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7732A - 휴대전화용어댑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732A
KR19990087732A KR1019980707201A KR19980707201A KR19990087732A KR 19990087732 A KR19990087732 A KR 19990087732A KR 1019980707201 A KR1019980707201 A KR 1019980707201A KR 19980707201 A KR19980707201 A KR 19980707201A KR 19990087732 A KR19990087732 A KR 19990087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signal
digital
cellular phon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체크린
Original Assignee
유나에프 아나톨리
멈 월드 엔터프라이시스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에프 아나톨리, 멈 월드 엔터프라이시스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유나에프 아나톨리
Publication of KR1999008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11,12)와 휴대전화 외부장치간의 호환가능한 통신을 제공하는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전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아날로그 휴대전화(11)이거나 또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디지털 휴대전화(12) 중 하나이고, 상기 어댑터(10)는 휴대전화(11,12)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13),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출력 커넥터(14) 및 상기 입력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로부터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전송기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전송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출력 커넥터(14)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장치와 호환가능한 사전설정된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외부 장치(14)로부너 수신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의 수신기와 호환가능한 사전설정된 아랄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로 각 각 변환시키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사전설정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는 다수의 여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에 관련된 여러 신호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전설정된 신호로부터 선택되며, 전력공급수단이 연결되어서 특정 전력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입력 커넥터(13)에서 상기 어댑터(10)와 연결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어댑터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와 핸즈프리 키트(hands free kit)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와 같은 셀룰러 외부 장치사이를 접속하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즈프리 동작 키드와 같은 휴대전화의 여러 제품 또는 모델용 외부 장치들은 다른 휴대전화용 여러 제품 또는 모델과는 일반적으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과 휴대전화의 전송기로부터 수신기까지의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휴대전화의 제품 또는 모델의 범위 차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휴대전화와 외부 장치간의 음향 링크(acoustic link)를 사용하는 휴대전화 외부 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 있어왔다. 그러한 제안은 "음향 결합" 은 음향 "잡음"에 매우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음향 잡음의 존재는 핸즈프리 키트를 사용할 때 전기적 접속을 요구하는 "on-air" 또는 "call-in" 등의 외부 장치에 관련된 많은 유용한 특징들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휴대전화와 핸즈프리 키트 또는 어떤 유사한 장치와 같은 셀룰러 외부 장치간을 접속하여 휴대전화의 여러 제품 또는 모델을 그 외부 장치와 접속할 수 있 휴대전화 어댑터의 필요가 있게되었다. 이 어댑터는 휴대전화 사용자가 호환성 없는 핸즈프리 키트의 휴대전화의 특정 제품 또는 모델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비록 앞으로의 설명 및 이후 설명에서는 주로 휴대전화용 핸즈프리 키트가 언급되겠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전기통신 장치 및 장비 그리고 여러 비표준 신호와 호환가능한 장치 및 장비들에게도 확장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 셀룰러 외부 장치간을 연결하여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충분히 극복 또는 개선하는 휴대전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휴대전화 어댑터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적절한 실시예의 휴대전화 어댑터의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 및
도 2는 수정된 자동차 라디오 수신기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 도 1의 휴대전화 어뎁커의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휴대전화와 휴대전화 외부 장치간의 호환가능한 통신을 위한 휴대전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상기 휴대전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아날로그 휴대전화이거나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디지털 휴대전화 중 하나이고, 상기 어댑터는 휴대전화가 접속되는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출력 커넥터, 상기 입력 커넥터에서 접속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상기 전송기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특정 전력 요구에 따라 입력 커넥터에서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에 전력을 제공하기위해 연결된 전력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상기 전송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출력 커넥터로 공급되어 사전설정된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호환가능하게 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사전설정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변환된 신호가 각 각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의 수신기와 호환가능하게 되고, 상기 사전설정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는 다수의 여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에 관련된 여러 신호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전설정된 신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휴대전화용 어댑터(10)는 자동차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위 핸즈프리 키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셀룰러 외부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전화 어댑터(10)는 함께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휴대전화가 그것과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 장치와 연결된다. 이것은 휴대전화가 아날로그 네트워크 또는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경우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휴대전화는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휴대전화(11) 및 디지털 휴대전화(12)로 언급된다.
어댑터(10)는 아날로그 휴대전화(11)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2)가 연결될 수 있는 입력 커넥터(13) 및 셀룰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출력 커넥터(14)를 포함한다. 실제 연결 핀 및 수화기대(도시되지 않음)는 다양한 제품 및 스타일의 무선 송수화기 및 그것을 위한 외부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어댑터(10)는 또한 그 내부 구성요소로서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15),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7),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18), 전력 공급/배터리 충전기(19), 제어 회로(21), 및 제어 회로 셀렉터(22)를 포함한다.
만일 휴대전화가 아날로그 휴대전화(11)인 경우, 그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커넥터(13)를 통해 어댑터(10)와 연결된다. 그 전송기(TX)는 외부 장치와 번갈아서 연결되는 출력 커넥터(14)와 내내 연결되는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15)와 내내 연결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15)에 의해 아날로그 휴대전화(11)로부터 수신된다.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15)는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기/감쇠기 장치의 그 기본 형태를 갖고, 그 입력에서 아날로그 휴대전화(1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에 종속적이며,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그 출력에서 사전설정된 값으로 생성하고, 그것은 외부 장치로 제공된다.
아날로그 휴대전화(11)의 수신기(RX)는 출력 커넥터(14)와 번갈아서 연결되는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와 내내 연결된다.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에 의해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 커넥터(14)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역시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기/감쇠기 장치로 그 기본 형태를 갖는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에 의해 프로세스된다.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의 입력으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그 출력에서 아날로그 휴대전화(11)의 수신기(RX)로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가 특정한 제품 또는 모델의 아날로그 휴대전화(11)에 의해 요구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값이 되도록 변조된다.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5,16) 모두 그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로 제어 회로(2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회로 셀렉터(22)는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5,16)의 작동을 조정하고 어댑터(10)의 정합 작동을 위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 회로(21)에 의해 사용될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 회로(21)는 대개 여러 모양 및 모형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휴대전화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로 프로그램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제어 회로 셀렉터(22)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대개 이루어진다. 따라서 셀렉터(22)는 제어 회로(21)가 어댑터(10)와 함께 사용되는 모양 및 모형의 아날로그 휴대전화(11) 및 핸즈 프리 키트과 같은 외부 장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5,1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배치한다. 셀렉터(22)는 아날로그 전화(11)의 모양 및 모형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각각 다른 모양 및 모형의 전화는 그들이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어댑터(10)와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어 회로(21) 및 셀렉터(22)내에 인스톨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EPROMs과 같은 다른 배치 및 스위치 뱅크상에서 온/오프 설정의 조합을 변경하므로써 선택이 이뤄지는 경우에서의 스위치 뱅크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스위치는 제어 회로(21) 및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5,16)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휴대전화(11)가 사용중인 경우, 아날로그 휴대전화(11)에 의해 생성된 통화/전파방송중 신호는 휴대전화의 모양 또는 모형에 따라 그 논리 상태(로우/하이)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휴대전화(11)의 c/o(call/on output)는 수신된 신호가 프로그램된 논리 상태와 비교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셀렉터(22)에 의해 선택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로 인스톨되는 것에 의해 제어 회로(21)와 연결된다. 만일 통화/전파방송중 신호가 제어 회로(21)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통화/전파방송중 신호는 제어 회로(21)로부터 출력 커넥터(14)로 제공된다. 이러한 외부 장치로 제공된 통화/전파방송중 신호는 항상 어댑터(10)의 작동을 위해 선택된 것과 동일한 논리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된 논리 상태는 신호내 통화가 외부 장치에 의해 수신된 경우 특정한 아날로그 휴대전화(11)와의 어댑터(10)의 작동을 위해 요구된다.
만일 휴대전화가 디지털 휴대전화(12)인 경우, 그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커넥터(13)를 통해 어댑터(10)와 연결된다. 디지털 휴대전화(12)의 전송기(TX)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 커넥터(14)와 연결된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15)와 번갈아서 연결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7)와 내내 연결된다. DAC(17)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아날로그 프로세서에 의해 변조된다. DAC(17)의 디지털 포맷은 본 명세서에서 인스톨된 데이터에 기초하고 셀렉터(22)에 의해 선택된 바와 같이 수신된 제어 신호로 제어 회로(21)에 의해 제어된다. DAC(17)의 디지털 포맷은 디지털 휴대전화(12)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신호와 매치된다.
디지털 휴대전화(12)의 수신기(RX)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 커넥터(14)와 연결되는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와 번갈아서 연결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8)와 내내 연결된다. 외부 장치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에 의해 프로세스되고, 디지털 휴대전화(12)의 수신기(RX)와 호환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ADC(18)로 제공된다. ADC(18) 및 제 2 아날로그 프로세서(16)의 작동은 디지털 방식으로 엔코드된 신호가 디지털 휴대전화(12)에서 호환가능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셀렉터(22)에 의해 선택된 바와 같은 제어 회로(21)에 의해 제어된다.
어댑터(10)는 또한 아날로그 휴대전화(11)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2)인 휴대전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력 공급/배터리 충전기(19)는 입력 커넥터(13)와 출력 커넥터(14) 사이에서 연결되고, 상기한 방법에 따라 셀렉터(22)에 의해 선택된 바와 같은 제어 회로(21)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 공급/배터리 충전기(19)는 제어 회로(21) 및 셀렉터(22)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그 요구에 따라 휴대전화(11,12)로 전력을 공급한다.
어댑터(10)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는 변경된 자동차 라디오(30)가 어댑터(10) 및 핸즈 프리 키트와 같은 외부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해 그와 연결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예에 도시되어 있다. 변경된 자동차 라디오(30)는 자동차에 사용자가 그 내부에서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는 임의의 갯수의 여러 모양 및 모형의 휴대전화와 작동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는 휴대전화 핸즈 프리 작동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자동차에 장작될 수 있다.
어댑터(10) 및 그와 연결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를 갖는 수정된 자동차 라디오(30)가 도 2에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수정된 자동차 라디오(30)는 점선의 박스로 도시된 추가 구성요소(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 구성요소(31)는 레벨 검출기(32), 마이크로폰 증폭기(33), 및 릴레이 구동기(34)를 포함한다. 추가 마이크로폰(35) 또한 자동차 라디오(30)의 온/오프 스위치(36)가 사용되는 동안 제공된다. 또한, 변경된 자동차 라디오(30)는 릴레이(37), 튜너(38), 중간 주파수 증폭기(39), 상응하는 스피커(42,43)를 갖는 한쌍의 로우 주파수 증폭기(40,41)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의 전송기(TX)로부터의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댑터(10)에 의해 프로세스되고, 레벨 검출기(32) 및 릴레이(37)로 제공된다. 레벨 검출기(32)는 마이크로폰 증폭기(33)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음향 피드백을 감소시킨다. 릴레이(37)는 LF 앰프(40)중의 하나와 연결되고, 스피커(42)와 연결된다. 마이크로폰(35)은 마이크로폰(35)에 의해 수신된 음성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그 신호를 그로부터 전송하기 위해 어댑터(10)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12)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폰 증폭기(33)의 입력과 연결된다.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 또는 12)에서 나온 호출/온 신호는 어댑터(10)와 연결되어 필요에 의해 릴레이(7)를 동작하는데 사용되는 릴레이 구동기(34)로 전해진다. 그러면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 또는 12)의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LF 앰프(40) 및 스피커(42)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수정된 자동차 라디오(30)를 통해 들을 수 있게 한다. 일단 상기 릴레이 구동기(34)가 상기 릴레이(37)를 구동시키게 되면, 전력은 항상 접촉 번호(3,4)를 통해 VCC단자를 통해 제공된다. 이것은 LF 앰프(40)가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릴레이(37)가 구동되면 항상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은 전력이 상기 자동차 라디오(30)에서 끊어지면 동작하지 않게된다. 상기 릴레이(37)의 접촉 번호(5,6)은 LF 앰프(40,41)의 사전증폭기(도시하지 않음)를 중지시켜 단지 상기 어댑터(10)와 연결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11 또는 12)로부터 수신된 신호만이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42)를 통해 들릴 수 있게 한다.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릴레이(37)의 접촉(2)으로부터 상기 신호상에 적절히 사용되어 3.4㎑ 이상의 주파수를 억압하고 상기 신호를 음향 피드백 및 에코를 최소화 하기 위한 약 1와트의 전력레벨로 증폭하게 한다.
앞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일 뿐이고,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모뎀기능이 있는 직렬 포트 커뮤니케이터가 있는 직렬 포트 커넥터를 상기 어댑터 회로로 사용하여 컴퓨터, 테스트 장비, 등의 직렬 커뮤니케이터(RS232)가 있는 외부 장치를 상기 어댑터를 통해 휴대전화와 연결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휴대전화와 휴대전화용 외부 장치간의 호환가능한 통신을 위한 휴대전화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아날로그 휴대전화이거나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배치된 전송기 및 수신기가 있는 디지털 휴대전화 중 하나이고,
    상기 어댑터는, 휴대전화가 접속되는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출력 커넥터, 상기 입력 커넥터에서 접속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상기 전송기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특정 전력 요구에 따라 입력 커넥터에서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에 전력을 제공하기위해 연결된 전력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상기 전송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출력 커넥터로 공급되어 사전설정된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호환가능하게 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사전설정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변환된 신호가 각 각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의 수신기와 호환가능하게 되고, 상기 사전설정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는 다수의 여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전화에 관련된 여러 신호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전설정된 신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아날로그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전송기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에 앞서 디지털 휴대전화로부터 상기 전송기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처리된 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휴대전화의 타입 및 제품에 따라 선택된 제어 회로 및 선택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프로그램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스위치 뱅크를 구비하고, 선택은 상기 스위치 뱅크상의 온/오프 세팅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는 모뎀기능이 있는 직렬 포트 커뮤니케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KR1019980707201A 1996-03-08 1997-03-05 휴대전화용어댑터 KR19990087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47952/96 1996-03-08
AU47952/96A AU676977B1 (en) 1996-03-08 1996-03-08 Cellular phone adap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732A true KR19990087732A (ko) 1999-12-27

Family

ID=373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201A KR19990087732A (ko) 1996-03-08 1997-03-05 휴대전화용어댑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90228A4 (ko)
JP (1) JP2000506334A (ko)
KR (1) KR19990087732A (ko)
CN (1) CN1217105A (ko)
AU (1) AU676977B1 (ko)
BR (1) BR9709349A (ko)
CA (1) CA2248361A1 (ko)
IL (1) IL126330A0 (ko)
NO (1) NO984137L (ko)
RU (1) RU2146852C1 (ko)
WO (1) WO1997033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047A (ko) * 2000-06-30 2002-01-10 박순규 외부정보표시및 입력장치전용단자 설치 휴대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585B2 (ja) * 1998-02-10 2001-08-2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情報通信用アダプタ
US6615059B1 (en) 1999-01-27 2003-09-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interface
CN1367978A (zh) * 1999-06-01 2002-09-0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对多种免提通信附件的自适应技术
KR100677074B1 (ko) * 1999-11-01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신호 접속장치
US7283849B2 (en) 2001-01-18 2007-10-16 Andreas Peiker Assembly comprising a mobile telephone
US7248901B2 (en) 2001-01-18 2007-07-24 Andreas Peiker Arrangement for handling a communication device
CN102945016A (zh) * 2012-10-26 2013-02-27 天津津伯仪表技术有限公司 编码器/电位器通用混合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6473A1 (de) * 1988-03-01 1989-09-14 Licentia Gmbh Mobiles funktelefon
DE69218465T2 (de) * 1991-01-11 1997-07-03 Toshiba Communication Technolo Adapter zur Versorgung eines transportablen Funktelefons mit Spannung
US5479479A (en) * 1991-10-19 1995-12-26 Cell Port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and receiving signals having digital information using an air l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047A (ko) * 2000-06-30 2002-01-10 박순규 외부정보표시및 입력장치전용단자 설치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46852C1 (ru) 2000-03-20
NO984137D0 (no) 1998-09-08
EP0890228A1 (en) 1999-01-13
CN1217105A (zh) 1999-05-19
BR9709349A (pt) 1999-06-29
WO1997033384A1 (en) 1997-09-12
JP2000506334A (ja) 2000-05-23
IL126330A0 (en) 1999-05-09
EP0890228A4 (en) 1999-07-14
AU676977B1 (en) 1997-03-27
CA2248361A1 (en) 1997-09-12
NO984137L (no) 199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276B2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KR19990087732A (ko) 휴대전화용어댑터
JPH0773387B2 (ja) 携帯電話装置
US20040192404A1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JPH061396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806842B2 (ja) ブースター付きアンテナ切替ダイバーシティ方式用tdma携帯電話機
JPH10173745A (ja) カーオーディオ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188050Y1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헤드셋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JPH11196173A (ja) 通信装置
KR19980019647A (ko) 핸드프리 일체형 카스테레오
KR200165358Y1 (ko) 통화 음질 향상 키폰 라인 및 국선 라인 겸용 무선전화기의고정장치
KR950011081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핸드프리 통화장치
JPS61214643A (ja) ボタン電話装置
CN101138229B (zh) 用于产生听觉音调的电路设备和方法以及通信发送设备
KR100385336B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JP2525481Y2 (ja) 電話機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30097497A (ko) 무선통신을 위한 국선 전화기와 이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
JPH04170246A (ja) 車載用電話装置の音量制御回路
KR20000051993A (ko)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킷
JPH0520693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