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979U -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1979U KR20000001979U KR2019980011787U KR19980011787U KR20000001979U KR 20000001979 U KR20000001979 U KR 20000001979U KR 2019980011787 U KR2019980011787 U KR 2019980011787U KR 19980011787 U KR19980011787 U KR 19980011787U KR 20000001979 U KR20000001979 U KR 200000019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uide
- packing
- vacuum cleaner
- pack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7853 Sarothamn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간의 미세한 틈새를 막는 패킹을 항상 밀폐구조가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파이프(21)와, 제 1 파이프(21)의 내부로 슬라이딩결합되는 제 2 파이프(25) 및 제 1 파이프(21)와 제 2 파이프(25)간의 긴밀상태를 위해 개재되는 가이드 파이프(23) 등으로 구성된 신축관(20)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23) 후단에 긴밀성을 높이기 위해 제 2 파이프(25)와 가이드 파이프(23) 사이의 틈새를 막는 패킹부재(28)를 끼움결합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25)의 외측에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25a)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부재(28)의 일측단에는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에 끼워져 패킹부재(28)의 패킹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스토퍼(29)를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간의 미세한 틈새를 막는 패킹을 항상 밀폐구조가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팬모터구동에 의한 강한 흡인력으로 바닥의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집진하는 빗자루나 걸레대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청소도구로써,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도 1에서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으로 먼지 및 이물질을 빨아들이면서 포집하는 먼지주머니가 내설되고 전,후로 구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입단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먼지주머니로 포집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마련되는데, 그 가이드수단은 본체(10)의 흡입단에 연결되고 움직임이 자유로워 어느 방향이든지 절환이 가능하게 된 플렉시블 관(12)과, 사용자의 신체여부와 장소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구성된 신축관(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관(12)과 신축관(20) 사이에는 팬모터를 제어하여 흡인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컨트롤부(16)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관(20)의 끝단에는 바닥상태에 따라 이물질이나 먼지를 모으도록 하는 브러시(1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에서 신축관(20)의 구성을 도 2 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관(20)은 크게 일단이 플렉시블 관(12)이나 컨트롤부(16)에 연결되는 제 1 파이프(21)와, 일단이 브러시(17)에 연결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 1 파이프(21)의 내경으로 슬라이딩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신축하는 제 2 파이프(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파이프(25)의 일측 외주에는 브러시(17)와 분리/결합되는 착탈방식의 로크부(26)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파이프(25)의 외주에는 일정한 등간격으로 위치결정홈(27a)이 연설된 위치결정플레이트(27)가 접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파이프(21)의 일측 외주에는 위치결정플레이트(27)의 위치결정홈(27a)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제 2 파이프(25)의 신축위치를 결정하는 신축제어부(22)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딩 결합부분인 상기 제 1 파이프(21)와 제 2 파이프(25) 사이에는 그 제 1 파이프(21)와 제 2 파이프(25)와의 결합유격으로 인해 청소작업시 브러시(17)외의 틈새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파이프(2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파이프(23)가 아무리 제 2 파이프(25)로부터 긴밀상태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슬라이딩결합이기 때문에 미세한 유격은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게 되는 이유에 의해 상기 가이드 파이프(27)의 후측에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28)가 끼워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밀폐구조에서 제 2 파이프(25)가 제 1 파이프(21)로부터 완전히 신장되는 시점에서의 패킹부재(28)는 가이드 파이프(23)의 틈새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팬모터의 흡인력이 더 크기 때문에 제 1 파이프(21)쪽으로 밀려나 더 이상의 밀폐구조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파이프(23)의 틈새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대되어 전체적으로 팬모터의 흡인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간의 미세한 틈새를 막는 패킹을 항상 밀폐구조가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제 1 파이프와, 제 1 파이프의 내부로 슬라이딩결합되는 제 2 파이프 및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간의 긴밀상태를 위해 개재되는 가이드 파이프 등으로 구성된 신축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 후단에 긴밀성을 높이기 위해 제 2 파이프와 가이드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막는 패킹부재를 끼움결합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측에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단에는 제 2 파이프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패킹부재의 패킹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구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신축관을 도시한 측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관을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 는 패킹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스토퍼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플렉시블 관
16: 컨트롤부 17: 브러시
20: 신축관 21: 제 1 파이프
22: 신축제어부 23: 가이드 파이프
25: 제 2 파이프 25a: 가이드 홈
26: 로크부 27: 위치결정플레이트
27a: 위치결정홈 28: 패킹부재
29: 가이드 스토퍼 29a: 면접플랜지
29b: 절결부 29c: 가이드돌기
29d: 면접요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관을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패킹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 1 파이프(21)와, 제 1 파이프(21)의 내부로 슬라이딩결합되는 제 2 파이프(25) 및 제 1 파이프(21)와 제 2 파이프(25)간의 긴밀상태를 위해 개재되는 가이드 파이프(23) 등으로 구성된 신축관(20)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23) 후단에 긴밀성을 높이기 위해 제 2 파이프(25)와 가이드 파이프(23) 사이의 틈새를 막는 패킹부재(28)를 끼움결합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밀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25)의 외측에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25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패킹부재(28)의 일측단에는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에 끼워져 패킹부재(28)의 패킹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스토퍼(29)를 구성하였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29)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 2 파이프(25)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고 조립의 편의를 위해 일측부에 절결부(29b)를 갖고 일정한 내경을 갖도록 링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상부에는 패킹부재(28)와의 면접부위를 넓히기 위해 면접플랜지(29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과 끼움결합되는 가이드돌기(29c)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패킹부재(28)와 면접되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29)의 일면은 패킹부재(28)의 형상과 동일한 면접요부(29d)를 형성하도록 하므로써 긴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은 먼저 가이드 파이프(23)를 신축제어브(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 1 파이프(21)의 내부에 고정설치한 다음 위치결정플레이트(27)가 고정체결된 제 2 파이프(25)를 제 1 파이프(21)의 내부로 밀어넣어 슬라이딩 결합하면 조립은 간단히 끝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스토퍼(29)는 일측이 절결된 절결부(29b)에 의해 어느정도의 차체탄성이 안가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팬모터(도시않됨)를 작동시키면 브러시(17) → 제 2 파이프(25) → 제 1 파이프(21) → 플렉시블 관(12) → 진공청소기의 본체(10) 순으로 이물질을 흡인시키게 되는데, 이 때 가이드 파이프(23)와 제 2 파이프(25) 사이에는 슬라이딩결합에 따른 틈새가 발생되기 마련이고, 각 파이프(21)(25)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크기 때문에 그 틈새로 대기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틈새유입공기를 차단하는 것이 패킹부재(28)의 목적이나 각 파이프(21)(25)내부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되면 상기 패킹부재(28)가 압력이 큰 쪽으로 밀려나가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가이드 스토퍼(29)가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에 가이드 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스토퍼(29)의 면접플랜지(29a) 및 면접요부(29d)에 의해 항상 패킹부재(28)의 정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28)의 밀폐력은 더욱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패킹부재의 정위치가 항상 결정되도록 가이드하기 때문에 팬모터의 출력에 다른 흡인력이 일정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청소능력이 향상되는 간단하지만 매우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 제 1 파이프(21)와, 제 1 파이프(21)의 내부로 슬라이딩결합되는 제 2 파이프(25) 및 제 1 파이프(21)와 제 2 파이프(25)간의 긴밀상태를 위해 개재되는 가이드 파이프(23) 등으로 구성된 신축관(20)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23) 후단에 긴밀성을 높이기 위해 제 2 파이프(25)와 가이드 파이프(23) 사이의 틈새를 막는 패킹부재(28)를 끼움결합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밀폐구조에 있어서,상기 제 2 파이프(25)의 외측에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25a)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부재(28)의 일측단에는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에 끼워져 패킹부재(28)의 패킹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스토퍼(29)를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29)는 제 2 파이프(25)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일측부가 절결된 링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패킹부재(28)와의 면접부위를 넓히기 위해 면접플랜지(29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 2 파이프(25)의 가이드 홈(25a)과 끼움결합되는 가이드돌기(29c)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신축과의 패킹 가이드구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787U KR20000001979U (ko) | 1998-06-30 | 1998-06-30 |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PCT/KR1998/000490 WO2000000075A1 (en) | 1998-06-30 | 1998-12-30 | Telescopable wand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
JP2000556664A JP2003534024A (ja) | 1998-06-30 | 1998-12-30 | 真空掃除機の折綴式吸入管の組立体 |
TW090201752U TW472568U (en) | 1998-06-30 | 1999-01-06 | Telescopable wand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
US09/292,368 US6237962B1 (en) | 1998-06-30 | 1999-04-15 | Telescopable wand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787U KR20000001979U (ko) | 1998-06-30 | 1998-06-30 |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979U true KR20000001979U (ko) | 2000-01-25 |
Family
ID=6951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787U Abandoned KR20000001979U (ko) | 1998-06-30 | 1998-06-30 |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1979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82222A1 (en) * | 2004-02-26 | 2005-09-09 | Eun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ngth and articles using the same |
-
1998
- 1998-06-30 KR KR2019980011787U patent/KR20000001979U/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82222A1 (en) * | 2004-02-26 | 2005-09-09 | Eun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ngth and articles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88742A1 (en) |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 |
KR20060108404A (ko) | 진공청소기용 유로전환 밸브조립체 | |
KR20000001979U (ko) | 진공청소기 신축관의 패킹 가이드구조 | |
KR100445807B1 (ko)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호스 조립체 | |
ATE272352T1 (de) |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 |
KR960004685Y1 (ko) | 진공청소기의 칼형 브러쉬 | |
KR100452545B1 (ko) | 진공청소기의 더스트 커버 실링장치 | |
CA2397437C (en) | Discharging duct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 |
KR200214600Y1 (ko) | 진공청소기용본체의모터소음저감구조 | |
KR100456170B1 (ko) |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실링구조 | |
RU2004136593A (ru) | Узел рукоятки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ой рукояткой | |
KR100671836B1 (ko) | 체결구조가 개선된 진공청소기 연장관 | |
KR200144826Y1 (ko) | 진공청소기의흡입헤드유로전환장치 | |
KR200234440Y1 (ko) | 진공청소기용브러쉬의부압방지장치 | |
KR960007460B1 (ko) | 착탈가능한 물걸레판을 갖는 진공청소기 | |
KR200157813Y1 (ko) | 청소기의 연장관 | |
JP3063473B2 (ja) | 電気掃除機用吸込具 | |
KR960007462B1 (ko) |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 |
KR200149362Y1 (ko) |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실링구조 | |
KR100517825B1 (ko) | 바닥용 흡입구 | |
JPH0350861Y2 (ko) | ||
KR20010046769A (ko) | 진공 청소기용 먼지표시장치 | |
KR20020022925A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패킹 | |
JPH0549577A (ja) | 電気掃除機 | |
JPH0329629A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9806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0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