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7156A -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156A
KR19990067156A KR1019980703105A KR19980703105A KR19990067156A KR 19990067156 A KR19990067156 A KR 19990067156A KR 1019980703105 A KR1019980703105 A KR 1019980703105A KR 19980703105 A KR19980703105 A KR 19980703105A KR 19990067156 A KR19990067156 A KR 1999006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ase station
channel
channels
tru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언 고에츠
스티븐 마크 개넌
피터 로버트 먼데이
Original Assignee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내쉬 로저 윌리엄
Publication of KR1999006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1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셀방식 무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A,B,C)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할당된 수의 무선 채널을 가지며 분기 네트워크(5,7a,7b등)에 의해 여분의 네트워크(BSC,MSC)와 연결되고, 분기점(H)에서 트렁크부(5)내 채널을 분기(7a,7b등)내 채널과 연결시키기 위해 중간 스위치가 제공되며, 트렁크 링크(5)의 용량은 기지국의 전체 용량(및 그와 관련된 분기 링크(7a,7b,7c)의 전체 용량)보다 작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A,B,C)이 잔여 용량을 갖는 시간에 그 용량은 트렁크 링크(5)의 용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사용할 수 없게 되며, 각각의 기지국(A,B,C)의 용량은 기지국(A,B,C)의 전체(사용불능이 아닌) 용량이 트렁크 링크(5)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예언된 또는 실제 요구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셀방식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PMR(private mobile radio) 시스템과 같은 다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인 셀방식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무선 기지국은 이동 장치가 그 영역이 무선 유효 범위가 요구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무선 기지국중의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의 고정 부분과 무선 통신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영역 전체에 위치된다. 무선 기지국은 이동장치 가까이에 그것과의 무선 통신을 설치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구비하고 있다. 일부 무선 채널은 일부 이동장치와의 동시 통신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무선 채널은 예를 들어 시분할 설계인 분리된 타임슬롯, 및/또는 여러 무선 주파수가 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은 그들 자신이 고정 링크에 의해 스위칭 센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통신 링크는 각각의 무선 기지국을 통해 두 개 이동장치사이에서 활성화되거나, 또는 (다시 무선 기지국을 통해) 이동장치와 고정 전화 네트워크, 예를 들어 PSTN, 또는 다른 셀방식 무선 시스템, 또는 다른 전기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은 이동장치와의 무선 통신 설치, 및 이동장치가 걸려오는 통화를 정확한 이동장치로 전하기위해 그 유효범위 영역내에 있는가를 결정하고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서브된 영역으로부터 또다른 기지국에 의해 서브된 영역으로의 통화 진행동안 이동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통화의 이양을 조정하는 여러 다른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제어 기능을 요구한다. 그러한 통화 기능은 때에 관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그 할당된 채널중 하나에서 이동장치와 통신하라는 무선 기지국으로의 명령을 포함하고, 통화 시작 및 종료 시각, 또는 이양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시각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한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radio) 표준에서, 무선 기지국의 이러한 제어 기능들은 기능적으로, 그리고 대개 물리적으로 그들이 제어하는 트랜시버로부터 분리된다. 제어 기능은 일부 간격을 두고 있을 수 있는 일부 무선 기지국(GSM 시스템에서는 "BTS(Base Transceiver Sites)"로 알려짐)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BSC(Base Site Controller)"에 의해 수행된다. 복잡성과 관련되기 때문에, 유지로의 액세스를 쉽게 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으로 적은 수의 위치에서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필요한 장비들을 집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GSM 표준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가 사용되지만, 청구의 범위상에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용어 "무선 기지국"은 환경이 명백히 다른 것을 요구하지 않는 한 BTS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BTS와 BSC간의 연결은 매우 길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십 킬로미터가 될 수 있다. BTS와 BSC간의 연결은 셀방식 무선 네트워크의 실질적인 하부구조 부분을 만들 수 있다. 많은 경우에서, 일부 BTS로부터의 고정 링크는 BTS와 BSC 또는 다른 스위치 사이의 중간인 "분기점"이라고 불리는 일부 지점에서 만나고, BSC 또는 다른 스위치로의 루트 여분에서 공용 트렁크 링크를 통해 분기점으로부터 계속된다.
각각의 BTS는 그에 유용한 다수의 무선 채널을 갖는다. 채널의 수는 BTS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최대 이동장치 수를 결정한다. 이 최대 용량이 성취될 수 있도록, BTS와 BSC 사이의 고정 물리적 링크는 그에 유용할 적어도 동일한 수의 각각의 통신 채널을 요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채널"은 통신 링크 또는 해당 링크를 통해 각각의 통화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타임슬롯, 케이블, 캐리어 주파수등)을 언급하는 것이다. "무선 채널"은 무선 링크내 채널과 같은 것으로, "트렁크 채널"등과 유사하다.
여러 BTS와 공용 트렁크 링크를 통해 공유되는 BSC간의 루팅 부분에서, 고정 링크에서 요구된 채널의 수는 모든 BTS의 전체 용량과 동일하다. 이것은 모든 BTS가 동시에 전체 용량에서 작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공용 트렁크를 통한 링크 용량의 낭비가 된다.
제어 기능 및 무선 트랜시버가 무선 기지국에서 물리적으로 공동 위치하는 시스템(즉, BSC기능이 BTS에서 처리되는 시스템)에서도, 기지국과 다수의 무선 기지국을 서브하는 메인 이동 스위칭 센터(MSC)사이의 고정 링크에서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고정 링크는 또한 분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동일한 이유로 트렁크내 용량 준비를 통해 일부 분기에 공용될 수 있다.
국제특허 WO94/00959(Nokia)는 루프를 구비하는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네트워크가 다수의 각 마이크로셀 BTS를 서브하는 설비를 설명하고 있다. 루프상의 각각의 BTS에, 멀티플렉서에 의해 서브된 BTS(s)와 관련된 채널이 추출되도록 허용하는 ADM(Add-Drop Multiplexer)이 있다. SDH 루프가 모든 BTS에 공용이고 그 채널들중 어떤 것은 요구에 따라 BTS중 어떤 것으로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의 전체 결합 용량보다 적은 채널이 SDH 시스템에 요구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다수의 불이익을 받는다. 먼저, STM-1로 알려진 SDH 캐리어의 기본 소자는 155Mbit/s의 용량을 갖는다. 일반적인 마이크로셀 사이트는 320kbit/s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500 마이크로셀 사이트 이상의 용량까지 SDH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만일 기지국의 전체 결합된 용량이 SDH 시스템의 용량보다 클 경우 각각의 루프에 의해 서브되어야 한다. 이것은 320kbit/s 용량을 공급하기 위해 루프상의 각각의 마이크로셀이 두 개 155Mbit/s 연결에 의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SDH 시스템의 용량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또한, 500 마이크로셀 사이트는 커다란 영역을 서브하고, 싱글 루프에 의해 서브된 커다란 영역을 갖는다는 것은 어떠한 폴트에 매우 약하게 한다 - 두개의 폴트 링크는 모든 500 마이크로셀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ADM의 물리적 크기는 마이크로셀 기지측 전자 자신의 물리적 크기보다 훨씬 더 크고, 그래서 그러한 마이크로셀/ADM 결합은 설치하기에 덜 편리하고, 더 큰 시각적 충돌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특허 명세서에서 설명된 설비는 싱글 BSC 및 모든 BTS를 서브하는 이동 스위칭 센터를 갖는다. 이것은 BSC와 각각의 BTS간의 SDH 루프를 통해 제어신호가 전송되기를 요구한다. 이양 등을 제어하는 그러한 제어 신호를 위해 채널은 사용중인 경우가 아닐지라도 각각의 BTS에 유효해야만 하고, 그래서 이양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BST의 각각의 채널은 그 자신의 시그낼링 채널을 갖고, 이들은 모두 SDH 루프를 통해 BSC로 전송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이동 무선국을 서브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무선국과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기지국;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렁크 통신 링크; 및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에 의해 사용중인 전체 채널 수가 그것이 서브하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중인 무선 채널의 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되도록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할당된 수의 무선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을 서브하는 각각의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고, 그 각각의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의 전체 무선 채널 수보다 적은 수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적어도 무선 기지국이 할당하는 무선 채널과 동일한 채널 수를 갖는 통신 링크에 의해 그 서브하는 중간 스위치와 연결되는 이동 무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렁크 통신 링크로 이루어지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다수의 무선 채널상에서 이동 무선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무선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적어도 무선 기지국이 할당한 무선 채널과 동일한 수의 채널을 갖는 관련된 통신 링크에 의해 관련된 중간 스위치와 연결되며,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는 각각의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고, 그 각각의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된 다수의 기지국의 전체 무선 채널 수보다 적은 채널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는 무선 기지국에 의해 사용중인 전체 무선 채널 수가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는 트렁크 통신 링킁 의해 사용되는 채널 수와 동일하거나 적게 되도록, 중간 스위치 및 그 관련된 통신 링크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설비는 트렁크 링크가 서브하는 무선 기지국들의 결합된 용량보다 낮은 용량을 갖는 트렁크 링크가 각각의 기지국 분기로 루트하는 포인트에 위치된 중간 스위치와 네트워크의 잔여 사이에서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분기 배치는 각각의 링크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그리고 용량 요구가 그 이상의 원격 분기상에서 더 낮기 때문에 루프보다 더 효율적이다. 또한, 분기 배치는 후술될 바와 같이 SDH의 대안으로서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에 의한 사용에 적합하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트렁크 통신 링크는 주 기지국 제어 기능이 여전히 발생되고 있는 경우 중간 스위치와 BSC를 연결한다. 하나의 배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중간 스위치는 그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에 의해 중간 스위치중 추가적인 하나와 연결되고, 따라서 추가 중간 스위치는 기지국을 서브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기도 한다. 추가 중간 스위치는 그 자신이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기지국을 직접적으로 서브한다.
본 발명의 증대에서, 분기점에서의 제한된 스위칭 능력의 도입은 채널이 분기점과 네트워크의 잔여간의 공용 물리적 트렁크 링크를 통해 선택적으로 루트되도록 허용하고, 따라서 전체 링크 손실에 대해 일부 보호를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은 중간 스위치와 네트워크의 잔여간의 트렁크 링크를 통해 각각의 채널에 전용되지 않고, 그래서 물리적 트렁크 링크중의 하나가 손실되는 상황에서,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남아있는 물리적 링크(들)를 통해 루트된 그 채널의 일부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아마도 낮은 용량이겠지만 모든 무선 기지국이 작동을 계속하게 한다.
대개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가능한 전체 무선 채널 수가 트렁크 링크내 채널의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유효한 무선 채널(및 관련된 통신 링크내 채널)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불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된 제어 수단을 갖고, 중간 스위치는 현재 가능한 무선 채널와 관련된 통신 링크내 그 채널들을 이용하여 트렁크 링크내 채널을 통화로 할당하는 수단을 갖는다.
트렁크 링크내 채널의 무선 기지국으로의 할당은 요구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할당은 하루의 여러 시간에 여러 기지국에서의 예언된 요구에 기초하여,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된다. 만일 무선 기지국의 무선 채널이 채널이 불가능할 예정인 시간에 진행중인 통화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 채널의 불가능함 및 또다른 무선 기지국에서의 대응하는 무선 채널의 가능함이 통화가 종료하거나 또는 이양될 때까지 지연되고, 채널은 프리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배치에서, 채널은 실제 요구를 기초로 할당될 수 있어, 트렁크 링크내 채널은 무선 기지국의 유효범위 영역 내에서의 이동장치와의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으로 할당되기만 하게 한다. 하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는 또다른 무선 기지국으로 이동장치를 이양하는 경우에서, 통화로 할당된 트렁크 채널의 중간 스위치내 연결이 이양 시각에 제 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따라서 트렁크 링크가 전체 용량에서 작동중일지라도 통화가 계속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트렁크 링크에서 트렁크 채널을 공유하는 무선 기지국의 선택은 예정된 요구 패턴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순환 주기동안 최대 용량이 사용되지만, 주요 철도국을 서브하는 기지국과 같이 작업시간동안 비공식적인 기지국은 도시 센터를 서브하는 기지국과 같이 반대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공유한다. 기지국들은 물리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을 필요는 없다; 그들이 동일한 중간 스위치, 즉 유일한 지리적 요구는 동일한 분기점에 의해 서브되는 것이다.
트렁크 통신 링크는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시스템은 트래픽 요구 데이터 입력 수단, 및 무선 자원 제어 수단 및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의 작동을 트래픽 요구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응하여 조정하는 전송 용량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된 데이터는 이력적인 것일 수 있지만, 대개 실시간안에 모니터된다. 시스템은 어떠한 여분의 트래픽 용량이 무선 및 전송 네트워크에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3개 무선 기지국에서의 트래픽 요구의 일반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셀방식 무선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따른 간략화된 셀방식 무선 시스템,
도 4는 좀더 복잡한 전송 네트워크,
도 5는 셀방식 무선 네트워크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도 3에 설명된 간략화된 시스템의 트렁크 링크의 통신 채널중의 하나에서 사용중인 타임슬롯 할당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도식적인 시스템내 트래픽 요구를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예증에 의해 문제가 매우 간략화될 수 있었지만, 강조된 원리는 다수의 기지국 및 더 많은 가변 로딩을 갖는 좀더 복잡한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1은 도식적인 셀방식 무선 시스템의 3개 무선 기지국에서의 도식적인 트래픽 레벨을 나타낸다. 각각의 무선 기지국(BTS)(A,B,C)은 최대 45 통신 채널 용량을 갖지만, 이러한 무선 기지국이 모두 동시에 최대 용량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오전 주기(t1)(T0에서 T1까지: 아침 7시에서 정오까지)에, 무선 기지국(B)은 45채널의 그 전체 용량을 요구하고, 반면 무선 기지국(A,C)은 각각 30 및 15 채널을 요구한다. 오후 주기(t2)(T1에서 T2까지: 정오에서 오후 6시까지)에, 무선 기지국(A)은 45 채널의 그 전체 용량을 요구하는 반면, 무선 기지국(B,C)은 각각 30 및 15 채널을 요구한다. 밤 주기(t3)(T3에서 T4까지: 자정에서 아침 7시까지)에, 무선 기지국(C)은 45채널의 그 전체 용량을 요구하는 반면, 무선 기지국(A,B)은 각각 15채널만을 요구한다.
도 2는 3개 무선 기지국(BTS)(A,B,C)이 각각의 링크(1A,1B,1C)에 의해 분기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BSC를 통해 스위칭 센터(MSC)와 연결되는 기본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링크(1A,1B,1C)는 BTS로부터 분기점(H)으로 각각의 분기부(7a,7b,7c)를, 분기부(H)로부터 BSC(11)로 공용 트렁크부(2)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분기점(H)은 각각의 물리적 링크(1A,1B,1C)의 트렁크부와 분기부 사이에서 간단한 물리적 연결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따른 셀방식 무선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GSM 시스템 구조 및 용어가 예증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이 시스템에서, 다시 3개 BTS(A,B,C)는 각각의 링크(7a,7b,7c)를 통해 분기점(H)과 연결되고, 분기점(H)으로부터 트렁크 링크(6)에 의해 BSC(11)를 통해 MSC(8)와 연결된다. 트렁크 링크(6)는 3개 채널(6d,6e,6f)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들 각각이 링크(7a,7b,7c)중의 각각의 하나로 영구적으로 가리켜지는 것은 아니다. 대신, 도 3의 배치에서, 분기점(H)은 후술될 기능성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성은 BSC(11)에서의 교차 연결을 제어하는 지능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에 의해 제어된다.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또한 무선 자원, 필수적으로 BSC(11)를 위해 작업하는 BTS(A,B,C)을 제어하기 위한 OMC(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re)(4)를 포함한다. 분기점(H)은 트렁크 링크(6)에 의해 BSC와 연결되어 있다.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 및 OMC(4)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8)의 전체적인 제어하에 있다. 도 3에서 점선에 의해 표시된 필요한 제어 신호는 OMC(4)에서 기지국(A,B,C)으로,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 및 물리적 링크(7a,7b,7c,6)를 통해 허브(H)에서 BSC(11)로 전송된다. 전송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이 평가될 것이다. 채널(6d,6e,6f)을 포함하는 트렁크 링크(5)는 그 물리적 구조가 다중 용장도, 대안적인 루팅 등을 모두 전송 관리자(3)의 제어하에서 포함하는 복잡한 전송 네트워크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4는 좀더 복잡한 네트워크의 여러 소자의 기능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분기된 다수 네트워크의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설명된 물리적 링크가 시스템을 좀더 확고하게 하기 위해 빌트인 용장도를 갖는 링크의 시스템에 의해 실제적으로 실시될 것이라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BSC(11a,11b...11g 등)의 그룹은 이동 스위칭 센터(MSC)(8)의 제어하에서 작동된다. 이동 스위칭 센터(8) 및 각각의 BSC(11a 등)는 SDH(synchronous digital highway) 루프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이동 스위칭 센터(8)와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BSC에 의해 요구된 용량은 네트워크내 이 레벨에서 SDH 루프 배치의 사용을 정당화하지만 각각의 기지국으로의 링크에서는 아니다. 이동 스위칭 센터(8)의 실패에 대한 예방책으로서, 제 2 이동 스위칭 센터(18)는 또한 그 자신이 가리켜지는 BSC(12a 등에서 12n)뿐만 아니라 BSC(11에서 11g)와도 연결가능하다. 유사하게, 제 2 이동 스위칭 센터(18)가 실패하면, 그 이동 스위칭 센터에 의해 정상적으로 서브되는 BSC는 이동 스위칭 센터(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BSC 및 이동 스위칭 센터는 네트워크로부터 각각의 BSC를 위해 의도된 트래픽을 추출하고 그 BSC로부터 발생된 트래픽을 SDH 루프로 더하는 ADM(add-drop multiplexer)에 의해 SDH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ADM은 메인 루프상에서 전달된 곱셈으로부터 관련된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제어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만일 SDH가 사용중인 경우, SDH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최소량은 "STM1"으로 알려진 각각의 계층 모듈의 용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한 STM1 모듈이 전달되는 완벽한 SDH 시스템의 최소 용량은 각각의 이동 스위칭 센터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서브하기에 적절한 크기중의 하나가 된다.
각각의 BSC는 다수의 BTS를 서브한다. 이것은 하나의 BSC(11)만을 위해 특별히 설명되지만, 모든 다른 BSC(11a 내지 11g)는 유사한 BTS 배치를 서브하는 것으로 평가될 것이다. 각각의 BS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허브를 서브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C(11)는 두 개 허브(H1,H4)를 서브한다. 분기된 계층구조는 도 4에 설명된 둘 중의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BTS(A,B,C,D)를 서브하는 제 1 실시예에서, BTS(C,D)는 제 2 허브(H2)와 연결되는 지시된 각각의 트렁크 링크(23)를 갖는 허브(H3)와 연결된다. 허브(H2)는 또한 직접적으로 또다른 BTS(B)를 서브하고, 그 자신이 또한 BTS(A)를 직접적으로 서브하는 제 3 허브(H1)를 통해 네트워크의 여분과 그것을 연결하는 그 자신의 각각의 트렁크 링크(22)를 갖는다. 허브(H1)는 그것과 BSC(11) 및 네트워크의 여분을 연결하는 각 트렁크 링크(21)를 갖는다. BTS(E,F,G,H)를 서브하는 것으로 도시된 배치에서, BTS(E,F)는 추가 허브(H4)에 의해 네트워크의 여분과 연결하는 지시된 트렁크 링크(25)를 갖는 허브(H5)에 의해 서브된다. 유사하게, BTS(G,H)는 각각의 트렁크 링크(26)에 의해 허브(H4)와 연결되는 허브(H6)와 연결된다. 허브(H4)는 각각의 트렁크 링크(24)에 의해 BSC(11)와 연결된다.
각각의 트렁크 링크(21,22,23,24,25,26)가 소수의 BTS만을 서브하고 특히 링크(24,25,26)의 경우에서 BTS의 수는 계층적 형태에서 줄기 때문에, 이러한 분기된 구조는 PDH 및 SDH 시스템 모두에서의 사용에 적당하다. 이 SDH 프로토콜은 다수의 다른 비트 스트림의 전달을 허용하고, 기본 2Mbit/s 기본장치 아래에서 어떠한 곱셈 부분은 캐리어의 루트에 따라 어떠한 ADM에서 추출될 수 있다. PDH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동기적인 것이 아니고, 곱셈의 각 소자는 다른 것과의 동시성으로부터 작은 양으로 바뀔 수 있다. 이것은 중간 멀티플렉스 레벨을 통하지 않고 어떤 부분이 직접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SDH에서의 상황과는 반대로, ADM에서 멀티플렉스의 어떤 부분을 추가 또는 추출하기 위해 멀티플렉싱의 여러 레벨이 하나를 통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로 상기한 네트워크 구조는 SDH 및 PDH 시스템 양쪽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특히, 분기된 네트워크 배치에서, 여러 스텝이 네트워크의 여러 분기와 동시에 일어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멀티플렉스 레벨간의 상승 또는 하강은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국제 특허 WO94/00959와 관련하여 상기된 종래 기술의 배치에서, BTS를 서브하는 링 상의 각각의 포인트에서 각각의 BTS 자신의 각각의 멀티플렉스 소자가 추출될 수 있고, 루프 주위에서 다음 소자로의 온워드 전송을 위해 스테이지 대 스테이지로 멀티플렉스하는 것을 재구성하는 기본 레벨 아래로 동시에 한 층을 디멀티플렉스하는 PDH 시스템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PDH 구조는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조는 특히 PDH에 적절하지만, SDH도 거의 손상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유효한 전송 네트워크 자원 및 무선 자원의 사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함께 협력하는 여러 제어 시스템의 기본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송 자원(3) 및 무선 자원(4)의 작동 및 유지 센터는 각각 전송 네트워크(5) 및 무선 네트워크(즉, BTS(A,B,C))를 제어한다. 이들 양쪽은 시스템을 위한 규칙적인 매일, 매주 등의 요구상의 데이터도 갖는 통계 모니터링 시스템(9)으로 입력을 공급한다. 트래픽 통계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 및 작동 및 유지 센터(4)는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 및 작동 및 유지 센터(4)를 차례로 제어하는 전송 용량 제어기(10)에 적용된다. 이동 스위칭 센터(8)와 관련될 전송 용량 제어기(10)는 시스템의 폴트 및 사용을 검출하기 위해 시스템의 무선 및 고정 부분 모두를 모니터하고, 예를 들어 고정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사용하는 고정 시스템의 각각의 소자간의 링크를 설치하고, 그들 각각의 기지국을 공급하는 전송 네트워크의 부분 용량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트랜시버를 스위치하기 위해 차례로 그들을 제어한다.
(무선 용량 및 고정 네트워크 용량을 요구대로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이동 스위칭 센터의 루틴 작동으로부터 이 기능을 분리하므로써, 시스템은 각각의 요구 경우에 좀더 잘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내에 여분의 용량이 있는 때에, 전송 용량 제어기는 이 여분 용량이 시스템 주위에 고르게 퍼져 있도록 배치하여, 여분의 용량이 전송 용량 제어기로부터 중재 요구없이 그곳으로 할당된 여분 용량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어느 부분으로 OMC(4) 및 전송 네트워크 관리자(3)에 의해 스위치 인 될 수 있도록한다. 이것은 통화 셋업 및 이양이 신속하게 처리되게 하는 반면, 전송 용량 제어기는 더 긴 시간 규모에서 초기의 큰 규모의 용량 문제를 모니터하고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3개 BTS(A,B,C)에서 4주기(t1,t2,t3,t4)동안 3개 채널(6d,6e,6f)중의 하나로 타임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각각의 채널은, 동기 타임슬롯(0) 및 시그낼링 타임슬롯(16)을 포함하고 따라서 통화 트래픽을 위해 3개 채널(6d,6e,6f) 각각에 전체 30 타임슬롯(즉, 전체적으로 90 타임슬롯)이 있어, 32 타임슬롯(0 내지 31로 번호매김)을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타임슬롯 할당은 채널(6d,6e,6f) 사이에서 동일하게 분배된다.
도 1은 3개 BTS(A,B,C)의 전체 요구가 90채널을 결코 초과하지 않지만, 각각의 최대값 전체는 3×45=135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이러한 3개 BTS를 보조하기 위해 트렁크 링크(2)를 통해 요구된 전체 용량이 135채널, 즉 각각의 최대 용량의 합이 된다. 그러나, 이 채널들중 90개 만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될 것이고, 따라서 트렁크 링크(2)는 50% 이상의 용량을 갖는다.
지금부터 도 6을 참조로 도 3의 실시예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채널(6d)의 타임슬롯 할당을 나타내고 있다. 유사한 할당이 다른 두 채널(6e,6f)에서 이뤄진다. 오전 주기(t1), 즉 아침 7시부터 정오사이에서, BTS(B)는 45 타임슬롯(즉, 각 채널당 15) 할당되고, BTS(A)는 30 타임슬롯(각 채널당 10) 할당되며, BTS(C)는 15 타임슬롯(각 채널당 5) 할당된다. 이 예에서, 채널(6d)에서 BTS(B)는 타임슬롯(1 내지 15) 할당되고, BTS(A)는 타임슬롯(17 내지 26) 할당되며, BTS(C)는 타임슬롯(27 내지 31) 할당된다. 변경 시간(T1), 이 예에서 정오에서, 15 타임슬롯(각 채널로부터 5)은 BTS(B)의 할당으로 부터 BTS(A)의 할당으로 전송된다(이 예에서 채널(6d)로부터 타임슬롯(11 내지 15), 등). 이것은 BTS(A)가 오후 주기(t2)에 모든 그 45 무선 채널을 사용하게 하지만, BTS(B)는 30 타임슬롯으로 남겨둔다. BTS(C)는 여전히 그리로 할당된 15 타임슬롯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요구된 타임슬롯의 수는 따라서 양쪽 시간 주기(t1,t2)에서 90이 된다.
제 2 변경 시간(T2), 예를 들어 오후 6시에서, 15 타임슬롯(채널(6d)로부터 11 내지 15,등)은 BTS(A)로부터 BTS(B)로 전송되어, 각각의 BTS가 이제 그리로 할당된 30 타임슬롯을 갖도록 한다.
제 3 변경 시간(T3)(예를 들어 자정)에서, 15 타임슬롯(채널(6d)로부터 6 내지 10, 등)은 BTS(B)로부터 BTS(C)로 재할당되어 BTS(C)가 밤 주기(t4)동안 모든 그 45 무선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는 반면, BTS(B)는 15 타임슬롯인 채로 남겨둔다. BTS(A)는 또한 밤 주기(t4)동안 15타임슬롯만을 요구하여, 15 타임슬롯(채널(6d)로부터 17 내지 21, 등)은 여분이 된다. 이러한 여분 타임슬롯은 다른 BTS(도시되지 않음)로 할당될 수 있고, 또는 트렁크 링크(6)내 채널(6d,6e,6f)중의 하나의 실패와 같은 우발사건에 대비하여 유지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T0)에서, BTS(C)로 할당된 30 타임슬롯은 BTS(B)로 재할당되고, 15 여분 타임슬롯은 다시 사이클 반복을 위한 준비로 BTS(C)로 할당된다.
트렁크 링크(6)을 구성하는 채널(6d,6e,6f)은 전체 링크(6)의 동시 실패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여러 물리적 루트를 통해 각각 루트될 수 있다. 각각의 BTS에 할당된 타임슬롯은 각각의 BTS가 각각의 채널에 일부 타임슬롯을 갖도록 채널(6d,6e,6f)중으로 분산된다. 이것은 채널(6d,6e,6f)중의 하나가 실패하는 경우 일부 용량은 각각의 BTS(A,B,C)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오전 주기(t1)에서, BTS(A)는 그 45 무선 채널을 지원하기 위해 링크(5)상에 유효한 15 타임슬롯만을 갖는다. 남아있는 30 무선 채널은 "사용중"이 된다, 즉 BSC는 그 남아있는 무선 채널에서 BTS(A)가 작동하도록 하고, 따라서 그 BTS(A)를 통한 네트워크와의 통신으로 설치될 수 있는 이동 장치의 수를 제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밤 주기(t4)에서 다수의 여분 타임슬롯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은 30 트래픽 타임슬롯을 갖고, 따라서 타임슬롯은 30개 다중에서만 유효하다. 일반적인 시스템에서, 3개 이상의 BTS가 있을 수 있고, 타임슬롯 용량을 요구와 일치시키는 것이 더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사라질 통화중 일부는 남아있는 회선에서 여분 타임슬롯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여분 타임슬롯의 유효성은 채널(6d,6e,6f)중의 하나가 실패하는 경우 시스템의 확고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루의 특정한 시간에, BTS는 전혀 요구를 갖지 않거나, 또는 그 유효 영역이 그것과 중첩하는 이웃 BTS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요구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환경에서, 전체 BTS는 "사용중"으로 될 수 있거나, 또는 싱글 채널이 응급 사용을 위해 유지된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폴트나 유지 때문에 만일 BTS중의 하나가 완전하게 폐쇄되는 경우, 그 BTS로 지시된 전송 네트워크내 채널은 모두 다른 BTS로 재할당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 가장 현저하게 BTS(A,B,C)와 이동장치 사이의 공기 인터페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양에 추가적인 블러킹의 적은 양을 추가한다. 블러킹은 채널의 비유효성으로 통화를 실패하게 하는 통화 시도의 퍼센트로서 연산된다. BTS 채널이 있는 경우(즉, 유효한 무선 채널이 있지만 트렁크 채널이 없는 경우)보다 유효한 트렁크 링크를 적게 가지므로써 소개된 추가적인 블러킹이 다음과 같이 이론적으로 연산되었다:
트렁크 레벨에서의 블러킹 유효한 채널의 수
0 0.05% 0.1% 0.5% 1% 135 100 98 92 89
상기 표로부터 이 예에서 트렁크 링크(5)에 요구된 용량(135 채널에 90 타임슬롯)중 3분의 1의 구제로 1% 이하의 트래픽이 손실된다. 135 BTS 채널에 유효한 100 트렁크 채널, 즉 25%의 구제로, 통화 트래픽의 0.05%(즉, 2000개중 1)만이 손실된다.
변경이 고정 시간(T0,T1,T2)에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채널이 제 1 BTS(A)에 의해 사용 준비되지 않은 경우 채널이 제 1 BTS(A)로부터 제 2 BTS(B)로 재할당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변경 시간에 실제로 사용중인 어떠한 채널에서, 그 채널은 통화가 종료되거나 이양되고 제 2 BTS로 재할당될 때까지 제 1 BTS로 할당된 상태로 남는다. 이 시스템의 변화에서, 여러 BTS(A,B,C)에서 요구 레벨이 모니터되고, 전송 네트워크내 채널이 요구된 바와 같이 BTS로 할당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채널은 각각의 어떠한 BTS로 할당되지 않지만, BTS(A,B,C)중의 어떤 것에 의한 사용에 유효한 "부동 예비"를 형성한다.
만일 이동장치가 하나의 BTS(A)로부터 동일한 분기점으로부터 서브되는 또다른 BTS(B)로 이양을 요구하는 경우에서, 만일 BSC 링크(5)로의 분기점에서의 모든 채널들이 사용중이라면, 이양이 발생될 BTS(B)에서 유효한 무선 채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 링크로 그들에게 유효한 채널이 없는 이유로 이들 채널들은 "사용중"이 되기 때문에 이것은 가능하지 않다. 물론 채널은 신호 속성이 통화가 드롭되어야 하는 레벨로 저하되기 전에 이양될 제 1 BTS(A)의 실패의 결과로서 통화가 드롭되자마자 유효하게 된다. 그러나, 이 채널은 통화를 걸려고 시도하는 어떤 이동 장치에 유효하게 되고, 이양이 성공적이지 않게 시도된 이동장치는 통화 시작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해야 하며, 이미 통화 시도를 시작한 또다른 이동장치가 채널을 먼저 포착하려고 하기 때문에 어떤 다른 이동장치와 마찬가지로-사실 좀더 덜 그 채널을 얻을 기회를 가질 수 없다. 추가 통화 시도가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모든 통화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도록 제공) 그들을 실패시키기보다는 현존하는 통화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하기 위해, 이양이 하나의 분기점으로부터 서브되는 두 개 BTS(A,B) 사이에서 요구되는 것을 인식하는 BSC는 제 1 무선 기지국(A)에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B)으로 이양 시기에 이동장치가 예약되는 통화로 할당된 분기점 대 BSC 링크(6)에서 채널(예:6a)을 전송한다.
셀방식 무선 시스템의 GSM 표준의 용어 및 구조에 관련하여 적절한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런, 다른 셀방식 무선 시스템, 또한 개인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무선 기지국 제어 기능이 그들의 제어하에 무선 트랜시버로 공동 위치되는 셀방식 무선 시스템에서, 분기된 네트워크는 기지국(A,B,C)과 이동 스위칭 센터(MSC) 사이에 위치되고, 어떠한 분리된 BSC도 없다. 설명된 실시예는 그러한 구조에 즉시 적응될 수 있다.
개인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기지국을 갖는다. 일반적인 응용에서, 가스, 전기, 전기통신 등의 공익 사업을 위한 현장 인력 또는 택시, 철도, 및 버스 작동자 등과 같은 운송 사업에 의해 사용되는 등의 개인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각각 그 네트워크에 속하는 이동 장치와만 통신하는 (일부 경우에 여러개) 무선 기지국을 갖는다. 각각의 개인 이동 네트워크는 그 자신의 요구에 따라 위치된 무선 기지국을 갖고, 특히 설비가 전문가 전기통신 회사에 의해 제공되기 쉽기 때문에, 이들 네트워크의 고정 부분내 용량의 일부는 공용 링크를 통해 전달되기 쉽다. 개인 이동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그들 자신의 요구 피크 시간을 처기하기 위해 충분한 용량을 가져야 하지만, 명백히 다른 오퍼레이터는 다른 요구 패턴을 갖고, 네트워크의 고정 부분내 용량을 공유하므로써 여러 개인 이동 무선 오퍼레이터는 최소의 실패 통화 수를 갖는 고정 네트워크상에서의 용량 요구를 감소할 수 있다. 만일 채널의 할당이 날짜 시간보다 요구를 기초로 배치되면, 그 용량 요구가 대기 낮지만 요구하는대로 예측할 수 없는 매우 큰 동요를 갖는, 적당한 통화 우선순위 매김을 갖는 응급 서비스는 좀더 예언가능하지만 덜 변화가능한 요구 패턴을 갖는 다른 오퍼레이터와 전체 용량을 공유할 수 있다.

Claims (21)

  1. 다수의 이동 무선국을 서브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무선국과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기지국;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렁크 통신 링크; 및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에 의해 사용중인 전체 채널 수가 그것이 서브하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중인 무선 채널의 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되도록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할당된 수의 무선 채널을 가지며, 적어도 무선 기지국이 할당하는 무선 채널과 동일한 채널 수를 갖는 통신 링크에 의해 그 서브하는 중간 스위치와 연결되고,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을 서브하는 각각의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고, 그 각각의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의 전체 무선 채널 수보다 적은 수의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중간 스위치는 그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에 의해 중간 스위치중 하나의 추가 스위치와 연결되고, 따라서 중간 스위치는 기지국을 서브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기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 링크는 PDH로서 작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가능한 전체 무선 채널 수가 트렁크 링크내 채널의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유효한 무선 채널 및 관련된 통신 링크 채널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불가능하게 하는 관련된 제어 수단을 갖고, 중간 스위치는 현재 가능한 무선 채널과 관련된 통신 링크내 그 채널들을 사용하여 트렁크 링크내 채널을 통화로 할당하며, 중간 스위치는 현재 가능한 무선 채널와 관련된 통신 링크내 그 채널들을 이용하여 트렁크 링크내 채널을 통화로 할당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렁크 통신 링크는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의 제어하에 전송 네트워크의 부분을 형성하고,
    시스템은 트래픽 요구 데이터 입력 수단, 무선 자원 제어 수단의 작동을 조정하는 전송 용량 제어기, 및 트래픽 요구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응하는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렁크 링크내 채널이 이동장치와의 무선 통신 설치 요구에 응하여 각각의 무선 기지국으로 할당되도록 그러한 요구에 응하는 제어수단과 관련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이동 장치의 이양 요청에 응하고 제어 수단과 관련된 수단을 구비하여, 이동장치가 현재 작동중인 트렁크 링크의 통신 채널의 연결이 제 1 무선 기지국과 관련된 통신 링크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과 관련된 통신 링크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 채널은 제 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으로 이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채널이 그것이 불가능하게 될 스케쥴된 시간에서 진행중인 통화에 의해 사용중인 상황에서, 그 채널의 불가능한 기능 및 어떤 대응하는 가능한 기능이 채널 사용이 멈출 때까지 지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10. 다수의 무선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렁크 통신 링크로 이루어지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기지국은 다수의 무선 채널상에서 이동 무선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무선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적어도 무선 기지국이 할당한 무선 채널과 동일한 수의 채널을 갖는 관련된 통신 링크에 의해 관련된 중간 스위치와 연결되며,
    각각의 트렁크 통신 링크는 각각의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고, 그 각각의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된 다수의 기지국의 전체 무선 채널 수보다 적은 채널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중간 스위치에 의해 서브되는 무선 기지국에 의해 사용중인 전체 무선 채널 수가 중간 스위치를 서브하는 트렁크 통신 링킁 의해 사용되는 채널 수와 동일하거나 적게 되도록, 중간 스위치 및 그 관련된 통신 링크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통신 링크는 PDH로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가능한 전체 무선 채널의 수가 트렁크 링크내 채널의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무선 기지국에 유효한 무선 채널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불가능하게 하는 단계, 및 현재 가능한 무선 채널과 관련된 통신 링크내 그 채널들을 사용하여 트렁크 링크내 채널을 통화에 할당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렁크 링크내 통신 채널은 그 무선 기지국과 이동 무선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을 설치하라는 요청에 응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의 이양 요청에 응하여, 이동장치가 현재 작동중인 트렁크 링크상에서의 채널의 연결은 제 1 무선 기지국과 관련된 통신 링크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과 관련된 통신 링크로 전송되고,
    이동장치는 제 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제 2 무선 기지국으로 이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채널이 그것이 불가능하게 될 스케쥴된 시간에서 진행중인 통화에 의해 사용중인 상황에서, 그 채널의 불가능한 기능 및 어떤 대응하는 가능한 기능은 채널 사용이 멈출 때까지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렁크 통신 링크는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의 제어하에서 전송 네트워크의 부분을 형성하고, 트래픽 요구 데이터는 무선 기지국의 작동 및 전송 네트워크 관리 수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트래픽 요구는 트래픽 요구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 실시간에 모니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떤 여분의 트래픽 용량은 무선 및 전송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대략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무선 시스템.
  21. 대략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19980703105A 1995-12-22 1996-12-11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eased KR19990067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309429.9 1995-12-22
EP95309429 1995-12-22
PCT/GB1996/003056 WO1997024008A1 (en) 1995-12-22 1996-12-11 Mobile radio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156A true KR19990067156A (ko) 1999-08-16

Family

ID=822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105A Ceased KR19990067156A (ko) 1995-12-22 1996-12-11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15610A (ko)
EP (1) EP0868824B1 (ko)
JP (1) JP2000502847A (ko)
KR (1) KR19990067156A (ko)
CN (1) CN1203007A (ko)
AU (1) AU709231B2 (ko)
CA (1) CA2232006C (ko)
DE (1) DE69632479T2 (ko)
NO (1) NO982838D0 (ko)
NZ (1) NZ323993A (ko)
WO (1) WO1997024008A1 (ko)
ZA (1) ZA96107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58B1 (ko) * 2001-03-30 2009-02-23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이동통신기기에 대한 네트워크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601B (fi) 1997-04-23 2001-02-28 Nokia Networks Oy Tiedonsiirto matkaviestinverkossa
AUPO932297A0 (en) 1997-09-19 1997-10-09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data communications
FI980507A7 (fi) * 1998-03-05 1999-09-06 Nokia Corp Lisä- ja/tai varakapasiteetin toteutus tukiasematransmissiossa
JP3127886B2 (ja) * 1998-06-01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方法及びパケット転送方式
JP3092600B2 (ja) * 1998-09-11 2000-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FI107218B (fi) * 1998-10-15 2001-06-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kanavan allokoi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WO2001084865A1 (en) 2000-04-27 2001-11-08 Lgc Wireless, Inc. Adaptive capacity management in a centralized basestation architecture
RU2177672C1 (ru) * 2000-07-24 2001-12-27 Во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вяз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абонентов транкингов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US7339892B1 (en) 2000-08-18 2008-03-04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data packet fragmentation threshold in a wireless network
US7280495B1 (en) 2000-08-18 2007-10-09 Nortel Networks Limited Reliable broadcast protocol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366103B2 (en) * 2000-08-18 2008-04-29 Nortel Networks Limited Seamless roaming options in an IEEE 802.11 compliant network
US6947483B2 (en) * 2000-08-18 2005-09-2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compre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7308279B1 (en) 2000-08-18 2007-12-11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power level control on transmitted messages in a wireless LAN
DE10112695A1 (de) * 2001-03-16 2002-09-19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TDMA-Kommunikationssystem
TWI399943B (zh) * 2004-03-04 2013-06-21 Interdigital Tech Corp 機動性致能系統架構軟體架構及應用程式介面
CN101132564B (zh) * 2006-08-25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中继站、无线中继通信系统和方法
US9210600B1 (en) * 2012-09-07 2015-12-0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9432865B1 (en) 2013-12-19 2016-08-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ell tower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10123223B1 (en) 2014-01-30 2018-11-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perational integrity of a radio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99A (en) * 1985-05-31 1987-06-02 Northern Telecom Limited Load balancing for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DE69228676T2 (de) * 1991-09-24 1999-10-07 Motorola, Inc. Zellulares funksystem mit gemeinsamen funkhauptnetz
DE4143266C1 (ko) * 1991-12-31 1993-08-05 Peitz Gmbh, 8000 Muenchen, De
GB2268027B (en) * 1992-06-20 1996-08-21 Motorola Inc Trunking radio system with frequency diversity
FI96565C (fi) * 1992-06-30 1996-07-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iensoluradioverkko
US5568511A (en) * 1992-08-26 1996-10-22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dio disconnect and channel access for digitized speech trunked radio systems
FI932373A0 (fi) * 1993-05-25 1993-05-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Basstation foer cellulaert radiosystem samt cellulaert radiosystem
US5535426A (en) * 1993-12-13 1996-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rimary control of a call in a multiple site communication system
AU688872B2 (en) * 1994-02-25 1998-03-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centralized base station for reducing bandwidth requirements for communications to and from radio transmitter-receiver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58B1 (ko) * 2001-03-30 2009-02-23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이동통신기기에 대한 네트워크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2838L (no) 1998-06-19
NZ323993A (en) 1998-10-28
WO1997024008A1 (en) 1997-07-03
JP2000502847A (ja) 2000-03-07
AU1104797A (en) 1997-07-17
DE69632479T2 (de) 2005-05-12
MX9805039A (es) 1998-10-31
EP0868824A1 (en) 1998-10-07
CN1203007A (zh) 1998-12-23
NO982838D0 (no) 1998-06-19
US6115610A (en) 2000-09-05
EP0868824B1 (en) 2004-05-12
DE69632479D1 (de) 2004-06-17
CA2232006A1 (en) 1997-07-03
ZA9610706B (en) 1997-06-27
AU709231B2 (en) 1999-08-26
CA2232006C (en)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7156A (ko) 이동 무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EP0724818B1 (en)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AU661102B2 (en) Synchronous optical network overhead server
EP0648402B1 (en) Microcellular radio network
EP0726661B1 (en) A method of time-slot allocation in a TDMA communication system
US6122516A (en) Allocating channels for a wireless link between a central terminal and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RU2127489C1 (ru) Способ построения многокольцевой иерархической сети на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линиях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еть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229800B1 (en) Establishing a wireless link between a central terminal and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75552B1 (en) Disaster recovery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460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ovisioning of reliable connections in the presence of multiple failures
FI75967B (fi) Saett att oeverfoera information via ett digitalt telekommunikationsnaet samt naet foer dylik oeverfoering.
MXPA98005039A (en) Radio systems mo
WO1996038964A1 (en) Multi-channel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Worley The Datran System
GB2301755A (en) Multiline wireless transmiss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595332B2 (ja) 通信システム
JP3595331B2 (ja) 通信システム
KR960009462B1 (ko) 원격 교환 장치
Hutcheson et al. Control services based on digital cross-connect systems
JPH07321760A (ja) 多重化装置
WO1998057449A2 (en) Establishing a wireless link between a subscriber terminal and a central terminal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5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