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688A - 필터압착식 전해조용 2극판 - Google Patents
필터압착식 전해조용 2극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0688A KR20000010688A KR1019980708754A KR19980708754A KR20000010688A KR 20000010688 A KR20000010688 A KR 20000010688A KR 1019980708754 A KR1019980708754 A KR 1019980708754A KR 19980708754 A KR19980708754 A KR 19980708754A KR 20000010688 A KR20000010688 A KR 20000010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phite
- bipolar
- bipolar plate
- powder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PBCFLUZVCVVTBY-UHFFFAOYSA-N tantalum pentoxide Inorganic materials O=[Ta](=O)O[Ta](=O)=O PBCFLUZVCVVTB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ZKATWMILCYLAPD-UHFFFAOYSA-N niobium pentoxide Inorganic materials O=[Nb](=O)O[Nb](=O)=O ZKATWMILCYLAP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URLJKFSTXLNXLG-UHFFFAOYSA-N niobium(5+);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O-2].[Nb+5].[Nb+5] URLJKFSTXLNXL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abstract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5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121 sod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QVQLCTNNEUAWMS-UHFFFAOYSA-N barium oxide Chemical compound [Ba]=O QVQLCTNNEUAW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1 fluor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MRELNEQAGSRDBK-UHFFFAOYSA-N lanthanum(3+);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La+3].[La+3] MRELNEQAGSRD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XCVUXLCNLVYIA-UHFFFAOYSA-N orthocarb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O)O RXCVUXLCNLVY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BUYRJDOAKODT-UHFFFAOYSA-N Chlorine Chemical compound ClCl KZBUYRJDOAKO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49 FK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70 Kyn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52 Pd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8 anti-freez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8 antifreez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0 bor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9 cathod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8 caus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KWMSGQKBLHBQQ-UHFFFAOYSA-N diboron trioxide Chemical compound O=BOB=O JKWMSGQKBLHB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6 hast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poly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1 polyvinylid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27 product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RWFBFUYENBCGF-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Cl-] SRWFBFUYENBCG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C25B9/75—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having bipolar 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6—Bipolar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Fuel Cel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필터압착식 전해조에 사용하는 복합물질로 제조된 2극판, 상기 판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며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카본과 부식저항성 열가고성 폴리머분말로 된 혼합물을 가열압착하여 된 중앙부분(6) 및 신성한 전해액의 입구와 소모된 전해액 및 전기분해 생산품의 출구를 위해 배분궝(2,3,4,5)를 함유한 2개의 단말(7,8)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부분은 중앙부분과 일체구성이며,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카본분말과 중앙부분의 비율보다 낮은 분말간의 비율을 가진 상기 가소성 폴리머분말의 혼합물을 가열 압착하여 구성되였다.
또한 단말부분의 상기 혼합물은 비도전성화합물분말을 함유하며, 이 경우에는 혼합물은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분말을 함유치 않는다.
Description
염화나트륨에서 염소 및 가성소다의 제조등 또 더구나 미국특허 5,411,641 (J.A. Trainham lll. C.G.Law Jr, J.S. Newman, K.B. Keating, D.J.Eames, E.l. Du pont de Nemours and Co. USA, 1995 년 5 월 2 일)에 기술된 염산용액에서 또는 직접 가스상 염산에서 염소제조에 대한 산업상 관심사인 막전기분해처리는 매우 진취적인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가성소다 및 염소제조에 대한 처리에 있어서, 양극반응은 공지된 강한 부식제인 염소가스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공업적인 실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티타늄이 전해조를 형성하는 기본셀의 약극소자용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티타늄의 사용은 상기 약극부분과 접촉하는 염화나트륨함수의 비교적 온당한 산도에 의해 허용된다.
산도는 처리이유 때문에 저레벨로 유지되며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된 가성소다와 산함수를 분리하여 연한 이온교환막을 파손않되게하며, 이러한 막의 공급자는 연속적 동작을 위한 최소의 PH 는 약 2로 유지되여야 한다는 것을 명기한다.
유일의 음극반응인 수소방출은 극적인 취화를 일으킴으로 티타늄은 전해조를 형성하는 기본셀의 음극부분의 구조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
대부분의 경우, 기본셀의 음극부분은 고합금 스테인레스강 또는 우량한 니켈로도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2극 전해조에 있어서, 필터압착식 배치로, 결합된 2극소자는 기본셀을 형성하며, 기계적으로(미국특허 4,664,770, H.Schmitt, H.Schurig, D.Bergner, K.Hannesen, Unde GmbH, 1987 년 5 월 12 일). 또는 용접에 의해(미국특허 4,488,946, G.J.E. Morris, R.N. Beaver, S. Grosshandler, H.D. Dand, J.R. Pimlott, The Chemical CO. 1998 년 12 월 18 일)전기적 전도율 및 필요강성을 보증하기 위해 인도된 내부층과 임의로 접속된 니켈과 티타늄으로 된 2개층으로 제조되었다.
분명히 이들 2극소자는 복잡한 구조 따라서 높은 비용을 들게한다.
염산의 전기분해로 염소의 제조시, 염소와 고산성의 동시출현으로 응집성이 대단히 커진다.
특수조건하에서는(60℃이하의 온도, 20%이하의 산농도, 부동제의 부가), 티타늄-0.2팔라디움합금(ASTM B265, Grade7)이 적합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적당하게 보호된 균열영역에 사용된다.
상기보다 높은 온도 및 산농도이며, 부동제가 없는 경우에는, 전해조의 양극부분의 구조에 대한 다만 적합한 물질은 티타늄이며, 동작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내고 있는 매우 고가물질이다.
티타늄과 동일한 탄탈은 수소와 양립할 수 없으므로, 음극부분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
가능한 해결방안은 Hastelloy B 형의 니켈합금에 의해 부여되나, 그러나 그것은 매우 고가이며 또 전해조의 일시중단시 부식을 하게 된다.
이 큰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분해공장에 전구조를 겨우 실현할 수 있는 분극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능한 다른 방도는 양극 및 음극의 처리조건에서 충분히 안정된 그래파이드에 의해 제공되며, 양극에서는 염화물 및 산도출하시 소량의 산소와 함께 염소방출하며, 음극에서는 가송소다-클로르 알칼리 전기분해시 또는 염산의 산도전기분해시 수소방출한다.
그럼으로, 전해조의 기본셀을 형성하기 위해 그래파이트가 필터압착배치에서 조립된 소자를 직접 형성하는 판의 형태로 사용된다.
양극전해조의 경우에는 동일한 그래파이트판의 2개면이 실제로 1개셀의 음극벽으로서 또 인접셀의 양극벽으로서 작용한다.
그래파이트는 본질적으로 다공임으로, 구멍을 통한 확산에 의해 발생된 염소와 수소의 혼합은, 그후에 중합되여 그래파이트판을 더욱 뻣뻣하게 만들어 화학적 저항특성을 향상시키는 액체수지로 구멍을 진공에서 채우는 방법에 의해 글파이트판을 불침투성으로 제조함으로 피하게 된다.
이런형의 그래파이트판은 염산용액의 전기분해에 대한 "Uhde-Bayer " 방법으로서 공지된 공업적인 방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침투성 그래파이트는 매우 부서지기 쉬움으로 특히 염소제조를 위한 전해조등의 위험한 장치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염소제조자에게는 받아들일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특허 4,214,969(R.J.Lawrance, GE CO. 1980년 7월 29 일자)에는 그래파이트분말과 열가소성불화폴리머로 된 판의 제조를 유도한 흥미있는 다른방안이 발표되었다.
분말혼합물을 가열·압착하여 제조된 제품은 적절한 전기적 도전율을 나타내는 최소의 다공성 또는 무다공성을 가진 복합물이다.
판은 전해조의 정확한 동작을 보증하기 위해 능력있는 전류전송을 위해 제공되여야함으로, 이 마지막 특성은 분명이 필요하다.
불침성 그래파이트에 대한 그래파이트-폴리머 복합물의 장점은 보다 높은 강성이며, 사실 2개의 필요물, 강성 및 전기적 도전율은, 다량의 그래파이트가 전기적 도전율을 행상하기 위해 필요할 때 높은 강성은 다량의 폴리머를 포함함으로 모순된다.
그 결과로서, 최적의 제품은 2개 필요물간의 절충물이며, 이 절충물은 상기 특허가 제조파라미터, 특히 압력 및 온도의 함수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열가소성 플루오로폴리머가 da Pennwalt(미국)에 의해 제조된 Kynar 와 같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일 때, 전기적 도전율 및 강성(벤딩에 대한 저항으로서 측정함)에 관해서 최성의 결과는 20~25W%범위의 함유량으로 획득된다.
분명히, 상기 설명과 같이 획득되고 상기 물질로 된 복합물판은 본질적으로 고가이다.
필터 압착배치로 수개의 판을 조립한 전해조의 전체비용의 감소는 전해액의 순환 및 제품의 회수를 위해 각 판으로부터 모든외부접속(나사이음, 파이프,가스킷)을 제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간단한 구성은 특히 압력하에 동작될 때 전해조의 동작신뢰도를 증가시킨다.
외부접속의 제거는 각 판이 미국특허 4,214,969 호에 상세히 기술된 것같이 적합한 배분시스템을 구비한 적합한 내부구멍이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필터압착식 전해조의 다수판은 전해조 구조내부에 세로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모든구멍이 정합되여야 한다.
전해조헤드의 한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 적합한 노즐에 접속된 이들 채널(매니폴드)이 새 전해조의 다양한 기본셀에 대한 내부배분을 위해 그리고 소모된 전해액 및 전기분해제품(예컨데 염소 및 산소)의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그럼으로 전해조를 세로로 횡단하는 상기 채널은 현저한 전위경도를 받게된다.
또한, 새 전해액과 소모된 전해액이 충분한 도전율을 가지면(염산, 염화나트륨함수 및 가성소다가 고도전성임), 그때에는 채널은 채널을 면하고 있는 판의 표면간에 유효손실을 나타내며 전기분해현상을 일으키는 일관된 전류, 소위 단락전류에 의해 횡단된다.
이들 전기분해현상은 실지로 2개의 음성적효과, 즉 전기분해제품의 순도의 감소 및 적어도 복합물판 표면부분의 부식을 생성한다.
또한 사실로 복합물을 형성하는 그래파이트입자는 부식을 하게되며 마모되며, 그리고 상기 채넬에 전형적인 전기분해상태하에서 일신화탄소 및/또는 탄소수산화물로 변화된다.
그 결과로서, 복합물은 그의 주성분을 상실하며 그리하여 어떤 기계적 고체성도 상실한다.
미국특허 4,371,433 호에는(E.N. Balco, L.C. Moulthrop, GE Co. 1983 년 2 월 1 일)에는, 기생단력전류를 감소하며 부식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방법은 매니폴드내에 특수한 가스킷을 수용하고 있는 작은 방울(전체 전기저항의 증가)로 전해액흐름을 분류시키기 위해 매니폴드의 특수윤곽을 예견하고 있다.
실지로 매니폴드를 면하고 있는 복합물판의 표면은 내부적으로 가스킷과 배열되여 전해액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가스킷은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이며 Dupont(미국)사에서 공급된 "비톤 폴리헥사플루오르프로피렌 고무"와 같은 높은 화학적저항을 보증해야될 엘라스토머 탄화플루오로로 제조된 사실을 고려할 때, 이 방법은 매우 고가임으로 공업적 실용에 겨우 이용된다.
본 발명은 필터압착식 전해조용으로 사용되는 2극판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2극판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극판
2,3,4,5. 구멍
6. 홈
7,8 . 단말부분
9. 중앙부분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2극판의 전면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2극판(1)은 인접 2극판을 필터압착배치로 조립한후 세로채넬(매니폴드)를 형성하는 구멍(2,3,4 및 5) 및 전해액의 순환 및 분포를 도와주도록 유도하는 세로홈(6)이 제공되며, 상기 홈(6)은 또한 제거될 수 있으며, 2극판은 다른 방법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수 있다.
2극판의 단말부분(7 및 8)은 그래파이트분말의 감소된 함유량을 가지며 또는 전혀 그래파이트를 함유않을 수 있다.
2극판의 중앙부분(9)은, 단말부분(7 및 8)에 비교하여 보다 큰 영역을 가지며 큰 용량의 그래파이트를 가진 복합물로 제조되여 높은 도전성을 갖는다.
사실 상기 중앙부분(9)은 중앙부분과 접촉되고 실지로 동일영역을 가진 전극(애노드 및 캐소드)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유도된다.
도전성영역(7 및 8)에 있는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 카본의 함유량을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 부식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 부식문제는, 세로채넬(매니폴드)(도 1 에 있는 구멍 2,3,4 및 5 의 원주표면)을 면하고 있는 2극판의 표면이 전극으로서 작용하고 또 특히 전해조에 걸려 있는 전위경도의 효과로 인한 교체되는 애노드와 캐소드로서 작용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캐소드로서 작용하는 표면에는 수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 카본폴리머의 안전성 문제는 발생되지 않았다.
애노드로서 작용하는 표면에는 염화물이온이 배출되여 염소를 형성하였다.
이 반응은 고능률(그러나 100%은 아님)을 특징으로 하며 또 산소방출과 함께 물배출의 기생반응을 포함하고 있다.
이 상태하에서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 카본입자는 서서히 침공되여 일산화탄소 및/또는 카본 수산화물로 변화된다.
복합물이 도전성일 경우에는 그래파이트 입자는 집중되여 통계적으로 그 입자는 전판두께를 통하여 도전성체인을 형성하여 서로 접촉되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으로 부식으로 판이 완전히 소모되며는 침입은 정지않고 인접판에서 계속되여 결과적으로 기계적강성을 상실한 복합물 부피를 가로질러 다공을 발생시킨다.
가장 분명한 해결방법은 약극판(1)의 단말부분(7 및 8)을 열가소성 폴리머분말만으로 제조하여 그래파이트분말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라고 고려된다.
상기한바와같이, 이것은 기계적인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최종의 해결책이다.
사실 이 경우, 복합물판은 상기와 같이 그래파이트분말과 몰드의 중앙부분에 퍼져 있는 열가소성폴리머분말(임의로 미리 형성된 팰릿형태로)의 혼합물의 압축 및 가열에 의해 제조되며, 그리고 폴리머 분말 또는 폴리머의 팰릿은 2극판의 단말부분(7 및 8)에 대응된 몰드영역에 퍼져 있다.
상이한 용량의 그래파이트 분말을 가진 부분과 유사한 판이 냉각되며는 상이한 용량의 그래파이트를 가진 부분의 상이한 열팽창계수에 의해 발생된 심한 비틀림이 종종 경험된다.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만으로 제조된 단말부분은 더욱 큰 열팽창계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전하게 평탄한 판의 제조를 방해하는 비틀림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그래파이트용량을 감소시키나 제거하면 않된다.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필요한 그래파이트분말의 정확한 용량을 확정하기 위해 여러 복합물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테이블 1 에 열거한다.
테이블 1
폴리비닐데플루오라이드 및 그래파이트 분말로 구성한 여러 복합물의 전기저항(Stackpole A-905)
그래파이트 백분율 | 저항율(밀리옴/cm) |
93 | 5.0 |
86 | 5.2 |
80 | 6.6 |
75 | 9.2 |
60 | 75.0 |
40 | 201.2 |
미국특허 4,339,322 호(E.N. Balko, R.J. Lawrance, GE Co. (1982 년 7 월 13 일)에 발표된것같이 그래파이트분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래파이트섬유로 대치하여 유사한 결과가 얻어진다.
제조주기는 145바(bar)로 냉각 압축, 150℃ 으로 가열, 20바로 압력강하, 205℃ 로 온도상승, 145바로 압력복귀 , 최종단계로 압력 및 온도의 첨차적 강하로 구성된다.
테이블 1에서 40% 의 그래파이트용량의 실질적 감소는 최소의 전기적 도전율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것은 그래파이트입자(또는 그들의 집합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 연속브리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식시험은 전류하에서 실시하였으며, 그것은 염화나트륨함수 및 염산에서 애노드로서 작용하는 40WT% 의 그래파이트 분말을 함유한 복합물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그의 결과는 부식은 다만 좀처럼 없는 도전성 브리지가 존재하는 다만 적은 영역에만 영향을 주었다(서로 접촉되고 있는 그래파이트입자의 체인). 결과로서 복합물의 다공은 적당하였으며, 기계적 특성은 영향받지 않았다.
부식에 의해 발생된 다공에 대한 완전면역은 그래파이트의 용량을 예컨데 20WT% 이하 또는 그 이하로 감소시킴으로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특히 특이하게 높은 열팽창계수에 의해 특징있는 폴리비닐리덴 플룰오라이트일때에는 다만 열가소성 폴리머로 된 단말부분(7 및 8)을 가진 2극판에 전형적인 비틀림현상이 다시 나타난다.
사실, 20WT% 의 그래파이트를 함유한 복합물의 열팽창계수는 2극판(1)의 중앙부분(9)에 대해 사용되는 큰 용량의 그래파이트(즉 80WT%)를 가진 복합물것보다 대단히 좋다.
2극판의 단말부분(7 및 8)이 그래파이트분말, 소량(20wt% 또는 그 이하)의 열가소성폴리머 및 소량의 비도전성부식저항 충전재로 구성된 혼합물로 제조되면 상기 문제가 승복되는 것을 알아냈다.
3개의 혼합물의 전체중량으로 계산된 열가소성 폴리머의 백분율이 2극판(1)의 중앙부분(9)의 백분율과 동일하면 최선의 결과가 얻어진다.
충전재는 주의깊게 열가소성폴리머의 화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선정되여야 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다실 열가소성폴리머가 불화폴리머(그의 높은 화학적 불활성 때문에 가장 바람직함)일때에는, 폴리머와 충전재간의 화학적반응은 2극판의 몰딩시에 도달한 온도에서 일어난다.
예컨데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이면 , 그것은 실리카분말 또는 산화붕소와 격렬히 작용하여 실리카 테트라플루오라이드 또는 보로트리풀루오라이드와 같은 휘발성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가충전재는 산성염화나트륨함수 및 염소를 함유한 염산용액과 접촉하여 안정되여야 한다.
니오븀 펜톡시드, 탄탈펜톡시드 , 산화 지르코늄, 산화란탄, 희토세라믹 산화물 및 어떤 규산염들과 같은 일정한 세라믹 산화물은 사용하기 적당하다.
황산바륨이 본 발명의 2극판의 목적에 대해 전적으로 만족할지라도 최고의 기계적 특징, 특히 벤딩에 대한 저항력은 상기 열거한 여러산화물 또는 규산염을 사용하여 얻을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가적인 결정적 효과는 입자표면과 불화폴리머간의 최소의 화학적 반응인 때문으로 추정되며, 매우 저항성 있는 이 반응은 폴리머-입자 공유영역에서 향상된 접착력을 발생한다.
상기 복합물 분말의 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그래파이트의 분말함유량을 2극판의 단말부분(7 및 8)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분말혼합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중량에 의한 최적비율은 화학적 구성, 액정구조 및 다공도의 함수인 물질의 특성 및 입자의 밀도에 좌우된다.
여러충전재간의 최적비율에 관계된 실험적 데이터에 의하면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충전재와 전혼합물간의 용량비율인 것을 나타내는 것같다.
이것이 본 발명의 주목적이며, 본 발표에 독특하게 정의되지 않은 것은 앞으로의 실시예에서 검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테이블 2 에 열거된 분말을 가진 두께 1cm , 크기 10×10cm 의 4개 시트를 크기 1×1×10cm 의 16개의 조각(각 시트당 4개조각)으로 절삭하였다.
열가소성 폴리머는 Atochem 회사에서 공급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였다.
제조주기는, 145바의 압력하에 몰드에서 분말혼합물의 냉각압축, 150℃ 의 온도로 가열, 20바의 압력으로 강하, 205℃ 의 온도로 상승, 145바의 압력에 복귀, 최종단계에서 압력 및 온도의 점진적 강하로 구성되였다.
냉각후 4개의 시트는 평탄하게 되었다.
조각의 2개쌍을 5% 의 염산 및 200g/ℓ, PH3 의 염화나트륨에 삽입후 조각의 각 쌍은 3V 에너지출력을 갖게 되었으며, 양 용액은 농도를 10% 의 변화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갱신되였으며, 온도는 90℃로 유지되였다.
이와같이 각 조성물은 애노드 및 캐소드 분극작용하에서 시험되였으며, 캐소드분극작용하의 조각은 모든 침습에서 면역되였다.
테이블 2 에 보고된 데이터는 애노드 분극작용하에서 여러 샘플의 동태를 나타낸다.
그래파이트의 높은 함유량을 가진 시트에서 절삭된 조각(종전방법의 전형적인 80WT% 의 Stackpole A-905)은 염화나트륨용액에서 각각 전기분해의 다만 2일후, 그리고 염산용액에서 전기분해의 5일후에 기게적 특성의 현저한 강하를 나타내었다.
분명히 우량한 동태는 그래파이트의 낮은 함유량(40wt%)을 가진 시트에서 얻은 조각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조각은 작을지라도 얼마의 다공이 발생된 것을 나타내는 증가된 거칠음의 영향을 소극적으로 받고 있다.
소량의 그래파이트(20wt%) 및 추가된 탄탈펜톡시드 또는 산화바륨을 함유한 조각은 모든 침습에서 면역되였으며, 유사한 결과를 탄탈펜톡시드, 니오븀 펜톡시드, 산화바륨을 함유한 샘플에서도 가졌다.
그의 관계 데이터는 데이블 2 에는 포함않되였다.
테이블 2
염화나트륨 용액(리터당 220 그램) 및 염산(5%)에서 애노드분극작용하에 있는 여러 복합물의 동태
샘플(분마의 %) | 염화나트륨 | 염 산 |
그래파이트 80% | 2 일후 고다공 | 5 일후 고다공 |
그래파이트 40% | 10 일후 거칠음증가 | 10 일후 거칠음증가 |
그래파이트 20%+탄탈펜톡시드 65% | 10 일후 변화무 | 10 일후 변화무 |
그래파이트 20%+황산바륨 68% | 10 일후 변화무 | 10일후 변화무 |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판의 표면이 세로 매니폴드를 면하고 있는 영역에서 복합 그래파이트(또는 도선성카본)-열가소성(바람직하게, 그러나 배타적이 아니고 불소첨가된)폴리머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 종전방법의 문제들을 승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은 일반적인 복합판의 제조가를 현저하게 증가않는 장점을 가지며, 또 상기 판의 제조에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판의 표면이 세로매니폴드를 면하고 있는 영역에서 상기 2극판의 단말부분에 있는 그래파이트분말 또는 도전성 카본분말의 함유량을 적절히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여 극부적인 부식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단말부분은, 2극판이 필터압착배치로 조립된후, 세로채넬(매니포드)을 형성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채택함으로서 전해조에서의 전기분해에 의한 가성소다 및 염소의 제조시 2극판의 부식문제를 해결할뿐 아니라 필터압착방식의 전해조를 제조함으로서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7)
- 2극판은 그래파이트분말 또는 도전성카본분말과 부식저항성 열가소성 폴리머분말의 혼합물로 된 도전성복합물로 제조된 중앙부분 및 신성한 전해액의 배분과 소모된 전해액 및 전기분해생산품의 철수를 위한 구멍을 함유한 2개의 단말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분과 단말부분은 일체소자로 형성되여 있는 필터압착식의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에 있어서, 단말부분은 상기 그래파이트분말 또는 도전성 카본분말과 중앙부분보다 낮은 중량비율의 열가소성 폴리머분말의 혼합물로 된 복합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의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말부분의 전기저항율은 중앙부분의 전기저항율보다 적어도 10배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의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1 항에 있어서,단말부분의 상기 복합물은 부가된 비도전성부식저항성물질을 함유한 혼합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의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부가된 비도전성물질은 탄탈펜톡시드, 니오븀펜톡시드, 산화지르코늄,황산바륨군에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의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3 항에 있어서,단말부분의 상기 복합물은 그래파이트 또는 도전성카본을 함유하지 않은 혼합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폴리머는 불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압착식 2극전해조에 사용하는 2극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T96MI000911A IT1283628B1 (it) | 1996-05-07 | 1996-05-07 | Tipo migliorato di lastra bipolare per elettrolizzatori |
ITMI96A000911 | 1996-05-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688A true KR20000010688A (ko) | 2000-02-25 |
Family
ID=1137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8754A KR20000010688A (ko) | 1996-05-07 | 1997-05-06 | 필터압착식 전해조용 2극판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1) | US6039852A (ko) |
EP (1) | EP0898622B1 (ko) |
JP (1) | JP2000509441A (ko) |
KR (1) | KR20000010688A (ko) |
CN (1) | CN1061703C (ko) |
AT (1) | ATE213509T1 (ko) |
AU (1) | AU710692B2 (ko) |
BR (1) | BR9709215A (ko) |
CA (1) | CA2251971C (ko) |
DE (1) | DE69710576T2 (ko) |
ES (1) | ES2171939T3 (ko) |
ID (1) | ID17845A (ko) |
IT (1) | IT1283628B1 (ko) |
NO (1) | NO985184L (ko) |
PL (1) | PL189242B1 (ko) |
RU (1) | RU2187578C2 (ko) |
TW (1) | TW410242B (ko) |
WO (1) | WO199704235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4019A (ko) * | 2018-08-27 | 2020-03-0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알칼라인 수전해 셀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56787A1 (de) * | 1999-11-25 | 2001-05-31 | Bayer Ag | Elektrolyseplatte |
US6773841B2 (en) | 2002-04-25 | 2004-08-1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Fuel cell having insulated coolant manifold |
US20050242471A1 (en) * | 2004-04-30 | 2005-11-03 | Bhatt Sanjiv M | Methods for continuously producing shaped articles |
US20060228619A1 (en) * | 2005-04-12 | 2006-10-12 | General Electric Company | Electrochemical cell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4969A (en) * | 1979-01-02 | 1980-07-29 | General Electric Company | Low cost bipolar current collector-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s |
US4339322A (en) * | 1980-04-21 | 1982-07-13 | General Electric Company | Carbon fiber reinforced fluorocarbon-graphite bipolar current collector-separator |
CH645674A5 (en) * | 1980-09-19 | 1984-10-15 | Bbc Brown Boveri & Cie | Bipolar plate for an electrolytic appliance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a filter pr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US4346150A (en) * | 1981-06-01 | 1982-08-24 |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 Electrochemical construction |
CH656402A5 (de) * | 1983-05-06 | 1986-06-30 | Bbc Brown Boveri & Cie | Kathodischer stromkollektor. |
CH672142A5 (ko) * | 1985-07-17 | 1989-10-31 | Metkon Sa | |
US5322597A (en) * | 1992-07-30 | 1994-06-2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Bipolar flow cell and process for electrochemical fluorination |
US5296121A (en) * | 1992-08-24 | 1994-03-22 | The Dow Chemical Company | Target electrode for preventing corrosion in electrochemical cells |
US5756874A (en) * | 1995-10-10 | 1998-05-26 | Eosystems, Inc. | Electrochemical cell for processing organic wastes |
-
1996
- 1996-05-07 IT IT96MI000911A patent/IT1283628B1/it active IP Right Grant
-
1997
- 1997-04-19 TW TW086105093A patent/TW41024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06 CA CA002251971A patent/CA225197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06 CN CN97194459A patent/CN106170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06 AT AT97923848T patent/ATE21350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06 KR KR1019980708754A patent/KR200000106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5-06 JP JP9539533A patent/JP2000509441A/ja active Pending
- 1997-05-06 US US09/180,056 patent/US603985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06 RU RU98121813/28A patent/RU2187578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06 WO PCT/EP1997/002288 patent/WO1997042359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5-06 ES ES97923848T patent/ES217193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5-06 AU AU29522/97A patent/AU710692B2/en not_active Ceased
- 1997-05-06 DE DE69710576T patent/DE6971057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06 EP EP97923848A patent/EP089862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5-06 BR BR9709215A patent/BR9709215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06 PL PL97329726A patent/PL189242B1/pl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07 ID IDP971525A patent/ID17845A/id unknown
-
1998
- 1998-11-06 NO NO985184A patent/NO985184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4019A (ko) * | 2018-08-27 | 2020-03-0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알칼라인 수전해 셀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PL329726A1 (en) | 1999-04-12 |
EP0898622A1 (en) | 1999-03-03 |
NO985184D0 (no) | 1998-11-06 |
ID17845A (id) | 1998-01-29 |
WO1997042359A1 (en) | 1997-11-13 |
PL189242B1 (pl) | 2005-07-29 |
ES2171939T3 (es) | 2002-09-16 |
AU2952297A (en) | 1997-11-26 |
IT1283628B1 (it) | 1998-04-23 |
CN1218519A (zh) | 1999-06-02 |
CN1061703C (zh) | 2001-02-07 |
ITMI960911A0 (ko) | 1996-05-07 |
JP2000509441A (ja) | 2000-07-25 |
ITMI960911A1 (it) | 1997-11-07 |
CA2251971C (en) | 2005-07-19 |
TW410242B (en) | 2000-11-01 |
US6039852A (en) | 2000-03-21 |
AU710692B2 (en) | 1999-09-30 |
CA2251971A1 (en) | 1997-11-13 |
DE69710576T2 (de) | 2003-03-20 |
ATE213509T1 (de) | 2002-03-15 |
EP0898622B1 (en) | 2002-02-20 |
DE69710576D1 (de) | 2002-03-28 |
RU2187578C2 (ru) | 2002-08-20 |
BR9709215A (pt) | 1999-08-10 |
NO985184L (no) | 1999-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14969A (en) | Low cost bipolar current collector-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s | |
US4339322A (en) | Carbon fiber reinforced fluorocarbon-graphite bipolar current collector-separator | |
EP0090381B1 (en) | Electrode and method of electrolysis | |
KR20000010688A (ko) | 필터압착식 전해조용 2극판 | |
US4295951A (en) | Film-coated cathodes for halate cells | |
CA1184879A (en) | Electrolytic cell with ion exchange membrane abutting electrodes | |
JPS60255989A (ja) | 複極式電解槽用端部槽コネクタ− | |
US4666579A (en) | Structural frame f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electrochemical cell | |
AU2006327902A1 (en) | Ozone generating electrolysis cell | |
US6027620A (en) | Filter press electrolyzer | |
EP0154406A1 (en) | Electrolytic cell | |
US4666580A (en) | Structural frame for an electrochemical cell | |
Lawrence | Low cost bipolar current collector-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s | |
MXPA98009271A (en) | Bipolar plate for press electrolyzers filtrad | |
KR910003644B1 (ko) | 필터 프레스 전해조 | |
US4869799A (en) | Membrane cell for the electrolysis of alkali metal chloride and process thereof | |
EP0117085A2 (en) | Production of shaped article | |
JP5525195B2 (ja) | 高圧水電解装置及び高圧水電解装置用アノード側給電体の製造方法 | |
JP2003514124A (ja) | 隔膜電解槽の改良 | |
JP2021134403A (ja) | 電解槽用ガスケット組成物及び電解槽用ガスケット、並びに、電解槽およびそれらによる電解方法 | |
CN112575345A (zh) | 电解槽用垫片组合物及电解槽用垫片、以及电解槽及使用有它们的电解方法 | |
JPH11256378A (ja) | 固体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る水電解槽 | |
SE443582B (sv) | Forfarande for elektrolys av en alkalimetallkloridsaltlosning en elektrolyscell och elektrolyscell herfor | |
JP2021055186A (ja) | 電解槽用ガスケット組成物及び電解槽用ガスケット、並びに、電解槽およびそれらによる電解方法 | |
EP0282614A1 (en) | Structural frame for an electrochemical c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0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