진재를 사용한다.
실험적으로 애너라이저의 내경이 95.7㎜ 이고 냉매유량 55㎏/h, 강용액 유량 55㎏/h의 조건에서 애너라이저 상단부 위로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이 발생 하였는데, 이는 충진재(14)의 형상이 뚫려 있지만 격막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만큼 용액의 유동에 순응성을 주지 못하고 장애를 주어서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애너라이저 상단부 위로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의 심화는 시스템의 운전을 불안정하게 하며, 용액이 응축기로 역류하여 시스템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애너라이저 충진재로 사용하는 종래의 충진재 형태는 기본적으로 냉매증기와 용액의 충분한 열 및 물질 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제공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형태가 조각링의 형태로서 유체 유동에 간섭을 일으켜 유속과 유량 변동에 따라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너라이저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형태를 바꿔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수식 히트펌프 사이클 개략도.
도 2는 종래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애너라이저 충진재의 모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애너라이저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애너라이저 충진재의 모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재생기 2:응축기
3:증발기 4:용액가열재생기
5:애너라이저(analyzer) 6:수냉흡수기
7:용액냉각흡수기 8:GAX흡수기/재생기
11:정류기 14:조각링 충진재(Rasching Ring Packing)
15:분배판 16:간극
17:외부면 18:스프링 충진재(Spring Packing)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냉매 증기와 용액의 열 및 물질 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애너라이저 내부에 충진재를 채워서 이루어지는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냉매 증기와 강용액의 열 및 물질전달 면적을 가지는 스파이어럴 형상의 연속적인 간극으로 형성되는 외부면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충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스프링 충진재는 길이 8㎜, 공극률 86%, 단위체적당 표면적 98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흡수식 히트펌프 애너라이저 내부에 스프링 충진재를 충진 시키면 에너라이저에 용액이 쌓이는 플루딩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형태는 도 4와 같으며, 도 5는 충진재의 확대 모형 이다.
애너라이저(5)에 채워지는 충진재(18)의 형태는 냉매 증기와 강용액의 열 및 물질 전달 면적을 가지는 스파이어럴 형상의 연속적인 간극(16)으로 형성되는 외부면(17)이 있고, 이 간극(16)이 유체 접촉에 따라 수축/팽창하는 스프링 충진재(18)의 형태로서, 이 스프링 충진재(18)는 길이 8㎜, 공극률 86%, 단위체적당 표면적 983㎡인 형태로 만든다.
도 4와 같이 재생기(1)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가 용액가열재생기(4)를 지나 애너라이저(5) 하단부로 유입되고, 용액냉각흡수기(7)를 지난 강용액 P1이 애너라이저(5) 상단부에서 유입되어 하단부를 통해 상승하는 냉매 증기 C1과 열 및 물질전달을 통하여 냉매 증기의 농도를 1차적으로 높여서 정류기(11)로 보낼 경우, 애너라이저(5)에 충진된 스프링 충진재(18)는 재생기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 C1과 애너라이저 상부에서 떨어지는 강용액 P1과의 충분한 열 및 물질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하게 된다.
이 스프링 충진재(18)는 길이 6mm, 공극률 79%, 단위체적당 표면적 790㎡인 조각링 모양의 종래 충진재(14)와 비교할 때 열 및 물질전달 접촉 면적이 동일한 조건에서 적어질 수 있지만 더 많은 공극률과 표면적 그리고 길이를 조절한 길이 8㎜, 공극률 86%, 단위체적당 표면적 983㎡인 형태로 만들었을 때, 플루딩 현상을 줄이면서 안정된 열 및 물질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스프링 충진재(18)는 스파이어럴 형상에 의해 임의의 간극(16)을 만들어 이 간극(16)을 통한 용액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애너라이저(5) 안에서 유속과 유량에 따라 간극(16)이 줄어들거나 신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각링 형태로 경직된 충진재의 모형 보다는 유속이나 유량 변동에 순응성 충진재로 쓰일 수 있다.
그러나 간극(16)의 수축/팽창은 일어나지 않아도 된다. 간극(16) 사이로의 액의 유동성만 주면 용액 쌓임이 심화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애너라이저 내부에 스프링 충진재를 충진 시켜 애너라이저에 용액이 쌍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히고 시스템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매증기와 용액의 열 및 물질 전달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애너라이저 내부에 충진재를 채워서 이루어지는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러이저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냉매증기와 강용액이 접촉되는 임의의 면적을 가지며, 이 면적은 스파이어럴 형상의 연속적인 간극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을 형성하는 스프링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8㎜, 공극률 86%, 단위체적당 표면적 983㎡인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KR20-1999-0001057U 1999-01-27 1999-01-27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KR200364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57U KR200364978Y1 (ko) 1999-01-27 1999-01-27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57U KR200364978Y1 (ko) 1999-01-27 1999-01-27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83U true KR20000016183U (ko) 2000-08-25
KR200364978Y1 KR200364978Y1 (ko) 2004-10-21

Family

ID=4943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57U KR200364978Y1 (ko) 1999-01-27 1999-01-27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900A (zh) * 2020-05-13 2020-06-19 优赛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脂肪干细胞外泌体的组合物及其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900A (zh) * 2020-05-13 2020-06-19 优赛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脂肪干细胞外泌体的组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78Y1 (ko)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773B1 (ko) 흡수식냉동기
US2426044A (en) Heat transfer device with liquid lifting capillary surface
KR200364978Y1 (ko) 흡수식 히트펌프의 애너라이저 충진재
KR950013333B1 (ko) 재생기
US2329863A (en) Refrigeration
US2223752A (en) Refrigeration
US2184726A (en) Refrigeration
JP2881593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
JP3244356B2 (ja) 二重効用吸収式冷凍機
JP2005207621A (ja) 滴下装置
KR0147749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기
KR100262718B1 (ko) 암모니아 흡수식 시스템의 용액가열 재생기 구조
EP4438978A1 (en) Absorber unit, heat exchange unit, and absorption refrigerator
EP0082018A2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JP3432864B2 (ja) 吸収式冷凍機の精留装置
KR0184199B1 (ko) 암모니아 흡수식 사이클의 애너라이저
KR100307392B1 (ko) 암모니아흡수식히트펌프의재생기칼럼
JPS6029566A (ja) 吸収冷熱機の蒸発器
JP2926299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
KR100335081B1 (ko) 암모니아 흡수식 히트펌프의 정류기
KR100307395B1 (ko) 정류기의용액분배장치
KR100339361B1 (ko) 흡수식 냉난방기
JP3248790B2 (ja) 二重効用吸収式冷凍機
JP2911103B2 (ja) 吸収式冷凍機用再生器
US2797556A (en) Combined generator and liquid heat exchanger unit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1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4041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404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41006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410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