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990A - 연속으로 작동되는 주입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으로 작동되는 주입장치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3990A KR19990043990A KR1019980701222A KR19980701222A KR19990043990A KR 19990043990 A KR19990043990 A KR 19990043990A KR 1019980701222 A KR1019980701222 A KR 1019980701222A KR 19980701222 A KR19980701222 A KR 19980701222A KR 19990043990 A KR19990043990 A KR 199900439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 downstream
- tube
- upstream
- pum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41 laxa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475 lax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0412 perfu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abstract 1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7—Flow controllers controlling delivery of multiple fluids, e.g. sequencing, mixing or via separate flow-pa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장치는 환자에게 튜브를 매개로하여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사액의 독립적인 2개의 주사병(12)을 구비하고, 각 병은 이 병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51)을 구비하며, 이 수단은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단(53)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장치는 각각의 병(12)에 연결된 2개의 공급튜브를 갖춘 상류주입장치(10)와, 주사액을 펌프질하는 펌프수단(72,84)을 갖추면서 우선 하류튜브(78)를 매개로하여 환자에게 연결되고 다음으로 커플링수단(54)에 연결되는 하류주입장치(70)를 구비하는데, 이는 X선 또는 핵자기공명(NMR) 스캐너를 사용하는 방사선 검사 이전의 관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이제까지 사용된 여러 주입장치는 전술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는데, 공급된 물질의 양은 한 환자의 검사용으로 필요한 양이어서, 양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는 주사의 중단 없이 물질을 더 보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그 양이 과잉이었을 때는 잔여 물질이 오염의 위험 때문에 폐기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스캐닝(X선이나 핵자기공명을 이용하는)과 같은 어떤 의학적 응용이나 검사에서는 환자에게 주사하는 것이 필요한데, 어떤 경우에 주사는 같은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며, 어떤 경우에는 장치가 빨리 재사용 가능하여서 한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에게 매우 빨리, 즉 전체 주사장치에 재비치할 필요없이 건네질 수 있어야 하므로, 환자들 사이에서 주사를 준비하기 위한 필요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주사액은 때때로 값이 비싸서 주사 동안, 특히 주사액을 수용한 병을 교환할 때 주사액의 손실을 제한하기에 알맞은 장치를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다수의 환자를 넘어 주사병의 모든 내용물을 사용하고, 각각의 환자에게 검사 동안 필요한 주사액의 양을 주사하기에 훨씬 더욱 유리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장치의 상호연결된 다양한 부품을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커플링 수단의 Ⅲ-Ⅲ선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부품들이 설치된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장치의 결점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주입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주사액의 독립적인 2개의 공급원을 구비하여 튜브를 매개로하여 환자에게 주입되고, 주입장치는 각각의 공급원에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과 공급원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차단수단은 이 탐지수단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에 의해 성취된다.
다음의 특성이 있는데, 각각의 공급원은 주사병이고, 상기 주입장치는, 제 1공급튜브와 제 2공급튜브 및 각 주사병용 각각의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제 1과 제 2공급튜브가 주사병 중 하나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상류주입장치와; 하류튜브와 주사액을 펌프질하는 펌프수단을 구비하면서, 하류튜브가 펌프수단을 환자에게 연결하는 하류주입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바; 상기 상류주입장치는 펌프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과 제 2공급튜브에 고착되는 단일 커플링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펌프수단은 하류주입장치내에 흐르는 주사액이 상류주입장치내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회귀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연결수단의 일부와 커플링수단 및 펌프수단이 고정과 주사액의 흐름의 안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결합수단으로 상호연결된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 공급원으로부터 다른 공급원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공급원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이 이 공급원으로부터의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폐쇄하고, 또한 다른 공급원의 차단수단이 개방되기 때문이다.
예로서 주어진 실시예의 다음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되고 제 2의 특성과 장점이 잘 나타날 것이며, 이하 주어진 설명과 도면은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는 2개의 병시스템이다.
도면에서 탐지수단과 제어수단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으나, 개략적으로 기술되고 그 작동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환자에게 관류(灌流)되거나 주입되는 주사액의 흐름계통은 환자에게 연결된 단일 하류계통상에 집중되는 출발점, 즉 2개의 대칭적인 상류계통을 포함한다.
주입장치는 상류에서 하류로 설명되는데, 상류장치가 절대적으로 동일한 2개의 일련의 부재들을 갖추기 때문에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장치의 일부만이 설명되며,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대칭적인 장치가 정확히 동일한 부재를 구비하는 상류장치의 우측부에 존재한다.
상류주입장치(10)는 우선 환자에게 주사되는 액체물질을 수용하는 병(12)을 구비하고, 이 병은 병뚜껑의 안내끝단에 탄성캡슐(14)로 폐쇄된다.
관통핀(16)은 주사병(12)에 구멍을 내는 수단을 구성하는데, 이는 병(12)의 캡슐(14)이 관통될 수 있고, 주사액이 병(12)에서 핀(16)으로부터의 하류부재 쪽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핀(16)은 이 핀(16)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바로 통과하는 내부덕트(20)의 상류끝단이 연장된 공동(空洞)의 경사진 첨단(18)을 갖추고, 내부덕트(20)는 공동첨단(18)을 매개로하여 공기가 병(12)내로 관통할 수 있는 공기 흡입구(22)로 구성된 공기 입구수단에 연결되어서 병(12)이 그 내용물을 비우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핀의 일부가 병뚜껑의 외경 보다 단지 다소 큰 내경을 갖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측벽(24)의 형태로 그 첨단(18)을 둘러싸며, 이 측벽(24)은 병뚜껑의 안내면용 접합부재로 구실을 하는 어깨부(26)에 의해 내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측벽(24)은 그 원주 주위로 균형있게 분포된 축방향 홈들을 갖추며, 내부로 유도된 환형 테(28)를 갖추고 있는데, 이 환형 테(28)는 병뚜껑의 후부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탄력있는 테를 형성하고, 핀과 병 사이의 본의 아닌 축방향 분리를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2)은 거꾸로 바닥에 뚜껑을 구비한 채로 있고, 첨단(18)이 측벽(24)의 환형 테(28)를 넘어서 축방향으로 튀어나온다.
병(12)과 핀(16) 사이의 연결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 첨단(18)은 병의 캡슐(14)내로 밀리고, 병과 핀은 뚜껑이 어깨부(26)에 대하여 접합할 때까지 서로 쪽으로 이동되는데, 그들이 서로 쪽으로 이동되면서, 측벽(24)은 그 홈들 때문에 늘어나지만, 일단 뚜껑이 접합하면, 측벽은 홈들에 의해 가능한 탄력 때문에 그 초기 형상으로 되돌아가서, 환형 테(28)는 뚜껑 후면의 측면 영역 위에 접합하고, 핀(16)과 병(12)은 서로 고정되며, 측벽(24)은 축방향과 측면 양쪽으로 병뚜껑을 지지한다.
첨단(18)은 병(12)과 핀(16) 사이에 축방향 안내부를 구비하고, 첨단(18)과, 측벽(24), 어깨부(26) 및 환형 테(28)는 축방향과 측면의 양쪽 지지와 병(12)의 뚜껑용 유지수단도 구성하여, 병(12)은 다른 고정수단 없이 수직하게 거꾸로 고정될 수 있어서, 병(12)의 위치는 완전히 핀(16)에 의해 결정된다.
핀(16)의 중간부는 핀(16)의 몸체(29)를 구성하고, 이 핀 몸체(29)는 통상 외형상 원형 단면의 원통형이며, 외부의 방사상 어깨부(27)에 의해 상류로 연장되어서, 측벽(24)이 핀 몸체(29)에 연결될 수 있다.
핀(16)의 하류부는 그 축이 내부덕트(20)의 축과 일치하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종부(縱部,30)를 형성하고, 내부덕트(20)는 예슬릿된 라텍스(latex,34)의 막피 또는 격막으로 그 끝단이 폐쇄된 원통형 벽(32)내의 하류로 구획되며, 원통형 벽(32)은 막피(34)를 넘어서 축방향으로 튀어나온 원통형 종부(30)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핀(16)의 하류부는 원통형 종부(30)의 내경과 사실상 동일한 외경의 원형 단면 컵형상인 단단한 원통형 부재(36)에 연결되어서, 커플링이 단단한 부재(36)와 핀(16)의 하류부(30) 사이의 마찰로 또는 마찰없이 축방향 미끄러짐과 신축적인 미끄러짐 결합으로 성취되고, 단단한 부재(36)의 바닥은 핀(16)의 하류부의 원통형 종부(30)의 하류끝단용 접합부를 구성하며, 단단한 부재(36)도 이 단단한 부재(36)의 수직벽으로 둘러싸이는 축방향 공동첨단(38)을 갖추고, 이 첨단(38)은 단단한 부재(36)가 핀(16)에 연결될 때 예슬릿된 격막(34)내를 관통하며 핀의 내부덕트(20)의 하류부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있는 가요성(可撓性)튜브(40)는 우선 단단한 부재(36)의 공동첨단(38)의 하류끝단에 연결되고, 다음으로 점적실(點滴室,42)의 상류부에 연결되며, 단단한 부재(36)로 구성된 조합체와, 가요성튜브(40) 및, 점적실(42)은, 단단한 부재(36)의 하류부를 가요성튜브(4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점적실(42)의 상류부에 연결하는, 단단한 귀형상의 지지부(44)에 의해 일직선상에 고정되어서, 이 지지부(44)로 둘러싸여지는 가요성튜브의 종부의 양쪽에 가요성튜브(40)의 상류종부(46)와 가요성튜브(40)의 하류종부(48)를 창출한다.
핀(16)과, 단단한 부재(36), 가요성튜브(40) 및, 점적실(42)은 병(12)을 공급튜브(5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성한다.
공급원 또는 병(1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은 공기 탐지기처럼 공급원이 비어있는 것을 탐지하는 수단이나, 통하여 흐르는 주사액의 양이 미리 계획되고 결정된 값에 일치할 때 흐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유동계량기처럼 흐르는 주사액의 양을 감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탐지기(51)는 가요성튜브의 상류종부(46)에 위치되고, 이 탐지기(51)는 주사액 흐름의 문제 또는 병(12)이 비어있다는 것으로, 가요성튜브의 주사액 충만은 물론 공기 수용을 탐지하는 임의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공기 탐지기(51)는 가요성튜브(40)와 교차하고 튜브의 외부와 접촉하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압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한 센서는 초음파 방사체로서 작동하고, 다른 센서는 가요성튜브(40)를 통하여 전파된 음파의 수신기로 작동한다.
가요성튜브(40)가 주사액 또는 공기로 충만되어 있는지에 따라 압전 수신기에 의해 방사된 전기신호는 상이하다.
공기 탐지기(51)는 제어장치(48)를 매개로하여 가요성튜브(40)의 하류종부(48)에 위치되면서 주사액 흐름을 차단하는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 차단수단(53)은 가요성튜브(40)를 조임에 의해 폐쇄할 수 있어서, 점적실(42)로부터 상류의 가요성튜브를 폐쇄 또는 개방하고, 예로서 전기 계전기를 매개로하여 공기 탐지기(5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기 죔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동제어도 주사액 흐름 차단수단(53)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한 병에서 다른 병으로 전환하는 것은 물론, 단지 두 병 중 하나를 교환할 때나 장치의 두 병을 초기 설치할 때 사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한편, 어느 경우에든 그 후 주사액 흐름 차단수단의 수동제어하에 주사액으로 충만시킴으로써 공급튜브(50) 또는 가요성튜브(40) 속의 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점적튜브(42)는 유연성과 탄력이 있으며, 원형단면이고, 직경이 가요성튜브(40) 보다 훨씬 큰 투명한 원통형 튜브인데, 그의 양 끝단은 가요성튜브(40)가 상류끝단에 개통되고 공급튜브(50)가 하류끝단에 개통되는 각각의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점적실(42)의 하류끝단은 관류장치내로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입자를 점적실내에 보유하는 원형 필터(52)를 갖추고 있는데, 예컨대 고무 입자나 플라스틱 입자가 병(12)의 캡슐이나, 막피(34) 또는, 핀(16)의 경사진 첨단(18)으로부터 생기고, 필터(52)는 또한 높은 유동율(10 ml/s 또는 더 높은)이 주입장치를 통과할 때 배출구 마개 구실을 하며, 25μm의 개구부를 갖는 플라스틱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점적실(42)의 용량은, 특히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병을 교환할 때 완충 공급량과 기포 배출구 구실을 하고, 점적실(4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공급량은 공기가 점적실(42)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공급튜브(50)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공기가 공급튜브(50)내로 관통하면, 그 후에 전체 상류주입장치(10 ) 속의 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주사액을 낭비하게 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장치(10)의 제 1공급튜브(50)와 제 2공급튜브(50)는, 단일 출구(58)와 함께 상류계통 쌍을 구비하는 T형상 내부덕트(56)를 갖춘 단단한 부재의 형태로 커플링수단(54)에 확실히 결합되며, T형상 내부덕트(56)의 각각의 두 입구끝단은 각각의 제 1과 제 2공급튜브(50)의 한 끝단에 고착된다.
단단한 부재(54)의 출구부는 핀(16)의 하류부와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한데, 원형 단면의 원통형 종부(60)는, 예슬릿된 라텍스(64)의 격막으로 그 끝단에서 폐쇄된 원통형 벽(62)으로 구성된 내부덕트(56)의 출구(58) 끝단을 둘러싼다.
격막(64)은 핀(16)의 격막(3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개방됨으로써 첨단의 형상인 관통부재가 그 자리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며, 첨단이 추출될 때, 격막은 이의 탄성 때문에 다시 폐쇄되어서, 그에 의해 격막으로부터 상류계통이 밀봉되는 것을 확보하는 한편, 격막(64)은 내부덕트(56)의 제 3끝단을 폐쇄하고, 펌프수단의 상류끝단과 공조하도록 설계된 밀봉수단을 구성한다.
단단한 부재(54)의 출구부는 단단한 부재(36)와 동일한 구조의 공동첨단(68)을 갖는 원통형의 단단한 부재(66)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이 단단한 부재(66)는 펌프수단(72)으로부터 상류에 위치되고, 단단한 부재(36)가 핀(16)의 하류부와 공조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단단한 부재(54)와 공조하도록 설계되어서, 핀(16)의 격막으로 말하자면, 예슬릿된 격막(64)은 펌프수단(72)의 상류끝단에 위치하고 있는 공동첨단(68)을 탄성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되고, 원통형 종부(60)와 단단한 원통형 부재(66) 사이의 신축적인 미끄러짐 결합은 그들을 서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공동첨단(68)이 격막(64)을 관통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부재들(66,54)의 원통형 부분 사이의 미끄러짐은, 이 부재들도 모터 모듈(8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반드시 마찰에 의한 것은 아니다.
커플링수단(54)도, 주사액이 내부덕트(56)의 두 입구끝단으로부터 내부덕트(56)의 출구끝단(58) 쪽으로나, 두 입구끝단 중 한 입구끝단은 페쇄되면서 단지 다른 입구로부터 출구끝단(58) 쪽으로 흐를 수 있는 내부덕트(56)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폐쇄수단을 구비한다.
이들 부분 폐쇄수단은 3개의 배출구 꼭지로 이루어지는데, 세 입구와 하나의 출구는 커플링수단(54)에 대한 꼭지의 회전위치에 따라, 각각의 두 주사액 입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꼭지는 주사되는 동안 다루어지도록 설계됨은 물론, 예컨대 단지 한 병이 필요한 주사 이전에 사용되어서, 상류주입장치(10)의 분지(分枝)중 하나를 쓸모 없게 만든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모듈(84)은 주입장치의 다른 부재가 배치된 펌프 몸체를 구성한다.
모터 모듈(84)은 우선 출구축을 구비한 펌프 모터와, 주입장치용 제어대(86) 및, 핀(16)용 금속 지지부(88)를 구비한다.
이 지지부(88)는 변경가능한 축방향 구멍과, 지지부(88)의 한 끝단으로부터 그 종부의 단부 이상으로 연장하면서 구멍내로 개방되는 넓은 세로 홈을 갖춘 원형 단면의 원통형이며, 상기 축방향 구멍은 그 바닥종부 보다 더 큰 직경의 상부종부를 갖는데, 상부종부와 바닥종부 사이의 전이영역은 환형 어깨부를 형성하고, 바닥종부의 내경은 핀 몸체(29)의 외경에 일치하며, 그에 의해 지지부 구멍(88)의 바닥종부는 작은 틈새를 구비한 핀 몸체(29)를 둘러싸는 환형 부재를 구성할 수 있어서, 핀의 횡단 이동이 매우 제한되는 반면에 그의 축방향 이동은 지지부(88)의 환형 어깨부와 핀(16)의 외부 환형 어깨부(27) 사이의 접합에 의해 제한된다.
핀 몸체(29)와 핀(16)의 외부 환형 어깨부(27)는 핀(16)이 고정되는 것을 매개로하여 영역을 구성하는데, 그 지지부(88)내에 삽입될 때 핀(16)은 완전히 지지부(88)에 의해 둘러싸이며, 병은 지지부 구멍(88)의 상부종부의 개방끝단을 매개로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시스템은 귀형상 지지부(44)가 지지부(88)의 세로 홈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서, 단단한 부재(36)의 첨단(38)은 핀(16)의 격막(34)을 통과한다.
핀 몸체(29)의 원주는 코딩(coding)부를 갖추어 병(12)이 펌프수단의 모터 모듈(84)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데, 이는 병(1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유형과 체적을 명기한다.
상기 코딩부에 의해서, 핀(16)과 병(12)으로 구성된 조합체가 지지부(88)내에 삽입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는 병을 인식하는 바, 예컨대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하는 광학 코딩부나 기계 코딩부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이 기계 코딩부는 핀 몸체(29)의 원주상에 배치된 점들의 수나 위치를 탐지하는 유연성 있는 막피로 구성되는데, 이 막피는 지지부(88)내 구멍의 바닥종부의 벽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 모듈(84)도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레일을 갖추어서, 접합할 때 연동 카세트(72)는, 펌프 모터의 출구축이 연동 카세트(72)의 작동부(74)를 구동할 수 있고, 단단한 부재(66)의 첨단(68)이 격막(64)을 관통하도록 정확히 위치되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 단단한 부재(54)는, 이 목적을 위해 구비되면서 안내홈(92)을 수용하는 모터 모듈(84)상의 한 점에 고착되는데, 상기 홈(92)은 대칭축의 양쪽의 단단한 부재(54)상에 수용되는 측면 안내돌출부(94)에 상보(相補)적이기 때문에 단단한 부재(54)를 고착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측면 돌출부(94)와 홈(92) 사이의 미끄러지는 결합축은 접합에 의해 결정된 최종 위치를 갖는 정밀한 안내부를 구비한다.
펌프수단(72,84)은 레일(90)과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춘 모터 모듈(84)과, 레일(90)에 상보적인 세로홈(77)과 그 자유끝단이 홈내에 고정되는 걸쇠(7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력있는 텅(tongue,73)을 갖춘 연동 카세트(72)를 구비하여서, 이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되도록 한다.
연동 카세트(72)의 몸체는 카세트가 삽입되는 모터 모듈(84)의 하우징에 공조하는 클립을 형성하는 2개의 탄력있는 텅(73)을 갖추어,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내에 삽입될 때, 레일(90)에 의해 안내되고, 그 후에 탄력있는 텅(73)이, 카세트의 몸체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온 걸쇠(75) 때문에 카세트의 내부 쪽으로 구부려지며, 일단 카세트(72)가 완전히 모터 모듈(84)내에 삽입되면 걸쇠(75)는 모터 모듈의 홈에 일치되고, 텅의 탄력 때문에 걸쇠(75)는 홈내로 삽입되어, 그에 의해 카세트(72)와 모터 모듈(84) 사이의 움직임이 방지되는 한편, 카세트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모듈의 외부에 남아 있는 텅(73)의 일부를 수동으로 눌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걸쇠(75)가 그들의 홈으로부터 분리된다.
단단한 부재(66)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될 하류주입장치(70)의 상류끝단을 구성한다.
하류주입장치(70)는 연동 카세트(72)로 구성되는 펌프수단과, 출구축이 연동 카세트(72)의 작동부(74)를 회전시키는 외부 모터 모듈(84)을 구비하며, 튜브(76)는 연동 카세트(72)를 통과하고, 단단한 부재(66)에 연결된 상류끝단을 갖춘다.
모터 모듈(84)도 압력과 공기를 탐지하는 센서 형태의 수단을 갖추는데,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내의 위치에 있을 때, 출구축과 탐지수단은 동시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출구축이 작동부(74)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구축은 작동부(74)와 공조하고, 탐지수단은 튜브(76)의 하류끝단부 주위에 위치를 잡아 환자 쪽으로 가는 주사액의 압력과 공기의 부존을 검증한다.
연동 카세트(72)의 튜브(76)의 하류끝단은 환자에게 주사액을 안내하는 하류튜브(78)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장치가 사용 중일 때, 핀(16)은 그들 각각의 지지부(88)에 삽입되고, 병(12)은 상응하는 핀(16)에 연결되며, 단단한 부재(36)는 상응하는 핀(16)에 연결되고, 단단한 귀형상 지지부(44)는 지지부(88)에 고정되어서 주사액은 각각의 병(12)과 상응하는 점적실(42) 사이에 수직으로 흐른다.
연동 카세트(72)와 커플링수단(54)은 모터 모듈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커플링수단(5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단한 부재(66)와 공조할 수 있고, 그래서 모터 모듈의 출구축은 연동 카세트(72)의 작동부(74)를 자동적으로 회전시키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연동 카세트(72)와 모터 모듈은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383,333 호와 제 2, 644,212호에 게재된 것 중의 하나와 같이 연동 펌프로 대체될 수 있다.
전체 계통은 환자에게 연결되고 두 병(12) 중 하나로부터 주사액을 펌프질하여 주사 또는 관류하기 이전에 공기를 제거한 후에 주사액을 채우는데, 다른 병의 가요성튜브(40)는 차단수단(53)에 의해 조여져서, 주사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병이 비면, 공기 탐지기(51)는 흐름 차단수단(53)이 빈 병에 조화하는 가요성튜브(40)를 폐쇄케 하고, 다른 병은 이 병에 조화하는 차단수단(53)을 자동적으로 개방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인계된다.
따라서, 주사를 차단하여 빈 병을 교환할 수 있는데, 빈 병을 새로운 병으로 대체하고, 유연성 있고 탄력있는 점적실(42)의 벽에 손으로 압력을 가하여 주사액을 빨아들여 점적실을 채우는 것이 필요하며, 이 점적실을 새로운 병에 연결하는 가요성튜브(40)가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53)에 의해 조여지지 않는 반면에 다른 가요성튜브는 폐쇄되어야 한다.
이 시스템은 주사의 차단없이 한 명의 환자에게로 한 병 용량의 두 배까지 주사할 수 있는데, 이는 제 1병이 비어 있는 동안 제 2병으로부터 펌프질하기에 충분하다.
환자가 바뀔 때, 설명되고 도시된 모든 부재를 교환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단지 하류장치내의 모든 부재, 즉 연동 카세트(72)와 하류튜브(78)를 교환하는 것으로 충분한데, 연동 카세트(72)는 펌프가 폐색시키기 때문에 하류계통(70)내로 관통된 주사액이 상류계통(10) 쪽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연동 카세트(72)가 상류에서 하류까지 주사액을 펌프질하지 않을 때, 그 정지위치는 이를 통과한 가요성튜브(76)가 조여져 폐쇄되는 한편, 이 특성은 연동 카세트(72)가 이 연동 카세트(72)내에 수용된 튜브(76)를 폐색시키는 수단의 형태로 주사액의 회귀를 방지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연동 카세트(72)가 여러 환자들에게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동카세트가 모터 모듈내에 삽입될 때에 절단되는, 자동적으로 절단가능한 플라스틱 텅(80)을 구비한 안전 수단을 구비한다.
일단 플라스틱 텅(80)이 절단되면, 연동 카세트(72)의 추가사용은 텅(80)의 부재(不在)를 탐지하는 탐지시스템(82)에 의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연동카세트(72)가 모터 모듈내에 삽입될 때에 텅(80)이 절단되는 단계에 선행되는 중간위치에서 텅(80)의 부재가 탐지되면 주입장치 작동을 방지하는 전기 센서를 수용한다.
그렇지만, 텅(80)이 절단된 후 사용자가 연동 카세트(72)를 모터 모듈(84)내에 재삽입할 필요가 있을지라도 카세트가 한 번 사용되어질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텅(80)이 절단된 후 주사장치의 1회의 실제사용을 허용하는 타이머 또는 그 밖의 감시시스템을 탐지시스템내에 구비할 수 있고, 타이머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텅(80)이 절단된 후 주사를 시작할 임의의 기간이 주어진다.
텅(80)이 절단될 때 시간 측정이 시작되며 기간이 측정되는 동안 주사를 시작할 수 있는 한편, 일단 기간이 경과하면, 주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어떤 수단이 사용되든지, 탐지시스템(82)은 동일한 연동 카세트(72)가 제 2주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각의 공급원 또는 병(12)이 상이한 주사액을 공급할 수 있고, 이는 동일한 의학적 검사 동안 연속으로 상이한 두 물질을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하나의 응용이 핵자기 공명(NMR) 방사선 스캐닝인데, 한 주사액이 "대조액"으로 공지된 실효액인 반면, 다른 주사액은 일단 실효액 주사가 종료되면, 즉 실효액의 병이 빌 때나 통과된 실효액의 전체 양이 미리 결정된 값에 도달할 때면, 하류주입장치(70)에 잔존하는 실효액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예컨대 포도당 용액 또는 생리적 혈청제 같은 비활성 하제액이며, 이런 유형의 주사에서, 주사되는 실효액의 양은 작고, 가요성튜브(40)가 차단수단(53)에 의해 폐쇄된 후 그 하류의 파이프 기구내에 잔존하는 실효액의 대부분을 주사하는 것이 중요한데, 다른 병으로의 자동적인 전환은 하제액이 실효액의 병의 튜브(40)가 폐쇄된 시간에 하류주입장치(70)내에 수용된 실효액에 상응하는 실효액의 일부를 환자에게 비말동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는 방사선 스캐닝(X선이나 핵자기공명을 이용하는)과 같은 어떤 의학적 응용이나 검사에서, 같은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이행되고, 한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에게 빨리 재사용 가능하여서, 환자들 사이에서 주사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며, 주사액을 수용한 병을 교환할 때 주사액의 손실을 제한하여 다수의 환자에게 주사병의 모든 내용물을 사용하고, 각각의 환자에게 검사 동안 필요한 양의 주사액을 주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 튜브를 매개로하여 환자에게 주사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주사액의 독립적인 2개의 공급원(12)과; 제 1공급튜브(50)와 제 2공급튜브(50) 및 각각의 제 1과 제 2공급튜브(50)를 공급원(12) 중 하나에 연결하는 각각의 연결수단(16,36,40,42)을 구비하는 상류주입장치(10) 및; 하류튜브(78)와 주사액을 펌프질하는 펌프수단(72, 84)을 구비하고, 이 하류튜브(78)가 펌프수단(72,84)을 환자에게 연결하는 하류주입장치(70)를 구비하며; 상기 상류주입장치(10)는 펌프수단(72,84)에 연결가능한 제 1과 제 2공급튜브(50)에 고정되는 단일 커플링수단(54)을 추가로 구비하고; 각각의 공급원(12)에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53)과 공급원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탐지수단(51)이 추가로 제공되는 상기 주입장치에 있어서,공급원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탐지수단(51)이 상기 공급원(12)으로부터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53)을 폐쇄하고, 또한 다른 공급원(12)의 차단수단(53)이 개방되어 한 공급원(12)으로부터 다른 공급원으로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각각의 공급원은 주사병(12)이고, 상기 연결수단은 공급튜브(50)로부터는 상류이면서 차단수단(53)으로부터는 하류에 배치되는 점적실(點滴室,42)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점적실(42)의 용량이 완충 공급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1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이 공급원이 빈 것을 탐지하는 수단(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1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이 통과된 주사액의 양을 감시하는 수단(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72)이, 하류주입장치(70)내에 흐르는 주사액이 상류주입장치(10)내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회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수단(54)이, 각각 제 1과 제 2공급튜브(50) 중 하나에 고착되는 두 입구끝단과, 펌프수단(72)의 상류끝단(68)과 공조하는 밀봉수단(64)에 의해 폐쇄되는 제 3 또는 출구끝단(58)을 갖춘 T형상 내부덕트(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수단(54)이, 내부덕트(56)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면서, 주사액이 양쪽 입구끝단으로부터 출구끝단(58) 쪽으로 흐르거나, 한 끝단이 폐쇄되어 있는 동안 두 입구끝단 중 단지 다른 하나로부터 출구끝단(58) 쪽으로 흐를 수 있는 부분 폐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72)이 이를 관통하는 튜브(76)를 갖추며, 반회귀수단이 튜브(76)를 폐색(閉塞)하는 폐색수단으로 구성되면서 펌프수단(72)내에 수용되고, 펌프수단이 펌프질하지 않을 때 폐색수단이 튜브(76)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주사병을 관통하는 관통수단(16)을 구비하여, 주사액이 병으로부터 관통수단(16)의 하류부분과 탄력있는 가요성튜브(4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수단이, 내부덕트(20)로부터 상류의 경사진 공동(空洞)첨단(18)과 내부덕트(20)로부터 하류의 예슬릿된 라텍스(latex) 격막(34)을 갖춘 핀(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핀(16)이 공기 입구수단(2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실(42)이 기포 배출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과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튜브(40)가 점적실(42)로부터 상류에 배치되고, 상류종부(縱部,46)와 하류종부(48)로 구성되면서, 공급원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주사가 종료된 것을 탐지하는 수단(51)이 상류종부(46)와 일치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53)이 하류종부(48)와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2항과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이 빈 것을 탐지하는 수단이 공기 탐지기(51)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이 가요성튜브(40)를 조이는 조임수단(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실(42)이 필터수단(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실(42)이 배출구 마개수단(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72,84)이 이 펌프수단(72,84)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수단(80,8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80,82)이 자동적으로 절단가능한 부재(80)와 이 자동적으로 절단가능한 부재(80)의 부재(不在)를 탐지하는 탐지시스템(8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시스템(82)이, 시작점이 자동적으로 절단가능한 부재(80)가 절단될 때이면서, 그 타이머 기간 동안 주사가 시작되도록 허용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핀(16)은, 병(12)이 추가 고정수단 없이 수직하게 거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병(12)의 뚜껑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수단(18,24,26,28)을 추가로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6,36,40,42)의 일부와 커플링수단(54) 및 펌프수단(72)이, 고정과 주사액 흐름의 안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결합수단으로 상호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8항과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6,36,40,42)의 결합수단이 격막(34)으로 그 끝단에서 폐쇄되고 매듭수단(16)으로부터 하류에 원통형 종부(30)로 둘러싸인 원통형 벽(32)과, 또한 탄력있는 가요성튜브(40)로부터 상류에 축방향 공동첨단(38)을 갖춘 단단한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여서, 원통형 종부(30)와 단단한 원통형 부재(36) 사이의 신축적인 미끄러짐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 결합으로 공동첨단(38)이 격막(34)을 관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과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격막(64)으로 그 끝단에서 폐쇄되고 원통형 종부(60)로 둘러싸인 원통형 벽(62)을 추가로 구비하는 커플링수단(54)과, 공동첨단(68)을 갖춘 단단한 원통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펌프수단(72)으로 이루어져서, 원통형 종부(60)와 단단한 원통형 부재(66) 사이의 신축적인 미끄러짐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 결합으로 공동첨단(68)이 격막(64)을 관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핀(16)은, 외부 방사상 어깨부(27)에 의해 상류로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핀 몸체(29)를 추가로 갖추고, 핀 몸체(29)는 이 핀 몸체(29)를 둘러싸고 외부 어깨부(27)에 대하여 접합되는 환형부재(88)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64)이 펌프수단(72)의 상류끝단에 위치하는 공동첨단(68)을 탄성적으로 둘러싸는 예슬릿된 격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과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핀 몸체(29)의 원주는, 병(12)내에 수용된 주사액의 유형과 체적을 포함하는 코딩(coding)부를 갖추어 펌프수단(72,84)이 병(12)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72,74)은, 레일(90)과 적어도 하나의 홈을 수용하는 모터 모듈(84)과, 레일(90)에 상보(相補)적인 세로홈(77)과 그 자유끝단이 홈내로 삽입되는 걸쇠(7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력 있는 텅(tongue,73)을 갖춘 연동 카세트(72)를 구비하여서, 이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에 대해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모듈(84)은 추가로 출구축과 압력과 공기를 탐지하는 탐지수단을 구비하고, 연동 카세트(72)는 추가로 작동부(74)와 튜브(76)를 구비하며, 연동 카세트(72)가 모터 모듈(84)내에 위치할 때, 출구축과 탐지수단은 동시에 작동할 수 있어서, 출구축이 작동부(74)와 공조하고 탐지수단이 튜브(76)의 하류끝단부 주위에 위치를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 각각의 공급원(12)이 상이한 주사액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방법.
-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중 하나는 실효액이고, 다른 주사액은 실효액의 주사가 종료되었을 때 하류주입장치(70)내에 잔존하는 실효액을 환자에게로 주입하는 하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으로 작동가능한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9510094 | 1995-08-25 | ||
FR95/10094 | 1995-08-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3990A true KR19990043990A (ko) | 1999-06-25 |
Family
ID=948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1222A KR19990043990A (ko) | 1995-08-25 | 1996-08-20 | 연속으로 작동되는 주입장치와 방법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US (1) | US5968014A (ko) |
EP (1) | EP0846008B1 (ko) |
JP (2) | JPH11511346A (ko) |
KR (1) | KR19990043990A (ko) |
CN (1) | CN1131077C (ko) |
AT (1) | ATE216605T1 (ko) |
AU (1) | AU700190B2 (ko) |
CA (1) | CA2227973C (ko) |
CZ (1) | CZ56198A3 (ko) |
DE (1) | DE69620890T2 (ko) |
ES (1) | ES2175122T3 (ko) |
HU (1) | HUP9901390A3 (ko) |
NO (1) | NO980774L (ko) |
PL (1) | PL325202A1 (ko) |
RU (1) | RU2188672C2 (ko) |
WO (1) | WO19970078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56157B1 (en) * | 1995-04-20 | 2003-12-02 | Acist Medical Systems, Inc. | Infinitely refillable syringe |
FR2748310A1 (fr) | 1996-05-03 | 1997-11-07 | Debiotech Sa | Dispositif d'obturation par pincement d'un tube souple |
DE19723014A1 (de) * | 1997-06-02 | 1998-12-03 | Erwin Dr Schaefer |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Betrieb eines Kontrastmittelhochdruckinjektors für die Magnetresonanztomographie |
US6355024B1 (en) * | 1999-07-14 | 2002-03-12 | Mallinckrodt Inc. | Medical fluid delivery system |
SE523272C2 (sv) * | 1999-11-15 | 2004-04-06 | Aneo Ab | System vid intravenös anestesi för reglering av farmakatillförsel till en patient |
IT1316902B1 (it) * | 2000-06-09 | 2003-05-13 | Sidam Di Azzolini Graziano E C | Dispositivo medicale preassemblato monouso per la somministrazione apazienti di almeno due medicamenti in proporzioni prestabilite. |
US6485454B1 (en) * | 2000-10-13 | 2002-11-26 | Edward Yang | Automatic infusion set for continuously infusing liquid medicine of double bottles |
WO2002099499A1 (en) * | 2001-06-06 | 2002-12-12 | Gsi Lumonics Corporation | Expandable closed chamber etalon with contact bonded optical components |
US7540854B2 (en) * | 2001-07-10 | 2009-06-02 | Medrad, Inc. | Method of substituting a first fluid delivery device with a second fluid delivery device |
US7527608B2 (en) | 2002-08-12 | 2009-05-05 | Lma North America, Inc. | Medication infusion and aspiration system and method |
AU2004232858B2 (en) | 2003-04-23 | 2009-07-09 | Mannkind Corporation | Hydraulically actuated pump for long duration medicament administration |
JP2005131007A (ja) * | 2003-10-29 | 2005-05-26 | Nemoto Kyorindo:Kk | 薬液注入システム |
WO2006014425A1 (en) | 2004-07-02 | 2006-02-09 | Biovalve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glp-1 and uses thereof |
EP3006102A1 (en) | 2005-04-25 | 2016-04-13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Liner-based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with empty detection capability |
EP2388233B1 (en) | 2005-06-06 | 2017-02-08 |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processes |
RU2438719C2 (ru) | 2006-03-30 | 2012-01-10 | ВАЛЕРИТАС Инк. | Многокартрид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и |
JP4860365B2 (ja) * | 2006-06-19 | 2012-01-25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
JP5454897B2 (ja) * | 2007-02-26 | 2014-03-26 | ケアフュージョン 303、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自動中継ポンプ・システム |
US8083503B2 (en) | 2007-09-27 | 2011-12-27 | Curlin Medical Inc. | Peristaltic pump assembly and regulator therefor |
US7934912B2 (en) | 2007-09-27 | 2011-05-03 | Curlin Medical Inc | Peristaltic pump assembly with cassette and mounting pin arrangement |
US8062008B2 (en) | 2007-09-27 | 2011-11-22 | Curlin Medical Inc. | Peristaltic pump and removable cassette therefor |
US20100217178A1 (en) * | 2009-02-20 | 2010-08-26 | Baxter International Inc. | Prediction of peritoneal dialysis therapy outcomes using dialysates mixed at different glucose concentrations |
JP2012532807A (ja) | 2009-07-09 | 2012-12-20 |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実質的に剛性で折り畳み可能なライナー、フレキシブルな襠付きまたは襠無しライナー、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ライナーにおけるチョークオフ抑制方法 |
JP5829608B2 (ja) | 2009-07-29 | 2015-12-09 |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流体移行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
EP2504048A1 (en) * | 2009-11-27 | 2012-10-03 |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 Fluid management system |
CN101972504B (zh) * | 2010-11-09 | 2012-11-21 | 衣启武 | 静脉连续输液智能控制仪及应用方法 |
JP6087833B2 (ja) | 2010-11-23 | 2017-03-01 |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ライナーベースの分注器 |
FR2969507B1 (fr) * | 2010-12-24 | 2014-07-11 | Eveon | Dispositif pour melanger deux constituants |
BR112013022316A2 (pt) | 2011-03-01 | 2017-05-30 | Advanced Tech Materials | sistema baseado em revestimento interno, e, método para prover um sistema baseado em revestimento interno |
US20140224829A1 (en) | 2011-09-21 | 2014-08-14 | Bayer Medical Care Inc. | Continuous Multi-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
CA2859220C (en) | 2011-12-22 | 2020-05-05 | Icu Medical, Inc. | Fluid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20140276422A1 (en) * | 2013-03-14 | 2014-09-18 | Medrad, Inc. | Bulk fluid source injector systems |
JP6259113B2 (ja) | 2013-11-25 | 2018-01-10 |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点滴バッグに治療用流体を充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MX390270B (es) | 2014-01-10 | 2025-03-20 | Bayer Healthcare Llc | Conector para conjunto desechable de un solo uso. |
AU2016205275B2 (en) | 2015-01-09 | 2020-11-12 | Bayer Healthcare Llc | Multiple fluid delivery system with multi-use disposable set and features thereof |
CN104906647B (zh) * | 2015-07-13 | 2017-10-17 | 南通市第三人民医院 | 连续性血液净化中置换液流量匹配装置及流量匹配方法 |
AU2016365335B2 (en) | 2015-12-04 | 2021-10-21 | Icu Medical,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nsferring medical fluids |
SG11201804778RA (en) * | 2016-02-09 | 2018-07-30 | Bracco Injeneering S A | Method of operating an injection system |
CN105771025A (zh) * | 2016-04-09 | 2016-07-20 |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 自动输液设备及其控制方法 |
US11013857B2 (en) | 2016-07-06 | 2021-05-25 | Bayer Healthcare Llc | Contrast heating system with in-line contrast warmer |
USD851745S1 (en) | 2016-07-19 | 2019-06-18 | Icu Medical, Inc. | Medical fluid transfer system |
AU2017302557B2 (en) | 2016-07-25 | 2022-10-13 | Icu Medical,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pping air bubbles in medical fluid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
JP6923162B2 (ja) * | 2016-10-17 | 2021-08-18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輸液装置 |
USD917045S1 (en) | 2018-08-16 | 2021-04-20 |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 Slide clamp |
USD1004412S1 (en) | 2019-08-16 | 2023-11-14 |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 Slide clamp assembly |
ES1241959Y (es) * | 2019-10-10 | 2020-08-06 | Univ Politécnica De Catalunya | Dispositivo de perfusion para purgado de tratamiento farmacologico intravenoso |
JP6995150B2 (ja) * | 2020-01-15 | 2022-01-14 | 株式会社コメッツ | 輸液セット |
US11590057B2 (en) | 2020-04-03 | 2023-02-28 | Icu Medical, Inc. |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nsferring medical fluids |
CN111359034B (zh) * | 2020-05-06 | 2025-02-25 | 司小静 | 一种自动控制引流管开闭的引流袋 |
WO2023170680A1 (en) | 2022-03-08 | 2023-09-14 | Equashield Medical Ltd | Fluid transfer station in a robotic pharmaceutical preparation system |
CN115177813A (zh) * | 2022-07-30 | 2022-10-14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用于静脉输液设备的多输液袋连接装置和静脉输液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95260A (en) * | 1981-06-01 | 1983-07-26 | Sorenson Research Co., Inc. | Drip chamber |
CA1257165A (en) * | 1984-02-08 | 1989-07-11 | Paul Epstein | Infusion system having plural fluid input ports and at least one patient output port |
JPH019577Y2 (ko) * | 1985-02-26 | 1989-03-16 | ||
US4687423A (en) * | 1985-06-07 | 1987-08-18 | Ivac Corporation | Electrochemically-driven pulsatile drug dispenser |
JPS6363470A (ja) * | 1986-09-03 | 1988-03-19 | 医療法人 蒼龍会 | 生理食塩水の補給制御装置 |
US4925444A (en) * | 1987-08-07 | 1990-05-15 |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 Closed multi-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
WO1992011881A1 (en) * | 1990-12-27 | 1992-07-23 | Block Medical, Inc. | Closed system for iv site flush |
US5322500A (en) * | 1991-05-09 | 1994-06-21 | Cardio Pulmonary Supplies, Inc. | Variable ratio blood-additive solution device and delivery system |
DE4137837C1 (ko) * | 1991-11-18 | 1992-10-29 |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De | |
AU662203B2 (en) * | 1992-04-03 | 1995-08-24 | Baxter International Inc. | Improved transfer set |
US5328463A (en) * | 1992-09-18 | 1994-07-12 | Namic U.S.A. Corporation | Contrast media and fluid introduction system |
JPH06277282A (ja) * | 1993-03-30 | 1994-10-04 | Terumo Corp | 輸液剤自動切換装置 |
DE4333266A1 (de) * | 1993-09-27 | 1995-03-30 | Guenther Dipl Ing Jacob | Infusionsmaschine mit Zubehör |
EP0650739B1 (en) * | 1993-10-28 | 2003-02-26 | Medrad, Inc. | Total system for contrast delivery |
-
1996
- 1996-08-20 WO PCT/FR1996/001297 patent/WO1997007842A1/fr active IP Right Grant
- 1996-08-20 HU HU9901390A patent/HUP9901390A3/hu unknown
- 1996-08-20 US US09/029,130 patent/US596801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20 CN CN96196524A patent/CN1131077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20 PL PL96325202A patent/PL325202A1/xx unknown
- 1996-08-20 ES ES96929349T patent/ES2175122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20 CZ CZ98561A patent/CZ56198A3/cs unknown
- 1996-08-20 AU AU68781/96A patent/AU700190B2/en not_active Ceased
- 1996-08-20 AT AT96929349T patent/ATE21660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8-20 JP JP9509905A patent/JPH11511346A/ja active Pending
- 1996-08-20 KR KR1019980701222A patent/KR199900439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08-20 RU RU98105151/14A patent/RU2188672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8-20 CA CA002227973A patent/CA2227973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20 EP EP96929349A patent/EP0846008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20 DE DE69620890T patent/DE69620890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2-24 NO NO980774A patent/NO980774L/no unknown
-
2007
- 2007-05-31 JP JP2007145999A patent/JP498843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620890T2 (de) | 2002-11-07 |
HUP9901390A3 (en) | 1999-11-29 |
HUP9901390A2 (hu) | 1999-08-30 |
EP0846008B1 (fr) | 2002-04-24 |
AU700190B2 (en) | 1998-12-24 |
JP2007313331A (ja) | 2007-12-06 |
AU6878196A (en) | 1997-03-19 |
DE69620890D1 (de) | 2002-05-29 |
NO980774L (no) | 1998-04-24 |
MX9801495A (es) | 1998-08-30 |
JPH11511346A (ja) | 1999-10-05 |
CN1131077C (zh) | 2003-12-17 |
WO1997007842A1 (fr) | 1997-03-06 |
US5968014A (en) | 1999-10-19 |
RU2188672C2 (ru) | 2002-09-10 |
EP0846008A1 (fr) | 1998-06-10 |
NO980774D0 (no) | 1998-02-24 |
CA2227973C (en) | 2007-01-16 |
PL325202A1 (en) | 1998-07-06 |
ATE216605T1 (de) | 2002-05-15 |
ES2175122T3 (es) | 2002-11-16 |
JP4988438B2 (ja) | 2012-08-01 |
CZ56198A3 (cs) | 1998-07-15 |
CN1193919A (zh) | 1998-09-23 |
CA2227973A1 (en) | 1997-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43990A (ko) | 연속으로 작동되는 주입장치와 방법 | |
EP1578478B1 (en) | Self-sealing male luer connector with biased valve plug | |
US6010463A (en) | Fluid sample collection and introduction device and method | |
US5094820A (en) | Pump and calibration system | |
RU98105151A (ru) | Непрерывно дей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ивания и способ | |
EP1214037B1 (en) | Apparatus for conditioning mammalian blood | |
US5348706A (en) |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 |
JPH07509A (ja) | 薬液注入装置 | |
US6802892B2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ditioning organic fluid | |
US5122126A (en) | Nozzle member provided with sealing membrane | |
KR101815632B1 (ko) | 약액 주입용 여과기 | |
EP0247213A1 (en) | Filter for eliminating air | |
JP4783714B2 (ja) | 血液成分採取装置 | |
US20230347042A1 (en) | Contrast medium injection device and injection line kit | |
KR101968150B1 (ko) |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장치를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수액병 복합체 | |
KR102003431B1 (ko) |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부를 갖는 수액팩 복합체 | |
JP7144465B2 (ja) | 造影剤注入装置及び注入ラインキット | |
MXPA98001495A (en) | Device and injection procedure that can work in const | |
KR101597193B1 (ko) | 의료용 연결기 | |
RU2828660C2 (ru) | Соединитель сменного комплекта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02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9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