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3537A - 탭및콘택트변위어셈블리를갖춘고밀도고성능원격통신/데이터링크및커넥터 - Google Patents

탭및콘택트변위어셈블리를갖춘고밀도고성능원격통신/데이터링크및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37A
KR19990083537A KR1019990015052A KR19990015052A KR19990083537A KR 19990083537 A KR19990083537 A KR 19990083537A KR 1019990015052 A KR1019990015052 A KR 1019990015052A KR 19990015052 A KR19990015052 A KR 19990015052A KR 19990083537 A KR19990083537 A KR 1999008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ssembly
tab
wire
data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허버트스노우
티모시제임스피클레스
로스에스.존슨
Original Assignee
닥터 래이너 패크너, 하인즈 트레들러
하워드,인크
크로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 래이너 패크너, 하인즈 트레들러, 하워드,인크, 크로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닥터 래이너 패크너, 하인즈 트레들러
Publication of KR1999008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3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다수의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진 CDA 어셈블리 케이블(22)과,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로 이루어진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는, 각각 상기 CDA 어셈블리 케이블(22)의 하나의 끝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는, 라인 끝단과 인터페이스 끝단을 포함하고 락킹된 위치의 제2끝단에 배치되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와; 상기 끝단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끝단쪽으로 상기 라인 단자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연장하고,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이동가능하고, 라인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라인 연결영역과 접촉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접촉영역에 접촉되는 결합된 상태의 각 콘택트 엘리먼트(62); 상기 각 끝단에 위치되고, 상기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 및/또는 제2끝단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 및 제2끝단의 하우징(12) 및;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간 삽입되고,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로부터 테핑될 수 있는 탭(13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탭 및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를 갖춘 고밀도 고성능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HIGH DENSITY HIGH PERFORMANCE TELECOMMUNICATIONS/DATA LINK AND CONNECTOR WITH TAP AND CONTACT DISPLACEMENT ASSEMBLY}
본 발명은 탭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를 갖춘 고밀도 고성능 원격통신 데이터 프로세싱 및 커넥터와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인 스페이스(space)는 종종 개방 플로어(floor)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종종 이들은 작업영역(입방체)으로 분할된다. 상업적인 스페이스의 점유자는 그 자신이 필요한 플로어 스페이스의 가장 효과적인 사용을 결정하여, 포터블 벽 패널(portable wall panel) 및 유사한 기구를 통해 플로어 스페이스가 보다 작은 작업영역으로 분할되는 방법을 선택한다. 대형 플로어 스페이스를 보다 작은 작업영역(입방체)으로 분할하기 위해, 소위 "시스템" 퍼니쳐(furniture)가 이용된다. 통상, 시스템 퍼니쳐 배치는 2개의 패널 수직 또는 각진 커넥션을 통해, 또는 대규모 다수의 개별 작업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적절한 3개 또는 4개의 패널을 통해 직렬로 함께 연결하는 내부 직립 스페이스-분할패널을 이용한다. 통상, 그와 같은 패널은 플로어에서 천장 높이 이하이고, 준비된 작업영역을 규정하도록 또 다른 퍼니쳐 구성요소와 협력한다.
각 작업영역은 적절한 전력과 통신 케이블링이 함께 제공되어야만 한다. 여러가지 시스템과 구성요소가 함께 협조하여 패널에 쉽게 설치되는 모듈 전기시스템을 포함하여 전개된다. 이는 패널이 재구성되도록 하고 작업영역에 전력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여러가지 작업영역에 플로어 도관(conduit) 또는 천정 틈새 공간을 통해 공급된 다수의 종래 4쌍의 통신케이블의 사용을 피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 이러한 시도의 예는 미국특허 제5,272,277호, 제5,160,276호 및 제4,928,303호에 공개된 시스템 및 장치를 포함한다. 전력선 및 시스템 퍼니쳐와 관련한 다수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다수의 시스템은 시스템 퍼니쳐와 함께 전력 전송 및 분배와 관련한 특수한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갖는다.
벽 패널이 사용된 다중회로 전기시스템이 미국특허 제4,781,609호에 공개되었다. 전기시스템은, 각각 분리 중립(neutral)을 갖는 3개의 분리 전기회로를 규정하기 위한 3개의 리브(live)와 3개의 중립 콘덕터를 채용하는 7개의 콘덕터 시스템이다. 3개의 회로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인 접촉을 위해, 포터블 전력 탭 유닛(리셉터클(receptacle) 유닛)이 전력 블록에 플러그 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전력과 관련한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 탭(tap) 특징을 이용하여 벽 패널을 위치에 위치시킨 후 그 위치에 여러가지 회로중 하나를 선택하지만, 이 시스템은 아주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력분배의 문제가 각별하다.
벽을 분할하는 내부 스페이스에 이용하기 위한 또 다른 전기시스템이 미국특허 제5,236,370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조립식이고 스페이스 분할부재를 내부로 연장하는 채널내에 설치된 긴 장치를 포함한다. 전력 블록을 갖춘 커넥션과 같은 플러그를 만드는 유연한 전기 점퍼(jumper)에 의해 인접한 장치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도 많은 비용을 추가해야 하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순방향 전력분배를 나타내는 특징과 전력분배와 관련한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통신과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높은 접촉밀도를 갖는 고밀도 고성능 트랜스미션 및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적인 문제에 기초하고, 상기 커넥터가 양호한 물리적/전기적 접속을 가짐으로써, 라디오 주파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전송부가 일관적으로 높은 신호품질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어셈블리를 위한 생산공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에 신호의 간단한 테핑(tapping)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적인 문제의 해결은 청구항 제1항 및 제17항의 특징에 의해 제공된다. 또 다른 장점은 종속항으로부터 전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격통신 및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고밀도 고성능 트랜스미션 및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고, 상기 커넥터는 고주파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높은 신호품질을 유지하면서 전송이 링크되도록 양호한 물리적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커넥터에 신호의 간단한 테핑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2개의 인터페이스 끝단을 포함하는 6개의 회로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차폐 엘리먼트를 나타낸 좌측 상부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차폐 엘리먼트의 우측 상부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상세 확대도,
도 3b는 도 2b의 상세 확대도,
도 3c는 도 2a의 상세 확대도,
도 4는 락킹된 S결합위치에 외견상으로 나타낸 텅 엘리먼트와 결합을 위한 위치에 2개의 차폐 엘리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접촉을 위한 위치에 나타낸 탭을 갖춘 인터페이스 끝단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6개의 회로 CDA의 구성을 갖는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CDA)의 인터페이스 끝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도 4의 단일 CDA 어셈블리의 인터페이스 끝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와이어 가이드를 통해 통과하고 인터페이스 끝단의 콘택트 정렬 몸체의 콘택트에 연결되는 꼬여진 와이어쌍을 갖춘 케이블을 나타낸 상부도,
도 8은 와이어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와이어와 와이어 가이드의 연결에 앞서 그 안에 삽입되는 연결된 콘택트 변위장치와 리드프레임에 부착된 콘택트를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와이어와 와이어 가이드의 연결에 앞서 그 안에 삽입된 리드프레임에 부착된 콘택트를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c는 콘택트의 삽입에 앞서 콘택트 정렬 몸체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d는 콘택트와 콘택트 변위장치가 결합되기 전에 콘택트 정렬 몸체를 나타낸 하부 정면사시도,
도 10a는 케이블의 일부분과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의 일부분을 잘라낸 도면,
도 10b는 케이블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의 6개의 회로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칼라 표시기 라벨을 나타낸 내측 정면사시도,
도 12는 도 1의 6개의 회로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회로 표시라벨 지지엘리먼트를 나타낸 내측 정면사시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을 나타낸 좌측 상부사시도,
도 1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을 나타낸 우측 하부사시도,
도 13의 (c)는 탭 몰드부와 결합되기 전의 케이블의 선과 연결되는 주요 탭 엘리먼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결합된 인터페이스의 콘택트간 접촉을 나타낸 일부 측면 절단면도,
도 15는 라인이 탭 되어 아래쪽 라인이 단절된 삽입된 탭을 갖춘 결합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 8 --- 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
10 ---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CDA), 12 --- 하우징,
14 --- 콘택트 정렬 몸체, 16 --- 칼러 표시기 라벨 엘리먼트,
18 --- 콘택트 변위 정렬 어셈블리(CDA 어셈블리),
20 --- 회로 표시기 엘리먼트, 22 --- CDA 어셈블리 케이블,
26 --- 상부표면, 28 --- 탭 액세스측,
30 --- 비액세스측, 32 --- 기저(bottom),
34 --- 텅(tongue), 36 --- 텅 사면,
38 --- 메일(male) 닫힘부, 40 --- 피메일(female) 닫힘부,
42 --- 접촉사면, 44 --- 램프(ramp),
46 --- 정지부, 50 --- 탭 진입부,
52 --- 피메일 리세스, 54 --- 메일부,
56 --- 락킹 슬롯, 58 --- 하우징,
60 --- 지지대, 62 --- 콘택트,
64 --- 와이어 가이드, 66 --- 콘택트 개구장치,
68 --- 탭 캠 피동체, 70 --- 돌기/포스트,
72 --- 사면 램프, 73 --- 리드프레임,
74 --- 밴드, 76 --- 접촉부,
78 --- 바브(barb), 79 --- 수용부,
80 --- 사면, 82 --- 정지 엣지,
86 --- 몰드 하우징 수용 소켓, 87 --- 정렬부,
88 --- 와이어 채널, 89 --- 스페이스,
90 --- 정렬 슬롯, 92 --- 정렬 돌기,
94 --- 와이어 가이드, 96 --- 몰드 하우징 수용 스페이스,
110 --- 쌍으로된 단자 끝단, 112 --- 케이블 재킷,
114 --- 접촉돌기, 116 --- 레일(rail) 수용부,
122 --- 락킹(locking) 돌기, 124 --- 락킹 홈,
134 --- 돌기, 136 --- 락킹 홈,
140 --- 탭 몸체, 142 --- 탭 채널,
144 --- 레일 접촉부, 146 --- 레일 수용 엘리먼트,
148 --- 콘택트,
150 --- 콘택트 개구장치 접촉면/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
152 --- 콘택트 측면, 153 --- 개구,
154 --- 측면, 160 --- 탭 엘리먼트,
162 --- 접속점.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전송라인과, 제1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전송케이블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제1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는 라인 커넥션 끝단 및 인터페이스 끝단을 포함하는 제1콘택트 정렬 몸체로 이루어진다. 제1끝단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는 제1콘택트 정렬 몸체를 따라 위치되어 정렬된 각 콘택트 엘리먼트에 제공되고 인터페이스 끝단 쪽으로 라인 커넥션 끝단에 인접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제1콘택트 엘리먼트는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이동가능하다. 각각의 제1측면 콘택트 엘리먼트는 라인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라인 연결영역과 접촉영역을 포함한다. 락킹된 위치의 제1끝단 차폐 하우징(shield housing)에 제1콘택트 정렬 몸체가 배치된 곳에 제1끝단 차폐 하우징이 제공된다.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는 라인 커넥션 끝단과 인터페이스 끝단을 포함하는 제2콘택트 정렬 몸체를 갖춘다. 제2끝단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는 제2콘택트 정렬 몸체를 통해 위치되어 정렬된 각 콘택트 엘리먼트에 제공되고 인터페이스 끝단쪽으로 라인 커넥션에 인접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제2측면 콘택트 엘리먼트는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이동가능하고, 라인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라인 연결영역과 접촉영역을 포함한다. 락킹된 위치의 제2끝단 차폐 하우징에 제2콘택트 엘리먼트가 배치된 곳에 제2끝단 차폐 하우징이 제공된다. 각각의 제1끝단 차폐 및 제2끝단 차폐는 실제로 이상적이고 결합 가능하다. 또한, 이들 끝단 차폐는 실제로 이상적인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끝단 차폐와 제2끝단 차폐와 결합 가능하다. 결합된 끝단 차폐가 결합된 위치에 있을 경우, 각 콘택트 정렬 몸체로 이끌어진 콘택트 엘리먼트는 접촉위치에 있다. 콘택트 엘리먼트로부터 운반된 신호를 테핑하기 위한 콘택트 엘리먼트간 삽입가능한 탭이 제공된다.
탭은 탭 전송라인과 연결된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 탭 접촉부는 제1측면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의 어느 하나와 제2측면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의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제1측면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와 제2측면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간 탭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콘택트를 이동하기 위해 콘택트 변위수단이 제공된다. 콘택트 변위수단은 제1측면 다수의 콘택트 엘리먼트에 연결된 제1콘택트 개구장치(opening device)를 포함한다. 제1측면 다수의 콘택트와 제2측면 다수의 콘택트간 탭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콘택트를 이동하기 위한 탭수단에 의해 제1콘택트 개구장치가 구속된다. 또한, 콘택트 변위수단은 탭수단의 팁(tip)과 제2측면 다수의 콘택트에 연결된 제2콘택트 개구장치를 포함한다. 제1콘택트 개구장치와 제2콘택트 개구장치는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콘택트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측면 콘택트 끝단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와 콘택트를 위한 홈을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스페이스를 수용하는 와이어 측면 콘택트 끝단과 와이어로 연장하는 와이어 콘택트 끝단을 갖춘 홈에 콘택트가 위치된다. 콘택트 변위부재는 인터페이스 끝단에 콘택트의 끝단에 연결되어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와이어 채널을 갖춘 와이어 가이드가 제공된다. 와이어 가이드는 작은폭을 갖는 케이블 끝단과 보다 큰폭을 갖는 콘택트 정렬 몸체 끝단을 갖춘다. 와이어 가이드 채널은 각각 실제로 이상적인 길이의 와이어 통로를 갖고, 케이블측에서 콘택트 정렬 몸체측으로 연장한다. 와이어 단자 끝단을 갖는 케이블이 채용된다. 가이드 채널 밖으로 연장하는 단자 끝단의 접촉부와 와이어 가이드의 가이드 채널에 이들 와이어 단자 끝단이 위치된다. 접촉부는 콘택트의 와이어 측면에 대응하는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와이어 가이드 및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는 오버레이(overlay) 몰딩된 하우징을 제공함으로써 결합된다.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몰드에 케이블의 부분과, 와이어 가이드 및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부분을 위치시키고, 몰드의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오버레이 하우징이 제공된다.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을 갖춘 접속 엘리먼트는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콘택트 끝단과 콘택트 와이어 측면 끝단은 초음파 결합(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택트 정렬 몸체 내에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의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몰드 하우징 수용 소켓을 포함한다.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은 지지대를 정의한다.
다수의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들은 다수의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차폐 엘리먼트 내에 삽입된다. 또한, 차폐 엘리먼트는 각각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다수의 정렬부를 포함한다. 2개의 실제로 이상적인 차폐 엘리먼트는 정렬부를 연결함으로써 결합된다. 정렬부(정렬 탭)는 교차정렬의 메일(male) 및 피메일(female)이고, 이에 따라 차폐가 직면하는 동안 정렬부를 끼워넣음으로써 2개의 실제로 이상적인 형태의 차폐가 결합되고 하나는 또 다른 하나에 대해 180° 회전된다.
차폐는 매립된 금속성분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당한 차폐기능(인접한 결합된 콘택트로부터 하나의 결합된 콘택트 세트를 차폐)을 제공한다. 이것은 실제로 이상적인 인터페이스 끝단에 그들이 결합될 때 커넥터 인터페이스 끝단의 성능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차폐의 각 스페이스에 각각의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콘택트 정렬 몸체가 삽입된 후, 콘택트 정렬 몸체가 위치내에 락킹된다. 차폐가 결합될 때, 전기적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콘택트가 끼워넣어진다.
차폐의 제1측면에 표시기 라벨 성분이 제공되고 또 다른 라벨 성분이 차폐의 또 다른 측에 제공된다. 각각의 표시기 라벨 성분은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와 통합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와 커넥터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차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 10으로 표시된 다중회로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CDA)로 이루어진다. 어셈블리는 제1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와 이상적인(실제로 이상적인, 약간의 허용오차는 별개의 문제로 하고)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끝단(6,8)이 이상적이지만, 그들은 메일 및 피메일부(정렬 탭)를 갖기 때문에 결합 콘택트 상태로 위치되는데 적합하다. 각 인터페이스 끝단(6,8)은 콘택트 인터페이스에 전송라인의 링킹을 제공하고 라인을 테핑하기 위한 테핑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또 다른 다중회로 CDA와 커넥션을 결합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중회로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10)는 오피스(office) 입방체를 만드는데 사용된 모듈 벽과 같은 모듈 오피스 퍼니쳐 성분에 배치될 때 특히 유용하다. 다수의 2쌍 라인을 제공하는 병렬의 18개의 다른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를 위해 다수의 콘택트 회로 어셈블리가 병렬로 제공된다.
도 1은 다수의 콘택트 정렬 몸체(14)를 유지하는 차폐 하우징(12)을 갖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끝단(6,8)을 갖춘 6개의 회로 CDA(10)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연결측면을 제공하기 위해 유지되는 차폐 하우징(12) 내에 콘택트 정렬 몸체(14)가 스냅(snap)된다. 콘택트 정렬 몸체(14)는 단일 콘택트 변위 정렬(CDA) 어셈블리(18)의 부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차폐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된 단일 CDA(18)에 칼라 표시기 라벨 성분(16)이 연결된다. 또한, 각 인터페이스의 비-탭(none-tap) 삽입 측면 상에 단일 CDA 어셈블리(18)에 회로 표시기 성분(20)이 연결된다. 인터페이스의 탭 측면상에 단일 CDA 어셈블리(18)가 노출된다.
도 2a는 하우징의 좌측 상면 사시도로, 특히 차폐 하우징(12)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차폐 하우징(12)은 단일 몰딩된 구조이다. 차폐 하우징(12)은 전기차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매립된 스테인레스 강철섬유 또는 스테인레스 강철성분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차폐 하우징(12)은 상부표면(26), 탭 액세스 측면(28), 비액세스 측면(30) 및 기저(32; 도 1 참조)를 갖춘다. 기저(bottom; 32)는 2개의 인터페이스 끝단의 연결을 위한 구속기능을 제공하는 텅(34)을 포함한다. 텅(34)은 텅 사면(36)을 포함한다. 구속을 제공하기 위해, 각 차폐는 메일 닫힘부(38) 및 피메일 닫힘부(40)를 포함한다(또한, 이들은 정렬 탭과 결합된다). 이들 2개의 닫힘부(38,40)는 2개의 인터페이스 끝단의 연결을 위해 결합된다. 메일 닫힘부(38)의 상부표면과 상부(26)의 내부표면간 텅(3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텅 사면(36)을 제공한다. 하부측면 또는 기저측면(32) 상에 텅(34)은 락킹 후면단(rear edge)을 갖춘 구속사면(42)을 포함한다. 이것은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26) 후단(back edge)을 갖는 구속사면(42)의 구속에 의해 하나의 인터페이스 측면의 락킹을 가능하게 한다. 램프(44)는 마찰면을 제공함으로써 어셈블리의 락킹에 도움을 준다. 정지부(46)는 차폐 상부(26)의 전단(front edge)을 갖는 정지부(46)의 전단의 콘택트에 정지기능을 제공한다. 단일 CDA 어셈블리(18)의 인터페이스 측면은 단일 CDA 어셈블리 케이블(2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3a, 3b 및 3c는 차폐 하우징(12)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측(28)에서 탭 진입부(50)는 결합된 인트페이스 끝단에 의해 정의되는 탭 슬롯(56)의 한측의 상부 엣지(edge)를 경계를 정한다. 탭 측면(28)에서 메일 닫힘부(38)는 피메일 리세스(female recess; 52) 및 메일부(54)를 포함한다. 메일부(54)는 콘택트를 결합하기 위한 2개 부분의 연결을 쉽게하도록 끝이 점점 가늘어진다.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직 각 닫힘부(메일 닫힘부(38)와 피메일 닫힘부(40) 모두) 후방에만 차폐 하우징(12)은 락킹 슬롯(57)을 갖춘다. 이들 락킹 슬롯(57)은 차폐 하우징(12)에 단일 CDA 어셈블리(18)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차폐 하우징(12)은 도 4에 나타낸 또 다른 차폐 하우징(12)과 결합을 위해 맞추어진 위치fh 안내된다.
도 6은 단일 인터페이스 엘리먼트 끝단과 결합 케이블(22)의 부분을 포함하는 단일 CDA 어셈블리(18)를 나타낸다. CDA 어셈블리(18)의 각 인터페이스 끝단은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은 CDA 어셈블리(18)의 각 인터페이스 끝단의 여러가지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은 지지대(60)를 포함한다. 이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각각의 어셈블리(18)는 콘택트(62)와 콘택트 개구장치(66)를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14)를 포함한다. 또한, 어셈블리(18)의 각 인터페이스 끝단은 와이어 가이드(64; 도 7a, 7b 및 도 8 참조)를 포함한다.
도 7a는 상기 콘택트 면만 위한 CDA 어셈블리(18)의 인터페이스 끝단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과 정렬 몸체(14)를 연결하기 위해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영역으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연장한다. 부분(40)과 결합함에 있어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도 와이어 가이드(64)를 수용하여 에워싼다. 또한,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이 제공된 채널(88) 내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연장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7b는 와이어 가이드(64) 내로 연장하는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을 갖춘 케이블(22)을 나타낸다. 또한,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도 콘택트(62)와 연결되어 접촉되는 콘택트 정렬 몸체(14) 내로 연장된다. 도 7b에 나타낸 구조는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의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앞선 단일 CDA 어셈블리(18)이다.
도 8은 다양한 채널(63)을 갖춘 와이어 가이드(64)를 나타낸다. 이들 채널(63)은 일단에서 반대측 끝단까지 실제로 이상적인 길이를 갖는 꼬여진 채널쌍을 제공하는 만큼 중요하다. 이런 식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꼬여진 쌍(110)에 동일한 길이를 갖는 끝단의 끝을 이루는 꼬여진 와이어쌍(110)이 이용된다. 이것은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와이어 가이드(64)는 제조하는 동안 와이어 가이드(64)와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정렬 돌기(92)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64)는 와이어 가이드(64)의 채널(63) 내에 꼬여진 쌍의 유지를 돕는 돌출부(65)를 포함한다.
도 9b는 리드프레임(73; 리드프레임은 다음에 제거된다)과 콘택트 변위장치(66)에 계속 연결된 통합된 콘택트 엘리먼트(62)를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14)를 나타낸다.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 개구장치(66)는 접촉위치에 락킹을 위한 락킹 돌기(70; 또는, 포스트)를 갖는 탭 캠(tap cam) 피동체(68)를 갖춘다. 탭(13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된 인터페이스의 콘택트간 탭(138)이 삽입됨으로써 구속의 밖으로 접촉부(76)를 이동하기 위한 콘택트 개구장치(66)의 이동을 시작하는 사면 램프(72)를 캠 피동체(68)가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 엘리먼트(62)는 밴드(74)와 바브(barb; 78)를 갖춘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트 정렬 몸체(14)는 수용영역(79)과 유사한 탭 측면 수용영역(79′)을 갖는 전단을 갖춘다. 이들은 구속사면(80)을 정중앙 끝단에 갖춘다. 도 9a 및 도 9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사면(80)은 각 정렬 몸체(14)의 상측 및 하측에 있다. 각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상부에 정지 엣지 엘리먼트(82)가 제공된다.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후면에 정렬 슬롯(90) 뿐만 아니라 와이어 채널(88)을 갖춘다.
도 9d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하측을 나타낸다. 이것은 스페이스(96)를 수용하는 몰딩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9d 및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버랩 몰딩된 하우징(58)이 정지 엣지(82)의 후방측까지 연장하고, 소켓(86)을 수용하는 몰딩된 하우징과 스페이스(96)를 수용하는 몰딩된 하우징 내로 연장함으로써, 콘택트 정렬 몸체(14)와, 와이어 가이드(64)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트와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이 통합된다. 이러한 어셈블리 기술은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 도 6, 7a 및 7b 참조)이 케이블 재킷(112)을 에워싸고,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을 에워싸며, 와이어 가이드(64)의 단자 끝단 패널로 연장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은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후부를 에워싸고 소켓(86)을 수용하는 몰딩된 하우징 내로 연장하고, 콘택트 바브(78)를 구속하는 콘택트 인터페이스를 에워싸고 또 스페이스(96)를 수용하는 몰딩된 하우징을 채운다. 이 결과, 그들중, 케이블 재킷(112)과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결합은 각각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의 응력(strain)이 없고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과 콘택트 엘리먼트간 콘택트 인터페이스에 응력이 없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64)가 제공되지 않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은 용접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택트 엘리먼트(62)에 부착되고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이 제공된다.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은 꼬여진 쌍(110)의 고립을 제공한다. 정렬 슬롯(90)은 필요치 않다.
도 9c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수용영역(79′)은 구속사면(80)을 따라 전개된다. 더욱이, 콘택트 엘리먼트(62)를 위치시키기 위한 벽과 베이스 서포트를 포함하는 정렬영역(87)을 나타냈다. 정지 엣지(82) 아래와 뒤에는 소켓(86)을 수용하는 몰드 하우징과 통하고 또 와이어 채널(88)과 통하는 스페이스(89)가 제공된다. 이러한 스페이스(89)는 콘택트 엘리먼트(62)의 와이어 측면 끝단을 수용한다. 스페이스(89)가 개구(86)와 와이어 채널(88)과 통할 지라도, 스페이스(89) 내로 콘택트 엘리먼트(62)의 와이어 끝단의 삽입으로 바브(78)가 콘택트 정렬 몸체 하우징(14)을 구속하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플라스틱(또 다른 적당한 재료) 벽으로 스페이스(89)의 상부 측면영역이 경계지워진다. 일단 콘택트 엘리먼트가 스페이스(89)로 삽입되면, 제거방향으로 콘택트 엘리먼트(62)의 당김에 의해 바브(78)가 스페이스(89) 상에 플라스틱 콘택트 정렬 몸체 하우징(14)에서 빠짐으로써, 콘택트 엘리먼트(62)가 콘택트 정렬 몸체(14)로부터 효과적으로 또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특히, 스페이스(89) 내로 와이어 끝단의 삽입이 상당히 부드럽지만 바브(78)가 스페이스(89) 부분을 경계짓는 정렬 몸체(14)의 재료를 구속함으로써 콘택트 엘리먼트(62)의 리트렉션(retraction)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0a 및 10b는 단일 CDA 어셈블리(18)를 위한 케이블(22)의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블(22)은 캐이블 재킷(112)과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을 포함한다. 도 10b는 여러가지 꼬여진 쌍(110) 및 재킷(112)의 관련위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칼라 표시기 라벨 엘리먼트(16)의 내부측을 나타낸다. 엘리먼트(16)는 CDA(10)의 인터페이스 끝단의 레일(rail; 60)의 끝단을 수용하기 위한 레일 수용부(116)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일(60)은 하나의 단일 CDA 어셈블리(18)에 존재한다. 레일 수용부(116)는 엘리먼트가 여러가지 어셈블리(18)의 여러가지 레일(60)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좁은 릿지(ridge)를 포함한다. 락킹 돌기(122)는 각 어셈블리의 각 인터페이스 끝단의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에 형성된 락킹 홈(124; 도 7a 참조)에 결합한다. 또한, 또 다른 락킹 홈(136)은 각 몰딩된 하우징(58)의 각 레일(60)에 제공된다. 락킹 돌기(122)는 칼라 표시기 라벨 엘리먼트(16)가 어셈블리(18)의 레일(60)로 미끄러져 들어가 위치dp 락킹되도록 한다.
도 12는 액세스 측면에 반대측면 상에 하나의 인터페이스 끝단에 다수의 어셈블리에 연결된 회로 표시기(20)를 나타낸다. 액세스 측면 상에 레일(60)은 이하 기술하는 바와 같이 탭 엘리먼트(138)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회로 표시기(20)는 베이스를 갖춘 레일 수용 홈(126)을 포함한다. 또한, 회로 표시기 엘리먼트(20)가 레일(60)에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스냅핑함으로써 홈이 부착되도록 하는 작은 크기의 갭을 홈이 정의한다. 돌기(128)는 홈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몰딩된 하우징(58)의 락킹 홈 내로 연장하기 위한 락킹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탭 어셈블리(138)를 나타낸 도면이다. 몇개의 탭 어셈블리는 각 결합된 인터페이스와 함께 사용된다. 각각의 탭(138)은 2개의 CDA 어셈블리(10)의 결합된 인터페이스 끝단의 단일 CDA 어셈블리(18)의 콘택트의 인터페이스에 탭 라인에 이용된다. 각각의 탭(138)은 움켜잡는 영역을 갖춘 몸체(40)를 포함한다. 탭 라인(142)은 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150) 상에 또는 내에 제공된 트레이스에 탭 라인(142)의 여러가지 와이어가 연결된 몸체 내로 연장한다. 트레이스는 콘택트(148)에 연장된다. 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150)의 콘택트측(152) 상에 다수의 콘택트(148)가 제공된다. 탭 몸체(140)는 레일 구속부(144)를 갖춘다. 이것은 레일(60)을 위한 레일 구속 홈(146)을 정의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탭 어셈블리(138)는 결합된 인터페이스 끝단에 구속되어 인터페이스 몸체(8; 도 1 참조)와 같은 하나의 인터페이스 몸체의 탭 측면 상에 노출된 레일(60)에 고정된다.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끝단이 결합될 경우,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인 접촉의 접촉부(76)에 전기적인 접촉위치에 콘택트가 존재한다. 도 13a와 도 13b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150)는 콘택트측(152)과 반대측(154)을 포함한다. 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150)가 삽입 슬롯(56; 도 1 및 도 3a 참조) 내로 삽입될 경우, 탭은 어셈블리(18)의 노출된 레일(60)과 레일 구속부(144)의 접속을 위하여 위치되고, 콘택트(148)는 전송라인(도 5 참조)의 윗쪽에 콘택트(62)와 연결된다. 탭 캠 피동체(68)의 표면(돌기(70) 및, 탭 반대측(154)의 표면) 캐밍(camming)에 의해 탭과의 접촉을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전송라인의 아래쪽 측면이 이탈한다. 이 상태를 도 15에 나타냈다. 유사한 콘택트 변위 배열의 보다 상세한 기술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구체화된 EP-97 10 8131.0에 기술되어 있다.
콘택트 개구장치(66)의 돌기 또는 포스트(70)는 삽입 엘리먼트(150)가 콘택트간 삽입되면서 비접촉위치에 콘택트(62)가 유지되는 것과 같다. 탭(138)이 적절하게 위치될 경우, 포스트 또는 돌기(70)는 개구(153) 내로 연장된다. 콘택트 측면(152) 상에만 오직 개구(153)를 가질 수 있고 반대측면(154)에는 가질 수 없다. 이것은 비접촉위치에 1세트의 콘택트(62)를 유지한다. 그러나, 측면(154) 상에 콘택트(148)가 제공되지 않지만, 측면(154) 상에 홀(153)이 제공된다. 이것은 전기적인 접촉을 만들지 않고 아래쪽 라인이 연결되지 않을 지라도 콘택트가 이동하도록 한다. 오히려, 콘택트 변위 배열을 손상시키는 아주 사소한 일이 결합된 인터페이스 끝단간 일어나도록 선택되면, 탭 슬롯 삽입 엘리먼트(150)와 탭 슬롯(56)의 크기는 결합된 인터페이스 엘리먼트 끝단의 차폐의 구속부에 의해 규정된다. 차폐 하우징(12)의 여러가지 부분(50,54, 52)의 형태는 비액세스측(30) 또는 액세스측(28)에 별개의 액세스 스페이스에 작은 슬롯을 정의하는데 용이하다.
도 13c는 탭 몸체(140)에 오버레잉 또는 몰딩에 앞서 주요 탭 엘리먼트(16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 포인트(162)는 납땜, 용접 또는 탭 케이블(142)의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탭 엘리먼트(160)는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인쇄회로기판(160)은 콘택트 포인트(162)에서 콘택트(148)로 연장하는 전용 연결선이나 트레이스를 갖춘다.
상기 장치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22)을 제공하고 와이어 가이드(64)의 채널에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을 위치시킴으로써 어셈블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각 단자 끝단(110)의 길이는 동일하다. 와이어 가이드는 콘택트(62)를 운반하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와 콘택트 변위장치(66)와 함께 콘택트에 위치된다. 단자 끝단(110)과 콘택트(62)간 전기적인 콘택트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공된다. 변위 콘택트가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납땜이나 또 다른 결합과 같은 또 다른 알려진 연결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당한 추가적인 저항이 없는 보다 좋은 특성을 제공하는 초음파 용접이 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가 상기 단계의 결과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제공하도록 오버레이 몰딩된다. 케이블의 양 끝단에 이것이 제공되면, 이것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18)의 결과를 야기한다. 단일 CDA 어셈블리(18)는 2개의 인터페이스 끝단을 갖춘다. 차폐 하우징(12)에 CDA 어셈블리(18)의 일단이 삽입된다. 또 다른 차폐 하우징(12)에 또 다른 끝단이 삽입된다. 각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베이스에 구속사면(113)은 CDA 어셈블리(18)의 인터페이스 끝단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구속 돌기(114)는 차폐(12)의 락킹 홈(57; 도 3b 및 도 3c 참조)을 갖춘 구속에 락킹 기능을 제공하는 후면단을 갖춘다.
비액세스 측면 상에 레일(60)에 의해 회로 표시기가 홈(124)과 돌기(134)간 커넥션과 레일(60)을 통해 연결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각 엘리먼트(16)의 락킹 돌기(122)가 레일(60)에 제공된 각각의 락킹 홈(124)을 구속함으로써 각 측면에 레일(60) 상에 2개의 칼라 표시기 라벨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 각 인터페이스 엘리먼트(8,6)와 관련하여 취해진 이들 단계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셈블리(10)가 제공된다. CDA(10)의 인터페이스 끝단이 이상적이고 어셈블리(10)의 각 인터페이스 엘리먼트는 또 다른 이상적인 어셈블리(10)의 이상적인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와 결합된다. 인터페이스 끝단의 결합은 차폐 하우징(12)의 상부(26)의 하부 표면과 메일 닫힘부(38)의 상부 표면간 삽입되는 텅(34)에 일어난다. 각각의 메일 닫힘부(38)는 구속하는 탭 측면에 여러가지 부분(52,54,50)과 함께 각 피메일 닫힘부(40)로 연장한다. 후면단이 차폐 상부(26)의 후면단을 구속하도록 구속사면(42)이 위치될 경우, 하나의 어셈블리(10)의 인터페이스 몸체는 또 다른 어셈블리(10)의 인터페이스 몸체에 연결된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신호가 아래쪽으로 전송되도록 콘택트(62)가 접촉위치에 존재한다.
결합된 인터페이스 끝단의 차폐의 탭 측면(28) 상에 탭(38)이 삽입된다. 탭(138)은 레일(60)과 구속부(144)를 통해 고정된다. 탭(138)이 적절하게 삽입되면, 구속부(144)는 삽입부의 레일(60)과 연결된다. 이것은 2개의 어셈블리(10)의 2개의 인터페이스의 콘택트(62)간 전기적인 접촉을 깨뜨린다. 이것은 탭 콘택트(148)를 통해 테핑 콘택트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밀도 고성능의 원격통신 데이터 프로세싱 및 커넥터를 제공하고, 커넥터는 고주파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높은 신호품질을 유지하면서 전송이 링크되도록 양호한 물리적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그 시스템은 커넥터에 신호의 간단한 테핑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7)

  1. 다수의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진 CDA 어셈블리 케이블(22)과,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로 이루어진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는 각각 상기 CDA 어셈블리 케이블(22)의 하나의 끝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1 및 제2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는;
    라인 끝단과 인터페이스 끝단을 포함하고, 락킹된 위치의 제2끝단에 배치되는 콘택트 정렬 몸체(14)와,
    상기 끝단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끝단쪽으로 상기 라인 단자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연장하고,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이동가능하고, 라인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라인 연결영역과 접촉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접촉영역에 접촉되는 결합된 상태의 각 콘택트 엘리먼트(62),
    상기 각 끝단에 위치되고, 상기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 및/또는 제2끝단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 및 제2끝단의 하우징(12) 및,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간 삽입되고,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로부터 테핑될 수 있는 탭(13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138)은 탭 라인(142)을 포함하고, 이 탭 라인(142)과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의 상기 콘택트(62)와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는 콘택트(1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는 상기 접촉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접촉위치와 상기 비접촉위치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력수단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는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를 이동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가 상기 접촉위치와 비접촉위치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탭(13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콘택트 변위수단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변위수단은 콘택트 개구장치(6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항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에 배치된 상기 하우징(12)은 추가적인 콘택트 정렬 몸체(14)와 함께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10)는 와이어 가이드(64)와,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을 갖춘 꼬여진 와이어쌍으로서 설계된 CDA 어셈블리 케이블(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64)는 와이어 진입측과 아주 좁은 와이어 연결측을 갖추고, 상기 와이어 진입측에서 상기 와이어 연결측까지 실제로 동일한 길이의 와이어 통로를 규정하며, 상기 CDA 어셈블리 케이블(22)과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간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10)는 상기 전송케이블(22)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64)에 연결되며,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에 연결된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갖추고,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는 몰드 하우징 수용 소켓(96)과 함께 설계되고, 상기 꼬여진 쌍으로된 단자 끝단(110)은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의 부분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64) 및 상기 케이블(22)의 부분은 하나의 몰드에 함께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끝단 어셈블리(6,8)는 지지대(60)와, 이 지지대(60)를 구속하기 위한 지지대 구속부(144)로 이루어진 상기 탭(13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표시기(20)와 상기 지지대(60)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칼라 표시기 라벨 엘리먼트(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규정하는 다수의 메일(male) 닫힘부(38)와 피메일(female) 닫힘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12)의 메일 닫힘부(38)는 또 다른 하우징(12)의 피메일 닫힘부와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하우징(12)은 서로 락킹하기 위한 락킹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텅(tongue; 34)과 텅 수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텅(34)은 이상적인 하우징(12)의 수용부의 후단에 락킹을 위한 구속사면(4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매립된 금속 엘리먼트를 갖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5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개구장치(66)가 캐밍/락킹 포스트(70)을 포함하는 테핑면(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138)이 포스트 수용 개구(153)를 갖춘 콘택트 개구장치 수용면(150)과, 탭 전송라인(142) 및 접촉부(148)로 이루어지고, 비접촉부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를 이동하고 상기 탭(138)의 더 한층 삽입으로 테핑위치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를 이동하도록 상기 탭(138)의 삽입으로 상기 테핑면(56)의 상기 캐밍/락킹 포스트(70)와 함께 상기 콘택트 개구장치 수용면(150)이 작용하고, 상기 포스트(70)가 대응하는 포스트 수용 개구(153)로 연장함으로써,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는 접촉위치로 되돌아 가고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는 상기 탭 접촉부(148)와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또 다른 커넥터 인터페이스 어셈블리의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로 운반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가 캐밍/락킹 포스트(79)를 포함하는 탭 구속면(150)을 포함하는 또 다른 콘택트 개구장치(66)와 결합되고, 상기 탭(138)이 포스트 수용 개구없이 제2콘택트 개구장치 구속면을 갖춤으로써, 상기 또 다른 커넥터 인터페이스 어셈블리의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로 운반된 적어도 몇몇의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62)는 상기 탭(138)의 삽입으로 비접촉위치로 밀고 들어가고, 상기 탭(138)이 하나의 콘택트 측면(152)에만 테핑 콘택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또 다른 커넥터 인터페이스 어셈블리의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14)로 운반된 상기 콘택트 엘리먼트가 단절되고, 반면 아래쪽 전송케이블의 전송선에 커넥트 인터페이스 어셈블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기적인 통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테핑 위치에 상기 탭(138)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17. 와이어 측면 콘택트 끝단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와 콘택트를 위한 홈을 갖춘 콘택트 정렬 몸체(14)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 콘택트 내로 연장하고 스페이스를 수용하는 와이어 콘택트 끝단과 인터페이스 끝단을 갖춘 상기 홈에 콘택트(62)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콘택트(62)의 상기 인터페이스 끝단에 연결된 콘택트 변위부재(10)를 제공하는 단계,
    작은 폭의 케이블 끝단과 보다 큰 폭의 콘택트 정렬 몸체 끝단을 갖추고, 상기 케이블 끝단에서 상기 콘택트 정렬 몸체 끝단까지 연장하는 실제로 이상적인 길이의 와이어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와이어 채널(88)을 갖춘 와이어 가이드(64)를 제공하는 단계,
    와이어 단자 끝단을 갖춘 케이블(22)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 채널 밖으로 연장하는 상기 단자 끝단의 접촉부에 상기 와이어 가이드(64)의 상기 와이어 채널(88)에 상기 와이어 단자 끝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콘택트의 와이어 측면에 대응하는 콘택트에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22)의 부분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64) 및 상기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의 부분을 몰드에 위치시켜 상기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형성하도록 상기 몰드에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오버레이 몰딩된 하우징(58)을 갖춘 상기 콘택트 변위 어셈블리(10)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64) 및 상기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데이터 링크 및 커넥터 어셈블리 형성방법.
KR1019990015052A 1998-04-27 1999-04-27 탭및콘택트변위어셈블리를갖춘고밀도고성능원격통신/데이터링크및커넥터 Withdrawn KR19990083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67,508 1998-04-27
US09/067,508 US6186808B1 (en) 1998-04-27 1998-04-27 High density high performance telecommunications/data link and connector with tap and contact displacemen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37A true KR19990083537A (ko) 1999-11-25

Family

ID=2207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052A Withdrawn KR19990083537A (ko) 1998-04-27 1999-04-27 탭및콘택트변위어셈블리를갖춘고밀도고성능원격통신/데이터링크및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186808B1 (ko)
EP (1) EP0954076A3 (ko)
JP (1) JPH11354183A (ko)
KR (1) KR19990083537A (ko)
AR (1) AR025123A1 (ko)
AU (1) AU759176B2 (ko)
BR (1) BR9901295A (ko)
CA (1) CA2269963A1 (ko)
NO (1) NO991972L (ko)
SG (1) SG81979A1 (ko)
ZA (1) ZA992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487B2 (ja) * 2001-06-13 2007-10-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速メザニンコネクタ
BR0104134A (pt) * 2001-07-30 2003-08-05 Brasil Compressores Sa Conector elétrico para motor de compressor hermético e seu processo de obtenção
US7179130B2 (en) * 2002-07-01 2007-02-20 Judge Kerry J Solenoid connector
DE10232444A1 (de) * 2002-07-17 2004-02-05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erteilereinrichtung einer Telekommunikationsanlage
GB0228929D0 (en) * 2002-12-11 2003-01-15 R W Data Ltd Structured cabling system and method
US7303438B2 (en) * 2004-12-17 2007-12-04 Molex Incorporated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and alignment means
US7448897B2 (en) * 2004-12-17 2008-11-11 Molex Incorporated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US7344409B2 (en) * 2005-02-23 2008-03-1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guide member
US7175444B2 (en) * 2005-02-23 2007-02-13 Molex Incorporated Plug connector and construction therefor
FR2948501B1 (fr) * 2009-07-24 2011-10-07 Socamont Cable Procede de construction d'un reseau dans un immeuble
CN103311765A (zh) * 2012-03-15 2013-09-18 研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线材、通用i/o模组及其计算机
DE112014005378T5 (de) * 2013-11-26 2016-08-11 Samtec, Inc. Direktbefestigungsverbinder
US10919725B2 (en) * 2018-03-27 2021-02-16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ment of a device system
CN108493690A (zh) * 2018-05-31 2018-09-04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性连接插头及电性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4464A (en) * 1962-06-20 1966-02-08 Mcgregor & Machray Neon type voltage detector
US4227764A (en) 1978-11-07 1980-10-14 Bunker Ramo Corporation Connector and adapter system
US4781609A (en) 1984-08-10 1988-11-01 Haworth, Inc. Wall system with multicircuit electrical system
EP0215285A3 (en) * 1985-09-20 1988-09-14 Allied Corporation Shielded modular connector for use with shielded twisted pair cable
FR2587832B1 (fr) 1985-09-24 1987-12-18 Nozick Jacques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systeme de contact modulaire
GB2191896B (en) * 1986-03-25 1990-03-28 Dowty Electronic Components Interconnection systems for electrical circuits
FR2625380B1 (fr) * 1987-12-29 1990-06-08 Maitrise Reseaux Dispositif de cablage des reseaux basse tension et tres basse tension d'un batiment
US5272277A (en) 1990-10-26 1993-12-21 Holscher-Wernig, Inc. Telecommunications wiring system
US5160276A (en) 1991-07-09 1992-11-03 Group Dekko International Modular communication interconnection system
US5236370A (en) 1992-06-05 1993-08-17 Haworth, Inc. Electrical system for interior space-dividing system
US5460545A (en) 1993-10-28 1995-10-24 The Siemon Company Patch connector
US5719933A (en) 1994-02-18 1998-02-17 Welch; Richard Wiring arrangement for a communication interconnection system
US5593317A (en) 1994-08-31 1997-01-14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furniture communication system
US5964609A (en) 1995-01-25 1999-10-12 Haworth, Inc. Modular communication cabling arrangement
JPH11503597A (ja) 1995-01-25 1999-03-26 ハワース,インク. モジューラ通信システム
WO1996023339A2 (en) 1995-01-25 1996-08-01 Haworth, Inc. Modular communication cabling arrangement
US5816836A (en) * 1996-05-22 1998-10-06 Krone Ag High density high performance connector
JP2002511976A (ja) * 1996-06-05 2002-04-16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ルドされたケーブ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1972D0 (no) 1999-04-26
EP0954076A2 (de) 1999-11-03
BR9901295A (pt) 2000-05-16
ZA992897B (en) 2000-10-23
US6206711B1 (en) 2001-03-27
NO991972L (no) 1999-10-28
AU2392199A (en) 1999-11-04
US6186808B1 (en) 2001-02-13
AU759176B2 (en) 2003-04-10
CA2269963A1 (en) 1999-10-27
EP0954076A3 (de) 2003-11-19
SG81979A1 (en) 2001-07-24
JPH11354183A (ja) 1999-12-24
AR025123A1 (es)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476A (en) Terminal grounding unit
CN101533970B (zh) 易连接的模块连接器
US6206729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enhanced grounding and cross-talk reduction capability
EP0282534B1 (en) Connector assembly
US5244397A (en) IC card and cable harness
US5562493A (en) Network interface assembly and mounting frame
US5997361A (en) Electronic cable connector
US5205762A (en) High frequency patch cord data connector
EP1939990A1 (en) Connector apparatus
KR19990083537A (ko) 탭및콘택트변위어셈블리를갖춘고밀도고성능원격통신/데이터링크및커넥터
US5478252A (en) Disconnectable male connector for communications networks
US4491381A (en) Electrical panelboard connector
KR0170028B1 (ko) 소 피치 이중 열 판 커넥터
EP0274487B2 (en) Local area network interface
EP0152743A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CA1242493A (en) Connector for individual conductors and method for the wiring of a similar connector
JP2965210B2 (ja) 電気コネクタ
EP0634816A1 (en) Shielded vertically aligned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EP0610087B1 (en) Vertically aligned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US5605479A (en) Panel mount connector
JP2647349B2 (ja) 電気コネクタ
CN115021013A (zh) 一种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4838807A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mechanism
US5269703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