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5489A -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489A
KR19990085489A KR1019980017932A KR19980017932A KR19990085489A KR 19990085489 A KR19990085489 A KR 19990085489A KR 1019980017932 A KR1019980017932 A KR 1019980017932A KR 19980017932 A KR19980017932 A KR 19980017932A KR 19990085489 A KR19990085489 A KR 1999008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ireless
wireless telephone
telephone system
se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하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1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489A/ko
Publication of KR1999008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89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전화기 본체와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로 이루어진다.
이 때, 무선전화기 본체는 통신포트를 가지고 있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시스템 통신포트,소정의 유/무선 선택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로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소정의 유/무선 선택부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동축 전화선을 통해 해당 전화국과 연결되거나 휴대폰을 통해 무선으로 해당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핸드세트들은 각각 유/무선 선택부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출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통신포트와 배터리 충전부를 무선전화기 본체와 소정의 연결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별개의 거치대에 장착되도록 구성하면, 보다 편리하게 무선전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을 사용하면, 무선전화 시스템 외에 별도의 휴대폰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한 대의 휴대폰을 여러 명이 공유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휴대폰과 무선전화 시스템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A wire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function of interfacing with a PCS phone or a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무선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 시스템에 연결되는 휴대폰이나 무선전화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무선전화 시스템, 즉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전화 시스템과 휴대폰을 이용한 통신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PCS 폰이나 셀룰라 폰과 같은 휴대폰(200)은 무선통신에 의하여 해당 기지국(300)과 통신하며, 일반 무선전화 시스템(100)은 동축 전화선(400)을 통하여 해당 전화국(500)과 교신한다.
한편, 무선전화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110)를 가지고 있어서,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때, 각 핸드세트(110)와 무선전화기 본체(120)는 보통 900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교신하며, 무선전화기 본체(120)는 여러 대의 핸드세트를 통해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한다.
종래에 이 핸드폰(200)과 무선전화 시스템(1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핸드폰(200)에 대한 충전기를 별도로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핸드폰(200) 사용시에는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110)를 통하여 여러 사용자가 무선전화 시스템(100)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 잇점을 가질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충전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무선전화 시스템(100)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가 휴대폰(200)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은, 통신포트를 가지고 있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시스템 통신포트, 소정의 유/무선 선택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가 구비된 무선전화기 본체와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를 가지고 있으며,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유/무선 선택부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동축 전화선을 통해 해당 전화국과 연결되거나 상기 휴대폰을 통해 무선으로 해당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핸드세트는 각각 상기의 유/무선 선택부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출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시스템 통신포트와 배터리 충전부는 무선전화기 본체와 별개로 구성되어, 무선전화기 본체와 소정의 연결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거치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무선전화 시스템과 휴대폰을 이용한 통신상태도,
도 2는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전화 시스템 110: 핸드세트
120: 무선전화기 본체 121: 거치대
122: 시스템 통신포트 123: 배터리 충전부
131: 스피커 132: 마이크
133: 기능 선택부 134: 유/무선 선택부
140: 다이얼 버튼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무선 정합부 200: 휴대폰
210: 휴대폰 통신포트 220: 휴대폰 배터리
300: 기지국 400: 동축 전화선
500: 전화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때, 임의의 휴대폰이 본 발명의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100:이하 무선전화 시스템이라 한다.)에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휴대폰에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접속할 휴대폰 통신포트(21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무선전화시스템(100)은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전화기 본체(120)는 휴대폰(200)과의 접속을 담당하는 거치대(121), 스피커(131), 마이크(132), 기능 선택부(133), 유/무선 선택부(134), 다이얼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무선 정합부(160)로 이루어진다. 이 때, 거치대(121)는 휴대폰(200)의 휴대폰 통신포트(210)와 연결되는 시스템 통신포트(122) 및 휴대폰 배터리(220)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부(123)로 구성된다.
먼저, 임의의 휴대폰(200)의 휴대폰 통신포트(210)가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시스템 통신포트(122)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동작내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처음에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무선전화기 본체(120)의 유/무선 선택부(134)를 조작하여, 휴대폰(200)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것인지, 아니면 무선전화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것인지를 설정한다. 이 설정에 의하여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통신신호가 동축전화선(400)을 통하여 입/출력될 것인지, 혹은 휴대폰(200)에 의하여 무선으로 입/출력될 것인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전화를 걸면, 설정된 입출력 경로를 통하여 해당 기지국(300)과 연결된다. 만일 사용자가 휴대폰(200)을 통한 무선통신 쪽으로 유/무선 선택부(134)를 조작하였다면, 사용자가 임의의 핸드세트(110)나 무선전화기 본체(120)를 가지고 통화를 시도하고 있더라도, 무선전화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폰(200)을 통하여 무선으로 기지국(300)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유선통신 쪽을 선택하였다면, 종래의 무선전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동축전화선(400)을 통하여 해당 전화국(500)과 연결된다.
한편,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경우에는, 휴대폰(200)과 무선전화기 본체(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즉 휴대폰(200)의 전화번호로 걸려 온 전화는 휴대폰(200)으로만 수신되고, 무선전화기 본체(120)로 걸려 온 전화는 무선전화기 본체(120)로만 수신된다.
물론, 실내에서 휴대폰(200)을 사용한 통화를 하면, 일반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통화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나, 휴대폰(200)의 사용요금이 감소되는 추세에 있고, 또한 한 대의 휴대폰(200)을 여러 명이 공유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 무선전화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정합부(160)는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110)와 무선전화기 본체(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보통 핸드세트(110)와 무선전화기 본체(120)는 900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교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LC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휴대폰(200) 및 핸드세트(110)의 통화상태, 다이얼 버튼(140)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입력한 번호, 혹은 유/무선 선택부(134)의 선택상태 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다이얼 버튼부(140)는 번호 '0'부터 '9'까지의 각 번호에 대한 버튼들과 '*' 버튼, '#' 버튼 등 소정의 버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는 전화를 걸 때, 이 다이얼 버튼부(140)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스피커(131)와 마이크(132)는 설정된 통신신호 입출력 경로에 접속되어, 스피커(131)는 통화내용을 출력하며, 마이크(132)는 통화내용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스피커 폰 기능을 담당한다.
기능 선택부(133)는 착신된 호에 대한 응답 및 다이얼 버튼부(140)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선택한 번호에 대한 통화시도를 위한 기능 키, 그리고 핸드세트 사이에서 내선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기능 키등으로 구성된다.
유/무선 선택부(134)는 전화를 걸 때, 휴대폰(20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무선전화기 본체(120)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휴대폰(200)을 이용한 통신 쪽으로 설정하였다면, 사용자가 임의의 핸드세트(110)를 통해 임의의 장소로 전화를 걸 때, 휴대폰(200)이 가동되어 무선에 의한 통신이 수행된다.
유/무선 선택부(134)의 한 구성예로서, 유/무선 선택부(134)는 푸시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푸시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유선모드를 선택하고, 눌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선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무선전화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핸드세트들은 무선전화기 본체(120)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도 유/무선 선택부(134)의 설정상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무선전화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핸드세트(110)를 통해서도 유/무선 선택부(134)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그 편리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즉, 유/무선 선택부(134)의 또 다른 구성예로서, 핸드세트(110)로부터 송출된 유/무선 선택부(134)에 대한 설정상태 제어신호가 무선전화기 본체(120)의 무선정합부(160)에서 수신되어 유/무선 선택부(134)로 전해지면, 이 신호에 따라 해당 설정상태로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거치대(121)는 시스템 통신포트(122)와 휴대폰 충전부(123)로 이루어진다.
통신포트(122)는 유/무선 선택부(134)가 휴대폰(200)을 통한 무선통신 쪽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무선전화기 본체(120)의 통신신호가 입출력될 포트로서,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폰(200)의 통신포트와 접속된다.
또한, 휴대폰 충전부(123)는 휴대폰(200)의 배터리(220)와 연결될 충전단자를 가지고, 이 충전단자는 무선전화기 본체(120)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어서, 휴대폰(200)을 거치대(121)의 충전단자에 연결시켜 놓으면, 휴대폰(200)의 배터리(220)가 충전된다.
이 때, 이 거치대(121)는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별도로 설치되어, 소정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100)을 사용하면, 무선전화 시스템(100) 외에 별도의 휴대폰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한 대의 휴대폰(200)을 여러 명이 공유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휴대폰(200)과 무선전화 시스템(100)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포트(210)를 가지고 있는 휴대폰(200)과 연결되는 시스템 통신포트(122), 소정의 유/무선 선택부(134), 휴대폰의 배터리(220)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123)가 구비된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하나 이상의 핸드세트(110)를 가지고 있으며,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유/무선 선택부(134)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동축 전화선(400)을 통해 해당 전화국(500)과 연결되거나 상기 휴대폰(200)을 통해 무선으로 해당 기지국(300)과 연결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핸드세트(110)는 각각 상기의 유/무선 선택부(134)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출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시스템 통신포트(122)와 배터리 충전부(123)는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별개로 구성되어, 무선전화기 본체(120)와 소정의 연결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거치대(121)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시스템.
KR1019980017932A 1998-05-19 1998-05-19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KR19990085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32A KR19990085489A (ko) 1998-05-19 1998-05-19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32A KR19990085489A (ko) 1998-05-19 1998-05-19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89A true KR19990085489A (ko) 1999-12-06

Family

ID=6589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32A KR19990085489A (ko) 1998-05-19 1998-05-19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4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104A (ko) * 1999-10-29 2001-05-15 서평원 무선전화기의 콜러 아이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66771B1 (ko) * 2000-06-30 2003-01-09 박성우 휴대전화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KR20030018952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KR20030065838A (ko) * 2002-02-01 2003-08-09 (주)두레테크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104A (ko) * 1999-10-29 2001-05-15 서평원 무선전화기의 콜러 아이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100366771B1 (ko) * 2000-06-30 2003-01-09 박성우 휴대전화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18952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KR20030065838A (ko) * 2002-02-01 2003-08-09 (주)두레테크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6073031A (en) Desktop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JPH0815267B2 (ja) 無線電話機
US6366784B1 (en) Mobile phone extension set
JPH09321848A (ja) 携帯通信機
US20020160791A1 (en) Cellular attachable cordless telephone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JPH0799686A (ja) 無線電話装置
JPH09224075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JPS63222526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18516A (ko) 휴대폰 연동 무전기 시스템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310388Y1 (ko) 휴대전화기 도킹스테이션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KR200241236Y1 (ko) 휴대형 무선전화기 모국
KR20040063356A (ko) 휴대전화기 도킹스테이션
KR200177447Y1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JP2920704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20030018952A (ko)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KR200323834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후불 통신카드용 자동접속 장치
KR2002007495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