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959U - 자동차용 깃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깃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4959U KR20000004959U KR2019980015595U KR19980015595U KR20000004959U KR 20000004959 U KR20000004959 U KR 20000004959U KR 2019980015595 U KR2019980015595 U KR 2019980015595U KR 19980015595 U KR19980015595 U KR 19980015595U KR 20000004959 U KR20000004959 U KR 2000000495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gpole
- support plate
- flag
- vehicle
- wind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국기나 행사용 기를 자동차에 달수 있도록하는 자동차용 깃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깃봉(2)이 끼워지는 깃대(1) 하단에 지지판(3)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판(3) 일측으로 경사지지판(4)을 연장 형성하되 외측으로 걸편(5)을 형성되도록 하고 깃대(1) 일정위치 양측으로는 돌편(101)을 성형하여서된 자동차용 깃대에 있어서, 경사판(4) 아래에 또 하나의 걸편(5a)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삽지홈(6a)이 형성되도록 하므로 국기등을 매달은 깃대를 차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도가 높을뿐 만 아니라 탈, 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매달긴 깃발의 시인성이 뛰어나며 미관상 좋은 자동차용 깃대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국기나 행사용 기를 자동차에 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깃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깃대 하단의 고정부에 경사지지판과 지지판을 형성하고 각 지지판에는 삽지홈이 형성되도록 걸편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창문이나 본네트등을 삽지홈에 끼워 깃대가 고정되게 하므로서 깃대의 부착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국경일이나 기념행사등을 위하여 국기나 행사기등을 차량에 달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로 자동차의 안테나 끝에 국기나 행사기등을 묶어서 안데나를 깃대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국기등을 자동차용 안테나에 매달은 상태에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깃발이 바람에 심하게 날리면서 안테나가 꺾여 부러질 우려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자동차의 시동을 끄거나 자동차내의 오디오 전원을 끄게되면 안테나가 자동으로 내려가면서 달려 있는 깃발이 손상되므로 깃대의 역활을 정확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이미 자동차용 깃대를 선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121380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나 종래의 자동차용 깃대는 자동차의 창문에만 설치할 수 있어 3도어 차량인 경우 깃대를 설치하기가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자동차용 깃대를 개량 고안한 것으로 깃대 하단의 고정부에 지지판과 경사지지판을 형성하고 각 지지판에는 삽지홈이 형성되도록 걸편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창문이나 본네트등을 삽지홈에 끼워 깃대가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탈, 부착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깃대가 자동차의 창문과 창문패킹 사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깃대가 자동차의 본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고정부 1 : 깃대
101 : 돌편 2 : 깃봉
3 : 지지판 301 : 힘살
4 : 경사지지판 5,5a : 걸편
6,6a : 삽지홈 7 : 깃발
8 : 창문 801 : 창문패킹
9 : 본네트
상부에 깃봉(2)이 끼워지는 깃대(1) 하단에 지지판(3)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판(3) 일측으로 경사지지판(4)을 연장 형성하되 외측으로 걸편(5)을 형성되도록 하고 깃대(1) 일정위치 양측으로는 돌편(101)을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깃대에 있어서, 경사판(3) 아래에 또 하나의 걸편(5a)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삽지홈(6a)이 형성되게 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301은 힘살, 1001은 흡착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깃대(1)에 국기나 그 밖의 행사기와 같은 깃발(7)을 끼워서 고정한 후 깃대(1)와 일체로 된 고정부(가)의 삽지홈(6)(6a)에 자동차의 창문(8)이나 본네트(9) 등이 끼워지게 하여 깃대(1)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자동차의 창문(8)에 고정부(가)를 끼워 고정할 때는 경사지지판(4)과 걸편(5) 사이의 삽지홈(6)을 자동차의 앞, 뒤 창문중에 임의의 창문(8)에 삽지한 다음 흡착판(1001)을 창문 내측에 압착한 후 창문을 올려 창문 패킹(801)과 창문(8) 사이에 고정부(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한 것으로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설치되면 창문(8)과 창문패킹(801) 사이에 깃대(1)의 고정부(가)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깃대(1)가 쓰러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도어 차량과 같이 도어의 사용으로 인해 창문(8)에 깃대(1)를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자동차의 본네트(9)나 뒷트렁크의 가장자리에 지지판(3)과 그 하부에 형성된 또 하나의 걸편(5a) 사이에 형성된 삽지홈(6a)이 끼워지게 한 다음 본네트(9)나 트렁크를 닫게되면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깃대(1)가 설치되므로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탈,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도가 높을 뿐 만 아니라 탈, 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매달긴 깃발의 시인성이 뛰어나며 미관상 좋은 이점이 있다.
Claims (1)
- 상부에 깃봉(2)이 끼워지는 깃대(1) 하단에 지지판(3)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판(3) 일측으로 경사지지판(4)을 연장 형성하되 외측으로 걸편(5)을 형성되도록 하고 깃대(1) 일정위치 양측으로는 돌편(101)을 성형하여서 된 자동차용 깃대에 있어서, 경사판(4)아래에 또 하나의 걸편(5a)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삽지홈(6a)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자동차용 깃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595U KR20000004959U (ko) | 1998-08-18 | 1998-08-18 | 자동차용 깃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595U KR20000004959U (ko) | 1998-08-18 | 1998-08-18 | 자동차용 깃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4959U true KR20000004959U (ko) | 2000-03-15 |
Family
ID=6951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5595U Ceased KR20000004959U (ko) | 1998-08-18 | 1998-08-18 | 자동차용 깃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4959U (ko) |
-
1998
- 1998-08-18 KR KR2019980015595U patent/KR20000004959U/ko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386391A (en) | Method of assembling window glass and quarter glass into vehicle door | |
TW200950999A (en) | Frame garnish mounting structure | |
US6116678A (en) | Limousine side structure and window sealing method | |
KR20000004959U (ko) | 자동차용 깃대 | |
KR100315288B1 (ko) |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 |
CN211055044U (zh) | 一种汽车行李舱挂钩总成 | |
KR0121380Y1 (ko) | 자동차용 깃대 | |
KR200162454Y1 (ko) | 자동차의 코트 후크 겸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 |
KR200438030Y1 (ko) | 차량용 깃대 | |
KR100449299B1 (ko) | 자동차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 |
KR20050027649A (ko) | 싸이드 도어 커튼 걸이 구조 | |
JPH0629061Y2 (ja) | 自動車用窓枠付けバイザー | |
CN210618036U (zh) | 一种汽车仪表板左侧装饰板总成 | |
JPS6343161Y2 (ko) | ||
JPH1058979A (ja) | 自動車用ミラーブラケット | |
KR0124042Y1 (ko) | 자동차용 롤 타입 선바이저 마운팅 구조 | |
KR870000543Y1 (ko) | 차량용 창유리 받침대 | |
JPH0245080Y2 (ko) | ||
KR200377569Y1 (ko) | 자동차 도어 | |
KR970000229Y1 (ko) | 자동차용 실내 손잡이 구조 | |
KR20030004561A (ko) | 차량의 옷걸이 겸용 커튼파이프 브라켓 | |
KR200409295Y1 (ko) | 자동차 번호판 봉인장치 | |
KR100236209B1 (ko) | 자동차의 벨트 라인 몰딩용 클립구조 | |
KR200307517Y1 (ko) | 자동차용 플래카드 걸림고리 | |
JPS5921976Y2 (ja) | 自動車用ガ−ドバ−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8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72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