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0936A -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936A
KR19990080936A KR1019980014541A KR19980014541A KR19990080936A KR 19990080936 A KR19990080936 A KR 19990080936A KR 1019980014541 A KR1019980014541 A KR 1019980014541A KR 19980014541 A KR19980014541 A KR 19980014541A KR 19990080936 A KR19990080936 A KR 1999008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mode
data
absolute coordin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056B1 (ko
Inventor
김형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 패드 모듈을 개시한다. 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장치는,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따라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하는 모드 변경부,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입력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대 좌표값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상대 좌표 처리부 및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절대 좌표값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절대 좌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 패드 모듈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마우스용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서 장착되는 터치 패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 본체(100), 모니터(102), 키보드(104), 마우스(106), 터치 패드(108) 및 마우스 버턴부(110)로 구성된다.
최근에 노트북 컴퓨터등 휴대용 컴퓨터에는 입력 수단으로서 키보드 이외에 터치 패드(touch pad)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패드(108)는 일반적으로 모니터(102)의 화면에 나타나 있는 물체들 중에서 하나의 물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우스(10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마우스 버턴부(110)는 통상 두개의 버턴을 갖는 마우스(102)의 버턴들과 같은 역할을 한다. 터치 패드(108)는 포인팅 도구로서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손가락에서 접촉된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여 컴퓨터 본체(100)로 전달한다. 즉, 터치 패드(108) 자체는 상대적인 좌표에 의해 모니터(1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만을 이동시키고, 마우스 버턴부(110)는 일반적인 마우스(106)가 갖는 두개의 버턴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버턴이 눌려지면 마우스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종래의 터치 패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드(108)의 동작 원리를 보여준다.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 패드(108)에 접촉되면, 접촉된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100)의 운영체제에 포함된 포트 드라이버를 통해 입력한다(제200단계). 다음에, 입력된 데이타를 마우스 드라이버를 통해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인식한다(제202단계). 다음에,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통해 모니터(1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제202단계에서 인식된 상대적인 좌표값에 상응하여 이동시킨다(제204단계).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종래의 터치 패드(108)는 입력된 데이타를 상대 좌표로만 인식하기 때문에 마우스(106)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데에 한정되어 있다. 터치 패드의 다른 응용분야라 할 수 있는 문자 인식 기능이나 키 패드 기능 등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터치 패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모드 변경 및 절대 좌표의 인식에 의해 다양한 터치 패드의 기능을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터치 패드 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모드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터치 패드로 마우스의 역할이외에 키 패드 및 문자 인식기등의 역할을 하는 터치 패드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터치 패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도이다.
도 4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제1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는,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따라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하는 모드 변경부,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입력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대 좌표값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상대 좌표 처리부 및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절대 좌표값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절대 좌표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방법은, (a)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 (b)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상응하는 모드 상태를 읽는 단계 및 (c) 데이타의 좌표 변환을 결정하는 모드 상태에 따라,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 또는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서 장착되는 터치 패드 모듈은,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된 위치에 상응한 데이타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터치 패드 및 사용자에 의해 버턴이 눌려지면, 터치 패드부의 기능을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모드 변경 버턴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 패드 모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도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 본체(300), 모니터(302), 키보드(304), 마우스(306) 및 터치 패드 모듈(308)로 구성되며, 터치 패드 모듈(308)은 터치 패드(310), 마우스 버턴부(312) 및 모드 변경 버턴들에 해당하는 마우스 모드 버턴(314), 키 패드 모드 버턴(316) 및 문자 인식 모드 버턴(318)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에는 입력 수단으로서 키보드(304)와 마우스(306) 이외에 터치 패드 모듈(308)이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마우스용 터치 패드가 장착된 컴퓨터와 비교해 볼때,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은 마우스 기능 뿐만 아니라 키 패드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을 갖는 터치 패드 모듈(308)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 패드 모듈(308)에서 터치 패드(310)는 소정의 포인팅 도구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접촉되면, 포인팅 도구의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된 위치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300)로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터치 패드(310)에서 접촉된 위치에 상응하는 데이타는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되어 모니터(3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를 이동시킨다. 즉, 터치 패드(310)는 마우스 기능을 가지며, 또한, 마우스 버턴부(312)는 일반적인 마우스(306)가 갖는 두개의 버턴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버턴이 눌려지면 마우스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드 변경 버턴들은 사용자에 의해 버턴이 눌려지면 터치 패드(310)의 기능을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30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모드 버턴(314)는 터치 패드(310)의 기능을 마우스 기능으로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300)로 전달한다. 키 패드 모드 버턴(316)는 터치 패드(310)의 기능을 키 패드 기능으로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300)로 전달한다. 문자 인식 모드 버턴(318)는 터치 패드(310)의 기능을 문자 인식 기능으로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컴퓨터 본체(3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모드 변경 버턴들에 의해서 터치 패드(310)를 통해 컴퓨터 본체(300)로 입력된 데이타는 해당 기능으로 처리된다. 즉, 키 패드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을 위해 터치 패드(310)에서 접촉된 위치에 상응하는 데이타는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되어 모니터(3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를 이동시킨다. 키 패드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을 위한 데이타 처리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컴퓨터 본체(100)의 운영체제에 포함된 마우스 드라이버를 변경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이후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됨).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터치 패드(310)의 기능 변경을 위한 마우스 모드 버턴(314), 키 패드 모드 버턴(316) 및 문자 인식 모드 버턴(318)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도 가능하지만, 이를 경우에 터치 패드의 모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버턴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변경가능하다.
도 4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308)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 패드 모드 버턴(316)이 눌려지면 터치 패드(310)의 기능은 키 패드 기능으로 변경되는데, 이때 모니터(302)의 화면상에는 도 4 (a)에 도시된 응용 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터치 패드(310)를 키 패드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키 패드 형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상에 표시된 키 패드는 터치 패드(310)와 키 맵핑이 되며, 마우스 포인터는 포인팅 도구에 의해 터치 패드(310)에 접촉된 위치에 상응하여 표시되고 해당하는 키 패드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도 4 (a)에 도시된 수치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308)에서 사용자에 의해 문자 인식 모드 버턴(318)이 눌려지면 터치 패드(310)의 기능은 문자 인식 기능으로 변경되는데, 이때 모니터(302)의 화면상에는 도 4 (b)에 도시된 응용 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터치 패드(310)를 문자 인식기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문자를 받아들이는 입력박스의 형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상에 표시된 입력박스의 크기는 터치패스(310)와 비례하며, 마우스 포인터는 포인팅 도구에 의해 터치 패드(310)에 접촉된 위치에 비례하여 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포인팅 도구로 터치 패드(310)상에 임의의 문자를 쓰게 되면, 화면상에 표시된 입력박스에 비례적으로 확대된 문자가 마우스 포인터를 따라 쓰여진다. 도 4 (a)에 도시된 문자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실례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308)에서 터치 패드(310)가 키 패드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a)에 도시된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상에 표시되어 키 맵핑이 이뤄질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 패드(310)상에 키 패드의 형태을 직접 프린팅하여 키 맵핑을 가능케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터치 패드(310)상에는 통상의 키 패드의 형태가 프린팅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통상의 키보드에 포함된 키 패드를 이용하는 식으로 터치 패드(3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패드(310)에 프린팅된 키 패드의 형태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터치 패드(310)의 지지대를 나타내며, 그 위에 키 패드가 박막으로 프린팅되고, 투명한 커버로 덮여진다.
지금까지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서 장착되는 터치 패드 모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제 이러한 터치 패드 모듈을 통해 입력한 데이타를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내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장치의 블럭도로서, 모드 변경부(700), 절대 좌표 처리부(720) 및 상대 좌표 처리부로서의 마우스 모듈(728)로 구성된다. 모드 변경부(700)는 모드 변경 입력부(702) 및 모드 상태 레지스터(704)로 구성되며, 절대 좌표 처리부(720)는 모드 인식 모듈(722), 키 패드 모듈(724) 및 문자 인식 모듈(7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장치는 포트 드라이버(710), 마우스 드라이버(750)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30)를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의 운영체제(760)에서 마우스 드라이버(750)를 터치 패드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변경한 것이다. 변경된 마우스 드라이버(750)에서 절대 좌표 처리부(720)는 모드 변경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고,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드 모듈(308)에서 모드 변경 버턴들에 연결되는 모드 변경부(700)는 모드 변경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된다. 또한, 변형된 마우스 드라이버(750)의 출력은 터치 패드의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30)를 통해 마우스 포인터 이동 프로그램(742), 키 패드 응용 프로그램(744) 및 문자 인식 응용 프로그램(746) 중에서 하나로 전송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드 변경부(700)는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따라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마우스 모드 버턴(314), 키 패드 모드 버턴(316) 및 문자 인식 모드 버턴(318)중에서 한 버턴을 누르게 되면, 모드 변경부(700)는 이 정보를 모드 변경 소프트웨어 모듈에 해당하는 절대 좌표 처리부(720)에서 읽을 수 있도록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한다. 모드 변경부(700)에서 모드 변경 입력부(702)는 소정의 버턴 입력을 받아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하고, 모드 상태 레지스터(704)는 발생된 모드 변경 데이타를 다음의 버턴 입력이 입력되기 전까지 현재의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저장한다.
한편,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입력 데이타는 포트 드라이버(70)를 통해 입력된다. 변경된 마우스 드라이버(750)에서 절대 좌표 처리부(720)는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포트 드라이버(710)를 통해 입력한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결국 절대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모드 인식 모듈(722)은 모드 변경부(700)의 모드 상태 레지스터(704)로부터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어 현재의 모드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포트 드라이버(71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타를 소정의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모드 인식 모듈(722)는 포트 드라이버(710)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입력 데이타에 대해 모드 상태 레지스터(704)에 저장된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지는 않는다. 즉, 입력 데이타가 입력될 때마다 모드 상태 레지스터(704)로부터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으면 성능 저하가 예상되므로 포인팅 도구가 터치 패드에 최초로 접촉될시에만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는다. 특히, 문자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포인팅 도구로 글자를 터치 패드에 쓴다면, 최초 접촉 순간에만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고 다시 포인팅 도구가 터치 패드로부터 떼어지기전까지는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을 필요가 없다.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지 않을 때에는 이전에 읽혀진 모드 상태에 따라 입력 데이타에 대한 소정의 경로가 결정된다.
여기서, 소정의 경로는 모드 인식 모듈(722)에서 인식된 결과가 터치 패드의 절대 좌표 처리 기능을 요구하면 키 패드 모듈(724) 또는 문자 인식 모듈(726)로 선택되고, 인식된 결과가 터치 패드의 상대 좌표 처리 기능을 요구하면 마우스 모듈(728)로 선택된다. 키 패드 모듈(724) 및 문자 인식 모듈(726)은 모두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데, 이 또한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된다.
변경된 마우스 드라이버(750)에서 상대 좌표 처리부로서의 마우스 모듈(728)은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포트 드라이버(710)를 통해 입력한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입력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결국 상대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마우스 모듈(728) 또한 키 패드 모듈(724) 및 문자 인식 모듈(726)과 마찬가지로 모드 인식 모듈(722)를 거쳐 입력 데이타를 입력한다.
모드 인식 모듈(722)에서 인식된 현재의 모드 상태에 따라, 마우스 모듈(728), 키 패드 모듈(724) 및 문자 인식 모듈(726)의 동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마우스 모듈(728)은 입력 데이타을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30)는 마우스 포인터를 상대 좌표값에 상응하여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대 좌표값은 마우스 포인터 이동 프로그램(742)으로 전달되어 상대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키 패드 모듈(724)은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30)는 마우스 포인터를 절대 좌표값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이때의 절대 좌표값은 키 패드 응용 프로그램(744)으로 전달되는데, 키 맵핑을 가능케하는 키 패드 응용 프로그램(744)을 이용하여 절대 좌표값이 소정의 키 값으로 인식되어 키 값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된다.
끝으로, 문자 인식 모듈(726)은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30)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때의 절대 좌표값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이때의 절대 좌표값은 문자 인식 응용 프로그램(746)으로 전달되는데, 문자 인식 응용 프로그램(746)을 이용하여 절대 좌표값이 터치패드에 쓰여진 소정의 문자로서 인식되어 문자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데이타를 입력한다(제800단계). 입력된 데이타의 좌표 변환을 결정하기 위해서 모드 상태를 읽는데, 여기서 모드 상태는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버턴 입력에 상응한다. 이러한 모드 상태를 읽기 전에, 먼저 입력된 데이타가 포인팅 도구의 최초 접촉에 따른 데이타인가를 판단한다(제802단계). 판단된 결과, 최초 접촉에 따른 데이타이면 소정의 버턴 입력에 상응하는 현재의 모드 상태를 읽는다(제804단계). 반면, 최초 접촉에 따른 데이타가 아니면 현재의 모드 상태를 읽지않고, 제806단계로 진행한다.
제804단계 후에 또는 제802단계 후에, 데이타의 좌표 변환을 결정하는 모드 상태에 따라,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 또는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한다(제806단계). 여기서, 제804단계를 거쳤다면, 제806단계에서의 모드 상태는 현재의 모드가 되고, 제804단계를 거치지 않았다면, 초기 모드 또는 이전에 읽혀진 모드 상태가 될 것이다.
제806단계에서 데이타가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808단계).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되면, 마우스 포인터를 상대 좌표값에 상응하여 컴퓨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제810단계). 다음에, 상대 좌표값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다(제812단계).
제808단계에서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되지 않았으면, 마우스 포인터를 절대 좌표값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제814단계). 다음에, 절대 좌표값에 따라 키 패드 기능 또는 문자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제816단계). 구체적으로 절대 좌표값이 키 패드 기능을 위한 절대 좌표값이라면, 터치 패드가 키 패드 기능을 가지도록 절대 좌표값을 소정의 키 값으로 인식하여 키 값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한편, 절대 좌표값이 문자 인식 기능을 위한 절대 좌표값이라면, 터치 패드가 문자 인식 기능을 가지도록 절대 좌표값을 소정의 문자로서 인식하여 문자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 패드 모듈은, 간단한 모드 변경 및 절대 좌표의 인식에 의해 다양한 터치 패드의 기능을 처리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따라 모드 변경 데이타를 발생하는 모드 변경부;
    상기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입력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상대 좌표값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상대 좌표 처리부; 및
    상기 모드 변경 데이타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절대 좌표값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절대 좌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좌표 처리부는,
    상기 모드 변경부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 데이타를 읽어 현재의 모드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타를 소정의 경로로 출력하는 모드 인식 모듈; 및
    상기 모드 인식 모듈을 통해 입력한 상기 입력 데이타를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절대 좌표 처리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경로는 상기 인식된 결과가 상기 터치 패드의 절대 좌표 처리 기능을 요구하면 상기 절대 좌표 처리 모듈측으로 선택되고, 상기 인식된 결과가 상기 터치 패드의 상대 좌표 처리 기능을 요구하면 상기 상대 좌표 처리부측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좌표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 데이타를 상기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터치 패드가 키 패드 기능을 가지도록 소정의 키 값으로 인식시키는 키 패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부는,
    발생된 상기 모드 변경 데이타를 다음의 상기 버턴 입력이 입력되기 전까지 현재의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모드 상태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처리장치.
  5. 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소정의 포인팅 도구의 접촉 위치에 상응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터치 패드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소정의 버턴 입력에 상응하는 모드 상태를 읽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타의 좌표 변환을 결정하는 상기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데이타를 상대 좌표값 또는 절대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처리방법.
KR1019980014541A 1998-04-23 1998-04-23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541A KR100503056B1 (ko) 1998-04-23 1998-04-23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541A KR100503056B1 (ko) 1998-04-23 1998-04-23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936A true KR19990080936A (ko) 1999-11-15
KR100503056B1 KR100503056B1 (ko) 2005-09-09

Family

ID=3730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5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056B1 (ko) 1998-04-23 1998-04-23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483A (ko) * 1999-11-20 2001-06-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터치 패드 기능 제어 방법
WO2006088332A1 (en) * 2005-02-18 2006-08-24 Finger System, Inc. Input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recognizing hybrid coordinate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678945B1 (ko) * 2004-12-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8270775B2 (en) 2004-12-13 2012-09-18 Finger System, Inc.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bsolute coordinat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650A (ja) * 1992-11-27 1994-06-10 Toshiba Corp 感圧式タブレット入力装置を備えた情報管理装置
JPH06324806A (ja) * 1993-05-13 1994-11-25 Fuji Facom Corp 処理装置
JPH0844474A (ja) * 1994-08-03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処理方法
JP3785205B2 (ja) * 1995-09-06 2006-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ブレット入力装置およびタブレット入力方法
JPH09101855A (ja) * 1995-10-04 1997-04-15 Seiko Epson Corp タブレット入力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483A (ko) * 1999-11-20 2001-06-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터치 패드 기능 제어 방법
KR100678945B1 (ko) * 2004-12-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8270775B2 (en) 2004-12-13 2012-09-18 Finger System, Inc.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bsolute coordinates
WO2006088332A1 (en) * 2005-02-18 2006-08-24 Finger System, Inc. Input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recognizing hybrid coordinate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673005B1 (ko) * 2005-02-18 2007-02-28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복합좌표 인식 입력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269720B2 (en) 2005-02-18 2012-09-18 Finger System, Inc. Input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recognizing hybrid coordinate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056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724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US5825675A (en) Apparatus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a small, hand-held computing device
EP1016952B1 (en) Personal computer system
US20060119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sing a touchpad
US5361310A (en) Handwriting entry processing system using keyboard and mouse interfaces requiring no modific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US71197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JPH0580938A (ja) 入力装置
KR100503056B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US5973622A (en) Keyboard with a two-dimensional actuator for generating direction signals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KR100698309B1 (ko) 포인팅디바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장치 및애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매체
US11669200B2 (en) System for touch pad
JPH07141140A (ja) マルチウィンドウ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500283B2 (ja) 仮想空間キ―ボ―ド装置
KR20020076592A (ko) 마우스의 지능형 포인팅 장치 및 방법
JP2000250704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
JPS5819939A (ja) 入力装置
JPH03214309A (ja) 手書き入力処理装置
KR19990059505A (ko)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펜입력 방법 및 장치
JPH07110739A (ja) ペン型情報入力装置
JP2576067B2 (ja) マウス、タブレット一体型入力装置
JPH04184524A (ja) 入出力一体型装置
KR19990018046U (ko) 버튼패드를 갖는 포인팅 디바이스
KR19990019948U (ko)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마우스 클릭버튼 선택장치
JPH0828678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