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264A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52264A KR19990052264A KR1019970071721A KR19970071721A KR19990052264A KR 19990052264 A KR19990052264 A KR 19990052264A KR 1019970071721 A KR1019970071721 A KR 1019970071721A KR 19970071721 A KR19970071721 A KR 19970071721A KR 19990052264 A KR19990052264 A KR 199900522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ive
- interlayer insulating
- pad
- semiconductor device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4)
-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과,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와이드 관통 홀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제 1 도전성 패드와,상기 제 1 도전성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전성 패드 상면을 따라 제 1 비어 홀이 구비된 제 2 층간 절연막과,상기 제 1 비어 홀 내에 형성된 제 1 도전성 플러그와,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와이드 관통 홀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제 2 도전성 패드와,상기 제 2 도전성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성 패드 상면을 따라 제 2 비어 홀이 구비된 제 3 층간 절연막와,상기 제 2 비어 홀 내에 형성된 제 2 도전성 플러그 및,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된 떡판 형상의 제 3 도전성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는 Al 합금이나 Cu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l 합금은 Al-0.8%Si-0.5%Cu, Al-0.8%Si-0.2%Cu, Al-1.0%Cu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는 5500 ~ 65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는 W, Al 합금, Cu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가 W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비어 홀 내부에 장벽 금속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금속막은 Ti/TiN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 상에 반사 방지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TiN이나 Ti/TiN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200 ~ 35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성 패드는 3 ~ 5㎛의 폭(W)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성 패드 중앙부에 형성된 와이드 관통 홀 내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어느 한 막질 상에 임의개의 더미 패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서로 인접된 두 더미 패턴 사이의 간격은 2 ~ 3㎛이고, 그 각각은 1 ~ 2㎛의 폭(W)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폴리이미드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폴리실리콘, Al 합금, Cu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어 홀은 에지 어레이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의 소정 부분에, 중앙부에 와이드 관통 홀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제 1 도전성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도전성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도전성 패드 상면을 따라 제 1 비어 홀이 구비된 제 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비어 홀 내에 제 1 도전성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의 소정 부분에 와이드 관통 홀이 형성된 폐곡선 형상의 제 2 도전성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2 도전성 패드를 포함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제 2 도전성 패드 상면을 따라 제 2 비어 홀이 구비된 제 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2 비어 홀 내에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 상의 소정 부분에 제 3 도전성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는 Al 합금이나 Cu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Al 합금은 Al-0.8%Si-0.5%Cu, Al-0.8%Si-0.2%Cu, Al-1.0%Cu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는 5500 ~ 6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는 W, Al 합금, Cu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가 W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비어 홀 내부에 장벽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금속막은 Ti/TiN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 형성전, 상기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도전성 패드 상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TiN이나 Ti/TiN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200 ~ 35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성 패드는 3 ~ 5㎛의 폭(W)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성 패드 중앙부에 형성된 와이드 관통 홀 내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어느 한 막질 상에 임의개의 더미 패턴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서로 인접된 두 더미 패턴 사이의 간격은 2 ~ 3㎛이고, 그 각각은 1 ~ 2㎛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폴리이미드나 도전성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폴리실리콘, Al 합금, Cu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어 홀은 에지 어레이 구조나 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는 상기 제 1 비어 홀을 포함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에 도전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막을 CMP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상기 제 2 비어 홀을 포함한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 상에 도전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막을 CMP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1721A KR19990052264A (ko) | 1997-12-22 | 1997-12-22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1721A KR19990052264A (ko) | 1997-12-22 | 1997-12-22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2264A true KR19990052264A (ko) | 1999-07-05 |
Family
ID=6609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1721A KR19990052264A (ko) | 1997-12-22 | 1997-12-22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52264A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3576A (ko) * | 2001-04-27 | 2002-11-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KR100368115B1 (ko) * | 2001-01-26 | 2003-01-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KR100413760B1 (ko) * | 2001-04-05 | 2003-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구조 |
KR100477929B1 (ko) * | 2000-09-29 | 2005-03-18 |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용 시험방법 |
KR100741910B1 (ko) * | 2006-07-21 | 2007-07-24 |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 칩 패드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칩 |
KR100767152B1 (ko) * | 2005-07-13 | 2007-10-12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 |
US7598569B2 (en) | 2005-06-23 | 2009-10-06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US7649260B2 (en) | 2005-07-06 | 2010-01-19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US7777334B2 (en) | 2005-07-06 | 2010-08-17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ctive element formation region provided under a bump pad |
US7936064B2 (en) | 2005-07-19 | 2011-05-03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KR101043748B1 (ko) * | 2007-12-18 | 2011-06-2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필링 방지를 위한 본딩패드 및 그 형성 방법 |
TWI634633B (zh) * | 2016-09-14 | 2018-09-01 | 世界先進積體電路股份有限公司 | 接合墊結構及其製造方法 |
-
1997
- 1997-12-22 KR KR1019970071721A patent/KR199900522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7929B1 (ko) * | 2000-09-29 | 2005-03-18 |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용 시험방법 |
KR100368115B1 (ko) * | 2001-01-26 | 2003-01-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KR100413760B1 (ko) * | 2001-04-05 | 2003-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구조 |
KR20020083576A (ko) * | 2001-04-27 | 2002-11-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US7598569B2 (en) | 2005-06-23 | 2009-10-06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US7649260B2 (en) | 2005-07-06 | 2010-01-19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US7777334B2 (en) | 2005-07-06 | 2010-08-17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ctive element formation region provided under a bump pad |
KR100767152B1 (ko) * | 2005-07-13 | 2007-10-12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 |
US8878365B2 (en) | 2005-07-13 | 2014-11-04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ductive layer reliably formed under an electrode pad |
US7936064B2 (en) | 2005-07-19 | 2011-05-03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US8441125B2 (en) | 2005-07-19 | 2013-05-14 | Seiko Epson Corporation | Semiconductor device |
KR100741910B1 (ko) * | 2006-07-21 | 2007-07-24 |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 칩 패드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칩 |
KR101043748B1 (ko) * | 2007-12-18 | 2011-06-2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필링 방지를 위한 본딩패드 및 그 형성 방법 |
TWI634633B (zh) * | 2016-09-14 | 2018-09-01 | 世界先進積體電路股份有限公司 | 接合墊結構及其製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67105B1 (ko) | 다층패드를구비한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 |
US7843066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0373286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5700735A (en) | Method of forming bond pad structure for the via plug process | |
US7067928B2 (en) | Method of forming a bonding pad structure | |
JP4170103B2 (ja)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US6163075A (en) | Multilayer wiring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9337090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20070290361A1 (en) | Via layout with via groups placed in interlocked arrangement | |
JPH0817859A (ja) | 半導体装置 | |
US11990436B2 (en) | Electronic circuit for a hybrid molecular bonding | |
KR100437460B1 (ko) | 본딩패드들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70238B1 (ko) | 반도체 소자의 본드패드 및 그 형성방법 | |
US6576970B2 (en) | Bonding pad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9990052264A (ko)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20090176124A1 (en) | Bonding pad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bonding pad structure | |
US7777340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20000018729A (ko) | 다층 금속배선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패드 및 그 제조방법 | |
JP2001358169A (ja) | 半導体装置 | |
JP4675147B2 (ja) | 半導体装置 | |
KR20000009043A (ko)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82364B1 (ko) | 반도체소자의다층패드및그제조방법 | |
KR19990061337A (ko)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
KR19990048276A (ko) | 다층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0167291B1 (ko) | 반도체소자의 전극배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