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4955A -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955A
KR19990074955A KR1019980008855A KR19980008855A KR19990074955A KR 19990074955 A KR19990074955 A KR 19990074955A KR 1019980008855 A KR1019980008855 A KR 1019980008855A KR 19980008855 A KR19980008855 A KR 19980008855A KR 19990074955 A KR19990074955 A KR 19990074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emergency
functio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주일
Original Assignee
온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주일 filed Critical 온주일
Priority to KR101998000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955A/ko
Publication of KR1999007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955A/ko

Links

Landscapes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금 부과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에 요금 부과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간단하게 하도록 유도하면서 전화 요금 통제가 어려운 장소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화 통화량을 관리할 수 있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70)에 선로를 분배 및 연결하고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화 인터페이스(60)와; 통화 종류에 따른 요금 체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20)와; 전화기(70)에서 발생하는 번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기(40)와; 투입되는 금액을 인식하는 동전 인식기(50)와; 통화 상태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10)와; 상기한 기능키(20)를 통하여 요금 체계를 설정하며, 신호 변환기(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한 기능키(20)로 설정된 요금 체계에 맞게 투입된 금액에 맞는 통화 시간을 관리하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상기한 디스플레이(10)에 출력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요금 부과 등과 같은 통화 관리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에 통화 요금 관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전화 요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무분별한 통화를 억제하여 전화 요금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금 부과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에 요금 부과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간단하게 하도록 유도하면서 전화 요금 통제가 어려운 장소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화 통화량을 관리할 수 있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그 용도에 따라서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 전화기와, 통화 요금을 미리 투입하고 통화하는 공중 전화기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일반 전화기는 단순하게 전화국에 연결되어 통화만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비하여, 공중 전화기는 투입한 전화 요금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공중 전화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종류 즉, 일반 전화(시내 전화, 시외 전화, 국제 전화), 무선 이동통신 전화기(셀룰러 폰), 무선 호출기 등을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의 기본 통화 도수를 정하고, 투입한 금액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상대방과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통화 도수라는 것은, 기본 통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국내(한국)의 경우, 시내 전화는 1도수가 2분(120초, 1998년 3월 현재), 시외 전화는 거리에 따라서 1도수의 시간이 달라지며, 국제 전화는 해당 국가마다 서로 다르며, 무선 호출기는 시내 통화에 같으며, 셀룰러 폰은 10초를 1도수로 산정한다.
그리고, 각 전화 체계마다 1도수에 부과되는 통화 요금이 다르다.
따라서, 공중 전화기에는 전화마다 각각 다른 요금 체계에 대한 요금 설정이 미리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 전화기는 MFC(Multi-Frequency Code) 발생 전화기인 경우에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와, 각 숫자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 DTMF(Dial Tone Multi Frequency)와, 선로와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와, 송화기 등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화기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전화 통화 시간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한 전화기도 선보이고 있다.
한편, 공중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 불특정 다수가 일반 전화기를 이용할 때에는 전화 통화를 철저하게 관리해야만 통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다방, 만화방, 서점, 음식점 등과 같은 상가와, 학교의 동아리 방, 기숙사, 공장 등에 공중 전화기를 설치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기 때문에 일반 전화기를 대부분이 이용하면서 이용자 스스로 전화 요금을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도 무분별한 전화 통화는 가계 지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이 종래에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요금 부과 등과 같은 통화 관리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에 통화 요금 관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전화 요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무분별한 통화를 억제하여 전화 요금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 전화기에 연결되어 전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에 선로를 분배 및 연결하고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화 인터페이스와; 통화 종류에 따른 요금 체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와;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번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기와; 투입되는 금액을 인식하는 동전 인식기와; 통화 상태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와; 상기한 기능키를 통하여 요금 체계를 설정하며, 신호 변환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한 기능키로 설정된 요금 체계에 맞게 투입된 금액에 맞는 통화 시간을 관리하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상기한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요금 체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전화기가 후크 오프되면 전화 통화에 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비상용 전화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 결과 비상 전화가 아니면,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발신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음이 확인되면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통화가 연결되면 투입된 금액만큼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하고, 통화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통화 종료를 안내해 주고, 사용자가 다시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면 상기한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복귀하고, 아니면 후크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비상 전화 확인 단계에서 확인 결과 비상 전화이면 발신음을 확인하고, 비상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전화 번호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상 전화 번호와 비교하여, 비상 전화 번호이면 통화를 연결하고, 아니면 후크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에서 기능키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디스플레이 20 : 기능키
30:제어부 40 : DTMF
50:동전인식기 60 : 전화 인터페이스
70:전화기 80 : 비상 전화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에서 기능키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70)에 연결되어 전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70, T/P)에 선로를 분배 및 연결하고 후크 온/오프(HOOK ON/OFF) 기능을 갖는 전화 인터페이스(60, P/I)와; 통화 종류에 따른 요금 체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20)와; 전화기(70)에서 발생하는 번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DTMF 신호 변환기(40, DTMF)와; 투입되는 금액을 인식하는 동전 인식기(50, COIN)와; 통화 상태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10, DSP)와; 상기한 기능키(20)를 통하여 요금 체계를 설정하며, DTMF 신호 변환기(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한 기능키(20)로 설정된 요금 체계에 맞게 투입된 금액에 맞는 통화 시간을 관리하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상기한 디스플레이(10)에 출력하는 제어부(30, CTL)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기능키(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통화 구분별로 요금을 설정하기 위하여, 시내 전화, 무선 호출기(시내 전화와 같은 요금 체계라는 가정 하에서); 시외 전화, 셀룰러 폰; 국제 전화 및 기타 등의 통화 체계를 구분할 수 있는 키와; 상기한 통화 구분키를 선택하고, 각 통화 구분별로 기본 요금을 설정할 수 있는 증감 키(+,-)와; 상기한 증감키를 이용하여 기본 요금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증감 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전화 인터페이스(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대의 전화기(70)만이 연결되어 있지만, 여관 등과 같은 곳에서도 간편하게 각 객실 전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여러 대의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의 작용 설명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 요금 체계를 설정하는 단계(S 1)와; 사용자가 전화기를 후크 오프하면(통화중)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의 사용에 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S 2)와; 사용자가 비상용 전화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상 전화키를 눌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 4)와; 상기 단계(S 4)에서 확인 결과 비상 전화가 아니면, 소정의 금액(동전)이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 5)와; 발신음이 들리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 6)와; 발신음이 들리면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S 7)와; 다이얼링한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투입된 금액에 대한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 9)와; 투입된 금액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대방과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 종료 시간(예를 들어 15초전, 5초전)이 도래하면 통화 종료 시간이 임박했음을 안내해 주는 단계(S 10)와; 사용자가 다시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면 상기한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해 주는 단계(S 9)로 복귀하고, 아니면 후크 온(통화 종료)시키는 단계(S 12)와; 상기한 비상 전화 키 확인 단계(S 4)에서 확인 결과, 사용자가 비상 전화키를 누르면, 발신음을 확인하는 단계(S 41)와; 사용자가 비상 전화 번호(예를 들어, 112, 113, 119)를 다이얼링하는 단계(S 42)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전화 번호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상 전화 번호와 비교하는 단계(S43)와; 확인 결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상 전화 번호이면 통화 연결을 하는 단계(S 44, 45)와; 확인 결과 아니면, 후크 온시키는 단계(S 1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기능키(20)를 이용하여 각 통화 구분별로 기본 요금당 통화 시간을 미리 설정한다.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화 구분은 시내 전화, 무선 호출기; 시외 전화, 셀룰러 폰; 국제 전화, 기타 등으로 구분되므로, 각 통화 구분에 해당하는 증감키(+,-)를 조작하여 기본 요금을 정한다.
그리고, 정해진 기본 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감키(UP, DN)로 설정한다.
이렇게, 관리자가 각 통화 구분별로 요금 및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전화기 핸드셋을 들고(후크 오프) 통화하기 위하여, 동전을 투입하고, 다이얼링하면, 전화 번호를 분석한다.
이 때, 전화 번호는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체계를 갖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분석을 한다.
시내 통화는 앞자리에 '0'이 오지 않는 전화이며, 무선 호출기는 '012', '015'로 시작하는 전화 번호이고, 시외 통화는 '02∼06'으로 시작하는 번호이며, 셀룰러 폰은 '011', '016', '017', '018, '019' 등으로 시작하는 번호이며, 국제 전화는 '001', '002', '008' 등으로 시작하는 번호이므로, 입력되는 번호의 시작을 분석하여 입력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에 맞는 요금 체계를 결정한다.
이렇게, 요금 체계가 결정되면, 투입된 금액에 해당하는 통화 시간을 디스플레이(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통화 종료 시간이 되기 전(예를 들어, 15초전, 5초전)에 통화 종료 시간이 임박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다시 동전을 투입하면, 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통화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상 전화, 전화 요금을 수반하지 않는 전화 번호로,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에 112, 113, 119,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상 전화키(80)를 누르면 발신음을 확인하고, 다이얼링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상 전화 번호와 비교하여 확인한다.
비상 전화 번호가 맞으면, 통화를 유지시켜 주고, 아니면 통화를 차단한다.
이 때, 전호 체계가 비상 전화와 같으면서도 전화 요금이 부과되는 번호 즉, 전화 번호 안내 : 114, 날씨 안내 : 131 등은 요금이 부과되므로 이를 반드시 확인하여 미리 기억시켜 놓아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및 그 방법은 요금 부과 등과 같은 통화 관리 기능이 없는 일반 전화기에 통화 요금 관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전화 요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무분별한 통화를 억제하여 전화 요금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일반 전화기에 연결되어 전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70)에 선로를 분배 및 연결하고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화 인터페이스(60)와; 통화 종류에 따른 요금 체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20)와; 전화기(70)에서 발생하는 번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기(40)와; 투입되는 금액을 인식하는 동전 인식기(50)와; 통화 상태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10)와; 상기한 기능키(20)를 통하여 요금 체계를 설정하며, 신호 변환기(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통하여 전화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한 기능키(20)로 설정된 요금 체계에 맞게 투입된 금액에 맞는 통화 시간을 관리하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상기한 디스플레이(10)에 출력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장치.
  2.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요금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요금 체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전화기가 후크 오프되면 전화 통화에 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비상용 전화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확인 결과 비상 전화가 아니면,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발신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발신음이 확인되면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통화가 연결되면 투입된 금액만큼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하고, 통화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통화 종료를 안내해 주고, 사용자가 다시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면 상기한 통화 가능 시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복귀하고, 아니면 후크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비상 전화 확인 단계에서 확인 결과 비상 전화이면 발신음을 확인하고, 비상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전화 번호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상 전화 번호와 비교하여, 비상 전화 번호이면 통화를 연결하고, 아니면 후크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요금 부과 방법.
KR1019980008855A 1998-03-16 1998-03-16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74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855A KR19990074955A (ko) 1998-03-16 1998-03-16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855A KR19990074955A (ko) 1998-03-16 1998-03-16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955A true KR19990074955A (ko) 1999-10-05

Family

ID=6590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855A KR19990074955A (ko) 1998-03-16 1998-03-16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275A (en) Telephone system
US5022067A (en) Telephone call security system
KR100206321B1 (ko) 호출 아이디를 이용한 자동 다이얼링 방법
US6804335B1 (en)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ic services
CA1288152C (en) Fraud prevention in a public telephone station
GB2171877A (en) Telephone system
KR19990074955A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요금 부과장치 및 그 방법
EP0999691A1 (en) Ring type based on call related information
KR10024598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200203361Y1 (ko) 발신자 표시 및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갖는 단말기
JPH06318976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JPH10276257A (ja) 電話装置
JPH10155017A (ja) 電話端末装置
KR960003105B1 (ko) 공중전화기의 무단 커플러(coupler)사용 방지 방법
KR100473640B1 (ko) 복수의 카드를 사용하는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56709A (ko) 전화요금 연산장치와 방법
KR200212105Y1 (ko)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이 내장된 자동 접속 다이얼 장치
KR100707249B1 (ko)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공중 전화기 및 그 방법
JP3367032B2 (ja) 料金徴収式電話機
JPH10276283A (ja) 通話料金報知端末
KR20010110254A (ko)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구현방법 및 그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
KR19980075443A (ko) 전화단말기의 통화요금 및 통화횟수 표시방법
KR950009398B1 (ko) 무선 공중전화 시스템
KR950000973B1 (ko) 공중전화기의 단위요금 변경방법
KR910006044Y1 (ko)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