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8638A - 워엄기어유니트 - Google Patents

워엄기어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638A
KR19990088638A KR1019990019391A KR19990019391A KR19990088638A KR 19990088638 A KR19990088638 A KR 19990088638A KR 1019990019391 A KR1019990019391 A KR 1019990019391A KR 19990019391 A KR19990019391 A KR 19990019391A KR 19990088638 A KR19990088638 A KR 1999008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worm gear
worm
p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트마 간저
Original Assignee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filed Critical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Publication of KR1999008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23Shaft end sealing means, e.g. cup-shaped cap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worm gear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9/00Setting pre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1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 F16C2380/27Motor coupled with a gear, e.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56Adjustable
    • Y10T74/19585Fixed 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워엄 축을 가진 워엄 기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워엄 축은 유격을 설정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일단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유격이 설정된 후에 영구적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워엄 기어 유니트 {WORM GEAR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따른 워엄 기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 198 11 977.1호(출원일: 1998년 3월 19일)에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워엄 기어 유니트는 표준 기어 유니트로서 분류되어 있으며 전송비를 가장 광범위하게 변경하여 여러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셀프 로킹 기능의 유무에 무관하게 워엄 기어 유니트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용도에서는, 예를 들면 워엄 기어 유니트가 전기 조향 보조 장치내에서 스텝-다운 기어 유니트로서 사용될 때, 출력부로 유격이 없이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워엄 기어 유니트의 유격을 약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유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능한 방법으로서 워엄 기어 유니트의 워엄 및 워엄 기어를 고정밀도로 제조하는 것 또는 일정한 톱니 측면 형상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복잡하며 이에 따라서 워엄 기어 유니트를 정밀하게 대량 생산하는 동안에 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가며 특히, 자동차에 전기 조향 보조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엄 기어와 워엄 사이의 유격을 특히, 대량 생산 상황하에서 단순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는 워엄 기어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경우에 정밀 설계 기술에 관한 많은 요구 사항들이 기어 유니트의 부품에 부과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워엄축의 경우에 있어 유격을 설정하기 위하여 워엄 기어 유니트의 워엄축상에서 작용하는 수단이 제공되는데, 이 수단은 축방향으로 상기 수단(동시에 워엄축의 회전은 계속 보장된다)에 의해 일단 설정 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유격이 설정된후에 영구적으로 설정된다. 그 결과로써, 예를 들면, 통상적인 스퍼 또는 헬리컬 기어 시스템을 가지는 워엄 기어 유니트를 조립한 후에, 워엄 기어 유니트는 유격을 신속하게 설정하는 것은 워엄 기어 유니트로부터의 유격을 제거할 정도의 힘을 가진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워엄 축에 의해 가능하다. 유격이 설정된 후에 상기 수단은 영구적으로 고정되며, 한편 이 때문에 상기 수단은 유격이 다시 일어날지도 모르는 작동 동안에 더 이상 헐거워 지지 않으며, 유격이 다시 일어날 것이다. 다른 한편, 영구적인 설정은 제조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단순하게 실현되며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유격이 설정된 후에 로크 너트로 로크되는 나사에 의해 유격을 설정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수단이 필요 없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단을 영구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수단은 예를 들면, 접착제 본딩, 브레이징, 용접 또는 대응하는 짝결합 부분에 대한 수단 등이 있다. 특히, 영구적인 고정이 마찰 그립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이러한 방법은 매우 유리하다. 그 이유는 유격의 설정 때문에 폼그립(form grip)이 여기서는 전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수단을 영구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단과 대응하는 짝결합 부분을 함께 압착, 가압, "크러싱" 등을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폼 그립이 얻어진다. 상기 가능한 수단들의 조합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에 있어서, 워엄 기어 유니트는 공지의 방법으로 하우징에 배열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대응 부분)상에 지지될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결과, 콤팩트형 구조체가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있어서, 수단용 리셉터클은 하우징을 제조하는 동안에 미리 제공될 수도 있다. 워엄 기어 유니트를 하우징에 설치한 후에, 하우징은 제조 유니트의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유격이 설정되고 그 다음에 수단이 제조 단계중에 영구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이 방법은 또한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지며, 상기 핀은 유격이 설정된 후에 특히,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핀을 사용하는 것은 한편으로, 상기 핀이 통상적인 바아 또는 튜브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내에 적어도 하나의 핀을 위한 리셉터클은 구멍으로 간단히 설계될 수도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핀이 바람직하게는 마찰 그립에 의해 하우징내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것이기 때문에, 핀 및/또는 하우징내의 리셉터클의 설계에 매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워엄축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간단한 설계는 워엄축이 워엄축의 한단부와 상기 수단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마모가 일어나게 할 정도로 과도하게 높은 축방향력을 받지 않을 때 특히 적절하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워엄축이 수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워엄축에 적용되는 힘(예를 들면, 스프링력)을 가진다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일정한 마찰력이 워엄축의 한단부와 수단 사이의 접촉 영역내에서 생성될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력은 높은 마모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수단은 워엄축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상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는 수단이 워엄축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워엄축 자체로 베어링에서 지지될뿐만 아니라 유격이 이러한 베어링을 통하여 설정되며, 이 때문에 워엄축의 해당 단부와 유격을 설정한 후에 영구 설정 수단들 사이에서 마찰력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마모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핀은 워엄축과 같이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축방향 베어링은 워엄축과 수단(상기 핀)의 한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워엄 축, 축방향 베어링과 수단(핀)은 워엄축의 종축방향으로 차례로 정렬되어 배열되어 있으며, 유격을 설정하기 위하여 워엄축상에서 핀의 힘과 축방향 베어링을 거쳐 워엄축상에 작용하는 유격을 설정하기 위한 힘이 최적으로 작용되고, 이 때문에 마모와 마찰이 회피된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나오는 길고 편평한 구조인 기하를 가진 이러한 장치는 워엄축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내에서 이러한 워엄 기어 유니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문에 이러한 기하는 이용 가능한 구조 공간에 따라 잇점을 가질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핀은 축 방향 및/또는 압축 링을 거쳐 워엄 축의 래디얼 베어링상에서 작용하는 수단, 워엄 축의 종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래디얼 베어링은 워엄 축을 장착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워엄 축의 유격을 설정하는데에도 이용된다. 압축 링은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수단(핀)에 의해 압축 링에 적용되는 힘을 가지며, 다른 한편 수단의 힘을 래디얼 베어링의 외주를 거쳐 워엄 축에 전송하기 위하여 볼 베어링으로써 설계된 래디얼 베어링의 외측 링상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일정 크기로 집중된 적용력은 워엄 축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힘영역으로 전송되고, 워엄 축으로 전송되므로 바람직하며, 신속한 설정은 또한 오직 하나의 핀만을 사용하여 보장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래디얼 베어링의 외측 외주에 두 개 이상의 핀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들 핀들은 유격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신속 설정의 잇점을 가지고 있으면서 압축 링을 없앨수 있는 잇점이 있고, 오직 하나의 핀만을 가진 형식과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경량이므로 최적 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개선에 있어서, 압축 링은 ㄷ자형 또는 아치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ㄷ자형 설계는 제조가 간단한 잇점을 가지며, 아치형 설계는 또한 워엄 기어 유니트가 작동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힘의 조건에 맞도록 구부러지는 잇점을 가지며, 이에 의해 일정한 탄성은 충격 부하와 온도 변화에 따라 재질의 팽창 또는 수축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에 있어서, 핀은 적어도 하우징의 구멍 영역에 너얼링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우징은 구멍 영역내에 부시형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는 하우징의 제조 단계에서 구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격이 설정된 후에, 힘은 부시형 돌출부에 적용되고, 이러한 힘은 돌출부의 외주에 작용하는 힘 또는 돌출부의 외주 전체에 작용하는 힘으로 집중되고, 그 결과로서 부시형 돌출부와 핀이 함께 가압되고 이에 의해 영구적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핀의 너얼링은 핀이 가압된 후에 하우징에 설정되도록 연결되는 잇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에서, 핀은 워엄 축 방향으로 하나의 포인트의 형태로 돌출부를 가진다. 핀을 삽입하고 유격을 설정하고 핀을 영구적으로 설정한 후에, 특히 포인트인 상기 돌출부는 그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돌출부의 목적은 워엄 기어 유니트의 부품이 온도 변화(특히, 부품의 재질의 선택에 따라 온도의 증가뿐만아니라 온도의 감소)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을 할 때 돌출부가 변형(압축), 특히 소성적으로 변형되며, 이 때문에 재질이 팽창되는 것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돌출부는 워엄 기어 유니트 또는 베어링의 기능 저하 또는 손상으로 인도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돌출부는 핀을 가지고 일편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핀에 설정되는 돌출부를 또한 고려할 수도 있다. 돌출부는 힘이 워엄 기어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동안에 작용될 때 돌출부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 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결과로써 힘이 발생할 때 변형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핀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히 핀의 형태로 돌출부를 가지도록 수단의 방향 특히, 핀 방향으로 압축링(다르게는 압축링과 핀)이 제조된다. 이미 행해진 핀에 관한 평가는 이 경우에도 적용된다.
자동차의 전기 조향 보조 장치에 워엄 기어 유니트가 사용되면 매우 바람직한데, 이는 왜냐하면, 이 경우에 있어서, 작동기,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 회전이 스텝-다운 방식으로 조향 칼럼으로 전송되고 조향륜의 조작의 기능으로써 활성화되며, 작동기에 의해 차량의 조향 운동을 생성하게 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 조향 보조 장치용 워엄 기어 유니트가 예증적인 실시예에 또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워엄 기어 유니트는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더라도 다소의 잇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도 1은 전기 조향 보조 장치의 예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원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4는 핀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전기 조향 보조 장치 11: 설정자
12: 전기 모터 14: 워엄 기어 유니트
16: 조향 칼럼 18: 워엄
20: 워엄 축 21: 회전자
22: 워엄 기어 24: 하우징
26: 볼 베어링(래디얼 베어링) 28: 외측 링
30: 내측 링 32: 압축 링
34: 핀 36: 너얼링
40: 요홈 42: 압축 링
44: 포인트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전기 조향 보조 장치(10)의 예증적인 실시예가 도 1 에 도시된다. 전기 조향 보조 장치(10)는 전기 모터(12)를 가지고 있으며, 모터는 설정자(11)를 가지며 워엄 기어 유니트(14)를 거쳐 자동차의 조향 칼럼(16)을 조력한다. 워엄 기어 유니트(14)는 전기 모터(12)의 회전자(21)와 똑같이 워엄축(20)(동시에 모터축도)상에 회전 설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워엄(18)과, 조향 칼럼(16)에 회전 설정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워엄 기어(22)로 이루어져 있다. 예증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18)은 워엄 축(20)에 의해 직접 회전되고; 그러나, 다른 몇가지 방법으로 워엄축(20)에 회전 설정되도록 연결 또는 워엄축(20)상에서 워엄을 분리하도록 수축 하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워엄 기어 유니트(14)는 커브를 통과한 후에 되돌아오는 조향 장치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셀프-로킹되도록 설계되지 않으나; 이와는 다르게 셀프-로킹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전기 조향 보조 장치(10)의 하우징(24)상에 워엄 축(20)을 장착하는 것은 전기 모터(12)의 회전자(21)와 워엄(18) 사이와 워엄(18)의 다음의 워엄 축(20)의 자유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볼 베어링(26)(일반적으로 래디얼 베어링)을 거쳐서 달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26)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는데; 다른 배열이 가능한데: 즉, 각 경우에 있어서 워엄축(20)의 최단부에 두 개의 베어링과 각 경우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베어링은 설정자(11)의 오른쪽과 왼쪽에 배열되고,-도면에서 볼때-그 결과로써 설정자(11)에 관하여 회전자(21)의 축방향 변위가 가능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설정자(11)와 회전자(21)사이에 공기 갭이 있다. 또한, 특히 워엄축(20)이 매우 긴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장착된 것 이외의 적어도 제 3의 베어링이 편향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워엄축(20)의 최단부에서-도면에서 볼때-설정자(11)의 오른쪽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의 원내의 상세(도 1의 오른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있어서, 워엄축(20)의 오른쪽 단부는 볼 베어링(26)으로 설계된 래디얼 베어링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원내의 상세를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도 1 의 원내에 있는 부품들의 제 1 구성을 도시한다. 볼 베어링(26)은 워엄축(20)의 단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베어링(26)은 공지의 외측 링(28)과 내측 링(30)을 가지고 있다. 외측 링(28)의 외측 외주에서 작용하는 것은 압축링(32)이며, 압축링은 볼 베어링(26)의 외측 링(28)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외측 직경을 가진다. 하우징(24)의 부시형 돌출부(36) 에 삽입될 수 있는 핀(34)은 워엄 축(20)의 축방향 유격을 설정하기 위하여 외측 링(28)상에서 작용한다. 핀(34)은 적어도 부시형 돌출부(36)의 영역내에 너얼링(38)을 가지며, 돌출부(36)의 외측 외주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홈(40)은 부시형 돌출부(36) 영역내에 구비된다. 요홈(40)은 또한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때문에 부시형 돌출부(36)만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워엄 기어 유니트의 부품들이 조립된 후에, 핀(34)은 돌출부(36)(구멍)내로 삽입되고 돌출부(36)는 압축 링(32)에 대하여 핀(34)이 지지될때까지 이송된다. 워엄축(20)은 워엄 기어 유니트에서 유격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삽입되고 회전(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되며, 핀(34)은 손의 힘의 크기 정도의 힘으로 밀어지고 유격이 워엄 기어 유니트로부터 제거된 후에 영구적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핀(34)과 함께 돌출부(36)를 가압하도록, 특히 요홈(40)의 영역내에서 핀(34)방향으로 작용하는 추력을 돌출부(36)에 적용하여 달성된다. 돌출부(36)와 핀(34)사이에 나타나는 마찰 파지력은 너얼링(38)에 의해 증가된다. 요홈(40)을 방사 방향으로 감싸도록 작용하는 힘 대신에 돌출부(36)(또는 일반적으로 하우징(24)와 함께)와 함께 핀(34)을 가압하기 위하여 방사 방향의 힘을 집중식(예를 들면, 적절한 접촉부를 갖는 하나의 포인트 또는 두 개의 포인트,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포인트들)으로만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워엄 기어 유니트 특히, 전기 조향 보조 장치를 정밀하게 대량 생산하는 동안에 제조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의 원내의 상세와 동일한 부품들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며, 도면의 부품들은 도 2에서와 동일한 부품들이며, 압축링(42)은 아치 모양이며, 압축링(42)은 볼 베어링(26)의 외측 링(28)에 대하여 압축링의 외주 단부 표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핀(34)은 핀으로부터 이격된 압축 링(42)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아치형은 워엄 축(20)을 축방향으로 양호하게 지지 하는 잇점을 가지며, 이미 설명된 압축 응력과 유격을 보상하도록 제공된다.
도 4는 핀(34)의 상세를 도시하며, 상기 핀은 포인트(44) 형태의 돌출부를 가진다. 삽입하여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될 때, 포인트(44)의 형상은 유지되고 워엄 기어 유니트(특히 워엄축(20))의 부품들만이 온도가 변하는 동안에 팽창되어 변형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유격에 대한 공차는 포인트(44)가 변형되어 달성되며 설명된 경우에 유격에 대한 공차는 압축 링(32)상에 또한 배열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링(32) 또는 핀(34)상에 있는 돌출부는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다면 다른 기하학적 형상 또는 다른 형태의 조합을 물론 가질 수도 있다. 압축 링(32)과 핀(34)에 대한 돌출부의 결합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예를 들면, 포인트(44)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삽입체를 압축 링(32)과 핀(34) 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체는 워엄 기어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동안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성질을 가져야만 하며, 축방향력을 흡수하고 탄성 변형으로 인도되지 말아야 하며, 한편 탄성 변형은 축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에 발생하며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러한 조향 보조 장치의 워엄 기어 유니트에 고장이 일어나거나 또는 기능의 장애로 인도될 것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기능 장애 또는 안전에 관련된 문제를 포함하는 고장은 모든 가능한 수단에 의해 회피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워엄 기어와 워엄 사이의 유격을 특히, 대량 생산 상황하에서 단순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는 워엄 기어 유니트를 제공되며, 이 경우에 정밀 설계 기술에 관한 많은 요구 사항들이 기어 유니트의 부품에 부과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워엄 축(20)을 가진 워엄 기어 유니트(14)로서, 워엄 축(20)은 유격을 설정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일단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유격이 설정된 후에 영구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워엄 기어 유니트는 하우징(24)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수단은 하우징(24)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유격이 설정된 후에, 특히 하우징(24)에 영구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34)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워엄 축(20)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워엄 축(20)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상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핀(34)은 워엄 축(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축방향 베어링은 워엄 축(20)의 한 단부와 수단의 한 단부(핀)(34)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적어도 하나의 핀(34)은 축방향 및/또는 워엄 축(20)의 종축에 평행한 축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수단은 압축 링(32)을 거쳐 워엄 축의 래디얼 베어링(26)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압축 링(32)은 ㄷ자형 또는 아치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4)은 수단을 위한 리셉터클, 특히 핀(34)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핀(34)은 적어도 하우징(24)의 구멍 영역에 너얼링(38)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11.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워엄 축(20) 방향으로 핀(34)은, 특히 포인트(44)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12.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링(32)은 상기 수단의 방향, 특히 핀(34)의 방향으로, 특히 포인트(44)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1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34)은 손의 힘으로 하우징(24)의 구멍에 삽입되고, 워엄 축(20)의 유격은 핀(34)이 밀어주고 있는 동안에 설정되고, 그런 다음에 구멍의 영역에서 힘을 작용시킴으로서 하우징(24)과 함께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1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전기 조향 보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엄 기어 유니트.
KR1019990019391A 1998-05-30 1999-05-28 워엄기어유니트 KR19990088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4382.0 1998-05-30
DE1998124382 DE19824382A1 (de) 1998-05-30 1998-05-30 Schneckengetrie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638A true KR19990088638A (ko) 1999-12-27

Family

ID=786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91A KR19990088638A (ko) 1998-05-30 1999-05-28 워엄기어유니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72942B1 (ko)
JP (1) JP2000002316A (ko)
KR (1) KR19990088638A (ko)
DE (1) DE19824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1469B1 (fr) * 1997-11-27 2000-02-0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Motoreducteur pour l'entrainement d'equipements de vehicules tel que leve-vitre avec suppression du jeu axial de sa ligne d'arbre
DE10042106A1 (de) * 2000-08-26 2002-03-07 Valeo Auto Electric Gmbh Antriebsvorrichtung
JP3747152B2 (ja) * 2000-09-20 2006-02-22 光洋精工株式会社 ギヤ機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988519B2 (ja) * 2001-06-20 2007-10-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4382454B2 (ja) * 2003-11-28 2009-12-16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のギア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12076A1 (de) * 2004-03-12 2005-09-29 Robert Bosch Gmbh Rotationsantrieb
EP1771664A2 (de) * 2004-07-23 2007-04-11 Delphi Technologies, Inc. Pyrotechnischer aktor
JP4637550B2 (ja) * 2004-11-09 2011-02-23 高広工業株式会社 軸保持装置およびそれが用いられた回転伝達装置
JP4878458B2 (ja) * 2005-08-26 2012-02-15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ギヤードモータ
US7721616B2 (en) * 2005-12-05 2010-05-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prung gear set and method
DE102005062866A1 (de) * 2005-12-29 2007-07-0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Axialspielausgleich, sowie Herstellungsverfahren einer solchen
US8250940B2 (en) * 2006-07-20 2012-08-28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act between members in operable communication
DE102006049808C5 (de) 2006-10-17 2018-05-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getriebe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DE102007052057A1 (de) * 2007-10-30 2009-05-07 Valeo Systèmes d'Essuyag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für 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bzw. Montieren eines solchen Antriebs
US8011265B2 (en) * 2008-02-11 2011-09-06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Modular power actuator
IT1398116B1 (it) * 2009-06-25 2013-02-07 D D S R L Meccanismo di movimentazione ed impianto solare utilizzante tale meccanismo
US9027436B2 (en) 2010-06-22 2015-05-12 Cts Corporation Rotor/shaft pin coupling assembly for pedal assembly
DE102010030373A1 (de) * 2010-06-23 2011-12-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DE102013102555A1 (de) * 2013-03-13 2014-09-18 Valeo Systèmes d'Essuyage Scheibenwischermotor
ITTO20130741A1 (it) * 2013-09-12 2015-03-13 Skf Ab Tappo terminale di bloccaggio per un cuscinetto di rotolamento e dispositivo di supporto per un assale ferroviario con esso equipaggiato
DE102013020599B4 (de) 2013-12-13 2020-06-10 Thyssenkrupp Presta Ag Verfahren zum Einlaufen eines Schneckenradgetriebes
DE102016202958A1 (de) * 2016-02-25 2017-08-3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sowie Getriebe-Antriebseinheit enthaltend eine solche Maschine
FR3058007B1 (fr) 2016-10-25 2019-07-12 Moteurs Leroy-Somer Machine avec systeme de blocage axial de l'arbre
DE102019210492A1 (de) * 2019-07-16 2021-01-2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r Welle in einem Verstell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1968A (en) * 1943-02-18 1944-02-15 Gen Electric Induction voltage regulator
US2534536A (en) * 1949-10-14 1950-12-19 Olive B Staude Manually controlled electric power assistor
US3285630A (en) * 1963-11-14 1966-11-15 Benjamin W Brundage Torque arm swivel unit
DE1231517B (de) * 1964-04-25 1966-12-29 Siebeck Metallwerk G M B H Motorischer Stellantrieb fuer Ventile od. dgl. mit Schneckengetriebe
IT950189B (it) * 1972-03-15 1973-06-20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per guidare e per ri prendere il gioco assiale delle viti dei riduttori a vite senza fine particolarmente per motori duttori di piccola potenza
DE3434905A1 (de) * 1984-09-22 1986-04-03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Antriebseinheit, insbesondere zum verstellen von fensterscheiben, schiebedaechern, sitzen und aehnlichen kraftfahrzeugteilen
JPH07106044B2 (ja) * 1990-11-16 1995-11-13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モータ出力軸位置決め装置
US5186068A (en) * 1991-06-20 1993-02-16 Peerless-Winsmith, Inc. Gear reducer with backlash eliminator
JP3104385B2 (ja) * 1992-03-05 2000-10-30 株式会社ニコン 測量機の粗微動装置
JP3379092B2 (ja) * 1994-02-04 2003-02-17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242551A (ja) * 1995-03-01 1996-09-17 Jidosha Denki Kogyo Co Ltd 小型モータ
DE19508306A1 (de) * 1995-03-09 1996-09-12 Bosch Gmbh Robert Antriebsaggregat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smotorr und einem diesem nachgeordneten Schneckengetriebe
DE19508556C2 (de) * 1995-03-10 1997-02-20 Webasto Karosseriesysteme 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Schiebedächern, Fensterhebern oder dergleichen
DE19513970C2 (de) * 1995-04-13 1998-07-16 Webasto Karosseriesysteme 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Schiebedächern, Fensterhebern und dergleichen
DE19607336A1 (de) * 1996-02-27 1997-08-28 Krais Martin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Position, oder des Spiels, eines Lagers
GB2327652B (en) * 1997-05-29 2001-04-18 Nsk Ltd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2942B1 (en) 2001-08-14
JP2000002316A (ja) 2000-01-07
DE19824382A1 (de) 199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8638A (ko) 워엄기어유니트
US7559266B2 (en) Telescopic shaft
US7416199B2 (en) Steering device for motor vehicle
KR102281674B1 (ko) 자동차의 감속기
US10689023B2 (en) Rack-and-pinion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09311505B (zh) 具有用于使滚珠返回的偏转本体的机电动力转向装置的滚珠丝杠传动件
US20080223160A1 (en) Feed screw mechanism
JP2009541145A (ja) 回転継手を介して駆動可能な自動車の車輪ボスの軸受装置
US5983742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device with split roller rack bar support
WO2020039668A1 (ja) 転がり軸受の予圧方法、軸受予圧装置、軸受組立体、機械及び車両
US20180216666A1 (en) Bearing arrangement
CN100406761C (zh) 用于转动体的支承结构
EP2657105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11017004B (zh) 电子动力转向装置的降噪结构
CN111788401A (zh) 轴承装置
KR20070062954A (ko) 조절 장치를 갖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07215384B (zh) 车辆转向机构
JP5015751B2 (ja) シャフトの結合構造
KR20060126484A (ko) 래크를 가압하는 장치
JP722226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89304B1 (ko) 랙바 지지장치
JP4574228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用ボールねじ
CN113492904A (zh) 径向预加载的齿条轴承
JP202017217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733480A1 (en) Ball screw device and ste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