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7671A -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71A
KR19990077671A KR1019990007477A KR19990007477A KR19990077671A KR 19990077671 A KR19990077671 A KR 19990077671A KR 1019990007477 A KR1019990007477 A KR 1019990007477A KR 19990007477 A KR19990007477 A KR 19990007477A KR 19990077671 A KR19990077671 A KR 1999007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p
signal
pattern
transmission
sw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743B1 (ko
Inventor
우에스기미츠루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03Chirp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송신측에 있어서, 소인기(sweep circuit)(106)에서,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주파수 변화 제어기(107)가 사전 결정된 소인 패턴에 따라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한 후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소인기(111)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신호가 정확하게 전송된다.

Description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TRANSMISS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SSING AND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멀티 패스 페이딩의 극복, 전송 품질의 향상,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 멀티 레이트 정보의 수용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기에 유효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이점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는,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등의 액세스 방식이 실용화되어 있다. 액세스 방식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패스 페이딩의 극복, 전송 품질의 향상,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 멀티 레이트 정보의 수용 등이 필수적이고, 현재로서는 CDMA 방식은, 그것들을 만족시키기에 유효한 방식이라고 고려되고 있다.
CDMA 방식이란, 송신측에서 전송 정보에 확산 코드를 곱하여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동일한 확산 코드를 수신 신호에 곱하여 본래의 전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단, 송수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이동국(통신 단말 장치)이고, 또한, CDMA 방식이 적용된 것인 것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1300)은 제 1∼제 3 이동국(1301∼1303)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게 되어 있다. 기지국(13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 음성 부호화기(1310∼13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313∼1315)와, 변조기(1316∼1318)와, 확산기(1319∼1321)와, 가산기(1322)와, 증폭기(1323)와, 안테나(1324)와, 정합 필터(1325∼1327)와, RAKE 합성기(1328∼1330)와, 오류 정정 복호기(1331∼1333)와, 음성 복호기(1334∼133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1301)은, 안테나(1340)와, 정합 필터(1341)와, RAKE 합성기(1342)와, 오류 정정 복호기(1343)와, 음성 복호기(1344)와, 음성 부호화기(1345)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346)와, 변조기(1347)와, 확산기(1348)와, 증폭기(1349)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이동국(1302)은, 안테나(1350)와, 정합 필터(1351)와, RAKE 합성기(1352)와, 오류 정정 복호기(1353)와, 음성 복호기(1354)와, 음성 부호화기(1355)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356)와, 변조기(1357)와, 확산기(1358)와, 증폭기(1359)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이동국(1303)은, 안테나(1360)와, 정합 필터(1361)와, RAKE 합성기(1362)와, 오류 정정 복호기(1363)와, 음성 복호기(1364)와, 음성 부호화기(1365)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366)와, 변조기(1367)와, 확산기(1368)와, 증폭기(136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1300)으로부터 이동국(1301∼1303)으로 송신이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1300)은, 제 1 이동국(13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310)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1313)에 의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기(1316)에서 변조하며, 또한 확산기(1319)에서 이용자 고유의 확산 코드를 곱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이동국(1302)에 대해서는, 음성 부호화기(1311), 오류 정정 부호화기(1314), 변조기(1317), 확산기(1320)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 3 이동국(1303)에 대해서는, 음성 부호화기(1312), 오류 정정 부호화기(1315), 변조기(1318), 확산기(1321)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각각의 확산된 신호를, 가산기(1322)에서 더해 증폭기(1323)에서 증폭하여, 안테나(1324)로부터 방사한다.
제 1 이동국(1301)은, 안테나(134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정합 필터(1341)에서 소망 신호만을 취출하며, RAKE 합성기(1342)에서 패스 다이버시티를 실행하고, 오류 정정 복호기(1343)에서 오류 정정 복호를 실행하여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며, 음성 복호기(1344)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제 2 이동국(1302)은, 안테나(1350), 정합 필터(1351), RAKE 합성기(1352), 오류 정정 복호기(1353), 음성 복호기(1354)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소망 이용자의 음성만을 재생하고, 제 3 이동국(1303)은, 안테나(1360), 정합 필터(1361), RAKE 합성기(1362), 오류 정정 복호기(1363), 음성 복호기(1364)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소망 이용자의 음성만을 재생한다.
다음에, 이동국(1301∼1303)으로부터 기지국(1300)으로의 송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이동국(1301)은, 음성 부호화기(1345)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1346)에 의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그 오류 정정 부호화후의 데이터를 변조기(1347)에서 변조하며, 확산기(1348)에서 이용자 고유의 확산을 부여하고, 증폭기(1349)에서 증폭하여 안테나(1340)로부터 방사한다.
제 2 이동국(1302)도 마찬가지로, 음성 부호화기(1355), 오류 정정 부호화기(1356), 변조기(1357), 확산기(1358), 증폭기(1359), 안테나(1350)를 방사하고, 제 3 이동국(1303)도, 음성 부호화기(1365), 오류 정정 부호화기(1366), 변조기(1367), 확산기(1368), 증폭기(1369), 안테나(1360)를 이용하여 신호를 방사한다. 이들 신호는 모두 동일 주파수상에 방사된다.
기지국(1300)은, 안테나(1324)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이동국(1301)의 신호만을 정합 필터(1325)에서 취출하며, RAKE 합성기(1328)에서 패스 다이버시티를 실행하고, 오류 정정 복호기(1331)에서 오류 정정 복호하여 수신 품질을 향상시켜, 음성 복호기(1334)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1300)은 제 2 이동국(1302)의 신호만을 정합 필터(1326)에서 취출하고, RAKE 합성기(1329)에서 패스 다이버시티를 실행하며, 오류 정정 복호기(1332)에서 오류 정정 복호하여 수신 품질을 향상시켜, 음성 복호기(1335)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기지국(1300)은, 제 3 이동국(1303)의 신호만을 정합 필터(1327)에서 취출하고, RAKE 합성기(1330)에서 패스 다이버시티를 실행하며, 오류 정정 복호기(1333)에서 오류 정정 복호하여 수신 품질을 향상시켜, 음성 복호기(1336)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CDMA 전송을 실행하면, 각 이동국(1301∼1303)의 신호가, 동일 주파수상에 서로 다른 코드로 확산되어 중첩된다. 이 경우, 확산에 의해서 짧은 지연 시간의 패스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RAKE 수신에 의해서 멀티 패스 페이딩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회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DMA 방식은, 전(全) 이동국(1301∼1303)에 대하여 균등한 전송 품질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인접 셀에서도 동일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으며, 확산율을 제어함으로써 멀티 레이트의 수용이 용이하다고 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우선, RAKE 수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밀도 좋은 핑거를 검출하는, 즉, 페이딩의 상태, 지연파의 상태 등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복수의 이동국 중 1대라도 전력 제어를 잘못하거나, 협대역(狹帶域)이라도 파워에 큰 잡음이 있으면, 그 간섭에 의해서, 셀 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주변 셀 내의 모든 이동국이 통신 불능에 빠지게 된다.
또한, 패스수가 시변(時變)이고, 반드시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확산후의 배율인 칩 레이트에 의해서 시스템의 이용 대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그 대역의 정수배의 밴드밖에 도입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많은 이동국이 동시에 동일 주파수대에 겹쳐 있기 때문에, 용량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서 도입하는 간섭 취소 장치의 규모가 커져 버린다.
또한, 고속인 칩 레이트에서의 동기가 필요하지만, 그 동기를 취하기 위한 기능의 실현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RAKE 수신시의 고정밀도의 핑거 검출을 위한 낭비 시간, 이동국의 전파 간섭에 의한 셀 내의 전(全) 이동국의 통신 불능 상태, 패스수의 시변에 의한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의 삭감, 칩 레이트에 의한 시스템 이용 대역 제한에 기인하는 시스템으로의 주파수 대역 도입의 제한, 용량 증대를 위해 도입되는 간섭 취소 장치의 규모 증대, 고속 칩 레이트에서의 동기 취득의 난점 등을, 없앨 수 있는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섹터 A에 있어서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섹터 B에 있어서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111 : 소인기
107, 112 : 주파수 변화 제어기
345, 355, 365 :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
431, 432, 433 : 주파수 제어 할당기
528, 529, 530, 544, 554, 564 : 고정 오프셋 부가기
613 : 복소 적응 필터
727 : 가산기
813 :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
912, 1012, 1013 : 송신 전력 제어기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통신 단말 장치)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1의 특징은, 본 발명에 의한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SWMDA(Sweep Division Multiple Access:소인 분할 다중) 방식을 송수신 장치에 적용한 점에 있다.
도 2에 있어서, (1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1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101)은, 음성 부호화기(1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04)와, 변조기(105)와, 소인기(106)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07)와, 증폭기(108)와, 안테나(109)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102)은, 안테나(110)와, 소인기(11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와, 복조기(113)와, 오류 정정 복호기(114)와, 음성 복호기(11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101)은, 음성 부호화기(103)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1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변조기(105)에서 그것을 변조하여 소인기(106)에서 그 중심 주파수를 소인한다. 이 때의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107)에서 발생한다. 소인된 신호는, 증폭기(108)에서 증폭되어 안테나(109)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102)은, 안테나(110)에서 기지국(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인기(111)에 의해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한다. 이 때의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에서 발생하고, 그 패턴은 기지국(101)의 주파수 변화 제어기(107)에서 발생한 것과 동일하게 한다. 검파된 신호는, 복조기(113)에서 복조되고, 또한 오류 정정 복호기(114)에서 오류 정정되어 음성 복호기(115)에 의해 음성으로서 재생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송수신 장치에 소인 분할 다중 방식을 적용하고,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라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2의 특징은,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자의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여 동시에 송신하도록 한 점에 있다.
도 3에 있어서, (200)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201∼203)은 각각 제 1∼제 3 이동국이다. 기지국(2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210∼2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213∼215)와, 변조기(216∼218)와, 소인기(219∼22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222∼224)와, 가산기(225)와, 증폭기(226)와, 안테나(22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201)은, 안테나(230)와, 소인기(23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232)와, 복조기(233)와, 오류 정정 복호기(234)와, 음성 복호기(235)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제 2 이동국(202)은, 안테나(240)와, 소인기(24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242)와, 복조기(243)와, 오류 정정 복호기(244)와, 음성 복호기(245)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제 3 이동국(203)은, 안테나(250)와, 소인기(25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252)와, 복조기(253)와, 오류 정정 복호기(254)와, 음성 복호기(255)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3 이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기지국(200)으로부터 각 이용자의 이동국(201∼203)으로의 신호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지만, 각 이동국(201∼203)으로부터 기지국(200)으로의 신호의 전송도 마찬가지의 동작이다.
우선, 기지국(200)에 있어서, 제 1 이동국(2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2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2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216)에서 변조되며, 또한 소인기(219)에서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파수 변화 제어기(222)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변화된다.
또, 제 2 이동국(2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2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2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217)에서 변조되며, 또한 소인기(220)에서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파수 변화 제어기(223)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과 서로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제 3 이동국(2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21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2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218)에서 변조되며, 또한 소인기(221)에서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파수 변화 제어기(224)로부터 생성되는 제 1 및 제 2 소인 패턴과 서로 다른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 변화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225)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226)에서 증폭하여 안테나(227)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227)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201∼2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201∼2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자(自)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이동국(20l)은, 안테나(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231)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화 제어기(232)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함으로써 소망하는 신호를 취출한 다음, 복조기(233)에서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234)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고, 또한 음성 복호기(235)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또, 제 2 이동국(202)은, 안테나(24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241)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화 제어기(242)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함으로써 소망하는 신호를 취출한 다음, 복조기(243)에서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244)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고, 또한 음성 복호기(245)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제 3 이동국(203)은, 안테나(2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251)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화 제어기(252)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함으로써 소망하는 신호를 취출한 다음, 복조기(253)에서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254)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고, 또한 음성 복호기(255)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이동국(201∼203)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변화를 기지국(200)으로 부여함으로써, 각 이동국(201∼203)이 소망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이동국(201∼203)으로의 신호가 겹치더라도, 중심 주파수가 각각 움직이기 위해서 간섭량은 시변으로 되고, 오류 정정 및 인터리브 등과 조합하면 신호의 품질은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자원을 복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다원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3의 특징은, 실시예 2에 있어서 각 이용자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4에 있어서, (300)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301∼303)은 제 1∼제 3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3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310∼3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313∼315)와, 변조기(316∼318)와, 소인기(319∼324)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325∼330)와, 가산기(331)와, 증폭기(332)와, 안테나(3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301)은, 안테나(340)와, 소인기(341, 34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343, 34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45)와, 오류 정정 복호기(346)와, 음성 복호기(3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이동국(302)은, 안테나(350)와, 소인기(351, 35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353, 35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55)와, 오류 정정 복호기(356)와, 음성 복호기(3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이동국(303)은, 안테나(360)와, 소인기(361, 36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363, 36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65)와, 오류 정정 복호기(366)와, 음성 복호기(3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다. 단, 본 예는, 3 이용자가 각각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는 기지국(300)으로부터 각 이동국(301∼303)으로의 신호의 전송의 예이지만, 각 이동국(301∼303)으로부터 기지국(300)으로의 신호의 전송도 마찬가지의 동작이다.
우선, 기지국(300)에 있어서, 제 1 이동국(3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3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3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316)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319)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25)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320)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26)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신호를 다른 패턴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을 수 있다.
또, 제 2 이동국(3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3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3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317)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3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27)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322)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28)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4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또한, 제 3 이동국(3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31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3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318)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323)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2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324)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30)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331)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332)에서 증폭하여 안테나(333)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333)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301∼3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301∼3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자(自)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이동국(301)은, 안테나(3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34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4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34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4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4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34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34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2 이동국(302)은, 안테나(3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35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5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35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5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5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며 오류 정정 복호기(35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35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3 이동국(303)은, 안테나(36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36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6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36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36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36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36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36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이동국 및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각 이동국(301∼303)이 복수의 소망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이동국(301∼303)으로의 각각의 신호가 겹치더라도, 중심 주파수가 각각 움직이기 위해서 간섭량은 시변으로 되고, 오류 정정 및 인터리브 등과 조합하면 신호의 품질은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자원을 복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다원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4의 특징은, 실시예 3에 있어서 동일 이용자의 신호가 겹치지 않도록 한 점에 있다.
도 5에 있어서, (400)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401∼403)은 각각 제 1∼제 3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4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410∼4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413∼415)와, 변조기(416∼418)와, 소인기(419∼424)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425∼430)와, 주파수 제어 할당기(431∼433)와, 가산기(434)와, 증폭기(435)와, 안테나(43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401)은, 안테나(440)와, 소인기(441, 44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443, 44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45)와, 오류 정정 복호기(446)와, 음성 복호기(4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이동국(402)은, 안테나(450)와, 소인기(451, 45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453, 45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55)와, 오류 정정 복호기(456)와, 음성 복호기(4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이동국(403)은, 안테나(460)와, 소인기(461, 46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463, 46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65)와, 오류 정정 복호기(466)와, 음성 복호기(4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3 이용자가 각각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예은 기지국(400)으로부터 각 이동국(401∼403)으로의 신호의 전송의 예이지만, 각 이동국(401∼403)으로부터 기지국(400)으로의 신호의 전송도 마찬가지의 동작이다.
우선, 기지국(400)에 있어서, 제 1 이동국(4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4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4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416)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419)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25)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되고, 다른쪽은 소인기(420)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26)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 때, 주파수 제어 할당기(431)가, 소인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겹치지 않는 제 1 및 제 2 소인 패턴이 생성되도록 주파수 변화 제어기(425, 426)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신호를 서로 다른 패턴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을 수 있고, 또한 양자가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국(4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4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4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417)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4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27)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422)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28)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 때, 주파수 제어 할당기(432)가, 소인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겹치지 않는 제 3 및 제 4 소인의 패턴이 생성되도록 주파수 변화 제어기(427, 428)를 제어한다.
또한, 제 3 이동국(4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41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4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418)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423)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2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424)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30)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6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 때, 주파수 제어 할당기(433)가, 소인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겹치지 않는 제 5 및 제 6 소인 패턴이 생성되도록 주파수 변화 제어기(429, 430)를 제어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434)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435)에서 증폭되어 안테나(436)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436)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401∼4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401∼4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자(自)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이동국(401)은, 안테나(44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44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4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44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4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4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44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44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2 이동국(402)은, 안테나(4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45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5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45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5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5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45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45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3 이동국(403)은, 안테나(46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46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6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46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46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46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46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46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이동국 및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따라 다른 주파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각 이동국(401∼403)이 복수의 소망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이동국(401∼403)으로의 각각의 신호가 겹치더라도 중심 주파수가 각각 움직이기 위해서 간섭량은 시변으로 되고, 오류 정정 및 인터리브 등과 조합하면 신호의 품질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이용자의 복수의 신호는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3으로부터도 품질이 좋은 데이터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자원을 복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다원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5의 특징은, 실시예 3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을 갖은 동일의 소인 패턴으로 중심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동일 이용자의 신호의 중첩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6에 있어서, (500)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501∼503)은 각각 제 1∼제 3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5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510∼5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513∼515)와, 변조기(516∼518)와, 소인기(519∼524)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525∼527)와, 고정오프셋 부가기(528∼530)와, 가산기(531)와, 증폭기(532)와, 안테나(5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501)은, 안테나(540)와, 소인기(541, 54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54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54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45)와, 오류 정정 복호기(546)와, 음성 복호기(5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이동국(502)은, 안테나(550)와, 소인기(551, 55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55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55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55)와, 오류 정정 복호기(556)와, 음성 복호기(5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이동국(503)은, 안테나(560)와, 소인기(561, 56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56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56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65)와, 오류 정정 복호기(566)와, 음성 복호기(5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3 이용자가 각각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는 기지국(500)으로부터 각 이동국(501∼503)으로의 신호의 전송의 예이지만, 각 이동국(501∼503)으로부터 기지국(500)으로의 신호의 전송도 마찬가지의 동작이다.
우선, 기지국(500)에 있어서, 제 1 이동국(5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5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5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516)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519)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25)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되고, 다른쪽은 소인기(520)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28)에서 제 1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신호를 다른 패턴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을 수 있고, 또한 양자가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국(5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5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5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517)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521)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26)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52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29)에서 제 3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또한, 제 3 이동국(5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51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5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518)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523)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2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524)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30)에서 제 5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단, 고정 오프셋 부가기(528∼530)에서 소인 패턴에 부여하는 오프셋량은, 이동국마다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531)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532)에서 증폭되어 안테나(533)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533)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501∼5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501∼5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으로 수신함으로써, 자(自)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이동국(501)은, 안테나(54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54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4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54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44)에서 제 1 소인 패턴에 송신측과 동일한 오프셋을 부가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4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54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54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2 이동국(502)은, 안테나(5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55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5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55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54)에서 제 3 소인 패턴에 송신측과 동일한 오프셋을 부가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55)에서 그것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55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55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3 이동국(503)은, 안테나(56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56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56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56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564)에서 제 5 소인 패턴에 송신측과 동일한 오프셋을 부가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56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56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56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5에 의하면, 이동국 및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따라 다른 주파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각 이동국(501∼503)이 복수의 소망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이동국(501∼503)으로의 각각의 신호가 겹치더라도, 중심 주파수가 각각 움직이기 위해서 간섭량은 시변으로 되고, 오류 정정 및 인터리브 등과 조합하면 신호의 품질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이용자의 복수의 신호는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3으로부터도 품질이 좋은 데이터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캐리어 사이에서 고정 주파수의 오프셋을 부가함으로써 각 서브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제어를 실시예 4로부터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자원을 복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다원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6의 특징은, 수신 장치에 복소 적응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S/N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7에 있어서, (6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6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601)은, 음성 부호화기(6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604)와, 변조기(605)와, 소인기(606)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607)와, 증폭기(608)와, 안테나(609)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602)은, 안테나(610)와, 소인기(61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612)와, 복소 적응 필터(613)와, 복조기(614)와, 오류 정정 복호기(615)와, 음성 복호기(61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601)은, 음성 부호화기(603)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6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변조기(605)에서 그것들을 변조하여 소인기(606)에서 그 중심 주파수를 소인한다. 이 때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607)에서 발생하는 소인된 신호는 증폭기(608)에서 증폭되어 안테나(609)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602)은, 안테나(610)에서 기지국(6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인기(611)에 의해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한다. 이 때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612)에서 발생하고, 그 패턴은 기지국(601)의 주파수 변화 제어기(607)에서 발생한 것과 동일하게 한다.
검파된 신호에 대하여 복소 적응 필터(613)로 S/N을 개선하고 나서 복조기(614)에서 복조를 실행하고, 또한 오류 정정 복호기(615)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여 음성 복호기(616)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6에 의하면, 송수신측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소 적응 필터(613)에서는, 이것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동국의 신호가 소망 신호의 대역 내에 겹친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최적의 S/N을 얻을 수 있도록 정합 필터를 형성할 수 있어, 실시예 1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나 복소 필터의 제어라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7의 특징은, 실시예 6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대의 신호를 복소 적응 필터를 거쳐서 또한 그 출력을 합성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와 S/N의 향상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8에 있어서, (7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7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701)은, 음성 부호화기(7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704)와, 변조기(705)와, 소인기(706, 707)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708, 709)와, 가산기(710)와, 증폭기(711)와, 안테나(7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702)은, 안테나(720)와, 소인기(721, 72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723, 724)와, 복소 적응 필터(725, 726)와, 가산기(727)와, 복조기(728)와, 오류 정정 복호기(729)와, 음성 복호기(7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우선, 기지국(701)에 있어서, 음성 부호화기(703)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7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705)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706)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708)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707)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70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710)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711)에서 증폭되어 안테나(712)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702)은, 안테나(72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721)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72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72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72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출력한다.
그들 출력된 신호는, 복소 적응 필터(725, 726)에 의해 S/N이 개선된 후 가산기(727)에서 가산된다. 단, 복소 적응 필터(727, 726)는, 가산기(727)와 함께 가산 후의 S/N이 최대로 되도록 제어된다. 다른 이동국으로의 신호가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처리는 최대비 합성과 등가로 된다.
이 후, 복조기(728)에서 가산 신호를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729)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730)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7에 의하면, 송수신측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소 적응 필터(725, 726)는 이것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동국의 신호가 소망 신호의 대역 내에 겹친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최적의 S/N을 얻을 수 있는 정합 필터를 형성할 수 있고, 실시예 1로부터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하여 S/N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시예 6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나 복소 필터의 제어라도 용 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8의 특징은, 실시예 6 또는 7에 있어서 복소 적응 필터의 탭 간격을 심볼 시간의 정수분의 1로 함으로써 S/N의 향상과 동시에 심볼 동기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9에 있어서, (8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8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801)은, 음성 부호화기(8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804)와, 변조기(805)와, 소인기(806)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807)와, 증폭기(808)와, 안테나(809)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802)은, 안테나(810)와, 소인기(811)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812)와,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fraction interval complex adaptive filter)(813)와, 복조기(814)와, 오류 정정 복호기(815)와, 음성 복호기(81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801)은, 음성 부호화기(803)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화기(8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행하며, 변조기(805)에서 그것을 변조하여 소인기(806)에서 그 중심 주파수를 소인한다. 이 때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807)에서 발생한다. 소인된 신호는 증폭기(808)에서 증폭되어 안테나(809)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802)은, 안테나(810)에서 기지국(8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인기(811)에 의해서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한다. 이 때의 소인 패턴은 주파수 변화 제어기(812)에서 발생하고, 그 패턴은 기지국(801)의 주파수 변화 제어기(807)에서 발생한 것과 동일하게 한다.
검파된 신호에 대하여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813)에서 검파된 신호에 대하여 S/N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샘플링 타이밍의 갭도 동시에 보상하고 나서 복조기(814)에서 복조를 실행하고, 또한 오류 정정 복호기(815)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여 음성 복호기(816)에 의해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8에 의하면, 송수신측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813)는 이것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동국의 신호가 소망 신호의 대역 내에 겹친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최적의 S/N을 얻을 수 있는 정합 필터를 형성할 수 있어, 실시예 1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는 것에 더불어, 분수 간격의 필터(813)에 의해서 샘플링 타이밍 갭도 동시에 보상할 수 있어, 실시예 6보다도 용이하게 동기를 실행할 수 있다.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나 복소 필터의 제어라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9의 특징은,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도 10에 있어서, (9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9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901)은, 음성 부호화기(9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904)와, 변조기(905)와, 소인기(906, 907)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908, 909)와, 가산기(910)와, 증폭기(911)와, 송신 전력 제어기(912)와, 안테나(9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902)은, 안테나(920)와, 소인기(921, 92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923, 924)와, 복소 적응 필터(925, 926)와, 가산기(927)와, 복조기(928)와, 오류 정정 복호기(929)와, 음성 복호기(9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우선, 기지국(901)에서, 음성 부호화기(903)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9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905)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906)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908)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907)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90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910)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911)에서 증폭된다. 이 때, 송신 전력 제어기(912)에 의해서, 필요 최저한의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증폭기(911)의 증폭율이 제어된 다음, 안테나(913)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902)은, 안테나(92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9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92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92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92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출력된 신호는, 복소 적응 필터(925, 926)에 의해 S/N이 개선된 후 가산기(927)에서 가산된다. 단, 복소 적응 필터(927, 926)는, 가산기(927)와 함께 가산후의 S/N이 최대로 되도록 제어된다. 다른 이동국으로의 신호가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이것은 최대비 합성과 등가로 된다.
이 후, 복조기(928)에서 가산 신호를 복조하고 오류 정정 복호기(929)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930)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9에 의하면, 송수신측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소 적응 필터(925, 926)는 이것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용자의 신호가 소망 신호의 대역 내에 겹친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최적의 S/N을 얻을 수 있는 정합 필터를 형성할 수 있어, 실시예 1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하여 S/N을 향상할 수 있어, 실시예 6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912)에서 이동국마다 필요 최저한의 전력으로 송신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이동국의 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어, 실시예 7보다도 시스템의 용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나 복소 필터의 제어라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10의 특징은, 실시예 9에 있어서 캐리어마다 개별적으로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삭감과 용량의 증가를 실현하도록 한 점에 있다.
도 11에 있어서, (1001)은 기지국을 나타내고, (1002)는 이동국을 나타낸다. 기지국(1001)은, 음성 부호화기(1003)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004)와, 변조기(1005)와, 소인기(1006, 1007)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008, 1009)와, 승산기(1010, 1011)와, 송신 전력 제어기(1012, 1013)와, 가산기(1014)와, 증폭기(1015)와, 송신 전력 제어기(1016)와, 안테나(10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1002)은, 안테나(1020)와, 소인기(1021, 102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023, 1024)와, 복소 적응 필터(1025, 1026)와, 가산기(1027)와, 복조기(1028)와, 오류 정정 복호기(1029)와, 음성 복호기(10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우선, 기지국(1001)에 있어서, 음성 부호화기(1003)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00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005)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006)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008)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1007)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009)로부터 생성되는 것 외에, 다른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각각 승산기(1010, 1011)에서 송신 전력 제어기(1012, 1013)에 의한 제어하에 그 진폭이 제어된다. 이 제어에 의해서, 서브 캐리어마다 개별의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진다. 그 제어후에는, 가산기(1014)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1015)에서 증폭된다. 이 때, 송신 전력 제어기(1016)에 의해서, 필요 최저한의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증폭기(1015)의 증폭율이 제어된 다음, 안테나(1017)로부터 방사된다.
이동국(1002)은, 안테나(102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0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02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022)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024)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다.
이들 취출된 신호는, 복소 적응 필터(1025, 1026)에 의해 S/N이 개선된 후 가산기(1027)에서 가산된다. 단, 복소 적응 필터(1025, 1026)는, 가산기(1027)와 함께 가산후의 S/N이 최대로 되도록 제어된다. 다른 이동국으로의 신호가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처리는 최대비 합성과 등가로 된다.
이 후, 복조기(1028)에서 가산 신호를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029)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030)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0에 의하면, 송수신측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소인을 실행함으로써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소 적응 필터(1025, 1026)는 이것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용자의 신호가 소망 신호의 대역 내에 겹친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최적의 S/N을 얻을 수 있는 정합 필터를 형성할 수 있어, 실시예 1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하여 S/N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시예 6보다도 양호한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1012, 1013)에서 이용자마다 필요 최저한의 전력으로 송신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이용자의 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어, 실시예 7보다도 시스템의 용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캐리어마다 개별적으로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시예 9보다도 시스템의 용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현시에는 광대역의 샘플링을 실행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는 등에 의해, 복잡한 소인 패턴이나 복소 필터의 제어라도 용이하게 실현된다.
(실시예 11)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섹터 A의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섹터 B의 송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단, 송신 장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수신 장치는 이동국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11의 특징은, 소인 패턴으로서 이용자 개별적으로 섹터(여기서는 기지국의 전파 에리어)에 의해서 다른 캐리어 오프셋의 조(組)를 이용함으로써, 섹터의 식별이나, 복수의 기지국이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전파를 함께 내어 그 이동국이 서서히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는 소프트 핸드 오버(hand over)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도 12에 있어서, (1100)은 제 1 기지국을 나타내고, (1101∼1103)은 각각 제 1∼제 3 이동국을 나타낸다. 제 1 기지국(11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11l0∼11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113∼l115)와, 변조기(1116∼1118)와, 소인기(1119∼1124)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5∼1127)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와, 가산기(1131)와, 증폭기(1132)와, 안테나(11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이동국(1101)은, 안테나(1140)와, 소인기(1141, 114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4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144)과,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45)와, 오류 정정 복호기(1146)와, 음성 복호기(11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이동국(1102)은, 안테나(1150)와, 소인기(1151, 115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5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15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55)와, 오류 정정 복호기(1156)와, 음성 복호기(11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이동국(1103)은, 안테나(1160)와, 소인기(1161, 116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16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16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65)와, 오류 정정 복호기(1166)와, 음성 복호기(1167)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1200)은 제 2 기지국을 나타내고, (1201∼1203)은 각각 제 4, 제 5, 제 6 이동국을 나타낸다. 제 2 기지국(1200)은, 본 예에서는 3 계열의 이동국과의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음성 부호화기(1210∼1212)와, 오류 정정 부호화기(1213∼1215)와, 변조기(1216∼1218)와, 소인기(1219∼l224)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225∼1227)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228∼1230)와, 가산기(1231)와, 증폭기(1232)와, 안테나(12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이동국(1201)은, 안테나(1240)와, 소인기(1241, 124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24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24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45)와, 오류 정정 복호기(1246)와, 음성 복호기(12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이동국(1202)은, 안테나(1250)와, 소인기(1251, 125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25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25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55)와, 오류 정정 복호기(1256)와, 음성 복호기(12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6 이동국(1203)은, 안테나(1260)와, 소인기(1261, 1262)와, 주파수 변화 제어기(1263)와, 고정 오프셋 부가기(1264)와,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65)와, 오류 정정 복호기(1266)와, 음성 복호기(126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예는, 6 이용자가 각각 2개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행하고, 또한 3 이용자마다 2개의 섹터 A, B에 수용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본 예는 제 1 및 제 2 기지국(1100, 1200)으로부터 각 이동국(1101∼1103 및 1201∼1203)으로의 신호의 전송의 예이지만, 각 이동국(1101∼1103 및 1201∼1203)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기지국(1100, 1200)으로의 신호의 전송도 마찬가지의 동작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섹터 A에 있어서의 기지국(1100)에 있어서, 제 1 이동국(11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1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1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116)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119)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5)로부터 생성되는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되고, 다른쪽은 소인기(1120)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에서 제 1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신호를 서로 다른 패턴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을 수 있고, 또한 양자가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국(11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1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1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117)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1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6)로부터 생성되는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112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9)에서 제 3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또한, 제 3 이동국(11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112)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1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118)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123)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9)로부터 생성되는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1124)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30)에서 제 5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단,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에서 소인 패턴에 부여하는 오프셋량은, 이동국마다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1131)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1132)에서 증폭되어 안테나(1133)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1133)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1101∼11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1101∼11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자(自)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섹터 B에 있어서의 제 2 기지국(1200)에 있어서는, 제 4 이동국(1201)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210)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213)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216)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219)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25)로부터 생성되는 제 7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되고, 다른쪽은 소인기(1220)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28)에서 제 7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8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것에 따라, 동일한 신호를 다른 패턴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을 수 있고, 또한 양자가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 5 이동국(1202)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211)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214)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217)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22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26)로부터 생성되는 제 9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122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29)에서 제 9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10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또한, 제 6 이동국(1203)에 대하여 음성 부호화기(121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가, 오류 정정 부호화기(1215)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변조기(1218)에서 변조되며, 이 후 2개로 분기된다.
한쪽은 소인기(1223)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29)로부터 생성되는 제 11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다른쪽은 소인기(1224)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30)에서 제 11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12 소인 패턴에 따라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된다.
단, 고정 오프셋 부가기(1228∼1230)에서 소인 패턴에 부여하는 오프셋량은, 이동국마다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각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된 신호는, 가산기(1231)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1232)에서 증폭되어 안테나(1233)로부터 방사된다. 여기서, 안테나(1233)로부터 방사된 신호상에는 복수의 이동국(1201∼1203)으로의 신호가 혼합되어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에 의해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이동국(1201∼1203)에 있어서, 그 소인 패턴과 동일한 소인 패턴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자 이동국으로의 신호만을 수신(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섹터 A와 섹터 B에서는, 주파수의 소인 패턴과 고정 오프셋의 값 중 어느쪽이던지, 또는 양쪽을 다르게 함에 따라, 신호를 분리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섹터의 식별이나 소프트 핸드 오버가 가능해진다.
이하의 ①∼④에 예를 4개 나타낸다.
①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5와 1225, 1126와 1226, 1127와 1227) 각각의 쌍은, 고정의 오프셋(섹터에 의한 고유의 값)이 부가된 동일의 소인 패턴으로 하고, 또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 및 1228∼1230)에서 부가하는 주파수의 오프셋은 모두 동일하게 한다
② 상기 ①에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에서 부가하는 주파수의 오프셋을 동일하게 하고, 또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28∼1230)에서 부가하는 주파수의 오프셋은 모두 동일하지만,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에서 부가하는 주파수의 오프셋과는 다르도록 한다(섹터 A, B에 따른 고유의 값).
③ 상기 ①에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28∼1130 및 1228∼1230)에서 부가하는 주파수의 오프셋은, 모두 랜덤인 다른 값으로 한다(랜덤인 값의 선택 방법에 의해서는 우연히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④ 상기 ③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25∼1127 및 1225∼1227)에서 생성하는 소인 패턴은, 모두 랜덤인 다른 값으로 한다(랜덤인 값의 선택 방법에 의해서는 우연히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수신측에 있어서, 즉, 섹터 A에 있어서의 제 1 이동국(1101)은, 안테나(114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141)에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4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14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44)에서 제 1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4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14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14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2 이동국(1102)은, 안테나(11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15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5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3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15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54)에서 제 3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4 소인의 패턴에 따르는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5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15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15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3 이동국(1103)은, 안테나(116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16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16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5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16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164)에서 제 5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6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16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16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16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섹터 B에 있어서의 제 4 이동국(1201)은, 안테나(124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24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4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7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24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44)에서 제 7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8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4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24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24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5 이동국(1202)은, 안테나(125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25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5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9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25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54)에서 제 9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10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5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25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25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제 6 이동국(1203)은, 안테나(1260)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인기(1261)에 있어서, 주파수 변화 제어기(1263)로부터 생성되는 송신측과 동일한 제 11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첫번째의 소망 신호를 취출하고, 소인기(1262)에 있어서, 고정 오프셋 부가기(1264)에서 제 11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한 제 12 소인 패턴에 따라서 소인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두번째 소망 신호를 취출한 다음,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기(1265)에서 그것들을 복조하여 오류 정정 복호기(1266)에서 오류 정정을 실행하며, 음성 복호기(1267)에서 음성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1에 의하면, 이동국(1101∼l103 및 1201∼1203)과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각 이동국(1101∼1103 및 1201∼1203)이 복수의 소망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이동국(1101∼1103 및 1201∼1203)의 복수의 신호가 겹치더라도, 중심 주파수가 각각 움직이기 위해서 간섭량은 시변으로 되고, 오류 정정 및 인터리브 등과 조합하면 신호의 품질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이동국의 복수의 신호는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3보다도 품질이 좋은 데이터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때, 서브 캐리어 사이에서 고정의 주파수의 오프셋을 부가함으로써 각 서브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제어를 실시예 4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자원을 복수의 이동국(1101∼1103 및 1201∼1203)이 이용하는 다원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섹터 A에 있어서의 각 이동국(1101∼1103)의 주파수의 소인 패턴과, 섹터 B에 있어서의 그것들은, 서로 다른 패턴이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섹터 A, B의 식별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실시예 5에 함께 소프트 핸드 오버의 도입이나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DMA의 칩 레이트에 비해서 심볼 레이트는 저속으로 또한 멀티 캐리어화함으로써 더욱 저속화할 수 있기 때문에, RAKE 수신이나 등화기(等化器)를 이용하지 않고서 멀티 패스 페이딩을 극복할 수 있고, 또한 멀티 캐리어화에 따라서 안정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이용자의 신호는 순간적으로는 협대역 신호밖에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단 한사람의 이용자가 송신 전력 제어를 잘못한 경우라도, 우연히 그 신호와 주파수 성분의 중첩이 큰 신호가 영향을 받을 뿐이고, 또한 협대역의 잡음이 혼입되더라도 우연히 그 잡음과 주파수 성분의 중첩이 큰 신호가 영향을 받을 뿐이다.
또한, 용량의 증가를 도모하기 위해서 간섭 취소 장치를 도입하는 경우에, 신호의 중첩이 소수의 이용자의 신호 사이에 한정되기 때문에 CDMA보다 작은 규모로 실현된다.
또한, 이용하는 대역폭은 심볼 레이트와는 무관하게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주파수 대역에도 간단히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로 동기의 정밀도를 심볼 레이트 정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 회로의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이들의 경우로부터 신호의 기존의 CDMA 방식의 이점을 갖은 채로, CDMA 방식의 과제인, RAKE 수신시의 고정밀도의 핑거 검출을 위한 낭비 시간, 이동국의 전파 간섭에 의한 셀 내 전(全) 이동국의 통신 불능 상태, 패스수의 시변에 의한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의 삭감, 칩 레이트에 의한 시스템 사용 대역 제한에 기인하는 시스템으로의 주파수 대역 도입의 제한, 용량 증대를 위해서 도입되는 간섭 취소 장치의 규모 증대, 고속 칩 레이트에서의 동기 취득의 난점 등을 없앨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8년 3월 10일 출원의 일본 특허 평성 제 10-78318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해 놓는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3)

  1.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소인(掃引:sweep)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2. 각각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된 변조 신호마다 그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변조 신호의 소인시에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 신호의 소인시에 동일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한 후 다이버시티(diversity) 합성 복조를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상기 중심 주파수가 서로 겹치지 않는 패턴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한쪽의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하여 다른쪽의 소인 패턴을 얻음으로써 실현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수단이, 동일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상기 송신 수단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하여 다른쪽의 소인 패턴을 얻음으로써 실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여 얻은 신호의 S/N을 향상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는 복소 적응 필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여 얻은 복수의 신호의 S/N을 향상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는 복수의 복소 적응 필터와, 이 복수의 복소 적응 필터로 처리된 복수의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복소 적응 필터 대신에,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여 얻은 복수의 신호의 S/N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심볼 동기를 취하는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송신 전력을 수신에 필요한 최저한(最低限)의 전력으로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캐리어마다 송신 전력을 수신에 필요한 최저한의 전력으로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11. 송수신 장치를 포함한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소인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12. 송수신 장치를 포함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소인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3. 청구항 5에 기재된 송수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대응 관계로 되는 송신 수단으로서,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의 한쪽을 동일 패턴으로 하고, 상기 한쪽의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하여 다른쪽의 소인 패턴을 얻는 경우의 상기 오프셋값을 모두 동일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이, 모두 동일한 것 대신에, 복수의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이, 모두 동일한 것 대신에, 복수의 송수신 장치 사이 및 각각의 송신 장치 내의 송신 계열마다 모두 서로 다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오프셋이 부가되는 한쪽의 소인 패턴이, 복수의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대응 관계로 되는 송신 수단에서 동일 패턴인 것 대신에, 상기 복수의 송수신 장치 사이 및 각각의 송신 장치 내의 송신 계열마다 모두 서로 다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
  17.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소인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송수신 방법.
  18. 각각 다른 신호로 변조된 변조 신호마다 그 중심 주파수를, 사전 결정된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소인을 실행하면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면서 검파를 실행하는 송수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변조 신호의 소인시에,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고, 수신 신호의 소인시에, 동일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한 후 다이버시티 합성 복조를 실행하는 송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상기 중심 주파수가 서로 겹치지 않는 패턴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동일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한쪽의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하여 다른쪽의 소인 패턴을 얻음으로써 실현하고, 동일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소인하는 서로 다른 소인 패턴을, 상기 동일 변조 신호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소인 패턴에 오프셋을 부가하여 다른쪽의 소인 패턴을 얻음으로써 실현하는 송수신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여 얻은 복수의 신호의 S/N을 향상시키는 복소 적응 필터 처리를 실행하고, 이 처리된 복수의 신호를 가산하는 송수신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수신 수단이, 복소 적응 필터 처리 대신에,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소인 패턴으로 소인하여 얻은 복수의 신호의 S/N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심볼 동기를 취하는 분수 간격 복소 적응 필터 처리를 실행하는 송수신 방법.
KR1019990007477A 1998-03-10 1999-03-08 송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KR100327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8318 1998-03-10
JP10078318A JPH11261526A (ja) 1998-03-10 1998-03-10 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71A true KR19990077671A (ko) 1999-10-25
KR100327743B1 KR100327743B1 (ko) 2002-03-14

Family

ID=1365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477A KR100327743B1 (ko) 1998-03-10 1999-03-08 송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4345B1 (ko)
EP (1) EP0942538A3 (ko)
JP (1) JPH11261526A (ko)
KR (1) KR100327743B1 (ko)
CN (1) CN118055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1777A1 (de) 1999-12-21 2001-07-12 Rudolf Bann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Informationsübertragung
AU2000251564A1 (en) * 2000-05-23 2001-12-03 Littlefeet, Inc. Apparatus for reducing fast fading radio propagation effects for stationary and slow moving mobile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O2001091333A1 (en) * 2000-05-23 2001-11-29 Littlefeet, Inc. Methods of reducing fast fading radio propagation effects for stationary and slow moving mobile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6668008B1 (en) 2000-06-06 2003-1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236500B1 (en) * 2000-12-19 2007-06-26 Intel Corporation Demodulation of multi-user, multi-protocol data in a reconfigurable datapath
CN100571730C (zh) * 2007-04-16 2009-12-23 北京艺信堂医药研究所 一种治疗阳痿的中成药
RU2645913C1 (ru) * 2016-11-08 2018-02-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солнечно-земной физики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СЗФ СО РАН)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ередаточной функции радиотехнической линейной стационарной систем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338A (ja) 1988-12-26 1990-07-03 G D S:Kk 連続チヤープ変調式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2831154B2 (ja) 1991-05-10 1998-12-02 日本無線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2831153B2 (ja) 1991-05-10 1998-12-02 日本無線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US5561686A (en) * 1991-08-23 1996-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pread spectrum transmission system
JP2877177B2 (ja) 1992-06-03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分割多元接続通信方式における受信装置
JPH07105768B2 (ja) 1993-07-23 1995-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多重化変換方式
US5537434A (en) * 1993-10-25 1996-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Frequency hopping control channe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425049A (en) * 1993-10-25 1995-06-13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Staggered frequency hopping cellular radio system
JPH07162393A (ja) 1993-12-10 1995-06-23 Fujitsu Ltd 誤り訂正符号化周波数ホッピング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H07226696A (ja) 1994-02-10 1995-08-22 Fujitsu Ltd 周波数ホッピング型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法
JP3130752B2 (ja) 1995-02-24 2001-01-31 株式会社東芝 Ofdm伝送受信方式及び送受信装置
US5812522A (en) * 1995-03-31 1998-09-22 Airtouch Communications, Inc. Location-ruled radio-integrated network
JPH08307375A (ja) * 1995-05-11 1996-11-2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チャープ信号を用いた変調信号周波数拡散通信方式
JPH08316879A (ja) 1995-05-19 1996-11-29 Tec Corp 周波数ホッピングスペクトル拡散無線通信方法
JP2984588B2 (ja) 1995-10-06 1999-11-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システムの周波数ホッピングパターン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4345B1 (en) 2004-03-09
JPH11261526A (ja) 1999-09-24
KR100327743B1 (ko) 2002-03-14
CN1232329A (zh) 1999-10-20
EP0942538A2 (en) 1999-09-15
EP0942538A3 (en) 2003-08-06
CN1180555C (zh)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97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diversity in CDMA using Walsh codes
KR100372383B1 (ko) 확산스펙트럼신호를이용하는디지털통신시스템및방법
US6389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speed data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carriers
JP4746243B2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101171770B (zh) 用于下行链路信道的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US7953139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75649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s with reduced complexity receivers
AU679813B2 (en) Quadrature multiplexing of two data signals spread by different pn-sequences
EP0883941B1 (e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ing code and time division
CA2724625C (en) Multiplexing arrangements for multiple receive antennas
EP0722227B1 (en) Spread spectrum diversity transmitter/receiver
AU740833B2 (en) Pilot symbols
CN101171775A (zh) 用于上行链路信道的接收装置、接收方法、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CN1228651A (zh) Ds-cdma系统中抑制干扰的通信设备和方法
JPH11317691A (ja) Cdmaセルラ電話の信号波形発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7955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transmit diversity using switched antennas
KR100311236B1 (ko) 송신기및수신기
Glisic et al. Advanced frequency hopping modulation for spread spectrum WLAN
KR100327743B1 (ko) 송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CN1326620A (zh) 在具有码分多址用户分离和可变扩展因子的无线通信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
Aliftiras Receiver Implementations for a CDMA Cellular System
Jung et al. Performance of multicarrier joint detection 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KR100472692B1 (ko) Cdma무선통신시스템용가입자유닛
Madkour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wireless multirate DS-CDMA in multipath fading channels
Sousa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