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631A -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55631A KR19990055631A KR1019970075586A KR19970075586A KR19990055631A KR 19990055631 A KR19990055631 A KR 19990055631A KR 1019970075586 A KR1019970075586 A KR 1019970075586A KR 19970075586 A KR19970075586 A KR 19970075586A KR 19990055631 A KR19990055631 A KR 199900556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ensor
- speed
- engine
- engine sp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회전수, 차량의 현재속도, 차량의 기울기, 변속기의 현재위치등을 검출하여 자동차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여러가지 센서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차량의 속도, 엔진의 출력, 차량의 상태등을 제어하는 ECU(20)와; 상기 ECU(2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동력을 만드는 엔진부(30)와;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을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로써, 본 발명은 초보운전자나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키는 것이 미숙한 여성운전자들도 마음놓고 운전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덕에서 자동차의 기울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감지하는 상하 기울기센서와 현재 자동차의 변속기가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 가를 알기 위한 변속단 검출스위치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 출발시 발생할수 있는 시동 꺼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들도 마음놓고 운전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 꺼짐 현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은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과는 달리 차량에 시동을 걸고 출발시키고자 할 때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수 있으며, 특히, 아직 차량 운전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 또는 여성 운전자의 경우 빈번하게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할수 있고 만일 차량이 경사로에서 출발코자 하는 상황이 었다면 이런 현상은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하 기울기센서에서 검출된 차량의 기울기와 변속단 검출스위치에서 검출된 변속기의 위치 데이타를 ECU(ELECTRIC CONTROL UNIT)로 인가하면 ECU에서는 차속 센서나 엔진 RPM(REVOLUTION RER MINUTE)센서로부터 인가된 데이타와 상기 상하 기울기센서나 변속단 검출스위치로부터 인가된 데이타를 비교하여 차량 출발에 필요한 동력의 양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양을 상항에 맞게 제어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지지 않도록 한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는 엔진의 회전수, 차량의 현재속도, 차량의 기울기, 변속기의 현재위치등을 검출하여 자동차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여러가지 센서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차량의 속도, 엔진의 출력, 차량의 상태등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동력을 만드는 엔진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을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센서부는 차량의 현재 속도가 얼마인지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현재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얼마인지를 검출하는 엔진 RPM센서와; 자동차가 언덕에 있을경우 자동차의 상하 기울기가 얼마인가를 감지하기 위한 상하 기울기 센서와; 자동차의 현재속도에 맞게 변속기가 위치하고 있는가를 감지하기위한 변속단 검출스위치와; 액셀러레이터를 밟게되면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스로틀밸브가 얼마만큼 열리는가를 감지하는 스로틀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인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이며,
도 2 는 본 발명인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의
제어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센서부 11 : 차속센서
12 : 엔진 RPM센서 13 : 상하 기울기센서
14 : 변속단 검출 스위치 15 : 조절판 위치센서
20 : ECU 30 : 엔진부
40 : 경보부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에(10)서는 엔진의 회전수나, 차량의 현재속도, 차량의 기울기, 변속기의 현재위치등을 검출하여 자동차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 ECU(20)로 전송하며, ECU(20)에서는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여러가지 센서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차량의 속도, 엔진의 출력, 차량의 상태등에 따라 엔진부(3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엔진부(30)에서는 상기 ECU(2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동력을 만들어 자동차의 속도를 조정하며, 경보부(400는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을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가 차속에 맞게 기어를 넣을수 있도록함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10)의 차속 센서(11)에서는 차량의 현재 속도가 얼마인지를 감지하여 ECU(20)로 인가하며, 엔진 RPM센서(12)에서는 현재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얼마인지를 검출하여 ECU(20)로 전송하고, 상하 기울기센서(13)에서는 자동차가 언덕에 있을경우 자동차의 상하 기울기가 얼마인지를 감지하여 ECU(20)로 전송하며, 변속단 검출스위치(14)에서는 자동차의 현재속도에 맞게 변속기가 위치하고 있는가를 감지하여 ECU(200로 인가하며,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를 밟게되면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스로틀 위치센서(15)에서는 스로틀밸브가 얼마만큼 열리는가를 감지하여 ECU(20)로 전송함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동기어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자동차를 멈추어야 하는 일이있어 운전자가 클러치와 함께 브래이크를 밟으면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전달되지 않아 자동차는 멈추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변속기를 중립에 놓게되면 클러치에서 발을 떼도 되지만 변속기를 중립에 놓지 않고 기어를 넣은 상태에서 클러치에서 발을 떼면 시동은 꺼져 버린다.
그런데, 초보운전자나 수동기어에 익숙치 않은 여성운전자들은 종종 변속기를 중립에 놓지않고 클러치에서 발을 떼거나 변속기를 3단, 4단, 또는 5단에 넣고 자동차를 출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고 만다. 또한, 수동기어에 익숙치 못한 운전자들은 언덕길에서 클러치와 악셀러레이터를 잘못조작하여 차가 뒤로 밀려 낭패를 당하는 일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에 변속단 검출스위치(14)를 부착하여 변속기의 위치가 어느곳에 있는 지를 검출하고, 차속센서(11)를 이용해서는 현재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하고, 엔진 RPM센서(12)를 이용해서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상기 차속센서(11)와 엔진 RPM센서(12), 변속단 검출스위치(14)에서 검출된 데이타는 ECU(20)로 인가된다.
상기 차속센서(11)와 엔진 RPM센서(12), 변속단 검출스위치(14)로부터 데이타를 인가받은 ECU(20)는 센서부(10)로부터 인가된 데이타를 서로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차속센서(11)에서 검출한 자동차의 시속이 0㎞/h일때 변속기의 위치가 3단, 4단, 또는 5단에 있으면 ECU(20)에서는 현재 변속기의 위치가 자동차를 출발시키기에 적합하지 못한 위치에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보장치(40)로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ECU(2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은 경보장치(40)는 경보음을 울려 운전자에게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경보장치(40)를 통해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진 것을 알게된 운전자는 변속기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엔진부(30)의 구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지 않게 출발시킬수가 있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덕길에서 시동이 꺼지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센서부(10)에 상하 기울기센서(13)를 부착한다. 차량이 언덕길에 정지해 있는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스로틀 위치센서(15)는 스로틀 밸브가 얼마만큼 열려있나를 검출하여 ECU(20)로 전송하게 되고, 또한, 차속센서(11)에서는 현재 자동차의 속도가 얼마인지를 검출하여 ECU(20)로 전송하고, 엔진 RPM센서(12)에서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ECU(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차속센서(11), 엔진 RPM센서(12), 상하 기울기센서(13)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은 ECU(20)에서는 차속센서(11)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속도와, 엔진 RPM센서(12)로부터 입력된 엔진의 회전수와 상하 기울기센서(13)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기울기 정도를 종합하여 엔진부(30)의 회전수를 차량 출발에 필요한 엔진 회전수의 임계값에 이를 때 까지 빠르게 증가시키고 이후에도 엔진부(30)의 회전수를 그 상태에서 계속 일정하게 유지한다.
단, 차량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 따라 차량이 출발하는 데 필요한 엔진 회전수의 임계값은 차이가 있으므로 차량의 상하 기울기센서(13)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기울기를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타를 ECU(20)로 전송하게 되면 ECU(20)에서는 상기 상하 기울기센서(13)로부터 인가된 데이타를 기초로하여 현재의 차량 기울기에 따른 엔진부(30)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자동차의 시동 꺼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속센서(11)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가 0㎞/h인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단계(S1)와; 상기 제 1 단계(S1)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차량의 속도가 0㎞/h일 경우 차량의 기어가 3,4,5단인가를 변속단 검출 스위치(14)를 이용하여 검출한후 ECU(20)에서 비교판단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제 2 단계(S2)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기어가 3,4,5단일 경우는 시동이 꺼질수 있음을 경보부(40)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에서 경보부(40)를 통해 기어의 상태가 잘못되어짐을 알게된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하는 제 4 단계(S4)와; 기어를 변속하고 클러치를 조작하여 시동꺼짐없이 차량을 출발시키는 제 20 단계(S20)와; 상기 제 2 단계(S2)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기어가 3,4,5단이 아닐경우 상하 기울기센서(13)에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ECU(20)로 측정된 기울기를 입력하는 제 5 단계(S5)와; 상하 기울기센서(13)에서 입력된 차량의 기울기 정도를 ECU(20)에서 판단하는 제 6 단계(S6)와; 기울기에 따른 엔진 회전수 임계값을 판단하는 제 7 단계(S7)와; 조절판 위치센서(15)의 입력값을 증가시키는 제 8 단계(S8)와; 기울기 정도에 따른 엔진 회전수 임계값 까지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 9 단계(S9)와;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는 제 10 단계(S10)와; 상기 제 10 단계(10)에서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는 현재 엔진의 회전수를 엔진 회전수 임계값 까지 증가시키며,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할 경우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하고 클러치를 조작하여 시동꺼짐없이 차량을 출발시키는 제 20 단계(S20)로 동작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특히, 변속단 검출스위치를 부착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0㎞/h일때의 기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엔진의 회전수를 차량을 출발시키기에 알맞는 회전력으로 상승시켜 자동차의 시동 꺼짐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초보운전자나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키는 것이 미숙한 여성운전자들도 마음놓고 운전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 엔진의 회전수, 차량의 현재속도, 차량의 기울기, 변속기의 현재위치등을 검출하여 자동차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여러가지 센서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차량의 속도, 엔진의 출력, 차량의 상태등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동력을 만드는 엔진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변속기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을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현재 속도가 얼마인지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현재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얼마인지를 검출하는 엔진 RPM센서와; 자동차가 언덕에 있을경우 자동차의 상하 기울기가 얼마인가를 감지하기 위한 상하 기울기 센서와; 자동차의 현재속도에 맞게 변속기가 위치하고 있는가를 감지하기위한 변속단 검출스위치와; 액셀러레이터를 밟게되면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스로틀밸브가 얼마만큼 열리는가를 감지하는 스로틀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검출스위치는 기어가 3단, 4단, 5단중 하나만이라도 스위치가 온이 되면 상기 3단, 4단, 5단 모두가 온되어진 것으로 간주하는 와이어드 오아 필터(WIRED OR FILTER)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 차속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가 0㎞/h인가를 비교판단하는 제 1 단계(S1)와; 상기 제 1 단계(S1)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차량의 속도가 0㎞/h일 경우 차량의 기어가 3,4,5단인가를 변속단 검출 스위치를 이용하여 검출한후 ECU에서 비교판단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제 2 단계(S2)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기어가 3,4,5단일 경우는 시동이 꺼질 수 있음을 경보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에서 경보부를 통해 기어의 상태가 잘못되어짐을 알게된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하는 제 4 단계(S4)와; 기어를 변속하고 클러치를 조작하여 시동 꺼짐없이 차량을 출발시키는 제 20 단계(S20)와; 상기 제 2 단계(S2)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기어가 3,4,5단이 아닐경우 상하 기울기센서에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ECU로 측정된 기울기를 입력하는 제 5 단계(S5)와; 상하 기울기센서에서 입력된 차량의 기울기 정도를 ECU에서 판단하는 제 6 단계(S6)와; 기울기에 따른 엔진 회전수 임계값을 판단하는 제 7 단계(S7)와; 조절판 위치센서의 입력값을 증가시키는 제 8 단계(S8)와; 기울기 정도에 따른 엔진 회전수 임계값 까지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 9 단계(S9)와;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한가를 비교판단하는 제 10 단계(S10)와; 상기 제 10 단계(10)에서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는 현재 엔진의 회전수를 엔진 회전수 임계값 까지 증가시키며, 현재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 임계값이 동일할 경우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하고 클러치를 조작하여 시동꺼짐없이 차량을 출발시키는 제 20 단계(S20)로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5586A KR19990055631A (ko) | 1997-12-27 | 1997-12-27 |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5586A KR19990055631A (ko) | 1997-12-27 | 1997-12-27 |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5631A true KR19990055631A (ko) | 1999-07-15 |
Family
ID=661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5586A Withdrawn KR19990055631A (ko) | 1997-12-27 | 1997-12-27 |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5563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2832B1 (ko) * | 2001-07-05 | 2003-12-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
KR100507140B1 (ko) * | 2002-03-22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100852991B1 (ko) * | 2007-06-11 | 2008-08-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기의 브레이크 제동시 시동꺼짐 방지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
1997
- 1997-12-27 KR KR1019970075586A patent/KR1999005563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2832B1 (ko) * | 2001-07-05 | 2003-12-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
KR100507140B1 (ko) * | 2002-03-22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100852991B1 (ko) * | 2007-06-11 | 2008-08-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기의 브레이크 제동시 시동꺼짐 방지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US8079934B2 (en) | 2007-06-11 | 2011-12-20 | Daedong Industrial Co., Ltd. | Engine stall prevention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09491B2 (ja) | 前後輪駆動車両 | |
EP0725237B1 (en) |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 |
US6145399A (en) | Indicator for a shift by wire vehicle transmission | |
ES2216738T3 (es) | Control del cambio hacia abajo de una transmision automatica. | |
JPS63115955A (ja) | 自動変速装置を備えた車輛の制御装置 | |
JP3623357B2 (ja) | 車両の駆動制御装置 | |
JPH01212627A (ja) | エンジン/クラッチ総合制御システム | |
KR19990055631A (ko) | 자동차 시동 꺼짐현상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6271749B1 (en) | Semi-automat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 |
JP2005121113A (ja) | 車両の発進制御装置 | |
JP3657416B2 (ja) | 車両の駆動制御装置 | |
JP3739517B2 (ja) | 車両の発進ショック低減装置 | |
JP3286419B2 (ja) |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変速制御方法 | |
JPH0556426B2 (ko) | ||
JPS646436Y2 (ko) | ||
JP2565466B2 (ja) | 車両の発進制御装置 | |
JP3938474B2 (ja) | 機械式変速機の制御装置 | |
KR100280629B1 (ko) |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 방법 | |
JPH0796778A (ja) | 車両の自動変速装置 | |
JPS6364834A (ja) | 自動トランスミツシヨン | |
JPH0236748Y2 (ko) | ||
KR100285440B1 (ko) | 변속선택레버의 기능을 통합한 자동변속장치 및 그 방법 | |
KR19980049955A (ko) | 클러치접속 최적화 시스템 | |
KR100282889B1 (ko) | 변속제어방법 | |
JP2025056978A (ja) | 車両の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