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3302A -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302A
KR19990063302A KR1019980057036A KR19980057036A KR19990063302A KR 19990063302 A KR19990063302 A KR 19990063302A KR 1019980057036 A KR1019980057036 A KR 1019980057036A KR 19980057036 A KR19980057036 A KR 19980057036A KR 19990063302 A KR19990063302 A KR 19990063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lar
sam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822B1 (ko
Inventor
신타로 이케다
아키노리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와다 고우지
닛뽄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60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36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685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7841B2/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고우지, 닛뽄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고우지
Publication of KR1999006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8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4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with longitudinally split or divided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각각은 파이프 고정부(24, 25)를 가진다. 하나의 파이프 고정부(24)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섹션내의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한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26)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내의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27)를 가진다. 다른 파이프 고정부(25)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섹션내의 파이프(5)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28)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내의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29)를 가진다.

Description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본 발명은 서로 맞대이는 한 쌍의 파이프의 단부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기 위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서로 맞대이는 인접 파이프의 단부사이의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기 위한 산업에 널리 사용된다.
이 종래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원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제각기 원주형 홈(3)을 갖고 있는 파이프(4, 5)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공간(6)과, 원형 공간(6)의 양측면상에 형성되고 파이프(4, 5)의 원주형 홈(3)내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벽(8, 9)이 각각 제공되어 있는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 2)와, 파이프(4, 5)의 단부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기 위해 원형 공간내에 배치되어지는 밀봉 탄성링(7)과, 두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 2)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0)을 포함한다.
이런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두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의 외원주 둘레상에 있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 2)의 원형 공간(6)내에 놓여 있는 탄성 밀봉링(7)을 압축하여 파이프(4, 5)의 단부사이의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고, 두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바닥에 대향해 원형 고정벽(8)을 누르므로서 파이프(4, 5)에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 2)를 고정한다.
이런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에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원형 고정벽은 원형 고정벽의 내원주가 파이프사이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의 바닥에 대향해 눌려질 수 있도록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명목상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는 다른 직경을 지지고 원주형 홈은 종종 다른 깊이로 형성되므로, 원주형 홈의 바닥면상에 원형 고정벽에 의해 발생된 압력은 종종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원형 고정벽이 파이프에 확고히 고정되지 않고,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이 함께 확고히 이음될 수 없고,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이 연장, 수축 또는 굽힘되거나, 탄성 밀봉링이 원형 공간에서 비틀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의 관점에서 만들어 졌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파이프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의 깊이가 규정 깊이와 다를지라도 인접 파이프의 단부를 함께 확실히 고정하고 원형 공간내에 배치된 탄성링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적어도 파이프의 단부에 가까운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의해 형성된 원주형 홈이 각각 제공되어 있는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두 파이프 단부 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도록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놓여 있는 밀봉 탄성링과;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형태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에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공간의 양측상에 각각 있는 파이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 섹션을 가지며, 제각기 두 파이프의 원주형 홈으로 방사내향으로 연장하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고정부중 하나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에 대향해 눌려지므로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함께 확고히 고정하여 파이프의 단부 부분의 연장, 수축 또는 굽힘을 방지하고, 탄성 밀봉링의 공간내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파이프의 단부에 가까운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을 가지는 원주형 리브가 각각 제공되어 있는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두 파이프 단부 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도록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놓여 있는 밀봉 탄성링과;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형태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에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공간의 양측상에 각각 있는 파이프 설정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 섹션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을 가지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설정부중 하나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설정부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파이프 설정부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에 대향해 눌려지므로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함께 확고히 고정하여 파이프의 단부 부분의 연장, 수축 또는 굽힘을 방지하고, 탄성 밀봉링의 공간내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내에 포함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부분 전개도.
도 3a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기전 상태의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 측면도.
도 3b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기전 상태의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단면도.
도 4a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어진 후 상태의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 측면도.
도 4b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어진 후 상태의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내에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한 쌍의 세그먼트에 의해 소켓-앤-스피곳내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내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내에 포함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부분 전개도.
도 11은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제 3 실시예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 측면도.
도 12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어진 후의 상태의 제 3 실시예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 측면도.
도 13은 돌출부의 단부인 4개의 점에서 지지된 파이프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내에 포함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사시도.
도 16은 도 14도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부분 전개도.
도 17은 도 14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두 파이프의 측면도.
도 18은 소켓-앤-스피곳 이음 도중의 도 14의 한 쌍의 세그먼트의 측면도.
도 19은 소켓-앤 스피곳 이음된 도 14의 한 쌍의 세그먼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원주형 홈 4, 5: 파이프
20: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26, 27, 28, 29: 돌출부 40: 원주형 리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원호와 거의 유사한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를 가지므로,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는 원주 방향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면에 있는 이음부(21, 22)를 가진다. 이음부는 소켓-앤-스피곳(socket-and- spigot) 이음으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대응 이음부에 이음된다( 도 3a).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를 함께 이음할 때,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이음부(21, 22)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이음부(21, 22)는 제각기 소켓-앤- 스피곳 이음으로 함께 이음되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부재(10)로 함께 고정된다.
도 1,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앤-스피곳 이음부는 세그먼트의 폭에 대해서 한 절반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한 원주형 단부면상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21m)와, 다른 절반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동일 단부면상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21f)와, 다른 절반 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원주형 단부면 각각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22m)와 한 절반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동일 단부면상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22f)에 의해 구성되고, 그리고, 세그먼트의 폭에 대해서 다른 절반영역(한 절반영역일 수 있음)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한 원주형 단부면상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22m)와, 한 절반영역(다른 절반영역일 수 있음)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동일 단부면상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22f)와, 한(다른) 절반 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원주형 단부면 각각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21m)와 다른(한) 절반영역내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동일 단부면상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22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록 이음부(21m, 22m)와 오목 이음부(21f, 22f)는 필수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이 폭은 세그먼트의 폭의 약 절반이다. 소켓-앤-스피곳 이음부는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볼록 이음부(21m, 22m)와 오목 이음부(21f, 22f)를 결합하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볼록 이음부(21m, 22m)와 오목 이음부(21f, 22f)를 결합함으로서 조립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는 원주형 홈(3)이 각각 제공되어 있는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23)과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을 에워싸기 위한 밀봉 탄성링(7)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4)는 공간(23)을 형성하는 측벽중 하나로부터 방사내향으로 돌출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24)는 파이프(4)의 원주형 홈(3)내에 끼워져서 파이프(4)의 단부 부분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에 고정한다. 파이프 고정부(25)는 공간(23)을 형성하는 다른 측벽으로부터 방사내향으로 돌출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25)는 다른 파이프(5)의 원주형 홈(3)내에 끼워져서 파이프(5)의 단부 부분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에 고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24)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도 2의 상단부)으로부터 다른 단부 섹션(도 2의 하단부)으로 연장하는 고정 반경의 곡율의 단부면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24)는 파이프(4)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게 되고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26)를 한 단부 섹션의 내면에 제공하고, 다른 단부 섹션의 외면에 파이프(4)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게 되고 파이프(4)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27)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돌출부(26, 27)는 이음면(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연장할 수 있다. 원형 돌출부(26, 27)가 이음면(30)으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원주형 홈의 측면에 대향해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도 1에 도시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에서, 원형 돌출부는 이음면(30)으로부터 약 45°의 각도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둘출부의 약 45°의 각도 위치의 말단(extremity)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다른 단부까지 균일한 기울기로 연장할 수 있다.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위치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고정부(24)와 유사한 파이프 고정부(25)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도 2의 상단부)으로부터 다른 단부 섹션(도 2의 하단부) 으로 연장하는 고정 반경의 곡율의 단부면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25)는 파이프(5)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게 되고 파이프(5)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28)를 한 단부 섹션의 외면에 제공하고, 다른 단부 섹션의 내면에 파이프(5)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게 되고 파이프(5)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29)를 제공한다. 원형 돌출부(26, 27)와 유사한 원형 돌출부(28, 29)는 이음면(30)으로부터 45°의 각도의 위치까지 연장한다. 원형 돌출부(28, 29)가 이음면(30)으로부터 약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불연속으로 연장할 수 있다. 원형 돌출부(28, 29)가 이음면(30)으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원주형 홈의 측면에 대향해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도 1에 도시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에서, 원형 돌출부는 이음면(30)으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둘출부의 약 45°의 각도 위치의 말단(extremity)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다른 단부까지 균일한 기울기로 연장할 수 있다.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을 조립할 때,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이음부(21, 22)가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이음부(22a, 21a)와 반대로 놓이고, 그리고 나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이음부(21, 22)가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이음부(22a, 21a)와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을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이하에 설명하겠다.
액체-기밀 파이프 조립체는 밀봉 탄성링(7)내에 밀봉 탄성링(7)의 양단부을 통해서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을 삽입함으로서 형성되므로, 파이프(4, 5)의 각 단부는 밀봉 탄성링(7)내에서 서로 맞대어 있다.
파이프 조립체는 공간(23)내에 배치된 밀봉 탄성링(7)과 함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내에 설정된다. 도 3a에서, 탄성링은 이해를 용이하기 위해서 생략되어 있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는 이들의 이음부(21a, 22a)가 제각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이음부(22, 21)와 반대쪽에 있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는 이음부(21a, 22a)가 제각기 이음부(21, 22)와 짝맞추어지도록 서로에 대해서 눌려진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가 여전히 함께 이음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형 돌출부(26)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24)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과 접촉한 상태에 있고, 원형 돌출부(27)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24)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으로부터 이격되며, 원형 돌출부(29)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25)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과 접촉한 상태에 있고, 원형 돌출부(28)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가 파이프 고정부(24)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으로부터 이격되며, 파이프 고정부(24)의 원형 돌출부(26, 27)와 파이프 고정부(25)의 원형 돌출부(28, 29)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 3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지 않을 지라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파이프 고정부는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와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통상의 고정부(10)로 함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이음부(21, 2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이음부(22a, 21a)와 짝맞추어 있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가 도 4a에 도시한 상태에서 함께 고정되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는 도 4b내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는 도 4b에 도시하지 않지만 도 4b에 도시한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 20a)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고정되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24)의 원형 돌출부(26)는 동일한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에 대향해 눌려져서 파이프(4)를 도 4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즉, 파이프(4)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파이프 고정부(24)의 원형 돌출부(27)는 동일한 파이프(4)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에 대향해 눌려져서 파이프(4)를 도 4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즉, 파이프(4)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동시에, 파이프 고정부(25)의 원형 돌출부(28)는 동일한 파이프(5)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에 대향해 눌려져서 파이프(5)를 화살표 방향으로, 즉, 파이프(5)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파이프 고정부(25)의 원형 돌출부(29)는 동일한 파이프(5)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에 대향해 눌려져서 파이프(5)를 화살표 방향으로, 즉, 파이프(5)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와 반대로 이동하고, 그리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a)의 파이프 고정부의 원형 돌출부의 작용은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의 파이프 고정부의 대응 원형 돌출부의 작용과 반대이다.
도 13에서, 4점(a, b, c, d)은 각 파이프의 단면도에서 돌출부의 단부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는 이음면(라인)(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의 각 위치에 제각기 위치설정되어 있고 원주방향에 대해서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4점(a, b, c, d)에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가 점(a, c)에서 하향으로 눌려질 때, 파이프는 또한 점(b, c)에서 상향으로 눌려진다. 즉, 파이프는 파이프의 중심을 통해 이음면(라인)(30)을 가지는 X-X 라인과 X-X라인에 직각인 Y-Y 라인에 대해서도 잘균형맞추어지도록 보장한다. 그러므로, 파이프는 파이프가 어떠한 굽힘 모멘트(MX 또는 MY)를 받더라도 확고히 유지되어진다.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파이프 고정부가 제각기 파이프의 단부 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의 바닥면과 측면에 대향해 눌려지기 때문에, 파이프(4, 5)의 단부는 서로 확고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4, 5)쌍의 단부 부분은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내에서 연장, 수축 또는 굽힘되지 않고, 밀봉 탄성링(7)은 공간(23)내에서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4, 5)의 단부 부분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과 측면(3a, 3b)에 대향해서 파이프 고정부를 가압 할지라도,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형 홈(3)의 측면(3a, 3b)과 파이프의 외주변(4c, 5c)에 대향해 눌려질 수 있다. 파이프 고정부가 원주형 홈(3)의 측면(3a, 3b)과 파이프의 외주변(4c, 5c)에 대향해 눌려지면, 파이프(4,5)와 공간(23)의 바닥면사이의 공간은 파이프(4, 5)의 원주형 홈(3)의 깊이에 무관하게 항상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을 도시한다. 이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여기에 용접된 원주형 리브(40)가 각각 제공된 두 파이프(4a, 5a)를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00)는 공간(23a)과 파이프(4a, 5a)의 외주변에 대항해서 눌려지도록 공간(23a)의 양측면상에 제각기 형성된 파이프 설정부(101, 102)를 가진다. 리세스(103)는 원주형 리브(40)를 수용하도록 파이프 설정부(101)에 형성되어 있고, 리세스(104)는 원주형 리브(40)를 수용하도록 파이프 설정부(102)에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03)는 한 쌍의 측면(105, 10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4a)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4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b)과 접촉하게 되는 원형 돌출부(107)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의 측면상에 있는 측면(105)의 섹션내에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4a)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4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a)과 접촉하게 되는 원형 돌출부(108)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의 측면상에 있는 측면(106)의 섹션내에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04)는 한 쌍의 측면(109, 1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5a)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5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a)과 접촉하게 되는 원형 돌출부(111)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의 측면상에 있는 측면(109)의 섹션내에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5a)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5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b)과 접촉하게 되는 원형 돌출부(112)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의 측면상에 있는 측면(110)의 섹션내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00)가 스피곳-앤-소켓 이음으로 함께 이음되면, 파이프 설정부(101)내에 형성된 리세스(103)의 측면(105)상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107)는 파이프(4a)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4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b)에 대향해서 눌려져서 파이프(4a)를 화살표 방향, 즉, 파이프(4a)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측면(106)상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108)는 파이프(4a)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4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a)에 대향해서 눌려져서 파이프(4a)를 화살표 방향, 즉, 파이프(4a)의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동시에, 파이프 설정부(102)내에 형성된 리세스(104)의 측면(109)상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111)는 파이프(5a)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파이프(5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a)에 대향해서 눌려져서 파이프(5a)를 화살표 방향, 즉, 파이프(5a)의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측면(110)상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112)는 파이프(5a)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파이프(5a)의 원주형 리브(40)의 측면(40b)에 대향해서 눌려져서 파이프(5a)를 화살표 방향, 즉, 파이프(5a)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를 도시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와 짝을 이룬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러므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만을 기술하겠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는 소켓-앤-스피곳 이음을 위한 원주형 단부면중 하나상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121)와 소켓-앤-스피곳 이음을 위한 다른 원주형 단부면중 다른 하나상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122)를 가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는 원주형 홈(3)에 각각 제공된 파이프(4, 5)의 단부분과, 파이프(4, 5)의 단부분을 둘러싸기 위한 밀봉 탄성링(7)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23)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124)는 공간(123)을 형성하는 측벽중 하나로부터 방사내향으로 돌출한다. 파이프 고정부(125)는 공간(123)을 형성하는 다른 측벽으로부터 방사 내향으로 돌출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124)는 한 단부의 내면상에, 파이프(4)의 단부분상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하고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126)를 제공하고, 다른 단부의 외면상에, 파이프(4)의 단부분상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고 파이프(4)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127)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6, 127)는 이음면(1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연장할수 있다. 원형 돌출부(126, 127)가 이음면(1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 위치에서 원주형 홈의 측면에 대향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도 9도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125)는 한 단부의 내면상에, 파이프(5)의 단부분상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고 파이프(5)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128)를 제공하고, 다른 단부의 외면상에, 파이프(5)의 단부분상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하고 파이프(5)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129)를 제공한다. 돌출부(128, 129)는 도 9에 이음면(1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으로 연장할수 있을 지라도, 불연속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원형 돌출부(128, 129)가 이음면(130)으로부터 45°의 각도 거리 위치에서 원주형 홈의 측면에 대향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상술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을 조립하기 위한 절차는 이후에 설명하겠다.
액체 기밀 파이프 조립체는 파이프(4, 5)의 각 단부가 밀봉 탄성링(7)내에 서로 접하도록 밀봉 탄성링(7)내의 밀봉 탄성링(7)의 양 단부를 통해서 파이프(4, 5)의 단부분을 삽입함으로서 형성된다.
파이프 조립체를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내에 설정하며 밀봉 탄성링(7)을 공간(123)내에 배치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각기 볼록 이음부(121a)와 오목 이음부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오목 이음부(122)와 볼록 이음부(121)에 반대로 놓이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나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 120a)는 볼록 이음부(121a)와 오목 이음부(122a)가 제각기 오목 이음부(122)와 볼록 이음부(121)와 짝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해 가압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 120a)가 아직 서로 이음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형 돌출부(126)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파이프 고정부(124)의 섹션이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과 접촉하고, 원형 둘출부(127)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파이프 고정부(125)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으로부터 이격되며, 원형 돌출부(129)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파이프 고정부(125)의 섹션이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과 접촉하고, 원형 둘출부(128)의 측면상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파이프 고정부(125)의 섹션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바닥면(3c)으로부터 이격되며, 파이프 고정부(124)의 원형 돌출부(126, 127)와 파이프 고정부(125)의 원형 돌출부(128, 129)는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a, 3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의 파이프 고정부(124a, 125a)는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파이프 고정부(124, 125)에 대향해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볼록 이음부(121)와 오목 이음부(122)와 세그먼트(120a)의 오목 이음부(122a)와 볼록 이음부(121a)를 결합함으로서 소켓-앤-스피곳 이음으로 연결되고, 볼트-너트등과 같은 유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를 소켓-앤-스피곳 이음으로 연결할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트-너트 수단(10)의 사용에 의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는 제각기 화살표 A와 A'의 방향으로 돌려진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120a)의 소켓-앤-스피곳 이음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될 때,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볼록 이음부(121)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의 오목 이음부(122a)는 서로 결합되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의 오목 이음부(122)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a)의 볼록 이음부(121a)는 서로 결합되므로, 볼록 이음부(121)와 오목 이음부(122a) 및 오목 이음부(122) 및 볼록 이음부(121a)는 제각기 점(P)에서 서로 접촉하며, 파이프를 이동할 수 있는 외부힘 F 또는 -F가 있을 지라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120, 120a)는 외부힘 F 또는 -F에 대향하는 힘이 발생되어 서로로부터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결국 파이프(4, 5)의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220)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을 도시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와 짝을 이루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서 하나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은 고정부의 디자인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0)와 유사하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는 각각에 원주형 홈(3)이 제공되어 있는 파이프(4, 5)의 단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223)과, 파이프(4, 5)의 단부분을 둘러싸기 위한 밀봉 탄성링(7)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24)는 공간(223)을 형성하는 측벽중 하나로부터 방사내향으로 돌출한다. 파이프 고정부(224)는 이음면(230A)으로부터 45。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필수적으로 연장하는 보다 방사내향으로 돌출하는 고정섹션(224A)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24)는 또한 이음면(230B)으로부터 45。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필수적으로 연장하는 보다 방사내향으로 돌출하는 고정섹션(224B)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24)의 고정섹션(224A, 224B)은 파이프(4)의 원주형 홈(3)내에 끼워지므로 파이프(4)의 단부분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에 고정한다. 파이프 고정부(225)는 공간(223)을 형성하는 측벽중 다른 하나로부터 방사내향으로 돌출한다. 파이프 고정부(225)는 이음면(230A)으로부터 45。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필수적으로 연장하는 보다 방사내향으로 돌출하는 고정섹션(225A)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25)는 또한 이음면(230B)으로부터 45。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필수적으로 연장하는 보다 방사내향으로 돌출하는 고정섹션(225B)을 가진다. 파이프 고정부(225)의 고정섹션(225A, 225B)은 파이프(5)의 원주형 홈(3)내에 끼워지므로 파이프(5)의 단부분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에 고정한다.
파이프 고정부(224)의 고정섹션(224A)의 내면상에, 파이프(5)의 단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되고 파이프(5)의 단부분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226)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226)는 고정섹션(224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고정부(224)의 고정섹션(224B)의 외면상에, 파이프(5)의 단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되고 파이프(5)의 단부분에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227)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227)는 고정섹션(224B)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고정부(225)의 고정섹션(225A)의 외면상에, 파이프(4)의 단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b)과 접촉되고 파이프(4)의 단부분에 보다 멀리 있는 원형 돌출부(228)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228)는 고정섹션(225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고정부(225)의 고정섹션(225B)의 내면상에, 파이프(4)의 단부분내에 형성된 원주형 홈(3)의 측면(3a)과 접촉되고 파이프(4)의 단부분에 보다 가까운 원형 돌출부(229)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229)는 고정섹션(225B)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부(221)내에, 볼록 이음부(221m)는 오목 이음부(221f)의 측면상의 둥근 코너(241)를 가진다. 이것은 볼록 이음부(221m)와 볼록 이음부(222m)(도 14, 도 18 및 도 19 참조)의 결합을 부드럽게하는 작용을 한다. 결국,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는 부드럽게 이음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폭(W)은 파이프(4, 5)가 서로 인접할 때,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와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사이의 거리(L)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는 특히 파이프(4, 5)가 수직으로 배열되어도, 파이프(4, 5)의 이동업시 파이프(4, 5)상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후에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4, 5)를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겠다. 파이프(4)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링의 거의 하반부는 파이프(4)의 상단부상에 끼워진다. 그리고 나서 파이프(5)는 탄성링의 상반부로 수직으로 삽입된다. 파이프(4, 5)의 각 단부는 밀봉 탄성링내에 서로 인접한다.
파이프(4, 5)가 서로 인접하면,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와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사이의 거리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폭(W)보다 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L 이다.
파이프 조립체는 공간(223)내에 배치된 밀봉 탄성링과 함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내에 설정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는 이음부(221a, 222a)가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이음부(222, 221)와 반대로 놓이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가 서로에 대해서 가압되므로 이음부(221a, 222a)는 제각기 이음부(222, 221)와 짝을 이룬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가 아직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는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와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사이 동일한 공간 또는 동일한 경사도로 위치되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볼록 이음부(221m, 222m)는 제각기 짝을 이룬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의 볼록 이음부(222m, 221m)와 가볍게 접촉한다. 계속해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부(10)으로 도 18의 화살표의 방향을 향해 서로 고정된다. 그 다음,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는 점진적으로 미끄러지므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볼록 이음부(221m, 222m)와 오목 이음부(221f, 222f)는 제각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의 볼록 이음부(222m, 221m)와 오목 이음부(222f, 221f)와 짝을 이룬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으로 고정되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되고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제각기 볼록 이음부(222m, 221m)에 가까운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고정부(224)의 외면상의 원형 돌출부(227)와 고정부(225)(225a)의 외면상의 원형 돌출부(228)(228a)는 또한 각 고정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제각기 파이프(4, 5)의 홈(3, 3)의 측면(3b, 3b)상에 도 19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준다. 이 힘은 점증적으로 두 파이프(4, 5)를 약간 분리한다.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고정되면,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의 오목 이음부(221m)의 내측면 에지와 오목 이음부(222m)의 내측면 에지는 제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a)의 오목 이음부(222m)의 내측면 에지와 오목 이음부(221m)의 내측면 에지와 압력하에서 접촉한다. 파이프(4)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와 파이프(5)의 원주형 홈(3)의 측면(3b)사이의 거리는 L로부터 L'로 증가한다. 더욱이, 고정부(224)의 내면상의 원형 돌출부(226)와 고정부(225)의 내면상의 원형 돌출부(229)는 파이프(4, 5)의 원주형 홈(3, 3)의 측면(3a, 3a)과 제각기 압력하에서 접촉한다. 결국, 파이프를 변형할 수 있는 외력이 있어도,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220, 220a)는 서로로부터 횡방향으로 변위되지 않으며, 외력에 대항하는 힘이 발생되어 파이프(4, 5)의 고정력을 증가시키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술한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고정부 또는 파이프 설정부상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 또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에 대향해 눌려져서 파이프를 함께 확고히 고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은 파이프 단부분의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내에서의 연장, 수축 또는 굽힘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상호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고 밀봉 탄성링의 공간내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1)

  1. 적어도 파이프의 단부에 가까운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의해 형성된 원주형 홈이 각각 제공되어 있는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상기 두 파이프 단부 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도록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놓여 있는 밀봉 탄성링과;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공간의 양측상에 각각 있는 파이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 섹션을 가지며, 제각기 두 파이프의 원주형 홈으로 방사내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고정부중 하나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 제 1 항에 따라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형상과 일치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의 약 45°의 각도 위치의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다른 또는 한 단부까지, 균일한 기울기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45°의 거리 위치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쌍은 소켓-앤-스피곳 이음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파이프의 외주변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9. 파이프의 단부에 가까운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을 가지는 원주형 리브가 각각 제공되어 있는 두 파이프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와;
    상기 두 파이프 단부 사이에 비누설 접합관을 만들도록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놓여 있는 밀봉 탄성링과;
    상기 한 쌍의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공간의 양측상에 각각 있는 파이프 설정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 섹션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설정부중 하나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설정부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서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0. 제 9 항에 따라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형상과 일치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의 약 45°의 각도 위치의 말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다른 또는 한 단부까지, 균일한 기울기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45°의 거리 위치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쌍은 소켓-앤-스피곳 이음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파이프의 외주변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한 쌍의 원주형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세그먼트의 폭에 대해서 원주형 단부면의 한 절반 영역내의 볼록 이음부와 원주형 단부면의 다른 절반 영역내의 오목 이음부를 가지며, 한 세그먼트의 상기 볼록 이음부와 상기 오목 이음부는 제각기 다른 세그먼트의 오목 이음부와 볼록 이음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한 쌍의 원주형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중 하나는 볼록 이음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오목 이음부를 가지며, 한 세그먼트의 상기 볼록 이음부와 상기 오목 이음부는 제각기 다른 세그먼트의 오목 이음부와 볼록 이음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나사 수단을 가지며 상기 나사 수단의 나사결합 방향은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결합 수단을 가지며, 상기 결합수단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형상과 일치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고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위치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이음부와 오목 이음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각각은 결합 수단을 가지며, 상기 결합수단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형상과 일치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파이프 설정부의 한 또는 다른 단부로부터 약 45。의 각도 위치에 제공된 돌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이음부와 오목 이음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파이프 커플링.
  30. 밀봉 탄성링과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측면에 의해 형성된 원주형 홈이 각각 제공된 두 파이프의 단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는,
    상기 공간의 양쪽상에 제각기 배치된 파이프 고정부와;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방향에 대해서 반대 단부를 가지며, 제각기 두 파이프의 원주형 홈으로 방사내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고정부중 하나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고정부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멀리 있는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홈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수단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31. 밀봉 탄성링과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측면에 의해 형성된 원주형 홈이 각각 제공된 두 파이프의 단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는,
    상기 공간의 양쪽상에 제각기 배치된 파이프 설정부와;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설정부는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대향 단부 섹션을 가진 한 쌍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파이프 설정부중 하나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동일한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의 다른 파이프 설정부의 리세스는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단부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에 보다 가까운 다른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단부섹션 섹션내의 동일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동일한 파이프의 원주형 리브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수단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한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와, 원주 방향에 대해서 다른 파이프 고정부의 측면과 이의 다른 단부섹션 측면상의 일부분에 형성된 오목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커플링 세그먼트.
KR1019980057036A 1997-12-25 1998-12-22 하우징형파이프커플링 Expired - Fee Related KR100536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58088 1997-12-25
JP35808897 1997-12-25
JP14960598A JP3953642B2 (ja) 1997-12-25 1998-05-29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1998-149605 1998-05-29
JP20685798A JP3907841B2 (ja) 1997-12-25 1998-07-22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1998-206857 1998-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302A true KR19990063302A (ko) 1999-07-26
KR100536822B1 KR100536822B1 (ko) 2006-03-22

Family

ID=2731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0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6822B1 (ko) 1997-12-25 1998-12-22 하우징형파이프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26414B1 (ko)
KR (1) KR100536822B1 (ko)
CN (1) CN1114782C (ko)
AT (1) ATE437330T1 (ko)
DE (1) DE69840994D1 (ko)
SG (1) SG71184A1 (ko)
TW (1) TW4606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121A (ko) * 2018-04-27 2021-01-13 바이오 퓨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029A1 (de) * 2000-02-10 2001-08-30 Uwe Vieregge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Rohren
AUPS207802A0 (en) * 2002-05-02 2002-06-06 Tyco Water Pty Limited Pipe coupling
JP4699150B2 (ja) * 2005-09-16 2011-06-08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WO2011074498A1 (ja) * 2009-12-14 2011-06-23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EP2607198B1 (en) * 2011-12-22 2016-10-12 Aktiebolaget SKF Encoder device for use in a magnetic sensor arrangement and bearing unit comprising the same
FR2997163B1 (fr) * 2014-02-06 2016-07-22 Parker Hannifin Mfg France Sas Bague d'accrochage d'une canalisation a un corps tubulaire et moyens de connexion comportant une telle bague
BR112017004328B1 (pt) * 2014-09-11 2021-03-23 Victaulic Company Acoplamento para unir elementos de tubo em uma relação de extremidade a extremidade e método de união de primeiro e segundo elementos de tubo usando o acoplador
CN107923398A (zh) * 2015-08-11 2018-04-17 开利公司 制冷压缩机配件
US10808969B2 (en) 2015-08-11 2020-10-20 Carrier Corporation Screw compressor economizer plenum for pulsation reduction
EP3356677B1 (en) 2015-10-02 2024-01-24 Carrier Corporation Screw compressor with resonator groups
CN105937678A (zh) * 2015-12-31 2016-09-14 天津膜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卡箍
DE102016103988A1 (de) * 2016-03-04 2017-09-07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CN105750772B (zh) * 2016-04-28 2017-09-05 中国石油天然气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焊道层间温度控制装置
CN105756607A (zh) * 2016-05-16 2016-07-13 徐秀 一种井口防喷管加长器
JP2018179296A (ja) * 2017-04-18 2018-11-15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配管継手構造
CN107270037A (zh) * 2017-06-08 2017-10-20 成都大漠石油技术有限公司 避免管道连接部位锈蚀的机构
KR102100634B1 (ko) 2018-08-30 2020-04-14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US11421804B2 (en) 2019-04-19 2022-08-23 Aalberts integrated piping systems APAC, Inc. Quick installation coupling
US11781683B2 (en) * 2019-11-15 2023-10-10 Victaulic Company Shrouded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9346A (fr) * 1971-10-01 1973-01-15 Victaulic Co Of America Systeme d'assemblage de tuyaux au moyen de goujons et raccords pour celui-ci
GB2189000B (en) * 1986-04-11 1989-11-22 Peart E & Co Ltd A pipe repair or jointing collar
GB9009806D0 (en) * 1990-05-01 1990-06-20 Victaulic Plc Pipe coupl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121A (ko) * 2018-04-27 2021-01-13 바이오 퓨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6414A2 (en) 1999-06-30
CN1114782C (zh) 2003-07-16
EP0926414A3 (en) 2004-01-21
EP0926414B1 (en) 2009-07-22
KR100536822B1 (ko) 2006-03-22
CN1221088A (zh) 1999-06-30
ATE437330T1 (de) 2009-08-15
SG71184A1 (en) 2000-03-21
TW460667B (en) 2001-10-21
DE69840994D1 (de)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822B1 (ko) 하우징형파이프커플링
US6227577B1 (en) Housing type pipe coupling
US6076861A (en) Housing type pipe coupling
AU639697B2 (en) Gasket with an annular anchoring heel
US4726611A (en) Flexible pipe coupling
JP3014470B2 (ja) 流体シールを備えたコネクタ
KR100307809B1 (ko) 수지제관이음매
RU195324U1 (ru) Гнездовой штуцер соединения, позволяющий вставку штыревого штуцера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илой
JPS6311555B2 (ko)
JPH0364293B2 (ko)
US4717179A (en) Pipe union for end to end pipes with deformable clamping disks surrounding a seal
EP2045504B1 (en) connecting piece for protective cable pipes
KR101873862B1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JP3953642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3021287A (ja) スピゴット継手
KR20070046145A (ko) 금속 절삭 링
JP4744740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3907841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H0247636B2 (ko)
JP5030493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102659110B1 (ko) 스포크 로터리 시일
CN117739119A (zh) 密封圈和接头组件
JP2006097859A (ja) 管体接続装置
CN219734524U (zh) 管连接结构
JP7481013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