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4975U - 천공거리 조절 펀치 - Google Patents

천공거리 조절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975U
KR20000014975U KR2019980028354U KR19980028354U KR20000014975U KR 20000014975 U KR20000014975 U KR 20000014975U KR 2019980028354 U KR2019980028354 U KR 2019980028354U KR 19980028354 U KR19980028354 U KR 19980028354U KR 20000014975 U KR20000014975 U KR 20000014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d
punch
punch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찬호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80028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975U/ko
Publication of KR20000014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75U/ko

Link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펀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펀치는, 종이를 천공할 수 있는 봉을 구비한 손잡이(62); 상기 손잡이(62)의 봉이 통과할 수 있는 봉 통과공을 구비하고 손잡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대(63);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봉(61); 상기 손잡이(62)와 상기 받침대(63) 사이에 삽입되는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날개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는, 지지봉(6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한 몸체(53), 상기 몸체(53)를 상기 지지봉(61)에 고정되게 하는 갈고리홈(56), 상기 갈고리홈(56) 상측에 형성되어 종이의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턱(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펀치에 의하면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천공되는 서류의 정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공거리 조절 펀치.
본 고안은 펀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펀치에 관한 것이다.
서류를 철하기 위해서는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펀치이며, 상기 펀치는 뚫리는 구멍의 수에 따라서 이공 펀치 또는 삼공 펀치로 구분된다. 또한 구멍간의 간격이 정해진 것이 있는가 하면 구멍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펀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구멍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멍을 동시에 세 개 뚫을 수 있는 삼공펀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면서, 삼공펀치의 구조 및 작동관계를 먼저 살핀 후, 종래의 삼공펀치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삼공펀치는, 구멍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눈금자(10), 사용자가 누르기 위한 펀칭 손잡이(12), 상기 펀칭손잡이를 지지하는 세 개의 받침다리(13), 상기 세 개의 받침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봉(11), 그리고 상기 받침다리(13)을 지지봉(11)에 고정하는 조임나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눈금자(10)는 세 개의 펀칭 손잡이(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면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눈금자(10)의 눈금을 보면서 펀칭 손잡이(12)의 간격을 조절하여 구멍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 손잡이(12)의 전방 하단부에는 지지레그가 구비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손잡이(12)의 후방이 들리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후방에는 서류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끝이 날카로운 일정길이의 봉이 들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2)의 후방을 누르면 스프링의 지지레그가 눌리면서 뒤에 있던 봉도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펀칭 손잡이(12)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받침다리(13)는 펀칭 손잡이(12)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봉이 내려가는 위치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어 끝이 날카로운 봉이 봉과 통과공사이의 서류를 뚫고 내려갈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지지봉(11)은 세 개의 받침다리(13)에 끼워져 세 개의 받침다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눈금자의 눈금에 의해 손잡이(12)를 움직일 때 상기의 받침다리(13)도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 외 조임나사(14)는 펀칭 손잡이(12)의 후방 하면과 받침다리(13) 후방 상면을 고정하여, 조절된 구멍간격이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펀치의 작동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바인더 등 서류를 철할 곳의 구멍 수와 구멍간격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눈금자(10)를 이용하여 상기 구멍간격에 맞게 펀칭 손잡이(12)를 이동, 조정한다. 그리고 조임나사(14)를 조여 펀치 작동중 조정된 구멍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손잡이(12) 전방 하단부와 받침다리(13)사이에 서류를 집어넣고 손잡이(12) 후방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던 손잡이(12)가 아래 내려가고 내부의 봉을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봉이 받침다리(13)의 통과공으로 들어가면서 서류에 구멍을 뚫게 된다.
이후 손잡이(12)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의 복원력 때문에 손잡이(12) 및 봉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삼공펀치는 세 개의 구멍간의 간격은 눈금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서류 가장자리에서 구멍까지의 천공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천공되는 서류의 정보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류마다 서류가장자리로부터 기재된 정보까지의 여백에 차이가 있는데, 기존의 펀치에는 여백내에서만 천공할 수 있게,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따라서 여백이 적은 서류의 경우는 정보가 있는 곳이 천공되어 정보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류 가장자리에서 구멍까지의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삼공펀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삼공펀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공거리 조절 삼공펀치의 날개세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천공거리 조절 삼공펀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 : 눈금자 11,61 : 지지봉
12,62 : 펀칭 손잡이 13,63 : 받침다리
14,64 : 조임나사 50 : 날개세트
51 : 조절턱 52 : 표시홈
56 : 갈고리홈 58 : 장착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천공거리 조절 펀치는, 종이를 천공할 수 있는 봉을 구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봉이 통과할 수 있는 봉 통과공을 구비하고 손잡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대;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삽입되는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날개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날개를 이용하여 서류의 여백내에서만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류상의 정보가 유실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날개는, 지지봉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부,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 상측에 형성되어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하는 조절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전방에서 조절턱까지의 거리를 달리하는 날개를 이용하여 종이의 삽입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날개 일측은 후방 장착공에 후방 지지봉을 통과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전방 지지봉에 갈고리홈으로 걸쳐져 있다. 따라서, 원하는 종이의 삽입정도보다 짧은 천공거리를 가지는 날개를 용이하게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종이의 삽입정도를 가지는 날개에 맞추어 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삼공 펀치는, 구멍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눈금자(60), 눌러 종이에 구멍을 뚫는 펀칭 손잡이(62), 상기 펀칭 손잡이를 지지하는 세 개의 받침다리(63), 상기 세 개의 받침다리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61), 그리고 구멍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조임나사(6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61)에는 종이의 삽입정도(이하에서는 천공거리라 함)를 조절할 수 있는 날개세트(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상기 날개세트(50)의 상세한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세트(50)는 다수개의 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는, 지지봉(6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한 몸체(53), 상기 몸체(53)를 상기 지지봉(61)에 고정되게 하는 갈고리홈(56), 상기 갈고리홈(56) 상측에 형성되어 천공거리를 조절하는 조절턱(51)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턱(51)은 날개 전방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수직방향의 기둥으로, 천공될 종이를 펀치 손잡이(62)와 전방 지지봉(61a)사이에 끼웠을 때 종이의 가장자리가 상기 조절턱(51)에 닿게 되면 천공거리가 조절턱(51)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거리(A)는 날개 전방부의 펀치구멍 위치 표시홈(52)에서 조절턱(51)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해지는데, 상기 거리는 날개마다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천공거리(A)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펀치구멍 위치 표시홈(52)은 날개 전방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 받침다리(63)에 형성되어 있는 봉 통과공의 위치를 나타내므로 천공거리(A)의 기준점이 된다.
그리고 갈고리홈(56)은 날개의 몸체(53) 전방 하단부에 반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 전방 지지봉(61a)에 날개를 걸칠 수 있다.
한편, 장착공(58)은 날개의 몸체(53)의 후방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날개를 후방 지지봉(61)에 꽂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날개의 몸체(53)의 전방에는 갈고리홈(56)이, 후방에는 장착공(58)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날개의 몸체(53)는 전방 지지봉(61a)에 갈고리홈(56)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날개는 전방 지지봉(61a)에서 갈고리홈(56)을 빼서 수직방향으로 들어 후방으로 넘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날개가 다수개 모여 형성된 날개세트는, 손잡이(62) 사이와 사이에 두 세트 설치하여 천공되는 세 개 구멍의 천공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삼공펀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존의 삼공펀치에 상술한 구조를 가진 두세트의 날개를 각각의 펀칭 손잡이(62)사이에 천공거리가 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끼워 설치한다. 이때 날개 후방의 장착공(58)(도 3 참조)에 후방 지지봉(61b)을 통과시켜 설치하고, 날개 전방의 갈고리홈(56)을 전방 지지봉(61a)에 끼워 날개세트(50)를 지지봉(6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천공할 서류의 구멍간격을 측정한 후, 눈금자(60)의 눈금을 보면서 펀칭 손잡이(62)의 위치를 상기 간격과 동일하게 맞춘다.
그런 다음, 구멍간의 간격이 변동되지 않게, 펀칭 손잡이(62)의 하면과 받침다리(63)의 상면을 고정하는 조임나사(64)를 돌린다.
그리고, 천공할 서류의 여백을 측정하여 이에 맞는 천공거리를 가진 날개를 정하고 상기 천공거리보다 작은 천공거리를 가지는 날개는, 그 전방부를 상방으로 들어 전방 지지봉(61a)에서 날개 전방의 갈고리홈(56)을 분리한 후 뒤로 회전시킨다. 이 때 천공거리(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구멍 위치 표시홈(52)에서부터 조절턱(51)까지의 거리이다.
상기와 같이, 천공할 구멍간의 간격 및 천공거리가 조정된 후에 천공할 종이를 펀칭 손잡이(62)와 받침다리(63)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정해진 날개의 조절턱(51)까지 밀어 넣는다. 이 때, 세 개 구멍의 천공거리가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손잡이(62) 사이에 두 개의 날개세트가 장착되어 있다.
펀칭 손잡이(62)를 하방으로 누르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손잡이 내부의 공간내에 설치되어 있던 봉이 받침다리(63)의 봉 통과공으로 내려가면서, 끼워진 종이를 뚫게 된다.
펀칭 손잡이(62)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손잡이(62)의 후방부가 상방으로 들리고 손잡이(62)에 의해 눌렸던 봉도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천공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펀칭된 종이는 여백내에서만 천공된다. 따라서, 천공으로 인한 정보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날개세트는 기존의 삼공 펀치의 지지봉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의 날개세트를 이용하여 천공거리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서류의 여백내에서만 천공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되는 서류의 정보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펀치기에 날개세트만 끼우면, 아주 용이하게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종이를 천공할 수 있는 봉을 구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봉이 통과할 수 있는 봉 통과공을 구비하고, 손잡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대;
    상기 복수개의 받침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삽입되는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날개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지지봉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 상측에 형성되어 종이의 삽입정도를 조절하는 조절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구조.
KR2019980028354U 1998-12-31 1998-12-31 천공거리 조절 펀치 KR20000014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54U KR20000014975U (ko) 1998-12-31 1998-12-31 천공거리 조절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54U KR20000014975U (ko) 1998-12-31 1998-12-31 천공거리 조절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75U true KR20000014975U (ko) 2000-07-25

Family

ID=6950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54U KR20000014975U (ko) 1998-12-31 1998-12-31 천공거리 조절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9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237B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DE19526385B4 (de) Vorrichtung zum Klemmen von Papierblättern während des Perforierens und zum Binden derselben in einem Ringbinder
US3714857A (en) Punch
US5378222A (en) Apparatus for folding sheets for insertion into an envelope
KR100807777B1 (ko) 사진 부착용 시트 펀칭 장치
KR20000014975U (ko) 천공거리 조절 펀치
US6752057B2 (en) Device for blanking out patterns
US2389105A (en) Multiple perforator
HUT66227A (en) Punch with adjustable punching units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JP2649146B2 (ja) パンチ
JPH0798319B2 (ja) 多穴パンチ
US1692779A (en) Paper-perforating device
KR200194930Y1 (ko) 사무용 펀치
US1870055A (en) Paper perforating device
US3689167A (en) Adjustably positioned paper drill and punch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910004342Y1 (ko) 서류 천공용 펀치
KR200163691Y1 (ko) 종이천공기
KR200293596Y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CN207807898U (zh) 一种简易纸张打孔结构
KR200256939Y1 (ko) 개량형 펀치
JPS6125998Y2 (ko)
JPH08155898A (ja) パンチ
JPS61259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2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