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1329U -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329U
KR20000001329U KR2019980011028U KR19980011028U KR20000001329U KR 20000001329 U KR20000001329 U KR 20000001329U KR 2019980011028 U KR2019980011028 U KR 2019980011028U KR 19980011028 U KR19980011028 U KR 19980011028U KR 20000001329 U KR20000001329 U KR 200000013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80011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329U/ko
Publication of KR20000001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329U/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탱크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물통의 물을 온수탱크로 안내하는 급수관이 온수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급수관의 상당 부분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는 온수탱크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동절기가 되어 주변온도가 빙점이하로 하강하더라도 급수관의 결빙이 방지되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탱크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그 내부에 커피, 차, 그 밖에 다양한 상품을 내장한 것으로, 원하는 상품의 가격에 상당하는 주화나 지폐를 투입구에 넣고 상품을 선택하면, 그 상품이 투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캔음료와 같이 완제품을 내장하여 판매하기도 하지만, 물과 원료를 서로 혼합하여 컵에 담아 판매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중 후자에 속하는 종래의 음료 자동판매기는 본체케이스 내부에 물통과 다수개의 원료통이 구비되어 있고, 각 원료통에 담긴 원료와, 물통의 물이 컵취출부로 안내되도록 다수의 물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물통의 물은 급수관을 통해 온수탱크로 공급되고, 온수탱크에서 가열이 된 물은 온수 공급관을 통해 물과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장치를 거쳐 노즐을 통해 컵취출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탱크는 온수탱크(1)의 하단부 일측에 물통(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온수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관(2)이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에는 온수탱크(1)를 거쳐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 공급관(3)이 연결된다.
또한, 온수탱크(1)의 내측 하부에는 온수탱크(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히터(4)가 설치된다. 그리고 온수탱크(1)의 상부 일측에는 오버플로우관(5,over flow)이 설치되며, 온수탱크(1)의 내부가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 자동판매기 온수탱크(1)의 급수구조는 물통에 담겨 있는 차가운 물이 가열히터(4)가 설치된 온수탱크(1)의 내측 하부로 유입되어, 가열히터(4)에 의해 가열된 후, 상부 온수 공급관(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온수탱크(1)의 급수구조는 동절기에 온수탱크(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이 저온 환경이 노출이 되게 되어 쉽게 결빙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자동판매기는 사람들이 군집하는 외부환경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겨울철과 같이 외부온도가 내려간 상황에서는 자동판매기의 내부도 외부의 영향으로 저온환경에 노출이 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자동판매기는 온수탱크(1)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통과 연결된 급수관(2)이 온수탱크(1)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탱크(1)의 수위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한동안 방치되게 되면, 급수관(2)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쉽게 결빙이 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급수관이 온수탱크의 내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동절기에도 쉽게 결빙되지 않는 자동판매기 온수탱크의 급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판매기 온수탱크의 내부 구조 및 급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급수구조를 보인 내부 수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 온수탱크의 내부 구조 및 급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케이스, 11: 물통,
12: 급수관, 13: 급수밸브,
14: 정수기, 20: 온수탱크,
21: 가열히터, 22: 수위감지장치,
23: 온수공급관, 24: 혼합장치,
25: 증기배출관, 26: 오버플로우관,
30: 컵취출구, 40: 오수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물을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가열히터가 설치된 온수탱크와,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온수탱크로 안내되도록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진입되며 상기 온수탱크의 내측 하부로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급수구조를 보인 내부 수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탱크의 급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급수구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통(11)이 구비되고, 물통(11)의 하부에는 물통(11)의 물을 가열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가열시키는 온수탱크(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물통(11)의 하부에는 물통(11)의 물이 온수탱크(20)로 공급되도록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12)이 마련되며, 급수관(12)의 중도에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3)와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수기(1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정수기(14)의 일측에는 급수관(1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관(15)이 설치된다.
또한, 온수탱크(20)의 일측 상부에는 온수탱크(20)에서 가열된 물이 공급되는 온수 공급관(23)이 연결되고, 이 온수 공급관(23)은 본체케이스(10)의 하측 전면부에 마련되는 컵취출구(30)쪽으로 연장이 되어 컵에 온수를 공급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온수공급관(23)의 중도에는 커피, 차 등의 원료와 물이 혼합되어 공급되도록 원료 혼합장치(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원료 혼합장치(24)를 거쳐 컵취출구(30)로 공급되는 물에는 원료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료 혼합장치(24)에는 커피, 차 등의 각종 원료가 담긴 원료통으로부터 원료가 공급되도록 다수의 원료 공급관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원료 혼합장치(24)의 일측에는 혼합장치(24) 내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증기배출관(25)이 설치되며, 본체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는 컵취출구(30)의 오수 및 온수탱크(20)에서 넘치는 물이 모이도록 오수통(40)이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온수탱크(20)의 내측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히터(21)가 설치된다. 그리고, 물통(11)으로부터 연결된 급수관(12)은 차가운 물이 온수탱크(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열히터(21)를 통해 가열되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동절기에 급수관(12)의 결빙이 방지되도록 온수탱크(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 하부로 연장된다. 즉,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12)의 대부분이 온수탱크(2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결빙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은(12) 온수탱크(2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도 내부의 열이 전달되어 결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전열성이 좋은 동관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수탱크(20)의 상단부 일측에는 가열히터(21)를 통해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온수 공급관(23)이 연결되고, 온수 공급관(23)보다 좀더 높은 위치에는 넘치는 물과 증기 등이 배출되도록 오버플로우관(26,over flow)이 설치된다. 또한, 온수탱크(20)의 내부에는 늘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위감지장치(2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급수되는 물의 유입구가 온수탱크(2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게 하고, 배출구가 상부에 설치된 것은, 급수관(12)을 통해 유입된 차가운 물이 하부에서 가열이 되어 상부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한 것이고, 또한, 온수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늘 고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사용자가 음료 투출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컵 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컵취출구(30)에 빈 컵이 공급되고, 이 컵에 온수탱크(20)에서 가열된 물이 원료 혼합장치(24)를 경유하면서 원료인 커피, 차 등이 혼합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온수탱크(20)의 물이 배출되어 수량이 줄어들게 되면, 물통(11)의 물이 급수관(12)을 통해 온수탱크(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온수탱크(20)가 항상 충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온수탱크(20) 내의 물은 가열히터(21)에 의해 늘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온수탱크(20)와 연결되는 급수관(12)이 온수탱크(20)의 상부를 통하여 내부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동절기가 되더라도, 급수관(12)의 결빙이 방지되게 된다.
즉, 종래의 급수구조는 물통(11)과 연결되는 급수관(12)이 온수탱크(20)의 외측 하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동절기가 되면 주변의 차가운 온도에 의해 쉽게 결빙이 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고안은 급수관(12)이 가열된 온수탱크(20)의 내부에 위치됨으로 해서 결빙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12)은 전열성이 우수한 동관으로 마련됨에 따라 온수탱크(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급수관(12)의 결빙도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이 온수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동절기가 되더라도 급수관의 결빙이 방지되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물통(11)과, 상기 물통의 물을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가열히터(21)가 설치된 온수탱크(20)와,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온수탱크로 안내되도록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급수관(12)을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2)은 상기 온수탱크(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진입되며 상기 온수탱크의 내측 하부로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KR2019980011028U 1998-06-24 1998-06-24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KR200000013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28U KR20000001329U (ko) 1998-06-24 1998-06-24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28U KR20000001329U (ko) 1998-06-24 1998-06-24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29U true KR20000001329U (ko) 2000-01-25

Family

ID=6951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028U KR20000001329U (ko) 1998-06-24 1998-06-24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3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40B1 (ko) * 2009-02-12 2009-07-22 조종현 정수기용 온수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40B1 (ko) * 2009-02-12 2009-07-22 조종현 정수기용 온수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91512Y (zh) 电热开水机
US4602145A (en) Tap-off hot water system for electric beverage making device
CA2246816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U598618B2 (en) A coffee or tea brewing machine
TW201437560A (zh) 開飲機
CA2206347C (en) Water heating system for water dispensing fountains
US6889600B2 (en) Drinks dispensing machine
CA2342182C (en) Steam generator with at least partially double-walled evaporation tank
KR20000001329U (ko)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EP1748027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refrigerated drinks
JP3886282B2 (ja) 飲料供給装置
KR19990001072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 및 디스펜서
CN208693001U (zh) 饮水机
GB2286179A (en) Water storage tank arrangement
EP1424308A1 (en) A drinks dispensing machine
JPH113509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JP3833620B2 (ja) ペットボトル温水器およびジョイントキャップ
JP3159408U (ja) 温水タンク
JPH0537346Y2 (ko)
KR0124328Y1 (ko) 정수기 동파방지장치
KR200144820Y1 (ko) 자동판매기의온수탱크내압력조절장치
JP2591618Y2 (ja) コーヒー沸し器
JP2584001Y2 (ja) 冷水機付き飲料製造機
RU20807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ения животных
JPH0318320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83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