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56443A -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 Google Patents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443A
KR19990056443A KR1019970076438A KR19970076438A KR19990056443A KR 19990056443 A KR19990056443 A KR 19990056443A KR 1019970076438 A KR1019970076438 A KR 1019970076438A KR 19970076438 A KR19970076438 A KR 19970076438A KR 19990056443 A KR19990056443 A KR 19990056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pitched
sound source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세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443A/en
Publication of KR1999005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443A/en

Links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의 원하는 청취 위치에서 스테레오로 제공되는 고음의 청취감을 최상의 상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R의 출력방향 및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음의 청취감을 최상의 상태로 제공하고자 하는 청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인가부, 제한된 공간에서 청취자가 위치할 수 있는 장소에 청취자의 귀를 고려하여 설치된 센서,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R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의 음압을 검출하고 명령인가부를 통해 인가된 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음압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R의 출력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기, 및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R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음원 제공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서 원하는 청취위치에 최적의 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installed high-pitched speakers L and R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sounding experience of high-pitched sound provided in stereo at a desired listening position in a limited space. Therefor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and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to provide the highest sense of listening in the best state, a sensor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listener's ear in a place where the listener can be located in a limited space, the sensor installed The controller detects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high-definition speakers L and R through the controller and controls the sound pressure output from the sensor installed at the position applied through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to be the maximum. A driver for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of the,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at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high-only speakers L and 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timum high sound at a desired listening position in a limited space.

Description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본 발명은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자와 같이 제한된 공간내에서 청취자의 위치에 따라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를 최적의 상태로 자동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a high-pitched speaker, and in particula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a high-pitched speak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listener within a limited space, such as an auto. It relates to a device for.

일반적으로 음향시스템에 구비되는 스피커구조는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음원을 3Way방식으로 출력하는 음향시스템의 경우에는 고음, 중음 및 저음을 각각 별도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가 구비되고, 재생되는 음원을 2Way방식으로 출력하는 음향시스템의 경우에는 저음과 고음을 각각 별도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된다.In general, the speaker structure provided in the acoustic system is very diverse. For example, a sound system that outputs a reproduced sound source in a 3 way system is provided with speakers for separately outputting high, mid, and bass sounds, and a sound system that outputs a reproduced sound source in a 2 way system, Speakers are provided for separately outputting high-pitched sounds.

이와 같이 고음, 중음 및 저음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들은 진동판의 구경이 상이하다. 즉, 고음 출력용 스피커는 진동판의 구경이 작아야 고음에 대해 효과적인 음을 재생할 수 있고, 저음 출력용 스피커는 상대적으로 진동판의 구경이 커야 저음에 대해 효과적인 음을 재생할 수 있고, 중음 출력용 스피커는 고음 출력용 스피커의 진동판의 구경과 저음 출력용 스피커의 진동판의 구경이 중간정도인 진동판을 구비하여야 중간음에 대해 효과적인 음을 재생할 수 있다.As such, speakers capable of outputting high, mid, and low frequencies have different diameters of the diaphragm. That is, the loudspeaker for high sound output can reproduce effective sound for high sound when the diaphragm of the diaphragm is small, and the loudspeaker for low sound output can reproduce effective sound for low sound when the diaphragm of the diaphragm is relatively large. If the diaphragm of the diaphragm of the diaphragm and the diaphragm of the loudspeaker of the bass output is about halfway, an effective diaphragm can be reproduced.

그러나 고음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재생조건을 갖도록 진동판을 구비한다 하여도 스피커의 출력방향과 청취자의 귀의 위치에 따라 청취감(또는 정위감)이 크게 차이가 난다. 이는 인간의 청각특성이 고음에 대해서는 좌우 위치변화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음 전용 스피커와 청취자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이 청취자의 귀를 향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청취자의 귀를 향하고 있을 때보다 고음에 대한 청취감은 떨어진다. 따라서 고음 전용 스피커의 경우에는 주변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high-pitched sound, even if a diaphragm is provided to have an optimal reproduction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stening feeling (or stereotactic feeling)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and the position of the listener's ear. This is because the human auditory characteristics a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left and right position for the treble. Therefore, when there is an obstacle between the high-pitched speaker and the listener or when the output direction of the high-pitched speaker is not toward the listener's ear, the sense of listening to the high pitch is lower than when the obstacle is not present or toward the listener's ear. Therefore, in the case of high-definition speakers, it is necessary to install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그러나 기존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고음 전용 스피커는 일부 특정 청취자만을 고려한 위치에 고정시켰다. 즉, 자동자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탑승자에 대한 청취감을 고려한 위치에 고음 전용 스피커를 고정시켜, 뒷좌석의 탑승자는 재생되는 고음을 제대로 청취할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existing high-pitched speaker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were fixed in a position that considered only a certain listener. That is, in a limited space such as an auto, a high-pitched speaker is fixed at a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a feeling of listening to a driver and a passenger, so that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cannot properly listen to high-pitched sounds.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원하는 청취지점에서의 고음에 대한 청취감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high-pitched speaker and the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so that the listening feeling for the high-pitched sound at the desired listening point is optimal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c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a treble-only speaker for automatic adjust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는, 제한된 공간에서 재생되는 고음을 스테레오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고음 전용 스피커 L과 고음 전용 스피커 R이 별도로 설치된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제한된 공간에서 청취자가 위치할 장소를 고려하여 설치된 센서들; 고음에 대한 최적의 청취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청취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명령인가부;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을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켜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의 출력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원 제공부; 및 센서들의 센싱결과중 명령인가부를 통해 인가된 소정의 청취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센서들의 센싱결과가 최적의 청취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값이 되도록 구동부 및 음원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a high-pitched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nd system in which a high-pitched speaker L and a high-pitched speaker R are separately installed to provide a high-pitched sound reproduced in a limited space. A sensor, comprising: sensors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a place where a listener is to be located in a limited space; A command application unit for inputting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optimum listening degree to a high tone; A driver for rotating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up / down or left / right to control the output directions of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and providing intensity of a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such that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command applying unit amo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becomes a value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um listening degree. Characterized in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강도 자동조절장치의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n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automatic adjustment device of a dedicated loud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승용차에서 고음 전용 스피커들의 위치와 센서들의 위치 관계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igh-definition speakers and sensors in a passenger ca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명령인가부 110:제어기100: command grant unit 110: controller

120:센서 L1 121:센서 R1120: sensor L1 121: sensor R1

122:센서 L2 123:센서 R2122: sensor L2 123: sensor R2

130:구동기 141:트위터 L130: driver 141: Twitter L

142:트위터 R 150:음원 제공부142: Twitter R 150: sound source provid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의 블록도로서, 청취자가 최적의 고음을 제공받고자 하는 청취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인가부(100),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인가된 청취위치에 최적의 고음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10), 고음을 스테레오로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공간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 해당 공간내에서 청취자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청취자의 귀를 고려하여 설치되는 센서들(120~123), 센서들(120~123)로부터 전송되는 센싱결과와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청취위치정보에 의해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의 출력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10), 제어기(110)에 의해 제어되어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의 출력방향을 상/하, 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기(130), 제어기(110)에 의해 제어되어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음원 제공부(15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a treble-only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ommand applier 100 may input information on a listening position where a listener wants to receive optimal treble; Controller 110 for controlling the optimal high sound can be provided to the listening position applied through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100, tweeter L (141)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pace to provide high-pitched stereo; Twitter R (142), sensors 120-123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listener's ear in the position where the listener may be located in the space, sensing results and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sensors (120-123) The controller 110 for controll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by the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unit 1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and the tweeter L 141. ) And tweeter R (142)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that is controlled by the driver 130, the controller 110 for driving to the left / down, the controller 110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tweeter L (141) and tweeter R (142) It consists of.

특히 본 실시예는 승용차의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센서들(120~1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명의 탑승자를 고려하여 설치된다. 즉, 센서 L1(120)은 운전석의 탑승자를 고려한 것이고, 센서 R1(121)은 조수석의 탑승자를 고려한 것이고, 센서 L2(122)는 운전석 뒷좌석의 탑승자를 고려한 것이고, 센서 R2(123)는 조수석 뒷좌석의 탑승자를 고려하여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센서들(120~123)은 각각 해당 탑승자의 귀를 고려하여 2개의 음압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들 센서들(120~123)은 탑승자를 5인으로 고려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제한된 공간의 조건 변화에 따라 설치 개수는 결정된다. 단 해당 공간에서의 청취자의 위치는 어느 정도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of a passenger car, and the sensors 120 to 123 ar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four occupants as shown in FIG. 2. That is, the sensor L1 (120) considers the occupant of the driver's seat, the sensor R1 (121) considers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seat, the sensor L2 (122) considers the occupant of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and the sensor R2 (123) is the back of the passenger seat. It is installed considering the occupants. The sensors 120 to 123 each include two sound pressure sensors in consideration of the passenger's ear. These sensors 120 to 123 may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five occupants,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nge in conditions of a limited space.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in the space is fixed to some extent.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은 재생되는 고음을 스테레오로 제공하기 위한 고음 전용 스피커로서, 트위터 L(141)은 L채널의 고음을 출력하고, 트위터 R(142)는 R채널의 고음을 출력한다.Tweeter L (141) and tweeter R (142) is a dedicated high-pitched speaker to provide a high-pitched reproduction, tweeter L (141) outputs the high-channel of the L channel, tweeter R 142 is a treble of the R channel Outputs

이와 같이 구성된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automatic adjustment device of the treble-only speak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as follows.

우선,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재생되는 고음에 대해 최적의 청취감을 제공하고자 하는 청취위치 정보가 인가되면, 제어기(110)로 전송된다. 이 때 인가되는 청취위치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가 구비된 경우에,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의 뒷자석, 및 조수석의 뒷자석에 대한 정보중 하나의 위치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의 탑승자에게 최적의 고음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청취자는 운전석에 대한 위치정보를 인가하고, 조수석 뒷자석의 탑승자에게 최적의 고음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인가한다.First, when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optimum listening feeling is applied to the high pitch sound reproduced through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100,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0. At this time, when the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as shown in FIG. 2 is provided with a sensor, position information of one of the driver's seat, the passenger seat, the rear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rear seat of the passenger seat may be input. For example, if the driver wants to provide optimal treble to the driver's seat, the listener appro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s seat through the command applier 100 and wants to provide optimal treble to the passenger behind the passenger seat.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is is applied.

제어기(110)는 명령인가부(100)로부터 소정의 청취위치 정보가 인가되면, 센서 L1(120), 센서 R1(121), 센서 L2(122) 및 센서 R2(123)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음압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L1(120), 센서 R1(121), 센서 L2(122) 및 센서 R2(123)들은 각각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의 음압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를 각 음압센서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10)는 각 위치별로 2개의 음압센싱결과를 받는다. 예를 들어, 센서 L1(120)에 대한 센싱결과는 운전자의 왼쪽 귀를 고려하여 설치된 음압센서를 통해 센싱한 결과와 운전자의 오른쪽 귀를 고려하여 설치된 음압센서를 통해 센싱한 결과가 제공된다.When predetermined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is applied from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100, the controller 110 drives the sensor L1 120, the sensor R1 121, the sensor L2 122, and the sensor R2 123.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sensor L1 120, the sensor R1 121, the sensor L2 122, and the sensor R2 123 each consisting of two sound pressure sensors may be tweeter L 141 and tweeter R 142, respectively. Sens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and transmits the sensed results for each sound pressure sensor.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receives two sound pressure sensing results for each position. For example,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L1 120 is provided by the sound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left ear and the sound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right ear.

제어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들(120~123)로부터 전송되는 센싱결과가 검출되면, 명령인가부(100)로부터 인가된 청취 위치에 설치된 2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가 모두 최대인 지를 파악한다. 파악결과, 모두 최대인 경우에는 구동기(130) 및 음원 제공부(150)에 대한 별도의 제어를 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ing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nsors 120 to 123 is detected, the controller 110 detects all the sensing results of the two sound pressure sensors installed at the listening position applied from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100. Find out if it is the maximum. As a result of the grasping, if all of them are maximum, the driver 13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are maintained without separate control.

그러나 파악결과,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 2센서중 한 센서라도 센싱결과가 최대가 아닌 경우에는 최대가 아닌 센서의 센싱결과가 최대가 되도록 구동기(130) 및 음원 제공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However, as a result of the grasping, even if one of the two sensors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not the maximum sensing result,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3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is controlled so that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is not maximum. .

예를 들어, 명령인가부(100)로부터 인가된 청취위치정보가 운전석인 경우에, 제어기(110)는 센서 L1(120)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가 최대가 되는 지를 파악한다. 이 때, 센싱결과는 모든 센서들(120~123)을 구동시켜 획득할 수도 있고, 해당되는 센서인 L1(120)만 구동시켜 획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100 is the driver's seat, the controller 110 has a maximum sensing result of two sound pressure sensors installed in the sensor L1 120. Figure out whether In this case, the sensing result may be obtained by driving all the sensors 120 to 123, or may be obtained by driving only the corresponding sensor L1 120.

파악결과, 센서 L1(120)을 이루는 2개의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가 모두 최대값으로 검출되면, 제어기(110)는 구동기(130) 및 음원 제공부(150)를 제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2개의 음압센서중 오른쪽에 위치한 음압센서의 센싱결과만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 구동기(130)를 제어하여 트위터 R(142)의 출력방향을 운전석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트위터 R(130)로부터 출력되는 R고음이 더 증폭되어 출력되도록 음원 제공부(150)의 L/R증폭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는 오른쪽에 위치한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가 최대값으로 얻어질 때까지 반복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ensing results of the two sound pressure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L1 120 are both detected as maximum values, the controller 110 does not control the driver 13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However, when only the sensing result of the sound pressure sensor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wo sound pressure sensors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driver 130 is controlled to rotate the output direction of the tweeter R 142 toward the driver's seat. Then, the L / R amplification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further amplify the R treble output from the tweeter R 130. This control is repeated until the sensing result of the sound pressure sensor located on the right side reaches the maximum value.

또한, 상술한 센서 L1(120)에 위치한 2개의 음압센서중 왼쪽에 위치한 음압센서의 센싱결과만 최대값이 아닌 경우에, 제어기(110)는 구동기(130)를 제어하여 트위터 L(141)의 출력방향을 운전석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트위터 L(141)를 통해 출력되는 L고음이 더 증폭되어 출력되도록 음원 제공부(150)의 L/R증폭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 역시 왼쪽에 위치한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가 최대값으로 얻어질 때까지 반복된다.In addition, when only the sensing result of the sound pressure sensor located on the left of the above-described two sound pressure sensors located on the sensor L1 120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river 130 to control the tweeter L 141. Rotate the output direction to the driver's seat. In addition, the L / R amplification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further amplify and output the L high sound output through the tweeter L 141. This control is also repeated until the sensing result of the sound pressure sensor located on the left side reaches the maximum value.

그리고 센서 L1(120)에 위치한 모든 음압센서의 센싱결과값이 최대가 아닌 경우에, 상술한 각각의 제어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제어기(110)는 구동기(130) 및 음원 제공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동기(130)를 제어하고,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가 동시에 최대가 되도록 음원 제공부(150)의 증폭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동작중 한쪽의 센싱결과가 최대로 획득되면, 최대로 획득되지 않은 쪽에 대해서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게 된다.When the sensing result values of all the sound pressure sensors located in the sensor L1 120 are not the maximum, the controller 110 operates the driver 13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control processes. To control. That is, the driver 130 is controlled so that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are moved up / down or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ound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The amplification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maximize the intensity at the same time. If the sensing result of one of the above operations is obtained at the maximum, only the side which is not obtained at the maximum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구동기(130)는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을 각각 상/하,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들(미도시됨)로 구성되어, 제어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모터를 구동시켜 트위터 L(141) 및/또는 트위터 R(142)의 출력방향을 설정한다.The driver 130 is composed of motors (not shown) capable of rotating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up / down and left / right, respectively, to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10. By driving the motor by setting the output direction of the tweeter L (141) and / or tweeter R (142).

음원 제공부(150)는 재생되는 고음을 L/R증폭처리하여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로 각각 전송하는 것으로, 제어기(110)로부터 L/R증폭을 제어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L/R증폭처리를하여 트위터 L(141) 및 트위터 R(142)로 각각 전송한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150 performs L / R amplification processing on the reproduced high sound and transmits them to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respectively. When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L / R amplification from the controller 110 is applied, The L / R ampl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pplied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tweeter L 141 and the tweeter R 142,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의 청취감을 느끼고자 하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의 센싱결과가 최대값이 되도록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에 최적의 고음을 제공할 수 있어 청취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al for a desired point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treble-only speaker so that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maximum listening feeling is to be felt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car is a maximum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pitched sound, which is effective to improve the listening environment.

Claims (4)

제한된 공간에서 재생되는 고음을 스테레오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고음 전용 스피커 L과 고음 전용 스피커 R이 별도로 설치된 음향시스템에 있어서,In a sound system in which a high-pitched speaker L and a high-pitched speaker R are separately installed to provide a high-pitched sound reproduced in a limited space, 상기 제한된 공간에서 청취자가 위치할 장소를 고려하여 설치된 센서들;Sensors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a place where a listener is to be located in the limited space; 상기 고음에 대한 최적의 청취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청취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명령인가부;A command application unit for inputting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optimum listening degree to the high tone; 상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을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의 출력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기;A dri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directions of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by rotating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up / down or left / right; 상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원 제공부; 및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and providing intensity of a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And 상기 센서들의 센싱결과중 상기 명령인가부를 통해 인가된 소정의 청취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센서들의 센싱결과가 상기 최적의 청취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값이 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원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such that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listen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command application unit is a value capable of providing the optimum listening degree amo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trebl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상기 청취자가 위치할 각 장소별로 상기 청취자의 귀의 위치를 고려한 2개의 음압센서가 할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s are configured to allocate two sound pressure sensors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listener's ear for each place where the listener is to be loc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제공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로 각각 출력되는 고음의 증폭량을 조절하여 상기 음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by adjusting the amount of amplification of the high sound output to the high-pitched speaker L and the high-pitched speaker R respectively by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dedicated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고음 전용 스피커 L 및 고음 전용 스피커 R에 대해 각각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 좌/우 회전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 전용 스피커의 출력방향 및 세기 자동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otor for each of the high-only speaker L and the high-only speaker R to perform the up / down, left / right rotation processing output direction of the high-only speakers, characterized in that And intensity automatic control.
KR1019970076438A 1997-12-29 1997-12-29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KR199900564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438A KR19990056443A (en) 1997-12-29 1997-12-29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438A KR19990056443A (en) 1997-12-29 1997-12-29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443A true KR19990056443A (en) 1999-07-15

Family

ID=6617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438A KR19990056443A (en) 1997-12-29 1997-12-29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4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025B2 (en) Vehicular audio system including a headliner speaker, electromagnetic transducer assembly for use therein and computer system programmed with a graphic software control for changing the audio system&#39;s signal level and delay
EP1183911B1 (en) Virtual multichannel speaker system
WO2008137251A1 (en)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in a vehicle
WO2008137255A1 (en) Directionally radiating sound in a vehicle
CN110446136B (en) Control method adopted by in-vehicle sound field partition reconstruction system
US4769843A (en) Stereo signal reproducing system
KR20180127226A (en) Loudspeaker system and configurations for directionality and dispersion control
KR102691016B1 (en) Vibrating seat for vehicle using spe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664502B (en) Motor vehicles audio system
CN11663623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audio
US11765506B2 (en) Automobile audio system
EP1161119B1 (en) Method for localizing sound image
JP2005051324A (en) Speaker system
JP2002191100A (en) Audio device
EP1487236B1 (en) Sound system with equalization for a convertible automobile
KR19990056443A (en) Automatic Output Direction and Intensity Control Device for Treble Speakers
US9875078B1 (en) External amplifier interface
US20190306616A1 (en) Loudspeaker, acoustic waveguide, and method
KR20050059840A (en) Sound controller for multi channel sound system
JPH0553400U (en) Multi-channel stereo system
WO2019106848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9990051125A (en) Acoustic phase controller using head transfer function
KR102297078B1 (en) Active sound field control method of vehicle
KR20030003743A (en) Method of reproducing multichannel audio sound via several real and at least one virtual speaker
KR1004919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audio system having multi-channel 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5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