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6067A -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067A
KR19990076067A KR1019980010716A KR19980010716A KR19990076067A KR 19990076067 A KR19990076067 A KR 19990076067A KR 1019980010716 A KR1019980010716 A KR 1019980010716A KR 19980010716 A KR19980010716 A KR 19980010716A KR 19990076067 A KR19990076067 A KR 1999007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ropellant
weight
emulsifie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운
Original Assignee
김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운 filed Critical 김동운
Priority to KR101998001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067A/ko
Publication of KR1999007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067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콜성분이 2-20중량% 함유된 알콜수용액에 유화제 0.2-2.0중량%와 중합체 0.5-5.0중량%를 첨가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을 분사제와 80:20-10:90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분사시 내용물이 샤벳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수렴제 등의 첨가없이 탁월한 수렴효과를 나타내어 수렴제 등의 사용에 의한 피부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할 때 샤벳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수렴효과유지를 위해 여름철에 제품을 차게 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본 발명은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알콜베이스원액과 분사제가 유화상태로 구성되며 분사시 샤벳형태를 가져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하는 효과와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수렴효과가 뛰어난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각질층은 피지와 수분에 의해 촉촉함과 유연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피부에 수분이 부족해지면 피부의 유연성이 상실되거나 피부가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소르비톨,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나, 카르복시메틸렌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키토산, 폴리비닐피롤리돈, 산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등의 중합체를 사용하여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각질층의 건조를 막아 피부의 유연성을 유지시키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렴효과를 주기 위해 화장료에 과다한 에탄올을 사용하거나 탄닌산과 같은 수렴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에탄올이나 수렴제에 의하여 피부에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내용물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수렴효과가 저하되므로 수렴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을 차게 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에어졸제품으로는 소취제, 살충제, 에어클리너, 화장품 등이 있는데, 이러한 에어졸제품에서는 저급알콜 등의 용제를 사용하여 보습성분과 약효성분을 용해하거나 분산시켜 혼합물원액과 분사제와의 상용성을 좋게 하고 있다.
특히 에어졸제품의 화장품중에서 헤어스프레이 또는 포상정발료는 물, 에탄올 등의 저급알콜 또는 물과 저급알콜의 혼합물 등 적당한 용제에 모발고정용 고분자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분사제로서는 프레온가스 등 고가의 불연성가스를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가연성이지만 저가인 저급탄화수소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저렴한 물-알콜베이스의 에어졸제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에어졸화장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물베이스(water-base)원액과 분사제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안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물베이스원액과 분사제는 비중이 다르고 서로 불용성이어서 혼합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기 쉬워 에어졸화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습성분과 약효성분을 물베이스원액에 용해시킬 때 이들 성분중에는 지용성물질도 포함되어 있어 물베이스원액에 용해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알콜성분을 2-20중량% 함유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의 경우도 유화상태의 붕괴가 빠르고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렴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렴효과가 우수하고, 물-알콜베이스원액과 분사제에 대하여 우수한 유화안정성을 보인 샤벳상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콜성분이 2-20중량% 함유된 알콜수용액에 유화제 0.2-2.0중량%와 중합체 0.5-5.0중량%를 첨가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을 분사제와 80:20-10:9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사시 내용물이 샤벳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졸화장료가 유화안정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각종 성분들의 적절한 배합이 필요하다.
먼저 원액으로는 알콜수용액을 사용한다. 알콜은 탄소원자수 3이하의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콜수용액중 알콜의 함량은 2-2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안정성을 위해 첨가하는 유화제의 함량은 0.2-2.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화제로는 다양한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중 2종 또는 3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수소첨가피마자유 산화에틸렌부가물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을 혼합하여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 친수친유기평형)치가 10-12정도가 되도록 해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화상태를 장기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합체로는 카르복시메틸렌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산탄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및 산탄검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함량은 0.5-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및 산탄검 등을 혼합한 중합체를 유화제에 첨가하여 사용하면 유화후 20일이 경과하여도 유화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히드록시프로필구아와 산탄검을 85:15-20:8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및 산탄검 등의 혼합물은 pH를 5-6으로 맞추어서 일정한 점성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pH조정제로 구연산을 사용하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및 산탄검 등의 혼합물의 pH를 5-6으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의 경우는 pH가 6-7일 때 유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분사제로는 N-부탄, 이소부탄, 프로판, 디메틸에테르(DME) 등 저가이면서 안정한 가연성의 저급탄화수소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화석유가스(LPG)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LPG와 디메틸에테르(DME)를 90:10-70:3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를 분사했을 때 샤벳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샤벳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알콜베이스원액과 분사제의 혼합비율을 80:20-10:90의 중량비로 하여야 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된 화장료가 샤벳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특히 유화제와 중합체 및 글리콜류의 배합이 적절한 상태에서 분사제와의 비율이 알맞아야 한다. 이러한 비율이 맞지 않으면 샤벳상태가 되지 않고 기포가 많이 발생하거나 지나치게 단단한 얼음상태의 제형이 만들어지게 된다.
분사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물-알콜베이스원액과 혼합이 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어 샤벳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사시 기포발생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포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실리콘오일이나 지방을 첨가하는데, 실리콘오일이나 지방의 첨가량은 원액에 대하여 0.01-0.5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5중량%이상이 되면 원액과 분사제가 잘 혼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에어졸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 보습성분 내지 약효성분을 적절하게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가 샤벳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제조공정이 중요하며,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물-알콜베이스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할 때 물-알콜베이스원액에 혼합할 분사제량의 50%를 먼저 충진하여 흔들어서 유화시킨 후, 나머지 50%의 분사제를 넣고 유화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하면 물-알콜베이스원액과 분사제사이에 장기간 1층상태로 유화안정화가 이루어져 샤벳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물과 알콜을 중량비로 90:10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물-알콜베이스원액에 유화제로 하기 표에 나타낸 각종 계면활성제를 1.0% 첨가하였다. 각종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을 투명용기에 50:50의 중량비로 분사제와 함께 충진한 다음 10초간 격렬하게 흔들어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때 분사제로는 LPG 또는 LPG와 DME의 혼합물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되며, 방치후 유화상태를 관찰하고 분사시 샤벳(sherbet)상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 분사제 샤벳상태
실험예 1 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LPG, LPG+DME 기포발생
실험예 2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LPG, LPG+DME 기포발생
실험예 3 수소첨가피마자유 산화에틸렌부가물 LPG, LPG+DME 양호
실험예 4 노닐페닐에테르산화에틸렌부가물 LPG, LPG+DME 양호
실험예 1은 10초간 흔들어서 방치한 후 바로 분리된 것이고, 실험예 2는 흔든 후 45분내 분리된 것이며, 실험예 3과 실험예 4는 흔든 후 90분내 분리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유화제로 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사용한 실험예 1과 실험예 2는 기포가 발생하여 샤벳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으나, 수소첨가피마자유 산화에틸렌부가물, 노닐페닐에테르산화에틸렌부가물을 유화제로 사용한 실험예 3과 실험예 4의 경우 샤벳의 상태가 양호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스킨형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원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료 1 에탄올 6.0
원료 2 수소첨가 피마자유 산화에틸렌무기물 1.0
원료 3 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0.2
원료 4 향료 미량
원료 5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미량
원료 6 1, 3-부틸렌글리콜 3.0
원료 7 슈가 3.0
원료 8 산탄검 1.0
원료 9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1.0
원료 10 구연산 0.1
원료 11 유지방 0.5
원료 12 정제수 4.0
원료 13 정제수 To 100
먼저 원료 1-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용해시켜 둔다. 원료 9는 원료 10으로 중화시킨 후 원료 13에 첨가하고, 원료 11은 40℃의 원료 12에 넣어 용해시킨 후 원료 13에 첨가한다. 나머지 원료 6-8도 원료 13에 넣어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원료 1-5의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가용화시켜 스킨원액을 제조한다.
상기 스킨원액과 LPG를 50:50의 중량비로 에어졸관에 충진하여 분사시 샤벳상태인 스킨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로션형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원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료 1 에탄올 5.0
원료 2 노닐페닐에테르 산화에틸렌무기물 0.9
원료 3 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0.15
원료 4 향료 미량
원료 5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미량
원료 6 1, 3-부틸렌글리콜 3.0
원료 7 글리세린 2.0
원료 8 슈가 3.0
원료 9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1.5
원료 10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0.7
원료 11 구연산 0.05
원료 12 유지방 0.3
원료 13 정제수 2.0
원료 14 정제수 To 100
먼저 원료 1-5를 실온에서 용해시켜둔다. 원료 10은 원료 11로 중화시킨 후 원료 14에 첨가하고, 원료 12는 40℃의 원료 13에 넣어 용해시킨 후 원료 14에 첨가한다. 나머지 원료 6-9도 원료 14에 넣어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원료 1-5의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킨다.
상기 로션원액과 LPG를 45:55의 중량비로 에어졸관에 충진하여 분사시 샤벳상태인 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에센스형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원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료 1 에탄올 4.0
원료 2 수소첨가피마자유산화에틸렌무기물 3.0
원료 3 인산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0.25
원료 4 향료 미량
원료 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미량
원료 6 1, 3-부틸렌글리콜 3.0
원료 7 글리세린 3.0
원료 8 슈가 3.0
원료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2.0
원료 10 산탄검 1.0
원료 11 히드록시프로필구아 1.0
원료 12 구연산 0.1
원료 13 유지방 0.5
원료 14 정제수 3.0
원료 15 정제수 To 100
먼저 원료 1-5를 실온에서 용해시켜 둔다. 원료 11은 원료 12로 중화시킨 후 원료 15에 첨가하고, 원료 13은 40℃의 원료 14에 넣고 용해시킨 후 원료 15에 첨가한다. 나머지 원료 6-10도 원료 15에 넣어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원료 1-5의 용액을 첨가하여 가용화시킨다.
상기 에센스원액과 LPG를 43:57의 중량비로 에어졸관에 충진하여 분사시 샤벳상태의 에센스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클렌징워터형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원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료 1 에탄올 5.0
원료 2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2.0
원료 3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0.3
원료 4 향료 미량
원료 5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미량
원료 6 1, 3-부틸렌글리콜 4.0
원료 7 슈가 3.0
원료 8 산탄검 0.5
원료 9 히드록시프로필구아 0.8
원료 10 구연산 0.07
원료 11 유지방 0.3
원료 12 정제수 2.0
원료 13 정제수 To 100
먼저 원료 1-5를 실온에서 용해시켜 둔다. 원료 9는 원료 10으로 중화시킨 후 원료 13에 첨가하고, 원료 11은 40℃의 원료 12에 넣고 용해시킨 다음 원료 13에 첨가한다. 나머지 원료 6-8도 원료 13에 넣어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원료 1-5의 용액을 첨가하여 가용화시킨다.
상기 클렌징워터원액과 LPG를 30:70의 중량비로 에어졸관에 충진하여 분사시 샤벳상태의 클렌징워터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에센스형태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원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료 1 에탄올 6.0
원료 2 노닐페닐에테르 산화에틸렌부가물 0.7
원료 3 인산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0.2
원료 4 향료 미량
원료 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미량
원료 6 1, 3- 부틸렌글리콜 3.0
원료 7 슈가 3.0
원료 8 산탄검 1.5
원료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원료 10 히드록시프로필구아 1.7
원료 11 구연산 0.05
원료 12 유지방 0.7
원료 13 정제수 2.0
원료 14 정제수 To 100
먼저 원료 1-5를 실온에서 용해시켜 둔다. 원료 10은 원료 11로 중화시킨 후 원료 14에 첨가하고, 원료 12는 40℃의 원료 13에 넣고 용해시킨 후 원료 14에 첨가한다. 나머지 원료 6-9도 원료 14에 넣어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원료 1-5의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킨다.
상기 마사지로션원액과 LPG를 45:55의 질량비로 에어졸관에 충진하여 분사시 샤벳상태의 마사지로션을 얻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는 수렴제 등의 첨가없이 탁월한 수렴효과를 나타내어 수렴제 등의 사용에 의한 피부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할 때 샤벳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수렴효과유지를 위해 여름철에 제품을 차게 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는 여러 가지 보습성분 및 약효성분을 첨가하여 화장품, 의약부외품, 소취제, 제한제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알콜성분이 2-20중량% 함유된 알콜수용액에 유화제 0.2-2.0중량%와 중합체 0.5-5.0중량%를 첨가한 물-알콜베이스원액을 분사제와 80:20-10:90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분사시 내용물이 샤벳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로는 수소첨가피마자유 산화에틸렌부가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중 선택한 2종 또는 3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로는 카르복시메틸렌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산탄검, 히드록시프로필구아,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중 하나 또는 둘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분사제로는 가연성 저급탄화수소가스, 그 중에서도 액화석유가스(LPG)단독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와 디메틸에테르(DME)를 90:10-70:3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5. 제1항에 있어서,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함에 있어서 혼합할 분사제의 50%를 원액에 충진하여 혼합한 후 나머지 분사제를 충진해 혼합하여 유화안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의 형태가 스킨, 로션, 에센스, 클렌징워터, 마사지로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KR1019980010716A 1998-03-27 1998-03-27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KR19990076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716A KR19990076067A (ko) 1998-03-27 1998-03-27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716A KR19990076067A (ko) 1998-03-27 1998-03-27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067A true KR19990076067A (ko) 1999-10-15

Family

ID=6586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716A KR19990076067A (ko) 1998-03-27 1998-03-27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182A (ko) * 2001-08-31 2003-03-06 로레알 카르복시알킬알킬셀룰로스를 기본으로 하는 에어로졸스타일링 조성물
KR101022988B1 (ko) * 2008-07-17 2011-03-22 한국콜마 주식회사 에어로졸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182A (ko) * 2001-08-31 2003-03-06 로레알 카르복시알킬알킬셀룰로스를 기본으로 하는 에어로졸스타일링 조성물
KR101022988B1 (ko) * 2008-07-17 2011-03-22 한국콜마 주식회사 에어로졸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090B2 (en) High alcohol content gel-like and foam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alcohol and fluorosurfactant
EP2614815B1 (en) Foamable aerosol composition
JP2019199475A (ja) シリコーン・ベースの界面活性剤を含むアルコール含有量の高い発泡性組成物
EP0213827A2 (en) Nonfoaming cleansing mousse with skin conditioning benefits
WO2000023051A1 (en) Aerosol ointme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953144B1 (ko)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JP4864428B2 (ja) 非エアゾール式のフォーム剤用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フォーム剤
KR19990076067A (ko) 유화형 에어졸 화장료
KR100460949B1 (ko)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US3728276A (en) Pressurized foam-producing composition and process therefor
JP3862076B2 (ja) 後発泡性パック料
JP2000119132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4043291B2 (ja) 発泡性エアゾール化粧品組成物
CN111315842B (zh) 裂化气溶胶组合物
JP6851593B2 (ja) クラッキングエアゾール組成物
US11007126B2 (en) Cracking aerosol composition
JPH02258887A (ja) 発泡破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JP2001172170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S63141918A (ja) かゆみ止め用エアゾ−ル組成物
JPH04314780A (ja) エアゾール用組成物
JP2023171077A (ja)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JP2022072114A (ja) 人体用害虫忌避組成物
US20210052475A1 (en) Non-Aerosol Shaving Compositions
JPH0426607A (ja) 化粧料
JPH0692841A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