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1810U - 세탁기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810U
KR20000001810U KR2019980011613U KR19980011613U KR20000001810U KR 20000001810 U KR20000001810 U KR 20000001810U KR 2019980011613 U KR2019980011613 U KR 2019980011613U KR 19980011613 U KR19980011613 U KR 19980011613U KR 20000001810 U KR20000001810 U KR 200000018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upported
cap
washing machin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810U/ko
Priority to US09/219,772 priority patent/US6122942A/en
Priority to JP37044098A priority patent/JP3784184B2/ja
Publication of KR20000001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10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의 현가장치는 세탁물이 많아지면 무게중심이 상부로 위치하게 되어 저수조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저수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걸이봉(30)들의 양단이 캐비닛(10)의 각 모서리와 저수조(20)에 각각 지지되며, 이 걸이봉(30)의 일단에는 저수조(20)에 지지되는 캡(32)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이 캡(32)을 관통한 걸이봉(30)에 끼워져 캡(32)을 걸이봉(30)의 상부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저수조(20)의 외면 하부의 사방에는 가이드슬롯(42)을 갖는 하우징(40)들이 고정설치되며, 하우징(40)들의 내부에는 슬라이더(50)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슬라이더(50)의 일측에는 가이드슬롯(42)을 통하여 하우징(40)의 외부로 돌출되며 캡(32)이 지지되는 작동로드(52)가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더(50)는 일단이 하우징(40)에 지지되고, 타단이 슬라이더(50)의 상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60)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1차와 2차에 걸쳐 저수조의 진동을 압축스프링(34)과 탄성스프링(60)이 흡수함과 동시에 세탁량에 따라 슬라이더(50)가 하우징(40)의 상부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줌으로써, 저수조를 더욱 안정되게하여 진동을 최대한 저감토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현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량에 따라 저수조의 무게중심을 낮추어줌으로써 저수조를 안정되게하여 탈수시 저수조의 진동을 최대한 저감토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세탁수,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flow of water)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가하여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를 도 1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세탁기에는 캐비닛(10)이 제공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입구(12)가 형성되며, 이 캐비닛(10)의 입구(12)는 도어(14)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면 전방에는 컨트롤 패널(16)이 장착되며,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는 외부에서 세탁수를 유입하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이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조(22)의 바닥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탁조(22)에 세탁물과 세탁수,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6)을 조작하면, 모터(M)가 구동되어 펄세이터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 펄세이터에 의해 돌개 물살이 발생되고, 잇달아 분출 물살, 폭포믈살, 소나기 물살이 발생되며,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기포 발생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즉 공기방울이 공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기에는 탈수할 때에 발생되는 저수조(20)의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현가장치는 저수조(20)가 걸이봉(30)에 의해 캐비닛(10)에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걸이봉(30)의 일단은 캐비닛(20)의 모서리 4곳에 지지되며, 타단은 저수조(20)의 하부 4곳에 형성된 고정편(20a)들에 탄지된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이봉(30)의 타단에는 캡(32)이 걸이봉(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캡(32)의 내부에는 캡(32)을 관통한 걸이봉(30)에 끼워져 그 일단이 캡(32)의 상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걸이봉(30)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4)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걸이봉(30)이 고정편(20a)에 끼워지면, 캡(32)의 상면이 고정편(20a)의 저면에 지지되고 압축스프링(32)은 걸이봉(30)에 지지되므로 저수조(20)는 걸이봉(30)을 따라 탄성이동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탈수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다량의 세탁물을 탈수 할 때, 심한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걸이봉(30)에 대한 저수조(20)의 지지점인 고정편(20a)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바, 세탁물이 많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저수조(22)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저수조(2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고정편(20a)은 멀어지게 되어 저수조(20)는 불안정하게 지지되며, 이에 따라, 걸이봉(30)은 저수조(2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탁량에 따라 저수조에 대한 걸이봉의 지지점을 이동가능하게하여 저수조의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저수조의 안정을 꾀하여 탈수시 저수조의 진동을 최대한 저감토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보여주는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비닛 20: 저수조
30: 걸이봉 32: 캡
34: 압축스프링 40: 하우징
42: 가이드슬롯 50: 슬라이더
52: 작동로드 60: 탄성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단이 캐비닛의 각 모서리와 저수조에 각각 지지되는 걸이봉들과, 이 걸이봉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저수조에 지지되는 캡과, 상기 캡을 관통한 걸이봉에 끼워지며 캡을 걸이봉의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저수조의 진동을 흡수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외면 하부의 사방에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들과; 상기 하우징들의 내부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걸이봉의 캡이 지지되는 작동로드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항상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세탁기에는 캐비닛(10)이 제공되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닛(10)의 입구(12)는 도어(14)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캐비닛(10)의 상면 전방에는 컨트롤 패널(16)이 장착되며,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는 외부에서 세탁수를 유입하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이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조(22)의 바닥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펄세이터가 설치된다.
한편, 세탁기에는 탈수할 때에 발생되는 저수조(20)의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저수조(20)의 진동을 흡수하는 1차 현가장치와 저수조의 무게중심을 낮춤과 동시에 저수조의 진동을 흡수하는 2차 현가장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1차 현가장치는 걸이봉(30)에 의해 저수조(20)가 캐비닛(10)에 탄성지지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걸이봉(30)의 일단은 캐비닛(20)의 모서리 4곳에 지지되며, 타단은 저수조(20)의 하부에 탄지된다. 즉,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걸이봉(30)의 타단에는 캡(32)이 걸이봉(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캡(32)의 내부에는 캡(32)을 관통한 걸이봉(30)에 끼워져 그 일단이 캡(32)의 상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걸이봉(30)의 끝부분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4)이 설치된다. 이러한 걸이봉(30)의 캡(32)을 저수조(20)에 지지시키면, 압축스프링(32)에 의해 캡(32)은 걸이봉(30)을 따라 탄성이동하며 저수조(20)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한편, 2차 현가장치는 세탁량에 따라 걸이봉(30)에 대한 저수조(20)의 지지점을 이동가능하게하여 저수조(20)의 무게중심을 낮춤과 동시에 저수조(20)의 진동을 일부 흡수하는 것으로, 저수조(20)의 외면 하부의 사방에는 하우징(40)이 고정설치된다. 이 하우징(4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50)가 설치된다. 이 슬라이더(50)는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하우징(40)의 가이드슬롯(42)을 통하여 하우징(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로드(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로드(52)의 끝부분에는 입구를 갖는 고정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50)를 항상 하우징(40)의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0)이 설치된다. 이 탄성스프링(60)의 일단은 하우징(40)의 내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슬라이더(50)의 상면에 지지된다. 한편, 탄성스프링(60)의 장력은 걸이봉(30)에 설치된 압축스프링(34)의 장력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로드(52)에는 상술한 걸림봉(30)의 캡(32)이 지지된다. 즉, 작동로드(52)의 고정공(54)에 걸이봉(30)을 끼워 캡(32)의 상면이 고정공(54)의 저면에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저수조(20)는 걸이봉(30)에 지지됨과 아울러 슬라이더(50)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저수조(20)에 저장된 세탁수와 세탁물이 많아지면, 탄성스프링(60)의 장력이 압축스프링(34)의 장력보다 작으므로 저수조(20)는 가이드슬롯(4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슬라이더(50)가 상부로 위치되어 그 지지점이 상향된다. 이에 따라, 저수조(20)의 무게중심과 슬라이더(50)는 근접하게 되어 저수조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을 도 5a와 도 5b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a는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때로서, 저수조(20)가 받는 부하가 작으므로 저수조(20)는 탄성스프링(60)에 의해 캐비닛(10)의 상부로 이동되어 있다. 이 때, 세탁기가 작동되어 저수조(20)에 진동이 발생되면, 1차 현가장치인 걸이봉(30)의 캡(32)과 압축스프링(34)에서 1차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2차 현가장치인 작동로드(52)와 탄성스프링(60)에서도 2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여 저수조(20)의 진동은 억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저수조(20)가 받는 부하가 커지므로 탄성스프링(60)이 눌려지면서 저수조(20)는 아래로 이동되며, 슬라이더(50)는 저수조(2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조(20)의 지지점인 슬라이더(50)와 무게중심과의 거리는 근접하게 되어 저수조(20)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기가 작동되어 저수조(20)에 진동이 발생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현가장치와 2차 현가장치에서 진동을 최대한 흡수하여 진동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는 저수조의 진동을 1차와 2차에 걸쳐 흡수함과 동시에 현가장치에 대한 저수조의 지지점을 세탁량에 따라 이동가능하게하여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저수조를 더욱 안정되게하여 진동을 최대한 저감토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양단이 캐비닛(10)의 각 모서리와 저수조(20)에 각각 지지되는 걸이봉(30)들과, 이 걸이봉(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짐과 아울러 저수조(20)에 지지되는 캡(32)과, 상기 캡(32)을 관통한 걸이봉(30)에 끼워지며 캡(32)을 걸이봉(30)의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저수조(20)의 진동을 흡수하는 압축스프링(34)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의 외면 하부의 사방에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롯(42)이 형성되는 하우징(40)들과;
    상기 하우징(40)들의 내부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롯(42)을 통하여 하우징(4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걸이봉(30)의 캡(32)이 지지되는 작동로드(52)가 형성되는 슬라이더(50)와;
    상기 슬라이더(50)가 항상 상기 하우징(40)의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하우징(4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50)의 상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19980011613U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00001810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13U KR20000001810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현가장치
US09/219,772 US6122942A (en) 1998-06-30 1998-12-23 Washing machine having dual damping structure
JP37044098A JP3784184B2 (ja) 1998-06-30 1998-12-25 二重の緩衝構造を有する洗濯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13U KR20000001810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0U true KR20000001810U (ko) 2000-01-25

Family

ID=1953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613U KR20000001810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22942A (ko)
JP (1) JP3784184B2 (ko)
KR (1) KR200000018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748B1 (ko) * 2002-06-19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 취부용 브라켓 구조
BRPI0601707A (pt) * 2006-04-26 2007-12-18 Whirlpool Sa máquina lavadora de roupa
BRPI0705172A2 (pt) * 2007-11-19 2009-07-21 Whirlpool Sa arranjo de suspensão para máquina lavadora de roupas
BRPI0901779B1 (pt) * 2009-05-25 2019-12-03 Whirlpool Sa arranjo de suspensão para máquina lavadora de roupas
KR101934735B1 (ko) * 2012-08-3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104442B1 (ko) * 2013-07-22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6502087B2 (ja) * 2014-12-22 2019-04-17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の設計方法
KR102315657B1 (ko) * 2015-03-16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7177960B (zh) * 2016-03-10 2021-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阻尼吊杆结构及洗衣机
CN107488985A (zh) * 2016-06-27 2017-12-19 张七龙 洗衣机甩干桶辅助平衡器的使用方法
CN105951364B (zh) * 2016-06-27 2017-12-05 张七龙 洗衣机甩干桶的辅助平衡器
CN110219137B (zh) * 2018-03-02 2023-01-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961B2 (ja) * 1987-03-17 1996-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防振装置
JP3175174B2 (ja) * 1991-03-01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洗濯機
US5520029A (en) * 1995-10-06 1996-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il spring and snubber suspension system for a washer
US5528913A (en) * 1994-08-01 1996-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with snubbers for limiting unbalanced load vibration excursions
KR100211866B1 (ko) * 1994-09-01 1999-08-02 전주범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
US5606879A (en) * 1995-05-26 1997-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washing machine suspen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2942A (en) 2000-09-26
JP3784184B2 (ja) 2006-06-07
JP2000014967A (ja) 200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1810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240058068A (ko) 의류처리장치
WO2009072765A2 (en) Laundry machine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CN213997030U (zh) 超声波清洗机的升降拉篮结构
KR100381163B1 (ko) 서랍식 세탁기
KR20080064304A (ko) 세탁기
KR101054425B1 (ko) 세탁기의 레그장치
CN104727063B (zh) 水平振动洗衣机
KR100400446B1 (ko) 서랍형 세탁기
CN213681387U (zh) 晾衣架翻转结构及其组成的晾衣架
KR20000009641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CN219824655U (zh) 洗衣机
KR200152444Y1 (ko)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
KR20000014472U (ko) 세탁기용 저수조의 초기진동 방지장치
KR1010689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381180B1 (ko) 도어 전면 개방식 세탁기
KR0128749Y1 (ko) 자동세탁기의 진동방지장치
KR200142469Y1 (ko) 세탁기
KR200168210Y1 (ko) 세탁기의 뚜껑개폐장치
KR200158911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EP2065507A1 (en) Laundry machine
KR100688189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484274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0134113Y1 (ko) 상부판과 저수조커버의 간섭이 방지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