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52151A -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151A
KR19990052151A KR1019970071600A KR19970071600A KR19990052151A KR 19990052151 A KR19990052151 A KR 19990052151A KR 1019970071600 A KR1019970071600 A KR 1019970071600A KR 19970071600 A KR19970071600 A KR 19970071600A KR 19990052151 A KR19990052151 A KR 19990052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propylene resin
graft
modified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330B1 (ko
Inventor
윤두원
유연섭
Original Assignee
정몽혁
현대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혁, 현대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혁
Priority to KR101997007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3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3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와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 1~30 중량부를, 첨가제 0.1~10 중량부 존재하에, 100~140℃의 용액 상태에서, 라디칼 개시제 1~25 중량부를 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사슬의 급격한 분해 반응을 억제하여 접착성 수지 배합에 알맞는 분자량으로 조절가능하며 배합시 경제성있는 변성폴리프로필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본 발명은 라디칼 반응성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을 용액상태에서 그라프트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제조시 발생되는 폴리프로필렌 사슬의 급격한 분해 반응을 억제시키고 높은 그라프트율을 갖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산 무수물 중의 한 성분을 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용액 상태에서 그라프트 반응시킬 때 발생되는 폴리프로필렌 사슬의 급격한 분해 반응을 억제시키고 또한 그라프트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황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첨가제)을 단독첨가하거나 또는 첨가제와 트리알릴화합물(촉매)을 공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을 일정수준으로 조절하면서 그라프트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화학적 성질 및 용이한 가공성 때문에 각종 성형 및 포장용 필름, 자동차 내장재 등 산업 전반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수지는 분자 구조상 비극성 물질이기 때문에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극성 고분자물질과의 친화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기 충진제와도 상용성이 없으며 특히 도장성, 인쇄성, 염색성 및 금속과의 접착성이 불량하여 용도 확장에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따라서,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극성기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단량체를 폴리프로필렌수지에 그라프트 반응시키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라프트 반응은 크실렌, 톨루엔, 모노클로로벤젠등의 용매에 폴리프로필렌수지 및 극성기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단량체를 녹인 후 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그라프트 반응을 행하는 용액그라프트법(균일계)과 일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상태의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라디칼 개시제 및 극성기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단량체를 부가하여 반응을 행하는 용융그라프트법(불균일계)이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수한 반응기에서 고체상태로 그라프트반응을 행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용액그라프트법과 용융그라프트법에 의하여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반응시킬 경우, 반응 중에 분자 사슬의 분해 반응이 심하게 일어나므로, 얻어진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이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그 자체로 사용하기 보다는 미변성된 폴리올레핀수지로 희석시켜, 나일론이나 검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OH) 등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다층필름 및 다층블로우 성형병 등의 제조시 층간 접착제층으로 사용하거나, 강판, 알루미늄판 등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접착시 접착층 및 강관 코팅용 수지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미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희석하여 접착성 수지로 사용할때,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분자량이 작으면, 극성기를 갖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사슬들이 더 빠르게 접착면으로 이행되어 배열되고 극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과 접착시 화학결합이 가능하므로 접착에 도움을 주지만 작은 분자량 때문에 계면에서 상분리가 일어나 높은 접착력을 얻는데는 한계가 있다. 반대로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분자량이 크면,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접착면으로의 이행이 불량하여 양호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양호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서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분자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제조시에 발생되는 분자량의 급격한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가지 기술들이 보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506,056호에는, 용융상태에서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트 반응시킬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스테아릴 아마이드 등의 유기화합물을 소량 첨가하여 분자사슬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분해 반응에 의한 분자량의 감소는 억제할 수 있으나 무수말레인산의 그라프트율이 현저히 떨어져 상업화시 비경제적이다. 또한, 다량의 미반응 무수말레인산이 잔류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유럽특허공개 제225186A2호 (1986)에서는 티올이나 아민기를 함유한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여, 약간의 그라프트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분자사슬 반응 억제효과는 거의 없었다. 한편 용액 그라프트반응 방법에 의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제조시 폴리프로필렌사슬의 분해 억제 방법으로는, 라디칼 개시제나 무수말레인산산과 같은 라디칼 반응성 단량체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또는 반응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그라프트율이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8142호('95.7)에는 티올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첨가하여 분자사슬 분해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지스네이트 DB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사슬 분해반응 억제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접착력도 낮았다.
한편, 국제출원 공개 제91/10690호(91년 7월)에는, 폴리프로필렌 분말을 소량의 용매로 팽윤시킨 다음,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를 촉매로 첨가하여 고체상태로 그라프트 반응시켜 그라프트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상기 촉매을 단독 첨가하여 용액법으로 그라프트 반응시킨 결과 그라프트율은 높게 상승하지만, 분자사슬 반응은 억제시킬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사슬의 급격한 분해 반응을 억제하여 접착성 수지 배합에 알맞는 분자량으로 조절가능하며 배합시 경제성이 있는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와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 1~30 중량부를, 첨가제 0.1~10 중량부 존재하에, 100~140℃의 용액 상태에서, 라디칼 개시제 1~25 중량부를 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실렌, 톨루엔, 모노클로로벤젠 등의 용매에 150~500 g/l의 농도로 가열, 교반하고 녹여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준비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호모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 수지로서 에틸렌 성분이 1~14중량% 범위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의 고유점성도[η] 값은 135℃의 데카히이드로나프탈렌(데카린) 용액으로 측정할 때 0.5~2.6dl/g 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그라프트시킬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이나 이의 산무수물로서는 말레인산, 이타콘산, 씨트라콘산, 알케닐숙신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이나 이들의 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 한 종류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에 그라프트되어 얻어진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의 디카르복실산이나 이의 산무수물로 성분의 그라프트양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부의 범위가 적합하다. 따라서, 디카르복실산이나 이의 산무수물 성분의 반응계에 대한 첨가량은 반응성을 고려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에 대해 1~3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라디칼 개시제로는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인 예로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의 사용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에 대해 1~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가 더욱 적합하다. 개시제는 직접 투입하거나 용해 가능한 용매에 녹여 계량 펌프로 일정 시간동안 정해진 속도로 부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제조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분해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첨가제, 즉, 황 또는 질소 함유화합물로는 황함유 화합물로서 2-머캅토피리딘, N-메틸-2-머캅토이미다졸, 2-머캅토벤조티아졸, 테트라메틸티유람 디설파이드, 질소함유 화합물로서 디페닐구아니딘과 2-아미노티아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그라프트율을 높이기 위하여 트리알릴화합물 촉매를 더욱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촉매로 사용하는 트리알릴화합물로는 트리알릴시아뉴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티올기, 아민 또는 알릴기의 높은 수소 이동도로 인하여 형성된 라디칼들을 안정화시킬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3차 구조 위치의 탄소(tert-carbon) 라디칼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무수말레인산의 그라프트반응 활성화에너지를 낮게함으로서 그라프트 효율을 높혀주고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급격한 분자사슬 분해 반응을 억제시킨다.
첨가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에 대해 0.1~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부 초과시에는 그라프트율이 감소하며, 0.1 중량부 미만시에는 접착력이 감소한다. 또한, 촉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분에 대해 1~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10 중량부 초과시에는 접착력이 감소하고, 색상이 불량해지며, 1 중량부 미만 시에는 그라프트율이 감소한다.
반응온도는 100~140℃가 바람직한데, 100℃ 미만인 경우에는 그라프트율이 가소하고 반응시간이 길어지며, 140℃ 이상인 경우에는 분자사슬 분해반응으로 인하여 분자량이 감소하므로, 접착력이 감소된다.
반응 종료후에 반응계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계 용량의 2-4배 해당하는 아세톤을 가하여 반응 생성물인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침전시켜 여과하고, 이것을 다시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무수말레인산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건조시켜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제조한다.
상기의 용액 그라프트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고유점도의 적절한 값은 용도에 따라 다르나, 135℃의 데카린 용액으로 측정할 때 0.4 내지 0.8dl/g 범위가 바람직하다. [η]는 값이 0.4dl/g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계면층의 낮은 응집력 때문에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없으며 0.8dl/g을 넘을 경우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접착 계면 이행성이 불량하여 양호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상기 그라프트 반응 방법으로 얻어진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이하, "변성 PP"라함)에 대한 고유점도[η] 측정,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그라프트량 측정, 트리알릴화합물의 그라프트량 측정 등 변성 PP에 대한 특성 결정방법 및 변성 PP를 이용한 접착성 수지의 배합, 시험편 제작 방법, 접착력 등의 측정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고유점도 [η] 측정: 변성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고유점도는 용매로서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데카린)을 사용하여 135℃에서 측정하였다.
- 변성폴리프로핀렌수지중의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량 측정: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물로 포화된 크실렌에 넣고 120℃에서 3시간 가열한 다음 지시약으로써 1중량% 티몰블루(Thymol Blue)-벤질알콜용액을 3~5방울 가하고, 0.05N KOH-벤질알콜 용액으로 초과 적정하여 얻어진 군청색의 용액을 0.05N 옥살산-벤질알콜용액으로 군청색이 없어질때를 종말점으로 역적정하여 산가를 구하고 이로부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그라프트된 무수말레인산(MAH)의 양을 산출하였다. 또는 산소함량 분석으로부터 그라프트율을 계산하였다.
- 알릴화합물의 그라프트량 측정: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해 원소 분석을 행하여 질소및 황의 함량으로부터 트리알릴합물의 그라프트량을 산출하였다.
- 접착성 시험을 위한 접착성 수지의 배합
상기 본 발명의 그라프트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미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배합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접착성 수지를 제조할 때 접착성 수지 전체에 대한 무수말레인산(MAH)의 함량이 0.3중량%가 되도록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양을 정하여 크실렌에 녹이고 크실렌량의 2배의 아세톤을 가하여 침전시키고 여과한후 110℃에서 진공건조시켰다.
- 접착 시험용 시편 제작: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미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로 희석하여 만든 접착성 수지를 190℃의 프레스를 사용하여 약 140㎛ 정도의 필름으로 성형한 다음 알루미늄필름/접착층/알루미늄필름과 나이론시트/접착층/나일론시트로 접착시험(박리실험)을 한다.
시편 성형 조건은 알루미늄필름/접착층/알루미늄필름의 경우 100㎛ 두께의 알루미늄(Al)필름 사이에 접착성 수지 필름을 끼워넣고 200℃의 프레스 사이에 넣어 30초간 예열한 다음 40kg/㎠의 압력으로 5분간 압착하여 폭 20mm의 접착 강도시험(180˚-Peel)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사용한 알루미늄필름은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나일론시트/접착층/나일론시트는, 두장의 300㎛두께의 나일론 66 시트사이에 접착성 수지 필름을 끼워 넣은 다음 200℃의 프레스로 40kg/㎠의 압력으로 5분간 압착시켜 만들었으며 시편의 폭은 20mm로 하여 접착강도 시험(T-Peel)용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 접착력 측정:
접착력의 측정은 인스트론(Instro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크로스헤드스피드(Cross head speed)는 100mm/분 으로 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교반기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온도조절기가 부착된 500ml용적의 유리반응기에 폴리프로필렌(현대석유화학주식회사제품,테크렌 H7600K,고유점도[η]=1.2㎗/g) 분말 35g과 무수말레인산(MAH), 첨가제[2-머캅토피리딘(MP), N-메틸-2-머캅토이미다졸(MM), 테트라메틸유람 디설파이드(TT). 2-머캅토벤조티아졸(M), 디페닐구아니딘(D)과 2-아미노티아졸(AT)]를 표-1과 같은 조성으로 넣고, 여기에 클로로벤젠 160㎖를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1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에 30분간 질소 버블링을 한후 2시간 30분에 걸쳐 130℃로 승온시켜 용해시킨다. 교반기의 속도를 200rpm으로 상승시키고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15중량부의 디큐밀퍼옥사이드(DCP)를 25㎖의 클로로벤젠에 녹인 개시제 용액을 계량펌프를 이용하여 130℃에서 3시간에 걸쳐 반응기에 주입시키고 동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후 반응시켰다(전체 반응시간은 5시간임). 교반속도를 60rpm으로 낮추고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후, 반응물에 아세톤 240㎖를 가하여 침전시키고 교반한후 여과하고, 생성물을 다시 100㎖의 아세톤에 현탁시키고 교반한후 여과하였다. 상기 세척작업을 2회 반복하여 미반응 무수말레인산및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얻어진 생성물을 80℃에서 18시간 진공건조시켜 분말상의 무수말레인산 변성폴리프로필렌(변성PP)을 얻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변성PP에 대한 고유점도,무수말레인산의 그라프트량, 트리알릴화합물의 부착량들을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변성PP의 접착력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접착력을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접착성수지 배합시에, 미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현대석유화학주식회사제 테크렌 H7600K(Homo PP, MI=25)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된 변성PP의 고유점도,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량, 변성PP를 이용한 접착성수지 배합, 시편제작, 접착력을 실시예 1~6의 시험조건과 동일하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험조건 변성 PP
MAH중량부 DCP중량부 첨가제 MAH 그라프트량중량부 고유점도(㎗/g) 접착력-Al 필름 (180°-peel, g/cm)
종류 중량부
실시예 1 15 15 MP 0.25 4.2 0.47 230
실시예 2 15 15 MM 0.15 3.2 0.57 370
실시예 3 15 15 TT 2 3.9 0.48 310
실시예 4 15 15 M 1 2.1 0.74 340
실시예 5 15 15 D 4 3.8 0.63 510
실시예 6 15 15 AT 1 4.8 0.56 540
비교예 1 15 15 - - 6.8 0.23 117
주)· 실험조건에서 중량부는 변성PP 제조시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에 대한중량부임· 변성PP에서 중량부는 변성PP 100 중량에 대한 중량부임
실시예 7 ~12
촉매로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3중량부의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TAIC)를 첨가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된 변성PP의 고유점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량, 촉매의 부착량, 접착성수지 배합, 시편제작 및 접착력을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험 조건 변성 PP
MAH중량부 DCP중량부 첨가제 촉 매 MAH 그라프트량중량부 변성PP고유점도㎗/g TAIC 부착량중량부 접착력,g/cm
종류 중량부 종류 중량부 Al180°-peel NylonT-peel
실시예 7 15 15 MP 0.25 TAIC 3 6.8 0.58 0.58 450 43
실시예 8 15 15 MM 0.15 TAIC 3 4.5 0.67 0.89 600 47
실시예 9 15 15 TT 2 TAIC 3 6.7 0.53 1.01 400 53
실시예 10 15 15 M 1 TAIC 3 7.5 0.59 - 630 50
실시예 11 15 15 D 4 TAIC 3 4.9 0.63 - 660 46
실시예 12 15 15 AT 1 TAIC 3 7.0 0.55 - 440 49
비교에 2∼3
첨가제를 가하지 않고 촉매인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TAIC)와 트리알릴시아뉴레이트(TAC)만을 각각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된 변성PP의 고유점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량, 트리알릴화합물의 부착량, 변성PP를 이용한 접착성수지 배합, 시편제작, 접착력을 실시예 1~6의 시험조건과 동일하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14
촉매로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TAIC) 대신 트리알릴시아뉴레이트(TAC)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실시예 12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된 변성PP의 고유점도,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량, 변성PP를 이용한 접착성수지 배합, 시편제작, 접착력을 실시예 1~6의 시험조건과 동일하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실험 조건 변성 PP
MAH중량부 DCP중량부 첨가제 촉 매 MAH 그라프트량중량부 변성PP고유점도㎗/g 접착력,g/cm
종류 중량부 종류 중량부 알루미늄(180°-peel)
비교예 2 15 15 - - TAIC 3 10.5 0.35 120
비교예3 15 15 - - TAC 3 10.2 0.32 110
실시예 13 15 15 M 1 TAC 3 6.6 0.63 640
실시예 14 15 15 AT 1 TAC 3 6.1 0.53 4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사슬의 급격한 분해 반응을 억제하여 접착성 수지 배합에 알맞는 분자량으로 조절가능하며 배합시 경제성 있는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와 라디칼 반응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 1~30 중량부를, 첨가제 0.1~10 중량부 존재하에, 100~140℃의 용액상태에서 라디칼 개시제 1~25 중량부를 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촉매를 더욱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시아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유기 과산화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티올, 아민 또는 설파이드기를 포함하는 황 또는 질소함유 유기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2-머캅토피리딘, N-메틸-2-머캅토이미다졸, 2-머캅토벤조티아졸임, 디페닐구아니딘, 2-아미노티아졸 및 테트라메틸티유람 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M.I.)가 3~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폴리프로필렌의 고유점도[η]가 135℃, 데카린용액에서 0.4~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70071600A 1997-12-13 1997-12-13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6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00A KR100261330B1 (ko) 1997-12-13 1997-12-13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00A KR100261330B1 (ko) 1997-12-13 1997-12-13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151A true KR19990052151A (ko) 1999-07-05
KR100261330B1 KR100261330B1 (ko) 2000-07-01

Family

ID=1952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600A Expired - Lifetime KR100261330B1 (ko) 1997-12-13 1997-12-13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3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436B2 (ja) * 1989-11-28 1998-07-1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変性軟質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330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052B1 (ko) 작용성화 폴리올레핀의 제조에 적합한 농축물 및 상기 농축물을 사용하는 작용성화 방법
US3873643A (en) Graft copolymers of polyolefins and cyclic acid and acid anhydride monomers
US4612155A (en) Process for the grafting of monomers onto polyolefins
US4134927A (en) Production of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s
EP0172650B1 (en) Polyolefin blends containing reactive agents
KR100330606B1 (ko) 그라프트-개질된실질적인선형에틸렌중합체와다른열가소성중합체의블렌드
EP0777693A1 (en) Maleated high acid number high molecular weight polypropylene of low color
KR960008818B1 (ko)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도장된 상기 조성물 성형체
EP0266994A2 (en) Process for the grafting of monomers onto polymers
WO2004016667A2 (en) Grafted propylene copolymers
FI96033C (fi) Menetelmä polyolefiinien funktionalisoimiseksi sulatilassa
KR960008817B1 (ko)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20240026054A1 (en) Graft-modified product, adhesive, olefin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US6218476B1 (en) Functionalized polypropylen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US5461119A (en) Olefin polymers partially crosslinked with bismaleimido compounds
EP0305539A1 (en) Fiber-reinforced hea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
KR20040054768A (ko) 충격 강도 폴리프로필렌
KR100261330B1 (ko)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JP5584952B2 (ja) 不飽和カルボン酸グラフト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法
CA2653174C (en) Functional polyolefins useful as metal adhesion promoters
EP0360439A2 (en) Heat resistant poly-4-methyl-1-pentene resin compostition and shaped article thereof
JP5169561B2 (ja) 不飽和カルボン酸グラフトポリオレフィン及びその製造法
KR950008142B1 (ko)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제조방법
CA3193479A1 (en) Adhesive composition, film-like adhesive, and multilayer film
JPS598282B2 (ja) ポリオレフインの変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61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