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8182A -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182A
KR19990068182A KR1019990002713A KR19990002713A KR19990068182A KR 19990068182 A KR19990068182 A KR 19990068182A KR 1019990002713 A KR1019990002713 A KR 1019990002713A KR 19990002713 A KR19990002713 A KR 19990002713A KR 19990068182 A KR19990068182 A KR 1999006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characterizing
bus system
hard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요제프 코크
Original Assignee
피터 토마스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토마스,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피터 토마스
Publication of KR1999006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46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 G06F12/0684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with feedback, e.g. presence or absence of unit detected by addressing, overflo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일부가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고,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다른 일부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RRANGEMENT AND METHOD FOR MAKING AVAILABLE DATA FOR CHARACTERIZING VARIOUS UNITS AT A BUS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문에 따른 장치 및 청구항 제 2항의 전문에 따른 방법 즉,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예컨대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에 필요하다. USB는 특히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버스 시스템이며, 거기서 주로 컴퓨터와 그것에 접속된 주변 장치, 예컨대 마우스, 프린터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USB에 접속된 유니트(엔드 포인트)는 각각의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 레코드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 레코드는 각각의 유니트 자체에 대한 (그것의 어드레스, 그것의 방식 등) 그리고 다른 유니트와의 통신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 레코드는 관련 유니트가 수신된 데이터 요구에 의해 응답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한 경우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험상,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이용은 특히 관련 유니트가 유연하게 사용되거나 작동되어야 할 때 비교적 높은 비용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유니트의 특성화를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0-IN - Bn-IN : 장치에 공급되는 데이터
EPXo- EPxn: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Mo- Mn: 멀티플렉서 So- Sn: 메모리 소자
SEL : 멀티플렉서 제어신호 CLK : 클록 신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특징 및 청구항 제 2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그것에 따라,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일부가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고,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다른 일부가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다.
관련 유니트에 대한 그것의 변동이 허용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고, 변동이 필요하거나 중요한 데이터는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됨으로써, 관련 유니트가 유연하게 사용되며 작동될 수 있고, 특히 적은 수의 메모리 소자로 인해 작게 구성될 수 있고 적은 전류 소비로 확실하게(에러 발생 없이) 작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스 시스템에서 하나의 유니트(하나의 엔드 포인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종속항,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은 유니버셜 직렬 버스 시스템(USB)에서 유니트(엔드 포인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기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버스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되는 유니트의 구성 부분이다; 방법은 상기 유니트에서 실행된다.
상기 유니트는 예컨대 컴퓨터의 마우스 또는 프린터 또는 그 부품이다.
하나의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전술한 장치 또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는 관련 유니트가 수신된 데이터 요구에 의해 응답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필요한 경우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데이터(관련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는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로 임의의 다른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과는 무관하게, 전술한 장치 및 전술한 방법에서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고,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다. 즉, 관련 유니트에 대한 그것의 변동이 허용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하이드웨어적으로 고정되고, 변동이 필요하거나 중요한 데이터는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다.
이러한 장치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x)를 특성화하는 데이터가 도 1에 EPxo 내지 EPxn으로 표시된다.
데이터(EPx2) 및 (EPx3)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다. EPx2는 낮은 레벨 (0)에 고정 접속되고 EPx3은 높은 레벨 (1)에 영구 접속된다.
데이터(EPxo), (EPx1), (EPx(n-1)) 및 (EPxn)는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 소자는 도 1에서 So, S1, Sn-1및 Sn로 표시되고 실시예에서 플립 플롭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메모리 소자가 임의의 다른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메모리 소자(S0), (S1), (Sn-1) 및 (Sn)는 그것내에 저장될 데이터의 인가를 위한 입력 단자, 및 클록 신호(CLK)를 인가하기 위한 클록 신호 단자를 포함한다; 메모리 소자는 클록 신호(CLK)의 예정된 레벨에서 또는 클록 신호(CLK)의 예정된 에지에 의해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를 받거나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메모리 소자(Sn)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Bn-IN)는 예컨대 관련 유니트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장치의 외부로부터 (예컨대: 외부 메모리 장치로부터) 공급된다; 메모리 소자(S0), (S1) 및 (Sn-1)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는 멀티플렉서(M0), (M1) 및 (Mn-1) 또는 유사한 스위칭 장치로부터 접속된 데이터이다.
각각 2개의 신호가 멀티플렉서에 인가되고, 상기 신호 중 하나가 후속 접속된 메모리 소자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2개의 신호 중 하나는 가변 신호(Mo의 경우 Bo-IN, M1의 경우 B1-IN, Mn-1의 경우 Bn-1-IN)이고, 다른 하나는 낮은 레벨(Mn-1의 경우)에 또는 높은 레벨(M0및 M1의 경우)에 영구 접속된 신호이다. 멀티플렉서에 인가된 신호 중 어떤 것이 후속 접속된 메모리 소자로 출력되는지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는,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는 2가지 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관련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메모리 소자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메모리 소자내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여러 가지 데이터에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장치는 데이터의 일부만이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내에 저장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적은 수의 메모리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장치가 작게 구성될 수 있고 적은 에너지로 확실하게(에러 발생 없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의 사용 가능성 및 동작을 현저히 제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변동이 허용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만 메모리 소자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여러 가지 데이터에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최소 비용으로 특정 상황에 매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특히 유니트의 동작 모드 교체 후에(예컨대, 소위 전속 장치 동작(Full-Speed-Device-Operation)과 소위 저속 장치 동작(Low-Speed-Device-Operation) 사이의 전환시) 일정 데이터가 더 이상 자유로이 선택될 수 없고 규정된 값에 세팅되어야 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은 가장 바람직한 경우 단 하나의 신호, 즉 멀티플렉서 제어 신호(SEL)의 스위칭에 의해 간단하고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여러 가지 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는 관련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가 기존 메모리 소자에 로딩될 때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값에 세팅되는 데이터 부분에 대해서도 가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상기 데이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가 모든 데이터에 대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되는 장치와 호환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메모리 소자내에 저장을 위해 제공된 데이터가 고유의 출력 데이터가 아니라 코딩된 데이터이고, 상기 코딩된 데이터는 장치로부터 출력 전에 예컨대 표 또는 그밖의 할당 규정을 사용해서 먼저 관련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메모리 소자의 수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멀티플렉서 또는 스위칭 장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메모리 소자 앞에 배치되어야 하는것은 아니다. 그것들이 메모리 소자 다음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소자의 출력 신호 및 고정 값에 세팅된 신호가 입력 신호로서 멀티플렉서에 인가되고 선택된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항상 가변 신호가 입력 신호로서 메모리 소자에 공급된다; 이 경우, 장치의 출력 신호(EPxx)가 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이다. 멀티플렉서로부터 고정값에 세팅된 신호가 출력될 때 또는 출력되는 동안, 가변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 메모리 소자가 차단되거나 또는 제한적으로만(예컨대, 클록 신호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작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가 적은 에너지 비용으로 작동될 수 있다.
고정값에 세팅된 신호가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플립 플롭의 세트 또는 리세트 입력에 인가되고 고정값에 세팅된 신호가 출력되어야 하는 시간 동안, 관련 메모리 소자에 더 이상 클록 신호(CLK)가 공급되지 않으면, 멀티플렉서가 생략될 수 있다.
고정값에 세팅된 데이터가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되는 유니트가 없음을 신호화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간단한 방식으로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 유니트의 기능 장애가 자동으로 전체 시스템의 고장 또는 블로킹을 야기시키는 것이 높은 확률로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 및 방법은 실시예의 세부 사항과는 무관하게 버스 시스템에서 하나의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비용을 적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Claims (9)

  1.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일부(EPxo, EPx1, EPx(n-1), EPxn)가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S0, S1, Sn-1, Sn)에 저장되고,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다른 일부(EPx2, EPx3)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일부(EPxo, EPx1, EPx(n-1), EPxn)가 가변 내용을 가진 메모리 소자(S0, S1, Sn-1, Sn)에 저장되고,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다른 일부(EPx2, EPx3)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장치의 메모리 소자(S0, S1, Sn-1, Sn)에 저장된 데이터(EPxo, EPx1, EPx(n-1), EPxn)는 상기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되는 유니트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외부의 메모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의 부분들(EPxo, EPx1, EPx(n-1))이 선택적으로 가변 데이터(B0-IN, B1-IN, Bn-1-IN)로 또는 고정적으로 세팅된 값을 가진 데이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M0, M1, Mn-1)가 선택된 메모리 소자(S0, S1, Sn-1) 앞 또는 뒤에 접속되며, 상기 멀티플렉서는 선택적으로 가변 데이터(B0-IN, B1-IN, Bn-1-IN) 또는 고정적으로 세팅된 값을 가진 데이터에 접속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는 데이터 부분(EPx2, EPx3)에 대해서도 가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S0, S1, Sn-1,Sn)에 저장된 데이터가 코딩된 데이터이고, 상기 코딩된 데이터는 그것의 출력 전에 먼저 관련 유니트를 특성화하는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데이터 및/또는 고정값에 세팅된 데이터는 그것의 수신기에 그것에 의해 특성화된 유니트가 없음을 신호화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된 유니트가 유니버셜 직렬 버스 시스템의 엔드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방법.
KR1019990002713A 1998-01-29 1999-01-28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9990068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3484 1998-01-29
DE19803484.9 1998-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82A true KR19990068182A (ko) 1999-08-25

Family

ID=785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713A KR19990068182A (ko) 1998-01-29 1999-01-28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42624B1 (ko)
EP (1) EP0933711B1 (ko)
JP (1) JPH11282788A (ko)
KR (1) KR19990068182A (ko)
DE (1) DE5991406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1080B2 (en) * 2001-01-31 2005-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ok-up table based USB identif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415A (ko) * 1992-08-27 1994-03-15 윤종용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US5542055A (en) * 1993-05-28 1996-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counting the number of peripheral buses in each hierarch connected to primary bus for creating map of peripheral buses to locate peripheral devices
KR19990047318A (ko) * 1997-12-03 1999-07-05 정선종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컴퓨터 및 이를 이용한 가변 구조제어 방법
KR19990071478A (ko) * 1995-11-21 1999-09-27 다이어몬드 멀티메디아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모듈러 가상화 장치 드라이버 구조
KR19990071475A (ko) * 1995-11-21 1999-09-27 다이어몬드 멀티메디아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어기 하드웨어 부 구성요소 식별자를 이용한 적응 장치 드라이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25111D0 (en) * 1987-03-13 1987-12-02 Ibm Data processing system
US4991085A (en) * 1988-04-13 1991-02-05 Chips And Technologies, Inc. Personal computer bus interface chip with multi-function address relocation pins
GB2221328B (en) * 1988-06-09 1991-06-12 Fluke Mfg Co John Emulative test apparatus
JPH0823856B2 (ja) * 1991-02-22 1996-03-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5655148A (en) * 1994-05-27 1997-08-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devices including a network adapter without manual intervention and without prior configuration information
US5727207A (en) * 1994-09-07 1998-03-10 Adap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configuration data on reset into a host adapter integrated circuit
US5758099A (en) * 1996-05-29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ug and play protocol for bus adapter card
US5974486A (en) * 1997-08-12 1999-10-26 Atmel Corporatio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ontroller comprising a FIFO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endpoints and a memory for storing an identifier of a current endpoint
US6195593B1 (en) * 1997-09-03 2001-02-27 Seiko Epson Corporation Reusable modules for complex integrated circuit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415A (ko) * 1992-08-27 1994-03-15 윤종용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US5542055A (en) * 1993-05-28 1996-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counting the number of peripheral buses in each hierarch connected to primary bus for creating map of peripheral buses to locate peripheral devices
KR19990071478A (ko) * 1995-11-21 1999-09-27 다이어몬드 멀티메디아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모듈러 가상화 장치 드라이버 구조
KR19990071475A (ko) * 1995-11-21 1999-09-27 다이어몬드 멀티메디아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어기 하드웨어 부 구성요소 식별자를 이용한 적응 장치 드라이버
KR19990047318A (ko) * 1997-12-03 1999-07-05 정선종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컴퓨터 및 이를 이용한 가변 구조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2624B1 (en) 2002-08-27
EP0933711B1 (de) 2006-12-20
EP0933711A2 (de) 1999-08-04
JPH11282788A (ja) 1999-10-15
DE59914063D1 (de) 2007-02-01
EP0933711A3 (de)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839A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use in IC memory card
US6198303B1 (en) Configuration eprom with programmable logic
US5214771A (en) System for loading same type adaptors with latest version control codes stored on adaptor memory by selecting the identified chip during initialization
US5974482A (en) Single port first-in-first-out (FIFO) device having overwrite protection and diagnostic capabilities
JPS62182954A (ja) 一致回路を備えたメモリ装置を含むデ−タ処理装置と方法
US4580212A (en) Computer having correctable read only memory
KR19990068182A (ko) 버스 시스템에서 상이한 유니트를 특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430852A (en) Control transfer method in system with multiple arithmetic units each with independent microprogram control by transferring start address and branch condition codes
US5210758A (en) Mean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microinstruction errors
JPS59214952A (ja) 障害処理方式
US8489828B2 (en) Control apparatus having non-volatile RAM,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pplied thereto
JPH096725A (ja) 非同期データ転送受信装置
KR960002032A (ko) 인터페이스 장치
EP0071002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stored value access control to shared storage
US9633718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5687341A (en) Device for speeding up the reading of a memory by a processor
KR20020049096A (ko) 정보처리시스템의 플래쉬 롬의 데이터 복구 제어장치
US6742073B1 (en) Bus controller technique to control N buses
JPS6074059A (ja) 記憶装置アクセス制御方式
JP2604482B2 (ja) Fifoレジスタ
EP0556138A1 (en) A bus for connecting extension cards to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test method
KR100198670B1 (ko) 플러그 앤 플레이 시스템의 자동 제어 회로
US7234048B2 (en) Method for initializing or configuring an electrical circuit
KR19990045550A (ko)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 수정 및오버라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0179868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모듈간 데이타 송수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