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1609A -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609A
KR19990061609A KR1019970081888A KR19970081888A KR19990061609A KR 19990061609 A KR19990061609 A KR 19990061609A KR 1019970081888 A KR1019970081888 A KR 1019970081888A KR 19970081888 A KR19970081888 A KR 19970081888A KR 19990061609 A KR19990061609 A KR 1999006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transistor
signal
circuit
moni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8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1609A/ko
Publication of KR1999006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60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분리형 모니터에서 수평 발진IC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출력부로 수평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회로는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수평 동기신호를 베이스단으로 입력받아 수평 출력부의 부하 변동이 트리거신호 공급부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로딩 방지용 트랜지스터; 상기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 인가되는 네거티브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부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평 구동부를 설계하기 때문에 회로가 보다 간단해지고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회로의 부피가 감소되는 동시에 가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 A horizon-deflection drive circuit in a monitor )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분리형 모니터에서 수평 발진IC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출력부로 수평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CRT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계통과, 수직 및 수평 편향을 위한 편향 계통 및 전원 계통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모니터의 편향 계통은 CRT 화면에 라스터를 만들기 위한 회로로서, 일반적인 모니터의 편향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의 캐소드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그리드를 통과하면서 가속되어지고, 편향 코일의 자계에 의한 전자기 작용으로 진로를 바꿈으로써 형광면의 광점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빔의 편향 거리는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고 자계는 편향 코일의 전류에 비례하는 전자 편향의 원리를 이용하는 바, 모니터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 속도로 주사를 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광점을 수평 방향(좌우)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과 광점을 수직 방향(상하)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사용하고 있다.
즉, 수평 편향 코일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 상기한 톱니파 전류의 a 점에서는 전자빔을 가장 크게 왼쪽 방향으로 편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b 점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자빔은 직진한다. 또한, b 점에서 c 점으로는 전자빔을 오른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전류가 점차로 크게 흘러 c 점에서는 전자빔이 가장 오른쪽으로 편향되고 그 후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a' 점부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하고 있는 바, 수평 발진부는 수평주파수에 따른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수평 동기신호가 버퍼(Q1,Q2)에 의해 버퍼링된 후 수평 구동부로 입력되어 적절하게 신호 처리된다.
즉, 수평 동기신호는 수평 구동부의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어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Q3)를 턴 온시키는데, 이때 구동 전원(24V)과 상기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Q3) 및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HDT)를 도통시킴으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단자에 전류를 공급해준다.
이때,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가 턴 온되면 스캔 B+전압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캔B+전압이 더미트랜스(미도시)를 통해 수평 편향 코일을 통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가 턴 온되는 동안에는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후반부(즉, b 점에서 c 점 사이)에 해당된다.
그후, 수평 구동신호에 따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가 급격하게 턴 오프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에 축적된 전류가 귀선 캐패시터(C3,C4)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귀선 캐패시터(C3,C4)가 완전히 충전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로 다시 방전하고, 이에 따라 수평 편향 코일(HD.Y)로 전류가 다시 축적된다. 이때, 상기 귀선 캐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의 전기간이 귀선 기간(즉, c 점에서 a' 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HD.Y)에 에너지가 축적되어 편향 코일 전압이 댐퍼 다이오드(D2)에 순방향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정도가 되면 댐퍼 다이오드(D2)가 도통되고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는 제로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댐퍼 다이오드(D2)에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전반부(즉, a 점에서 b 점 사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는 시점에서 수평 구동 신호에 의해 다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가 턴 온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바, 수평 편향 코일(HD.Y)에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되어서 전자빔의 수평 편향이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접속된 다이오드(D1)는 소수 캐리어를 제거하여 스피드를 높이기 위해 접속하고,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HDT)의 일차측에 접속된 저항(R1,R2)과 상기 다이오드(D1)에 병렬 접속된 저항(R3,R4)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접속한다. 또한, 저항(R5)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에 베이스단으로 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수평 편향회로에 사용되는 수평 편향 구동회로는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저항(R6,R7)과 캐패시터(C1)를 부가하여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의 사용으로 인하여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 동기신호를 수평 구동신호로 신호 처리함에 있어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도록 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는 수평 발진IC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출력부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로 수평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구동부와, 상기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스캔 B+전압을 생성하는 PWM 제어기의 트리거단자로 수평 동기신호와 동기된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는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수평 동기신호를 베이스단으로 입력받아 수평 출력부의 부하 변동이 트리거신호 공급부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로딩 방지용 트랜지스터; 상기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 인가되는 네거티브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부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톱니파 전류에 대한 그래프,
도 2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편향 구동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버퍼 120,200: 수평 구동부
130: 수평 출력부 140: 트리거신호 공급부
Q21: 트랜지스터 C21: 스피트업 캐패시터
Q4: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D2: 댐퍼 다이오드
C3,C4: 귀선 캐패시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인 바, 이는 수평 동기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110)와, 수평 구동부(200)와, 수평 출력부(130)와, 트리거신호 공급부(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 구동부(200)는 스피드업 캐패시터(C21)를 통해 수평 동기신호를 베이스단으로 입력받아 수평 출력부(130)의 부하 변동이 트리거신호 공급부(140)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로딩 방지용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스피드업 캐패시터(C21)를 통해 트랜지스터(Q21)의 콜랙터단으로 인가되는 네거티브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D21)와,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콜랙터단으로부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R22,R23) 및 캐패시터(C21)로 구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4)의 콜랙터단으로 출력되는 수평 구동신호의 생성에 따른 부하 변동으로 인해 트리거신호 공급부(140)가 이상 발진하지 않도록 버퍼(110)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단 사이에 저항(R2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평 발진IC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는 버퍼(110)를 통해 12Vp-p의 펄스신호로 출력되는데, 이 펄스신호는 수평 구동부(200)로 입력되는 동시에 트리거신호 공급부(140)로 입력된다.
먼저, 상기 12Vp-p의 펄스신호는 스피드업 캐패시터(C21)와 저항(R21)을 통해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데, 이 트랜지스터(Q21)는 수평 구동신호가 생성되면서 발생하는 부하 변동이 트리거신호 공급부(140)로 인가되지 않도록 격리시킨다. 즉, 트랜지스터(Q21)의 콜랙터단 변동이 저항(R21)에 의해 차단되어 이 펄스신호의 파고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피드업 캐패시터(C21)에 의해 네거티브 고주파 성분이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단을 통해 콜랙터단으로 인가될 수 있는데, 이 네거티브 고주파 성분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면 원활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다이오드(D21)는 이 네거티브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수평 구동신호가 구형파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트랜지스터(Q21)의 콜랙터단 전압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로 인가되는데, 이때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로 흐르는 베이스전류는 저항(R22,R23)에 의해 제한되고,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는 바이어스 저항(R5)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수평 구동신호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로 인가되면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가 스위칭되면서 수평 편향 코일(HD.Y)로 톱니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버퍼(110)에서 출력되는 12Vp-p의 펄스신호는 트리거신호 공급부(140)에서 트리거신호로 신호 처리되는데, 저항(R8)과 스피드업 캐패시터(C4)를 통해 펄스신호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으로 입력되고, 이 트랜지스터(Q5)는 펄스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 턴 오프되고 하이 레벨일 때 턴 온된다.
즉, 트랜지스터(Q5)의 콜랙터단으로는 상승에지에서 포지티브 고주파로 구성되고 하강에지에서 네거티브 저주파로 이루어지는 신호가 출력되는데, 이 콜랙터단 전압이 미분회로(C5,R10)를 통해 트리거신호로 신호 처리되어 PWM 제어기의 트리거단자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PWM 제어기의 트리거단자로 수평 동기신호와 동기된 트리거신호가 입력되면 PWM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PWM 제어신호가 상기 수평 동기신호와 동기되어 출력되면서 스캔 B+전압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스위칭 동작에 동기되는데, 이렇게 하여야 CRT화면에 지터(JITTER)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수평 편향회로와 분리된 고압회로에 있어서 고압 B+전압과 고압 출력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도 수평 동기신호와 동기되면 화면의 화질이 더욱더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는,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평 구동부를 설계하기 때문에 회로가 보다 간단해지고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회로의 부피가 감소되는 동시에 가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평 발진IC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출력부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로 수평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구동부와, 상기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스캔 B+전압을 생성하는 PWM 제어기의 트리거단자로 수평 동기신호와 동기된 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부는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수평 동기신호를 베이스단으로 입력받아 수평 출력부의 부하 변동이 트리거신호 공급부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로딩 방지용 트랜지스터;
    상기 스피드업회로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 인가되는 네거티브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단으로부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KR1019970081888A 1997-12-31 1997-12-31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Withdrawn KR19990061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888A KR19990061609A (ko) 1997-12-31 1997-12-31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888A KR19990061609A (ko) 1997-12-31 1997-12-31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09A true KR19990061609A (ko) 1999-07-26

Family

ID=6618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888A Withdrawn KR19990061609A (ko) 1997-12-31 1997-12-31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1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169B1 (ko) * 1999-09-10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169B1 (ko) * 1999-09-10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1609A (ko) 모니터의 수평 편향 구동회로
JPH0817447B2 (ja) 陰極線管用の偏向回路
KR19990003850A (ko) 모니터용 수평 라스터의 센터 조정회로
EP0898420A2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s
KR100226710B1 (ko)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KR100221339B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드라이브 회로
KR19990003852A (ko) 모니터에 있어서 직류-직류 컨버터의 안정화 회로
KR200144099Y1 (ko) 모니터의 수평 구동 회로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100212853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KR19990005572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방법
US201703094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anning an object
KR200159449Y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KR19990055316A (ko)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 라스터의 센터 조정회로
KR19980079107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KR19990034336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KR100234406B1 (ko) 모니터 시스템의 수직 블랭크 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KR980010729A (ko) 모니터의 자체 진단 장치
KR19990005560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
KR19980017814A (ko) 수평 편향 회로의 파형 정형화 장치
KR0173269B1 (ko) 동기신호 발생장치
KR19980043907U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KR20000028432A (ko) 다중모드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구동트랜스포머의 전압보상회로
KR19990061597A (ko) 모니터의 스캔 b+전압 생성회로
KR100575169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