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4102A - Layout of photo equipment - Google Patents

Layout of photo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102A
KR19990074102A KR1019980007485A KR19980007485A KR19990074102A KR 19990074102 A KR19990074102 A KR 19990074102A KR 1019980007485 A KR1019980007485 A KR 1019980007485A KR 19980007485 A KR19980007485 A KR 19980007485A KR 19990074102 A KR19990074102 A KR 1999007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coating
stepper
photo equipment
layo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우
박경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102A/en
Publication of KR1999007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102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으로, 스피너와 스테퍼를 일대일 대응하여 인라인으로 설치하지 않고,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을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개별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고, 주행통로에 설치된 자재반송장치가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 사이를 연계하여 카세트를 로딩·언로딩함으로서, 스테퍼와 스피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시스템 다운되더라도 포토 공정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공정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종래에 비해 포토 설비의 설치수의 감소에 비해 스루풋은 동일하여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 면적이 감소되고 포토 설비 설치 비용이 줄어 제품의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ayout of a photo equipment, and does not install the spinner and stepper in one-to-one correspondence inline, and separately arranges the exposure apparatuse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traveling passage. The material transfer device installed in the driving passage connects the exposure apparatus, the coating apparatu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to load and unload the cassette, so that even if one of the stepper and the spinner is down, the process does not affect the photo process. The efficiency is not reduced, and the throughput is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photo equipment, and thus, the layout area of the photo equipment is reduced and the cost of installation of the photo equipmen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product.

Description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Layout of photo equipment

본 발명은 포토설비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퍼와 스피너 각각을 로컬 시스템화하여 설비 투자 비용을 줄임으로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포토설비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ayout of a photo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yout of a photo equipment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capital investment cost by localizing each stepper and spinner.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여러 전자 제품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의 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초고집적 밀도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개발은 전자 통신 산업 및 멀티 미디어 시대를 한층 더 발전시키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re also develop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s has been developed differently every day, and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with ultra-high density has further developed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industry and the multimedia era.

이와 같은 초고집적 밀도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회로 설계기술, 장비기술 및 공정기술이 함께 뒷받침된 현대 과학 기술의 집합체로 일컬어지고 있다.Such ultra-high density semiconductor devices are said to be a collection of modern scientific technologies supported by circuit design technology, equipment technology and process technology.

반도체 소자의 공정기술은 크게 세정, 포토리소그래피, 에칭, 이온주입, 박막형성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운데에서도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의 패턴 형성 기술은 대단히 중요한 기술로써 반도체 소자의 초고집적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Process technology of semiconductor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cleaning, photolithography, etching, ion implantation, thin film formation, etc. Among these, the pattern formation technology of photolithography process is very importa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ultra-high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To perform.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는 포토 설비는 크게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도포장치(coater)와 잠정적인 상에 대해 소정의 패턴을 현상하는 현상장치(developer)로 이루어진 스피너(spinner)와, 포토레지스트상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패턴에 대한 잠정적인 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 즉 스테퍼(stepper)로 이루어진다.A photo equipment for perform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includes a spinner comprising a coater for largely applying photoresist, a developer for developing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respect to a potential image, and a light on the photoresist. It is made of an exposure apparatus, that is, a stepper, which irradiates and forms a tentative imag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스피너와 스테퍼는 인라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통상, 스테퍼의 가격이 스피너에 비해 고가이므로, 인라인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스테퍼는 스피너에 대해 기준이 되도록 넥 유닛(neck unit)으로 구성된다.Spinners and steppers are made of inline systems, and typically, the price of steppers is higher than that of spinners, so when constructing an inline system, the steppers are composed of neck units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spinners.

한편, 스테퍼의 스루풋 증가로 인해 스테퍼 : 스피너의 차이가 1 : 0.8이 발생하였고, 스테퍼에 대응하여 스피너, 즉, 도포장치는 1.2대, 현상장치는 2.6대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per: spinner difference of 1: 0.8 occurr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throughput of the stepper, and corresponding to the stepper, the spinner, that is, about 1.2 coating apparatuses and about 2.6 developing apparatuses was requir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설비들이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되어 있고, 주행통로에는 공정자재, 즉,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운반하는 자재반송장치(15)가 위치해 있다.As shown in FIG. 1, photo facilitie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passage, and a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15 carrying a process material, that is, a carrier containing a wafer, is located in the traveling passage. .

포토 설비는 노광장치(14)인 스테퍼와, 도포장치(11), 현상장치(12)로 이루어진 스피너(13)가 일대일 개념으로 인라인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재반송장치(15)는 주행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리어를 해당 포토 설비에 로딩하거나 해당 포토 설비로부터 언로딩한다.In the photo equipment, a stepper, which is an exposure apparatus 14, and a spinner 13 composed of an application apparatus 11 and a developing apparatus 12 are formed in-line in a one-to-one concept, and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15 follows a traveling line. On the move, the carrier is loaded into or unloaded from the photo facility.

도포장치(11)는 스테퍼의 스루풋 증가에 대응하여 제 1 도포부와 제 2 도포부의 2유닛(unit)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상장치(12)는 제 1 현상부와 제 2 현상부와 제 3 현상부의 3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applicator 11 is composed of two units of the first applicator and the second applicator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the throughput of the stepper,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12 includes the first developing part, the second developing part and the third developing part. It consists of three units of the developing part.

이는 아래의 <표 1>에 따른 결과 데이터에 따른 것이다.This is according to the result data according to <Table 1> below.

도포장치Coating device 스테퍼Stepper 현상장치Developing equipment 1유닛1 unit 1 런(run)진행시 40분(-5분)40 minutes (-5 minutes) per run 1 런(run)진행시 35분35 minutes per run 2유닛2 units 1 런(run)진행시 46분(-11분)One run is 46 minutes (-11 minutes) 2유닛2 units 1 런(run)진행시 23분(+12분)1 run 23 minutes (+12 minutes) 3유닛3 units 1 런(run)진행시 28분(+7분)1 run 28 mins (+ 7 mins) 비고Remarks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인 스테퍼를 기준으로 도포장치(11)와 현상장치(12)를 구성할 경우, 스테퍼의 1런 진행시간 보다 제 1 도포부와 제 2 도포부의 2유닛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11)의 1런 진행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제 1 현상부와 제 2 현상부와 제 3 현상부로 이루어진 현상장치(12)의 1런 진행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coating device 11 and the developing device 12 are configured on the basis of an expensive stepper, two units of the first coating part and the second coating part than the run time of the stepper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ne run time of the coating device 11 made of this is short, and that the one run time of the developing device 12 composed of the first developing part, the second developing part, and the third developing part is short.

또한, 스테퍼, 즉, 노광장치(14)와 도포장치(11)와 현상장치(12) 간의 웨이퍼 이송은 로봇암(미도시)들에 의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epper, i.e., wafer transfer between the exposure apparatus 14, the coating apparatus 11,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12 is mutually connected by robot arms (not shown).

이와 같이 스테퍼와 스피너가 일대일 개념으로 인라인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포토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 process in the state where the stepper and the spinner are configured inline in a one-to-one concept is as follows.

먼저, 포토설비의 카세트 로딩부(미도시)에 웨이퍼를 수납한 카세트를 올려놓는다.First, a cassette containing a wafer is placed on a cassette loading unit (not shown) of the photo equipment.

이어서, 로봇암이 카세트내의 웨이퍼를 꺼내어 도포장치(11)를 구성하는 소정의 도포부에 로딩한다.Subsequently, the robot arm takes out the wafer in the cassette and loads it into a predetermined coating unit constituting the coating device 11.

로딩부에서 포토레지스트의 도포공정을 마친 웨이퍼는 로봇암에 의해 다시 노광장치(14)에 로딩된다. 노광장치(14)에서 포토레지스트상에 광을 노출하여 소정의 패턴에 대한 잠정적인 상을 형성한다.After the photoresist coating process is completed in the loading unit, the wafer is loaded into the exposure apparatus 14 by the robot arm. The exposure apparatus 14 exposes light onto the photoresist to form a tentative imag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노광공정을 완료한 웨이퍼는 다시 로봇암에 의해 현상장치(12)를 구성하는 소정의 현상부에 로딩된다. 현상부에서 소정의 패턴을 현상한다.After the exposure process is completed, the wafer is loaded into a predetermined developing unit constituting the developing apparatus 12 by the robot arm. A predetermined pattern is developed in the developing unit.

현상공정을 완료한 웨이퍼는 다시 카세트내로 언로딩된다.The wafer which has completed the development process is again unloaded into the cassette.

그러나, 포토 설비를 구성하는 스테퍼와 스피너가 일대일로 인라인된 상태에서 스테퍼와 스피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시스템 다운되면, 포토 설비 전체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any one of the stepper and the spinner is d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pper and the spinner constituting the photo equipment are inlined one-to-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reduced by not using the entire photo equipment.

또한, 스테퍼와 스피너를 일대일로 인라인으로 구성함으로서 포토설비의 레이아웃 면적이 커지고, 포토 설비 설치비용이 증가하여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tepper and the spinner in one-to-one in-line, the layout area of the photo equipment is increased, the cost of installing the photo equipment increases, and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퍼와 스피너를 일대일로 인라인으로 구성하지 않고 스테퍼와 스피너를 각각 로컬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서, 스테퍼와 스피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시스템 다운되더라도 포토 설비에 영향이 미치지 않고,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 면적을 줄이고, 포토 설비 설치 비용을 줄여 제품의 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stepper and the spinner as a local system without configuring the stepper and the spinner in one-to-one, respectively, so that even if one of the stepper and the spinner is down, the photo equipment is not affected. It is to reduce the layout area and to reduce the cost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cost of installing the photo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layout of a photo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ayout of a photo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설비의 레이아웃에 있어서,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yout for photo equipment.

소정의 기판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와, 포토레지스트상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패턴에 대한 잠정적인 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 잠적적인 상에 관련하여 패턴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도포장치와 노광장치와 현상장치 사이를 연계하면서 공정자재를 반송하는 자재반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ating apparatus for applying a photoresist on a predetermined substrate, an exposure apparatus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photoresist to form a tentative imag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a developing apparatus for developing a pattern in relation to the latent image; And a material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process material while linking between the coating apparatus and the exposure apparatu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베이에 배치된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ayout of the photo equipment arranged in one bay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 가운데 하나인 스테퍼인 노광장치(14)들은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현상장치(22)들과 도포장치(21)들은 주행통로의 타측에 소정 비율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주행통로에는 공정자재, 즉,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운반하는 자재반송장치(25)가 위치한다.As shown in FIG. 2, the exposure apparatuses 14, which are one of the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photo equipment,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driving passage,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22 and the coating apparatus 21 are disposed.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ratio on the other side of the travel passage, and the material transport apparatus 25 carrying a process material, that is, a carrier containing the wafer, is located in the travel passage.

이때, 종래에 로봇암들이 스테퍼와 스피너 사이를 인터페이스하던 것을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반송장치(25)가 노광장치(24)들과 현상장치(22)들과 도포장치(21)들 사이를 연계하면서 웨이퍼를 수납한 캐리어를 반송하여 해당 장치들에 로딩·언로딩한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arms have previously interfaced between the stepper and the spinner, and the material transporting device 25 links the exposure apparatuses 24, the developing apparatuses 22, and the coating apparatuses 21. The carriers containing the wafers are then transported and loaded and unloaded into the devices.

또한, 자재반송장치(25)는 다른 베이의 주행통로를 운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25 may drive the traveling passage of another bay.

종래에 하나의 베이내에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12대의 포토 설비들이 배치되고, 포토 설비를 구성하는 스테퍼, 도포장치, 노광장치가 일대일 대응하여 인라인으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공정효율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베이내에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스테퍼, 즉, 노광장치(14)와, 도포장치(21)와, 현상장치(22)를 9 : 4 : 6의 비율로 배치하여 공정을 진행함으로서 종래와 동일한 공정효율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에 설치된 스테퍼, 도포장치, 노광장치의 설치 댓수보다 작은 댓수로 공정을 진행함으로서 동일한 공정효율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Conventionally, 12 photo equipment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a driving passage in one bay, and compared with the process efficiency when the stepper, the coating apparatus, and the exposure apparatus constituting the photo equipment are connected inlin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is performed by arranging the stepper, that is, the exposure apparatus 14, the coating apparatus 21,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22 at a ratio of 9: 4: 6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ing passage in one bay. By doing so, the same process efficiency as in the related art is possible.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process efficiency can be achieved by proceeding the process with a smaller number than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of the stepper, coat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스테퍼, 도포장치, 현상장치의 9 : 4 : 6의 설치비율은 아래의 <표 2>에 따라 현상장치(22)와 도포장치(21)로 이루어지는 스피너(23)와 스테퍼 구성에 따른 슬루풋(through put) 결과 데이터에 따른 것이다.The installation ratio of 9: 4: 6 of the stepper, the coating device, and the developing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inner 23 and the stepper configuration of the stepper configuration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22 and the coating device 21 according to <Table 2> below. through put) according to the result data.

구분division 구성Configuration 스테퍼Stepper 스테퍼 1런(run)시간Stepper run time 비고Remarks 8대8 spaces 9대9 spaces 10대10 도포장치 3대3 coating devices 3유닛3 units ×× ×× 35분35 minutes -1.0분-1.0 min 도포장치 4대4 coating devices +6.0분+6.0 minutes 현상장치 5대5 developing devices 3유닛3 units ×× ×× -7.0분-7.0 minutes 현상장치 6대6 developing devices ×× +7.0분+7.0 minutes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인 스테퍼를 기준으로 도포장치(21)와 현상장치(22)를 구성할 경우, 스테퍼의 1런 진행시간 보다 제 1 도포부와 제 2 도포부와 제 3 도포부의 3유닛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21)의 1런 진행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제 1 현상부와 제 2 현상부와 제 3 현상부의 3유닛으로 이루어진 현상장치(22)의 1런 진행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applicator 21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22 are configured based on expensive steppers, the first applicator, the second applicator, and the first applicator are made more than the run time of the stepper. 1 run time of the coating device 21 which consists of 3 units of 3 application | coating parts is small, and 1 run time of the developing device 22 which consists of 3 units of a 1st developing part, a 2nd developing part, and a 3rd developing part is carried out. It is desirable to take less.

이러한 조건하에서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퍼 9대에 대해서 도포장치(21) 4대와 현상장치(22) 6대를 하나의 베이내에 배치하여 공정을 진행하면, 최대의 공정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Under these conditions, as shown in Table 2, for the nine steppers, if four coating apparatuses 21 and six developing apparatuses 22 are arranged in one bay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the maximum process efficiency is achieved. You can expect.

또한, 스테퍼, 도포장치(21), 현상장치(2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시스템 다운되더라도 포토 설비에 영향이 미치지 않고, 포토 설비의 전체적인 레이아웃 면적이 줄어들어 반도체 제조 라인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포토 설비 설치 비용이 줄어들어 제품의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one of the stepper, the coating device 21, and the developing device 22 is down, the photo equipment is not affected, and the overall layout area of the photo equipment is reduced, so that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can be efficiently managed. Installation costs can be reduced, reducing the cost of the product.

여기서,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스테퍼들과 도포장치들과 노광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배치하고, 주행라인을 따라 스테퍼들과, 도포장치들과, 노광장치들 사이를 자재반송장치가 연계하여 카세트를 운반하는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 구조에서 진행되는 포토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stepper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exposure apparatuses are separat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driving passage, and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is connected between the stepper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exposure apparatuses along the traveling line to connect the cassette. Looking at the photo process is carried out in the layout structure of the photo equipment to be carried as follows.

먼저, 자재반송장치(25)는 해당 장치, 예를 들어 도포장치(21)로부터 공정완료된 웨이퍼를 수납한 카세트를 언로딩한다.First,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25 unloads the cassette which accommodated the process completed wafer from the said apparatus, for example, the coating apparatus 21. As shown in FIG.

이어서, 주행 라인을 따라 이동한 자재반송장치(25)는 다음 공정 진행을 위해 스테퍼, 즉, 노광장치(24)의 카세트 로딩부에 카세트를 로딩한다.Subsequently,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25 moved along the traveling line loads the cassette to the stepper, i.e., the cassette loading sec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24, for the next process.

노광장치(24)는 포토레지스트막상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패턴에 대한 잠정적인 상을 형성한다.The exposure apparatus 24 irradiates light onto the photoresist film to form a provisional imag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노광공정을 완료하면, 자재반송장치(25)는 노광장치(24)로부터 카세트를 언로딩한다.Upon completion of the exposure process, the material transport apparatus 25 unloads the cassette from the exposure apparatus 24.

이어서, 주행 라인을 따라 이동한 자재반송장치(25)는 다음 공정 진행을 위해 현상장치(22)의 카세트 로딩부에 카세트를 로딩한다.Subsequently, the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25 moved along the traveling line loads the cassette into the cassette loading sec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22 for the next process.

현상장치(22)는 현상액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현상한다,The developing apparatus 22 develops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developing solution.

현상공정을 완료하면, 자재반송장치(25)는 현상장치(22)로부터 카세트를 언로딩한다.Upon completion of the developing step, the material transporting device 25 unloads the cassette from the developing device 22.

이와 같이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을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하고, 웨이퍼를 수납한 카세트를 자자반송장치가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 사이를 연계하면서 카세트를 로딩·언로딩함으로서, 여러 장치들 중에서 어느 한 장치가 고장 발생하더라도 고장발생한 장치에 한해서 공정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고장율에 따른 공정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xposure apparatuse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passage, and the cassette containing the wafer is connected to the cassettes while the magnetic conveying apparatus links between the exposure apparatuse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By loading and unloa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proces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ailure rate because the process does not proceed only in case of failure of any one of the various devic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너와 스테퍼를 일대일 대응하여 인라인으로 설치하지 않고,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을 주행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개별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고, 주행통로에 설치된 자재반송장치가 노광장치들과 도포장치들과 현상장치들 사이를 연계하여 카세트를 로딩·언로딩함으로서, 스테퍼와 스피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시스템 다운되더라도 포토 공정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공정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종래에 비해 포토 설비의 설치수의 감소에 비해 스루풋은 동일하여 포토 설비의 레이아웃 면적이 감소되고, 포토 설비 설치 비용이 줄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the spinner and the stepper in one-to-one correspondence, and arranges the exposure apparatuse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separat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traveling passage, and runs The material conveying device installed in the passage loads and unloads the cassette in conjunction with the exposure apparatuses, the coating apparatuse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es, so that even if one of the steppers and the spinners is down, the photo process does not affect the process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throughput is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photo equipment. Thus, the layout area of the photo equipment is reduced, and the cost of the product is reduced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photo equipment.

Claims (4)

포토설비의 레이아웃에 있어서,In the layout of the photo equipment, 소정의 기판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와;An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a photoresist on a predetermined substrate; 상기 포토레지스트상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패턴에 대한 잠정적인 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An exposure apparatus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photoresist to form a tentative image for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잠적적인 상에 관련하여 상기 패턴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A developing device for developing the pattern in relation to the latent image; 상기 도포장치와 상기 노광장치와 상기 현상장치 사이를 연계하면서 공정자재를 반송하는 자재반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설비의 레이아웃.And a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process materials while linking the coating apparatus, the exposure apparatu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장치와 상기 도포장치와 상기 현상장치는 최대한의 스루풋의 산정에 따라 9 : 4 : 6의 비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설비의 레이아웃.The layout of claim 1, wherein the exposure apparatus, the coating apparatus,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are arranged at a ratio of 9: 4: 6 in accordance with the maximum through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치는 제 1 도포부와 제 2 도포부와 제 3 도포부의 3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설비의 레이아웃.The layout of a photo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ating device comprises three units of a first coating part, a second coating part, and a third coating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제 1 현장부와 제 2 현상부와 제 3 현상부의 3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설비의 레이아웃.3. The layout of photo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eveloping device comprises three units of a first field part, a second developing part, and a third developing part.
KR1019980007485A 1998-03-06 1998-03-06 Layout of photo equipment Withdrawn KR199900741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485A KR19990074102A (en) 1998-03-06 1998-03-06 Layout of photo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485A KR19990074102A (en) 1998-03-06 1998-03-06 Layout of photo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102A true KR19990074102A (en) 1999-10-05

Family

ID=6590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485A Withdrawn KR19990074102A (en) 1998-03-06 1998-03-06 Layout of photo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1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081B2 (en)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coating and develop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880859B2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8702370B2 (en) Substrate transfer method for performing processes including photolithography sequence
KR100892756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JP2006031025A (en)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JPH1092733A (en) Treatment system
JPH1022358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050005808A1 (en) Transfer system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ystem
US8046095B2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KR201900533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s
JP2000100891A (en) Treatment device
KR19990074102A (en) Layout of photo equipment
JP3043094B2 (en) Photoresist processing equipment
KR20060133888A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100374505B1 (en) Compact system for photoresist coating and developing equipment for semiconductor wafers
JP3605544B2 (en)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KR20050004463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hotolithography process
KR19990015818A (en) Layout of photo equipment
KR20040079124A (en) In-line equipment cobined exposure apparatus and spinner
KR19990069176A (en) Manufacturing system for performing photolithography process of semiconductor device
JPS63258014A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40065680A (en) A buffer of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equipment
JP2000228431A (en) Substrate manufacturing line
KR10160571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KR20020096528A (en) Equipment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having a sid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