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4561A -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561A
KR19990064561A KR1019990012706A KR19990012706A KR19990064561A KR 19990064561 A KR19990064561 A KR 19990064561A KR 1019990012706 A KR1019990012706 A KR 1019990012706A KR 19990012706 A KR19990012706 A KR 19990012706A KR 19990064561 A KR19990064561 A KR 1999006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witch
connect
phase
uninterrup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홍
Original Assignee
황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홍 filed Critical 황규홍
Priority to KR101999001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561A/ko
Publication of KR1999006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561A/ko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저압부하를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고 양질의 전기를 공급 할 수 있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용 변압기결선을 주상변압기의 결선과 같도록 접속하고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를 투입(OFF)상태에, 이동용 변압기 1차 측 중성선은 한전 중성선에 연결하며, 이동용 변압기 특고압 인입선로의 R상,S상,T상 접속 후 1차 케이블을 본선에 연결하고, 저압선로의 중성선(N)을 먼저 연결하고 R상,S상,T상을 접속 후 저압케이블을 주상변압기의 저압모선에 연결한 다음에 교류(DC) 24V용 제어스위치를 투입(ON) 시킨 다음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ASSC)를 투입(ON)시킨 후에 직류 (AC)전원스위치를 투입(ON)시키고, 저압 검상해서 이상이 없으면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투입(ON)한 다음 저압 검상기를 개방(OFF)시키며,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 병렬운전이 되면 주상변압기의 2차 리드선을 분리시킨 후 2차 리드선을 충전부 임시절연 보호캡으로 절연시켜, 주상변압기의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개방시키는데 전환스위치(COS)를 전환스위치(COS)덮개로 절연시키거나 활선 크램프를 절연조작봉으로 분리하고, 주상변압기를 교체 완료한 후에 활선 크램프 을 절연 조작봉으로 연결하거나 전환스위치(COS)덮개(커버)를 벗기고 주상변압기의 접지선을 먼저 중성선(N)에 연결한 후에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투입한 후에,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에 병렬 운전시키는데 이때 2차 리드선에 있는 충전부 보호캡을 철거한 다음 저압모선과 멀티 테스터기나 저압 검상기로 반드시 상을 확인한 후에 연결하며, 주상 및 이동용 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되면 이동용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개방하고 이동용 변압기 1차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스위치를 개방(OFF)시키고, 1차측 및 2차측 케이블을 철거하며(1차측 케이블은 케이블 방전시켜야한다), 중성선 철거 및 차량 접지는 마지막에 철거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제이 에스(CJS) 무 정전 변압기 시스템.

Description

씨제이 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Transformer system}
본 발명은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저압부하를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고 양질 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9-5150호는 저전력이며 정확한 정현파 및 정전압이 필요 없는 부하에 적절한 AC-AC변화기용 무정전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며,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3-6388호는 절연용의 변압기를 거처서 고주파의 전력을 받는 고주파 중간 링크방식의 직류교류전력변화장치에 관한 것이고,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106호는 펄스 폭 변조제어 변화 장치 등의 전력변화장치에 의하여 역행 및 희생제어를 행하는 차량운전전기시스템에 사용되는 차량 탑재용 변압기에 관한 것이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67167호는 고전압 선로 상에서 정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이동변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6-153422호는 부하에 공급되는 위상제어를 하는 자동위상 동기제어부를 구비한 무정전 교체용 이동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5-56501호는 발전기 및 부하측 전원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를 구비한 무정전 교체 송전형 전원차에 관한 것이고,
기타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95-4670호, 제96-5640호, 제96-6183호, 제95-7425호, 제93-5292호 및 제96-3217호 와 일본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6-113489호에는 변전차를 이용 변압기를 교체하는데 무정전 가공전선연결장치 및 무정전 무전압 전력량계 교체장치등이 기재되어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무정전 상태에서 변압기를 교체할 경우 변압교체공법 및 장치가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성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변압기를 교체할 경우 원터치식으로 변압기를 일시에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게 하였고, 그러한 기계식구조의 개량에 따라 내부 전기 회로 등을 전부 개조된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저압부하를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고 양질 의 전기를 공급 할 수 있는 씨제이 에스(CJS)무정전 변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 본 발명의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전체공정도.
도2 본 발명의 전압결선도
도3 과전류계전기(EOCR)
도4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이동변압기
사진1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 변압기
사진2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 사용상태
사진3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패쇄된 상태
사진4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개방된 상태
사진5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후면 개방된 상태
사진6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좌측문 개방된 상태
사진7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중앙부분 상태
사진8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우측문 개방된 상태
사진9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개방된 상태
사진10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상단좌측개방된 상태
사진11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상단우측 개방된 상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정전 상태의 주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서 주상변압기의 2차측 전원과 무정전 시스템의 패드(PAD)변압기 2차측 전원의 전압과 위상이 동일해야 하므로 주상변압기의 장주 형태를 정확히 확인한 후에 무정전 시스템의 전압 결선중 동일한 회로의 전압결선을 한 후에 실시하는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저압부하를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고 양질 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자(BOX)형으로 제조되어 차량에 탑제하여 사용하며, 불필요시에는 차에서 분리시켜 창고 등에 보관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전체공정도, 제2도는 전압 결선도, 제3도는 과전류계전기(EOCR), 제4도는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C)이동변압기를 도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진1는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 변압기, 사진2는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 사용상태, 사진3은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패쇄된 상태, 사진4는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개방된 상태, 사진5는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후면 개방된 상태, 사진6은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좌측문 개방된 상태, 사진7은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중앙부분 상태, 사진8은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정면 우측문 개방된 상태, 사진9는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개방된 상태, 사진10은 본 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상단좌측개방된 상태, 사진11은 본발명의 씨제이에스무정전변압기측면 상단우측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씨제이에스란 본출원인이 임의로 정한 것으로서 특별한 의미는 없다.
사용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변압기 압력을 제거하고, 이동용 변압기 차량접지를 지상에 접지 한다. 이때 작업하고자 하는 주상변압기의 결선방식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도2-1 내지 도2-3은 한전주상 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를 병렬식 결속상태와 그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용 변압기 결선을 주상변압기의 결선과 같도록 접속하고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를 개방(OFF)상태를 확인한 다음에, 이동용 변압기 1차 측 중성선은 한전 중성선에 연결하며, 이동용 변압기 특고압 인입선로의 R상,S상,T상 접속 후 1차 케이블을 본선에 연결한다.
상기 전압결손은 R상은 두 개 내지 세 개의 터미널, S상은 2개내지 7개의 터미널, T상은 세 개의 터미널로 구성되며,
다음 저압선로의 중성선(N)을 먼저 연결하고 R상, S상, T상을 접속 후 저압케이블을 주상변압기의 저압모선에 연결한 다음에 교류(DC) 24V용 제어스위치를 투입(ON)시킨 다음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를 투입(ON)시킨 후에 직류(AC)전원스위치를 투입(ON)시킨다.
다음에 저압 검상기 스위치를 투입(ON)시키고 전부(ALL)에 있으면 약 2초 동안 부저소리가 울리다가 멈추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저압 검상해서 이상이 없으면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투입한 다음 저압 검상기를 개방(OFF)시킨다.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 병렬운전이 되면 주상변압기의 2차 리드선을 분리 시킨 후 2차 리드선을 충전부 임시절연 보호캡으로 절연시켜, 주상변압기의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개방시키는데 전환스위치(COS)를 전환스위치(COS)덮개로 절연시키거나 활선 크램프를 절연 조작봉으로 분리한다.
주상변압기를 교체 완료 한 후에 활선 크램을 절연 조작봉으로 연결하거나 전환스위치(COS)덮개(커버)를 벗기고 주상변압기의 접지선을 먼저 중성선(N)에 연결한 후에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투입한다.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에 병렬 운전시키는데 이때 2차 리드선에 있는 충전부 보호캡을 철거한 다음 저압모선과 멀티 테스터기나 저압 검상기로 반드시 상을 확인한 후에 연결한다.
주상 및 이동용 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되면 이동용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개방하고 이동용 변압기 1차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 스위치를 개방(OFF)시 킨다.
1차측 및 2차측 케이블을 철거하며(1차측 케이블은 케이블 방전시켜야한다), 중성선 철거 및 차량 접지는 마지막에 철거하고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에 사용된 과전류계전기(EOCR)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전류계가 과전류 보호용으로 사용되며 동작시간을 030초로 조정되나 주로 저압회로의 단락사고에 대비하여 1초로 세팅하였으며, 이동용 변압기의 부하전류가 455.8A이므로 600A에 동작되도록 교정하였고 변류기(CT)가 600/5이므로 5A 로 세팅하면 부하전류 600A 가 1초간 지속되면 전자접촉기(MC)가 차단되게 하였고,
전자접촉기(MC)를 투입(ON)상태에서 테스트버튼을 눌러주면 정정한 시간이 지나면 전자접촉기(MC)가 차단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계전기가 동작하면 운전 중 전자접촉기(MC)가 차단되는 동시에 계전기에 빨간 색의 표시등이 점등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자접촉기(MC)는 투입할 수 없고 리세트(RESET)시켜 주어야한다.
테스트버튼 아래에 있는 리세트버튼을 눌러주면 빨간색 표시등이 소등되면서 전자접촉기(MC)는 투입(NO)이 가능하게 된다.
고장전류정정은 상고장전류 정정(A) 는 상(PHASE) 최소 동작전류를 최대 부하전류의 23배로 하고 지락고장전류정정(A)는 3상의 불평형율이 크면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므로 통상 상고장 최소 동작전류를 50%로 하면 된다.
고장 전류 정정치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절차도.
가. 설치 작업
나) 철거 작업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변압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점검하는데 유용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창고 등에 보관할 수 있으며, 무정전으로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고, 양질의 전기를 공급 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Claims (3)

  1. 무정전변압기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용 변압기 결선을 주상변압기의 결선과 같도록 접속하고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C)를 개방(OFF)상태에, 한전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를 병렬로 결속하도록 이동용 변압기 1차 측 중성선은 한전 중성선에 연결하며, 이동용 변압기 특고압 인입선로의 R상,S상,T상 접속후 1차케이블을 본선에 연결하고,
    저압선로의중성선(N)선을 먼저 연결하고 R상,S상,T상을 접속 후 저압케이블을 주상변압기의 저압모선에 연결한 다음에 교류(DC) 24V용 제어스위치를 투입(ON)시킨다음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를 투입(ON)시킨후에 직류(AC)전원스위치를 투입(ON)시키고,
    저압검상해서 이상이 없으면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투입(NO)한 다음 저압검상기를 개방(OFF)시키며,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 병렬운전이 되면 주상변압기의 2차 리드선을 분리시킨후 2차 리드선을 충전부 임시절연 보호캡으로 절연시켜, 주상변압기의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개방시키는데 전환스위치(COS)를 전환스위치(COS)덮개로 절연시키거나 활선 크램프를 절연조작봉으로 분리하고,
    주상변압기를 교체 완료한 후에 활선 크램을 절연조작봉으로 연결하거나 전환스위치(COS)덮개(커버)를 벗기고 주상변압기의 접지선을 먼저 중성선(N)에 연결한 후에 전환스위치(COS)를 절연 조작봉으로 투입(ON)한 후에,
    주상변압기와 이동용 변압기간에 병렬 운전시키는데 이때 2차 리드선에 있는 충전부 보호캡을 철거한 다음 저압모선과 멀티 테스터기나 저압검상기로 반드시 상을 확인한 후에 연결하며,
    주상 및 이동용 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되면 이동용 변압기 2차 개폐기 스위치를 개방하고 이동용 변압기 1차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C)스위치를 개방(OFF)시 키고.
    1차측 및 2차측 케이블을 철거하며(1차측 케이블은 케이블 방전시켜야한다), 중성선 철거 및 차량 접지는 마지막에 철거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시스템은 차량에 탑재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에서 분리시켜 창고에 보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결손은 R상은 두 개 내지 세 개의 터미널, S상은 2개내지 7개의 터미널, T상은 세 개의 터미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제이 에스(CJS)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사진 1
    사진 2
    사진 3
    사진 4
    사진 5
    사진 6
    사진 7
    사진 8
    사진 9
    사진 10
    사진 11
KR1019990012706A 1999-04-10 1999-04-10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KR19990064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706A KR19990064561A (ko) 1999-04-10 1999-04-10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706A KR19990064561A (ko) 1999-04-10 1999-04-10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561A true KR19990064561A (ko) 1999-08-05

Family

ID=5477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706A KR19990064561A (ko) 1999-04-10 1999-04-10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5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30B1 (ko) * 2006-06-26 2007-09-11 흡 윤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0868696B1 (ko) * 2006-11-01 2008-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변압기 부하감시 무정전 부하배분 절체장치
KR100894881B1 (ko) * 2007-07-25 2009-05-04 주식회사 평일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KR101123272B1 (ko) * 2009-09-29 2012-03-20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30B1 (ko) * 2006-06-26 2007-09-11 흡 윤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0868696B1 (ko) * 2006-11-01 2008-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변압기 부하감시 무정전 부하배분 절체장치
KR100894881B1 (ko) * 2007-07-25 2009-05-04 주식회사 평일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KR101123272B1 (ko) * 2009-09-29 2012-03-20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32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лючения линии с замыканием на землю в сети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KR19990064561A (ko)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102598786B1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CN210608530U (zh) 一种消弧柜及小电流接地系统
KR200259107Y1 (ko)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
JP3480671B2 (ja) スポットネットワーク受電設備の母線保護システム
KR20100005384U (ko) 고압 단상 고체절연개폐기가 내장된 이동용 단상 변압기장치
KR101837131B1 (ko)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KR200359402Y1 (ko) 순간절체형 3로식 온-로드 루프 절체 고압개폐기를내장한 무정전공사용 변압기
EA016235B1 (ru) Генератор тока нулев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CN204103259U (zh) 一种改进的开关柜
RU104390U1 (ru) Щит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варианты)
RU229334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И РАССТОЯНИЯ ДО МЕСТА ОДНОФАЗН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ЕТЯХ 6-35 кВ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КОМПЕНС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KR101068611B1 (ko) 무정전 변압기용 시험기
KR102787129B1 (ko) 저압 삼상부하 무결상 분리장치 및 전주 무결상 차단 시스템
JPH03218229A (ja) 地中配電線用引込線切替開閉器及びそれを用いた無停電電源切替方法
CN219086874U (zh) 一种便于备用蓄电池组接入变电站直流系统的装置
KR100434152B1 (ko) 지상형 이동변압기
KR100960025B1 (ko)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JP7541300B2 (ja) 無瞬断電源切替装置
RU109340U1 (ru) БЛОК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БРПрТ
RU59336U1 (ru) Шахтна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JP3744696B2 (ja) 変圧器タップ切替装置
RU104392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щит р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