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3599U -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599U
KR20000003599U KR2019980013849U KR19980013849U KR20000003599U KR 20000003599 U KR20000003599 U KR 20000003599U KR 2019980013849 U KR2019980013849 U KR 2019980013849U KR 19980013849 U KR19980013849 U KR 19980013849U KR 20000003599 U KR20000003599 U KR 200000035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nt
fram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6162Y1 (ko
Inventor
함세일
조병오
김영섭
Original Assignee
김영섭
조병오
함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섭, 조병오, 함세일 filed Critical 김영섭
Priority to KR2019980013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1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나무 또는 오두막형으로 된 휴대용 텐트의 골조를 조립 및 분해할 때 골조의 각 부분을 관절형태로 접혀지고 펴지게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작업을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각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한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다수의 지주와 경사 및 수평지지대를 접속부재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접속부재의 중앙에 위치되는 각 수평지지대를 고정상태로 결합하되 그 양측에 위치되는 지주와 경사지지대는 힌지축을 기점으로 관절 형태로 접고 펼 수 있게 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가 연결된 상기 지주의 각 마디를 분리할 때 상호 와이어로 연결되게 하되 세 개의 수평지지대는 어느 하나만을 와이어로 연결되게 한 후 나머지 두 개는 각 마디를 분리되게 함에 따라, 텐트를 철거할 때 각 지주의 마디를 먼저 구부러지게 하여 접속부재에 설치한 힌지축을 기점으로 수평지지대에 근접되게 굴절시킨 후 경사지지대를 굴절되게 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수평지지대의 전후 양단에 세 개씩 위치한 접속부재를 일체로 연결되게 모은 상태에서 하나의 조합체로 합류되게 하며, 텐트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철거순서와 역순으로 지주와 각 지지대를 펴지게 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본 고안은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통나무 또는 오두막형으로 된 휴대용 텐트의 골조를 조립 및 분해할 때 골조의 각 부분을 관절형태로 접혀지고 펴지게 함으로써 조립과 분해작업을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각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한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공간에서 활동을 할 때 인체의 동선을 고려하여 천정고가 비교적 높은 통나무 또는 오두막형으로 된 소위 캐빈(CABIN)형 탠트가 등장한 바 있으며, 이러한 케빈 텐트는 자가운전 등 운송수단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부피 및 중량이 과대함에도 불구하고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일반적인 캐빈 텐트용 골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골조본체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지주(1)와, 이 수직지주(1)의 상단에 산형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각기 전후방으로 분할되는 한쌍의 경사대(2)와, 상기 전후방측 경사대(2)를 연결하게 그 정점부와 양측의 경사 하부에 연결되는 세 개의 수평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골조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직지주(1)와 경사대(2) 및 수평대(3)는 그 연결과정에서 형성되는 6개의 꼭지점에 결합된 다수의 접속부재(4)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되며, 이때 상기 각 접속부재(4)는 파이프 형태로된 지주나 경사대를 단순하게 끼우고 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텐트를 설치하고자 할 때 수직지주(1)와 경사대(2) 및 수평대(3)를 먼저 구분한 후 각 연결부위에 적합한 접속부재(4)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조립하였고, 텐트의 해체시에는 접속부재로부터 각각의 지주와 경사대 및 수평대를 떼어내면서 각 부분을 완전하게 분리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텐트 골조는 각부를 구성하는 지주와 경사대 및 수평대는 물론 접속부재의 구분이 용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조립과정에서 위치가 서로 뒤바뀌는 등의 시행착오와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시행착오로 인하여 텐트의 설치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텐트의 해체시 각 지주와 경사 및 수직대가 접속부재로부터 완전 분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골조본체를 휴대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각 부품중 어느 하나가 분실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이에 따라 필요부품을 보충하거나 새로운 장비를 구입해야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케빈 텐트용 골조의 조립 및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텐트의 사용에 따른 골조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지주와 경사 및 수평지지대를 접속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텐트용 골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의 중앙에 위치되는 각 수평지지대를 고정상태로 결합하되 그 양측에 위치되는 지주와 경사지지대는 힌지축을 기점으로 관절 형태로 접고 펼 수 있게 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가 연결된 상기 지주의 각 마디를 분리할 때 상호 와이어로 연결되게 하되 세 개의 수평지지대는 어느 하나만을 와이어로 연결되게 한 후 나머지 두 개는 각 마디를 분리되게 함에 따라, 텐트를 철거할 때 각 지주의 마디를 먼저 구부러지게 하여 접속부재에 설치한 힌지축을 기점으로 수평지지대에 근접되게 굴절시킨 후 경사지지대를 굴절되게 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수평지지대의 전후 양단에 세 개씩 위치한 접속부재를 일체로 연결되게 모은 상태에서 하나의 조합체로 합류되게 하며, 텐트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철거순서와 역순으로 지주와 각 지지대를 펴지게 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빈 텐트용 골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에의 체결장치를 갖춘 캐빈 텐트용 골조의 조립상태 예시도,
도 3은 상기 체결장치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4a 내지4c는 본 고안의 골조를 순차적으로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11, 31 : 연결끈
20 : 경사지지대 30 : 수평지지대
40 : 접속부재 41 : 고정홈
42 : 유도판 43 : 공간부
50 : 힌지 60 :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체결장치를 갖춘 캐빈 텐트용 골조의 조립상태 이고, 도 3은 상기 체결장치를 발췌한 분리사시도로서, 수직으로 기립되는 다수의 지주(10)와 이의 상단에 산형으로 결합되는 두쌍의 경사지지대(20) 및 대들보 작용을 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30)가 조립되어 골조를 구성하고, 상기 각 지주(10)와 지지대(20)(30)의 연결부위에는 체결력을 제공하는 접속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수직지주(10)와 수평지지대(30)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를 연결하게 구성하되 수직지주(10)의 각 마디는 연결끈(11)으로 연결하고, 수평지지대(30)는 어느 하나만을 연결끈(31)으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접속부재(40)에는 수평지지대(30)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41)을 중앙으로 그 양측에 하나의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 또는 한쌍의 경사지지대(20)가 각각 결합되는 공간부(43)를 가진 유도판(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유도판(42)에는 그 공간부(43)에서 파이프 형대로된 지주(10) 또는 경사지지대(20)를 약 90。 범위내에서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5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10) 또는 경사지지대(20)의 소정위치에는 그 절첩동작시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60)를 설치하되 이 스토퍼(60)에 상응하는 유도판(42)에는 스토퍼(60)가 선택적으로 삽탈되는 적어도 2개의 스톱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재(40)의 고정홈(41)에 삽입 고정된 수평지지대(30)를 기점으로 각 유도판(42)의 공간부(43)에 설치된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가 힌지(50)를 축으로 접고 펼쳐지게 되고, 이러한 절첩과정에서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에 구비된 스토퍼(60)가 출몰되면서 유도판(42)에 형성된 스톱홀(61)의 어느 하나에 삽탈되면서 정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a 내지4c는 본 고안의 골조를 순차적으로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골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주(10)와 경사 및 수평지지대(20)(30)는 상호 전후방에서 마주보게 6개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쌍의 접속부재(40)에 의해 연결되는데, 텐트를 철거하기 위해 조립된 골조를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접속부재(40)의 양측 유도판(42)에 결합된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를 힌지(50)를 기점으로 관절 형태로 접혀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골조를 분해할 때 세 개의 수평지지대(30)중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수평지지대(30)는 각 마디를 완전하게 분리되게 하여 도 4b 및 4c에서와 같이 중앙의 수평지지대(30)의 양단에 고정된 접속부재(40)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한 두쌍의 접속부재(40)를 합쳐지게 한 후, 중앙의 수평지지대(30)는 그 마디를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다수의 지주(10)와 경사 및 수평지지대(20)(30)는 물론 접속부재(40)가 최소의 부피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골조를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끈(31)으로 연결된 중앙의 수평지지대(30)와 각 접속부재(40)를 기점으로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 및 수평지지대를 순차적으로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주어진 조건에 따라 조립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는 텐트의 필수구성요소인 다수의 지주와 경사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는 물론 접속부재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해 또는 조립하게 됨에 따라, 골조의 조립에 따른 시행착오를 방지하여 조립방법이 간편함과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된 다수의 부품들을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보관 및 휴대하게 됨에 따라, 분실의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수직으로 기립되는 다수의 지주(10)와 이의 상단에 산형으로 결합되는 두쌍의 경사지지대(20) 및 대들보 작용을 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30)가 조립되어 골조를 구성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 지주(10)와 수평지지대(30)를 적어도 두 개의 마디를 연결하게 구성하되 다수의 수직 지주(10)와 수평지지대(30)는 어느 하나를 연결끈(31)(11)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각 지주(10)와 지지대(20)(3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접속부재(40)에 수평지지대(30)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41)을 중앙으로 그 양측에 하나의 지주(10)와 경사지지대(20) 또는 한쌍의 경사지지대(20)가 각각 결합되는 공간부(43)를 가진 유도판(42)이 형성되며,
    상기 각 유도판(42)에는 그 공간부(43)에서 파이프 형대로된 지주(10) 또는 경사지지대(20)를 약 90。 범위내에서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주(10) 또는 경사지지대(20)의 소정위치에는 그 절첩동작시 정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60)를 설치하되 이 스토퍼(60)에 상응하는 유도판(42)에는 스토퍼(60)가 선택적으로 삽탈되는 적어도 2개의 스톱홀(61)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KR2019980013849U 1998-07-27 1998-07-27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KR200206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849U KR200206162Y1 (ko) 1998-07-27 1998-07-27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849U KR200206162Y1 (ko) 1998-07-27 1998-07-27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599U true KR20000003599U (ko) 2000-02-25
KR200206162Y1 KR200206162Y1 (ko) 2000-12-01

Family

ID=1953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849U KR200206162Y1 (ko) 1998-07-27 1998-07-27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10A (ko) * 2000-05-24 2001-12-07 서춘식 캐빈형 절첩식 텐트골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35B1 (ko) 2005-04-02 2007-04-11 김현실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10A (ko) * 2000-05-24 2001-12-07 서춘식 캐빈형 절첩식 텐트골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162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0375A (en) Collapsible exhibit panel
US4748995A (en) Tent frame
RU2140513C1 (ru) Складной навес
US6929017B2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structure of a regular polygon
KR100203520B1 (ko) 지보공
WO2002068779A1 (fr) Tente pliable pourvue d&#39;avancees
WO1996041928A1 (en) Collapsible display framework for indoor or outdoor use
JP2009257080A (ja) テント
JP3700952B2 (ja) 支保工
KR101403306B1 (ko) 코너 브레이스
JP2004522023A (ja) 折畳み式足場
KR200206162Y1 (ko) 캐빈 텐트용 골조의 체결장치
KR200172537Y1 (ko) 캐빈형 텐트
KR100874593B1 (ko) 자동 절첩식 캐빈 텐트
GB1600135A (en) Collapsible buildings comprising a series of arched members hinged together in a fan-like arrangement
KR102600707B1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KR200169292Y1 (ko)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JP2009091767A (ja) 催事用テント
JP2501927Y2 (ja) テントの支柱構造
US20060090785A1 (en) Leg support for an instant set-up foldable tent
JP2008031831A (ja) テント
KR100636409B1 (ko) 철거푸집 작업틀
JP4741754B2 (ja) 折り畳み式仮設足場
JP3243273U (ja) 折り畳み式テント・フレーム
KR200200939Y1 (ko) 캐빈형 절첩식 텐트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7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9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