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8988A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988A
KR19990038988A KR1019970058905A KR19970058905A KR19990038988A KR 19990038988 A KR19990038988 A KR 19990038988A KR 1019970058905 A KR1019970058905 A KR 1019970058905A KR 19970058905 A KR19970058905 A KR 19970058905A KR 19990038988 A KR19990038988 A KR 1999003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tient
motor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926B1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장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호 filed Critical 장재호
Priority to KR101997005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9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바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자환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전원스위치(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상부에 시트(13)가 재치되며, 이 시트(13)에는 일측이 승하강하여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13)이 꺽이는 부분(21)에 일측으로 모터(22)를 설치하고, 이 모터(22)의 모터축(23)의 양단에 구동기어(24)를 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기어(25)와 맞물리게 설치한 시트승하강수단(20)와, 이 시트승하강수단(20)에 의하여 환자가 앉졌을 때 히프의 위치의 시트(13)에 커버(31)를 가지는 용변구(3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오수배출관(33) 및 비데작동모터(34)를 가지는 좌변기(35)를 브라케트(36)로 시트(13)의 저면에 고정하고, 상기 좌변기(35)에는 외부와 연결된 용수공급관(36)은 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용수통(37)과 좌변기(35)의 비데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비데작동모터(34)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용수통(37)에는 좌변기(35)에 연결되고, 용수공급모터(39)를 가지는 연결관(40)이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A bed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거동이 불편환 환자들이 침대에서 바로 용변 및 소변을 보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환자의 오물 뒷처리가 용이하고, 환자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용 침대(50)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에 승.하강하는 보호프레임(51)이 설치되고, 이 보호프레임(51)사이에 환자가 누울수 있는 시트(54)가 재치되며, 일측으로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탁자(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50)에 있어서, 거동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 환자용 침대(50)에서 내려와 화장실로 가서 대.소변의 용변을 볼 수 있어 불편한 점은 없으나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는 화장실로 갈 수 없어 상기 환자용 침대(50)위에서 대변과 소변을 보게 되므로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대.소변의 용기를 따로 준비하여 그때그때 사용하여야 할 뿐만아니라 대.소변을 처리하는 것이 환자의 보호자가 간병중 가장 어려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대변과 소변을 보고자 할 때에 환자의 보호자 없는 경우에는 환자가 심한 고통을 느낄뿐만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그 자리에서 대.소변을 봄으로 인하여 상기 환자용 침대가 비위생적이고, 이를 환자의 보호자가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환자용 침대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바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스위치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시트가 재치되며, 이 시트에는 일측이 승하강하여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이 꺽이는 부분에 일측으로 모터를 설치하고, 이 모터의 모터축의 양단에 구동기어를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한 시트승하강수단와, 이 시트승하강수단에 의하여 환자가 앉졌을 때 히프의 위치의 시트에 커버를 가지는 용변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오수배출관 및 비데작동모터를 가지는 좌변기를 브라케트로 시트의 저면에 고정하고, 상기 좌변기에는 외부와 연결된 용수공급관은 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용수통과 좌변기의 비데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비데작동모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용수통에는 좌변기에 연결되고, 용수공급모터를 가지는 연결관이 연결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단면도.
도 3 는 종래의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자용 침대. 11. : 전원스위치.
12. : 프레임. 13. : 시트.
20. : 승하강수단. 21. : 꺽이는 부분.
22. : 모터. 23. : 모터축.
24. : 구동기어. 25. : 고정기어.
31. : 커버. 32. : 용변구.
33. : 오수배출관. 34. : 비데작동모터.
35. : 좌변기. 36. : 용수공급관.
37. : 용수통. 39. : 용수공급모터.
40. : 연결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10)은 전원스위치(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상부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시트(13)가 재치되며, 이 시트(13)에는 일부분이 승하강하여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승하강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시트승하강수단(20)은 시트(13)이 꺽이는 부분(21)에 일측으로 모터(22)를 설치하고, 이 모터(22)의 모터축(23)의 양단에 구동기어(24)를 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기어(25)와 맞물리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시트승하강수단(20)은 모터 또는 유압.공압실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시트(13)가 승하강할 때의 속도는 환자가 놀라지 않을 정도의 저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13)가 시트승하강수단(20)에 의하여 환자가 앉졌을 때 히프의 위치에 커버(31)를 가지는 용변구(3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오수배출관(33) 및 비데작동모터(34)를 가지는 좌변기(35)를 브라케트(36)로 시트(13)의 저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좌변기(35)에는 외부와 연결된 용수공급관(36)은 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용수통(37)과 좌변기(35)의 비데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비데작동모터(34)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용수통(37)에는 좌변기(35)에 연결되고, 용수공급모터(39)를 가지는 연결관(40)이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1 은 상기 용수통(37)에 용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통상의 부구이며, 43 은 전원스위치(11)와 연동되고, 환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부분의 시트(13)에 설치되어 시트승하강수단(20), 비데작동모터(34) 및 용수공급모터(39)와 보호자의 호출 및 작동시킬 수 있는 동작스위치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일반가정이나 병원의 병실에 설치되는 환자용 침대(10)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중 환자가 대변이나 소변을 보고자 할 때에 동작스위치부(43)에서 시트승하강수단(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시트승하강수단(20)의 모터(22)가 동작함과 동시에 모터축(23)도 같이 회전함으로 상기 모터축(23)의 양단에 고정된 구동기어(24)가 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기어(25)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꺽이는 부분(21)를 중심으로 시트(13)가 환자가 앉은 위치에 까지 상승한다.
한편, 환자는 시트(13)에 형성된 용변구(32)의 커버(31)를 열고 앉은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게 되며, 이는 환자용 침대(10)의 저면에 브라케트(36)에 의하여 고정된 좌변기(35)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13)에 설치된 동작스위치부(43)에서 비데작동모터(34)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상기 비데작동모터(34)의 동작으로 용수공급관(36)으로 공급되는 용수가 좌변기(35)내의 비데를 통하여 배출됨으로 환자는 뒷처리를 깨끗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위와 같이 환자가 뒷처리를 행한 후 시트(13)에 설치된 동작스위치부(43)에서 용수공급모터(39)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용수공급관(36)을 거쳐 용수통(37)에 저장된 용수를 상기 용수공급모터(39)에 의하여 연결관(40)거쳐 좌변기(35)로 보내짐으로 좌변기(35)내의 오물은 오수배출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뒷처리를 끝낸 후 다시 동작스위치부(43)에서 시트승하강수단(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시트승하강수단(20)의 모터(22)가 동작함과 동시에 모터축(23)도 같이 회전함으로 상기 모터축(23)의 양단에 고정된 구동기어(24)가 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기어(25)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꺽이는 부분(21)를 중심으로 시트(13)가 하강하여 환자가 누울 수 위치까지 하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바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자환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를 함으로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스위치(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상부에 시트(13)가 재치되며, 이 시트(13)에는 일측이 승하강하여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13)이 꺽이는 부분(21)에 일측으로 모터(22)를 설치하고, 이 모터(22)의 모터축(23)의 양단에 구동기어(24)를 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기어(25)와 맞물리게 설치한 시트승하강수단(20)와, 이 시트승하강수단(20)에 의하여 환자가 앉졌을 때 히프의 위치의 시트(13)에 커버(31)를 가지는 용변구(3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오수배출관(33) 및 비데작동모터(34)를 가지는 좌변기(35)를 브라케트(36)로 시트(13)의 저면에 고정하고, 상기 좌변기(35)에는 외부와 연결된 용수공급관(36)은 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용수통(37)과 좌변기(35)의 비데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비데작동모터(34)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용수통(37)에는 좌변기(35)에 연결되고, 용수공급모터(39)를 가지는 연결관(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19970058905A 1997-11-08 1997-11-08 환자용 침대 KR10025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05A KR100256926B1 (ko) 1997-11-08 1997-11-08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05A KR100256926B1 (ko) 1997-11-08 1997-11-08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88A true KR19990038988A (ko) 1999-06-05
KR100256926B1 KR100256926B1 (ko) 2000-05-15

Family

ID=1952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905A KR100256926B1 (ko) 1997-11-08 1997-11-08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3A (ko) 2019-06-05 2020-12-15 김후영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3756A (ko) 2023-06-07 2024-1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수 처리가 관장되는 환자용 침대의 배변 분쇄 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3A (ko) 2019-06-05 2020-12-15 김후영 목욕 가능한 환자용 침대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926B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7029B2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US4631762A (en) Hospital bed with toilet facility
KR200343449Y1 (ko) 환자용 침대
KR0168326B1 (ko)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KR100256926B1 (ko) 환자용 침대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CN107242941A (zh) 具有冲水集便功能的护理机器人
KR200251954Y1 (ko) 환자용 침대
JP2558894B2 (ja) 駆動便器
CN217744859U (zh) 一种具有自动护理如厕功能的护理床
US20100011496A1 (en) Comfort seat and commode device for a wheel chair and the like
US20040168252A1 (en) Care bed used commonly for bathing and toileting
KR100242089B1 (ko) 환자용침대
JP3612979B2 (ja) 昇降便器装置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KR200150559Y1 (ko) 수세식 변기가 설치된 병원용 침상
JPH10211117A (ja) 簡易便器装置
CN214208719U (zh) 一种带有集便器的医用护理床
KR100307722B1 (ko)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KR200422803Y1 (ko) 거동이 불편한 환자용 침대
JP3076664U (ja) 介護用水洗トイレ装置
KR200229206Y1 (ko) 변기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JP2969557B2 (ja) 介護用浴槽
KR20100033058A (ko)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