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6597A -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597A
KR19990036597A KR1019980032980A KR19980032980A KR19990036597A KR 19990036597 A KR19990036597 A KR 19990036597A KR 1019980032980 A KR1019980032980 A KR 1019980032980A KR 19980032980 A KR19980032980 A KR 19980032980A KR 19990036597 A KR19990036597 A KR 1999003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haft
recording medium
support
winding
sepa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332B1 (ko
Inventor
히로시 나리타
케니치로 아라이
마사히코 야마다
나오키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3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41J13/16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movable for insertion or releas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5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by deformation of an elastic or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Winding Of Webs (AREA)
  • Unwinding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긴 기록매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프린터용 권취축에 관한 것으로서, 축본체, 권취부, 지지분리부재를 포함한다. 권취부는 축본체를 협지하는 동시에 기록급지를 감는다. 축본체는 한쌍의 지지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이것은 축본체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축본체의 2개의 측면부에는 2개의 지지분리부재가 지지되어 각 지지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 사이에는 인장코일 스프링이 연계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2개의 지지분리부재는 기립상태를 유지한다. 기록급지의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록급지가 가볍게 회전할 때 최내측주변 기록급지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2개의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다. 그 결과, 최내측주변 기록급지는 축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뜨게되어 권취축으로부터 기록급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본 발명은 저널 급지 등과 같은 기록매체를 감는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계 등에서 판매 및 창조적인 경영기법을 위해 가격, 물품명 등이 인쇄된 저널 급지를 비치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권취축을 이용해 저널 급지를 감은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프린터의 일예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6에 있어서의 프린터(101)는 도트 임패트형 프린터로서 현금등록기 등과 함께 설치된다. 이 프린터(101)는 프린터본체(103), 클램쉘 모빌부(clamshell mobile part)(104) 및 권취기구(105)를 포함한다. 프린터본체(103)에는 리본카세트(10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린터본체(103)의 상부 부근의 어느 지점에 클램쉘 모빌부(10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권취기구(105)는 프린터본체(103) 후방에 배치된다. 프린터 헤드(도시하지않음) 등에 의해 인쇄되는 저널 급지 등과 같은 기록급지(106)는 급지이송기구(107)에 의해 클램쉘 모빌부(104)의 상향으로 이송되고, 이후 인쇄교정을 위해 기입용 베이스(108)의 평판부(108a)를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권취기구(105)의 권취축(109)에 감긴다.
권취축(109)은 캔티레버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디스크형 권취 플랜지(111)가 지지판(110)측 상에서 권취축(109) 일부에 고정된다. 또, 지지판(110) 측 상에서 권취축(109)의 선단부에 구동기어(112)가 고정된다. 권취축(109)은 기어열(14) 및 권취축(109)에 고정된 기어(112) 사이의 마물림결합을 통해 구동 및 회전된다. 기어열(114)은 권취벨트(113)에 의해 구동 즉 회전되며, 권취벨트(113)는 프린터본체(103)의 급지이송기구에 이동가능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프린터(101)에 있어서, 기록급지(106)를 감은 후 권취축(109)으로부터 기록급지(106)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록급지(106)가 타이트하게 감기게되므로 그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즉, 기록급지(106)는 권취축(109)에 고착되어 그 중앙부가 죽순과 같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권취축의 외경을 변경시킬 수 있는 급지권취장치가 제안되었다(일본국실용신안공개 제1980-66156호 참조). 그러나, 종래장치에서는 권취축의 외경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축방향으로 권취축에 외력을 가해야만한다. 이 외력은 기록급지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과는 상이하다는 점에서 종래장치를 작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권취축 및 급지권취장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으로 감긴 기록매체를 분리할 수 있는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권취축을 포함한 권취기구가 그 권취특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감긴 기록급지를 간단한 동작으로 분리할 수 있는 권취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 도 1에 나타낸 프린터의 평면도.
도 3 - 도 2에 나타낸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 도 1의 프린터에서 그 후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상세 평면도.
도 7 -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내부구조의 개략도.
도 8a -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b -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 -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에 사용되는 유지부재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구도조.
도 1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 상세 평면도.
도 11 -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 -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 상세 평면도.
도 14 -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 정면구조도.
도 15 -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 상세 평면도.
도 16a -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b -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 -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 평면구조도.
도 19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를 그 앞면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20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를 평면도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21 -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 -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 -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 정면단면도.
도 24 - 본 발명의 제7실시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 정면단면도.
도 25 -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7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주요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6 - 종래 프린터의 일예로서,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 - 코일스프링 대신에 철편 및 자석이 사용되는 권취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구조도.
도 28a 내지 도 28d - 본 발명에 따른 권취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축은 축본체, 권취부 및 지지분리부재를 가지며, 축본체를 협지하는 권취부가 기록매체를 감는다. 축본체에는 지지분리부재가 배치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 보다 상기 권취축부의 축에 가까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분리부재와 접촉한 상기 기록매체가 이동할 때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다.
권취부에 감긴 기록매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록매체를 잡아당기는데 사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지지분리부재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 기록매체의 권취직경이 감소한다. 그 결과 권취부에 감긴 최내측주변 기록매체는 권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뜨게 된다. 즉, 최내측주변 기록매체는 권취부의 외주부에 대해 느슨해진다. 따라서 감겨진 상태의 기록매체는 권취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며, 기록매체부분이 상호 변위될 가능성도 없다.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권취축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권취축부에 감긴 기록매체가 재감기는 방향,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 재감기는 방향 및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조합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중에서 선택된다.
감긴 기록매체가 그 재감기는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거나, 감긴 기록매체가 권취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감긴 기록매체가 권취부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권취축에 감긴 최내측주변 기록매체가 권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뜨게 된다. 즉, 권취부의 외주에 대해 최내측주변 기록매체는 느슨해져 기록매체가 권취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축은 상기 권취축부의 주변에 배치된 슬리브형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슬리브형 작동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여 기록매체를 감을 수 있다. 작동부재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분리부재에 외력을 가한다.
기록매체가 분리될 때 작동부재는 기록매체와 함께 이동하여, 기록매체 및 작동부재 모두로부터 지지분리부재에 외력에 가해진다. 그 결과 지지분리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기록매체를 느슨한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위치에 위치한다. 즉, 권취축에 기록매체가 감길 때 기록매체에 의해서는 지지분리부재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기록매체가 분리될 때 지지분리부재는 원활하게 이동하여 기록매체가 느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플랜지 및 기록매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플랜지는 상기 권취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의 측면쪽과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를 안내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 보다 상기 권취플랜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변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분리부재로부터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하고,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할 때 상기 권취축의 축으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지지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분리부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권취축에 기록매체가 감길 때 기록매체 지지부에 의해 권취축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기록매체가 감기므로 권취축까지의 기록매체 반송을 안정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매체의 용적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개선된 상태로 감을 수 있다.
또,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다수의 지지분리부재로 구성된다. 권취축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기록매체가 감길 수 있고, 권취축의 축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분리부재가 배치되므로 권취축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권취부의 외주변으로부터 기록매체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매체를 권취축으로부터 용이하고도 효율성 있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쇄헤드, 급지이송기구, 권취축 및 권취축기구를 포함하는 프린터를 제공한다. 인쇄헤드는 프린터본체에 장착되어 기록매체를 인쇄하고, 급지이송기구는 상기 인쇄헤드에 의해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를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며, 권취축은 전술한 내용과 같은 구성이며, 권취축기구는 상기 급지이송기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권취축에 감도록 작용한다. 즉, 권취축에 감긴 인쇄기록매체는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록매체를 대체시키는데 매우 효율성 있는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권취기구 및 이 권취기구를 이용한 프린터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선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프린터 후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는 도트 임팩트형 프린터로서 금전등록기 등에 장착된다. 프린터(1)는 프린터본체(3), 클램쉘 모빌부(4), 권취기구(5)를 포함하며, 프린터본체(3)에는 리본카세트(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클램쉘 모빌부(4)는 프린터본체(3)의 상부 후방부 부근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프린터본체(3) 후방부에는 권취기구(5)가 배치된다.
프린터본체(3)는 인쇄기구(도시하지않음), 급지이송기구(도시하지않음), 구동모터(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인쇄기구는 인쇄헤드(6)(도 2 참조)를 수반하는 캐리지를 2개 시트의 기록급지(7)(8)(도 2 참조)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급지이송기구(도시하지않음)는 기록급지(7)(8)를 인쇄위치로 이송하며, 이 인쇄위치에서 기록급지가 인쇄헤드(6)에 의해 인쇄된다. 구동모터(9)는 인쇄기구 및 급지이송기구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동원이다.
한편, 클램쉘 모빌부(4)는 플래튼(10), 급지이송기구(13), 자동절단기구(14), 상측급지안내부(15)를 포함한다. 급지이송기구(13)는 급지이송롤러(11) 및 급지유지롤러(12)를 포함하며, 급지유지롤러(12)는 급지이송롤러(11)에 대해 기록급지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자동절단기구(14)는 급지이송기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수증시트로서의 기록급지(8)를 절단한다. 또, 상측급지안내부(15)는 수지로 형성되고, 여러 가지 기본적인 부품들이 함께 장착되어 있다.
상측급지안내부(15)에는 돌출부(도시하지않음)가 형성되어 프린터본체(3)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않음)에 결합된다. 돌출부가 구멍에 결합될 때 클램쉘 모빌부(5)용 회전중심축(16)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터본체(3)의 상부에는 클램쉘 보빌부(4)가 장착되어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클램쉘 모빌부(4)는 급지통로(20)를 노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급지통로(20)는 상측급지안내부(15)와 하측급지안내부(19)에 의해 형성되어 프린터본체(3)의 후방부에 형성된 급지이송개구(17)(18)로부터 인쇄위치까지 뻗어있다. 도 3에 있어서, 실선은 클램쉘 모빌부(4)의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2점쇄선은 클램쉘 모빌부(4)의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급지이송개구부(17)(18)는 클램쉘 모빌부(4)의 후방부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판매 또는 경영전략을 위해 비축한 저널급지와 같은 기록급지(7)가 급지이송개구(17)로 공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터본체(3)의 후방하부에 기록급지(7)가 배치된다. 또, 기록급지(7)의 선단부는 급지이송개구(17)로부터 이송되어 급지통로(20)를 통해 인쇄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기록급지(7)는 인쇄된 후 연속하여 방출개구(21)로부터 반출되어 클램쉘 보빌부(4)의 상부에 배치된 기입베이스(22)를 통과하고, 이후 권취기구(5)의 권취축(23) 둘레에 감긴다.
권취축(23)은 캔티레버 방식으로 지지판(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지지판(24)은 프린터본체(3)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한편, 디스크형 권취플랜지(25)는 지지판(24)측에 가까운 권취축(23) 부분에서 함께 일체로 형성되고, 구동용 기어(26)는 지지판(24) 측에 가까운 권취측(23)의 선단부에서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기어열(28)과 기어(26) 사이의 맞물림결합에 의해 권취축(23)은 구동 또는 회전가능하며, 여기서 기어(26)는 전술한 바와같이 권취축(23)의 선단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기어열(28)은 권취벨트(27)에 의해 구동 또는 회전될 수 있고, 권취벨트(27)는 프린터본체(3)의 급지이송기구(13)에 이동가능하게 연계된다. 또, 권취축(23)은 경사져서 권취축(23)의 권취플랜지(25)가 없는 측의 급지이송통로 단부길이는 권취플랜지(25)가 있는 급지이송통로의 단부길이 보다 길다. 이 경우 후술하겠지만 급지의 구부러짐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게되므로 권취축(23)의 경사각을 도 26의 종래구조에 비해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고객에게 배부될 영수증 등의 기록급지(8)는 급지이송개구(18)로 반송된다. 기록급지(7)와 유사한 다른 기록급지(8)는 급지통로(20)를 통과하여 인쇄위치로 도착한다. 인쇄된 후 기록급지(8)는 클램쉘 모빌부(4)의 상부면에 형성된 영수증방출개구(29)로부터 상향으로 이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외관 평면도, 도 6은 그 상세 평면도, 도 7은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는 지지분리부재가 제1위치에 있고,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동작 설명도, 도 8b는 지지분리부재가 제2위치인 상태(즉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동작 설명도, 도 9는 유지부재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구조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축(23)은 수지물질 등으로 형성되며, 특히 권취축(23)은 그 회전중심부를 둘러싸는 축본체(231), 축본체(231)를 협지하는 한쌍의 권취부(232)(233)를 포함한다. 축본체(231) 및 권취부(232)(233)는 함께 권취축부(230)를 형성한다. 여기서, 권취부(232)(233)는 축본체(231)를 둘러싸는 형태이고, 권취부(232)(233)의 각 표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그 형상이 항상 원호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축본체(231)는 상호대향하는 한쌍의 사각형 평판부재(231a)(231b)를 포함하며, 그 중앙부에 배치된 리브(231c)(도 7)는 보강작용을 한다. 또다른 리브(231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분리부재(234)(235)는 축본체(231)의 2개의 측변부에의해 각각 지지되며, 각각의 지지축(234a)(235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분리부재(234)(235)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236)이 배치된다. 지지분리부재(234)(235)에 외력이 가해질 때 화살표R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장코일스프링(236)이 회전한다. 그 결과 지지분리부재(234)(235)는 그 고정용 돌출부(234c)(235c)가 권취축(231)의 내면에 접하여 각각 기립하며, 이에대해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같다. 또, 지지분리부재(234)(235)의 지지부(234b)(235b)는 축본체(231)의 측변부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는 도 8b의 기립위치로부터 기록급지(7)의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만 내려온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235)가 축본체(231)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도 5, 도 6, 도 9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U형단면을 가진 한쌍의 유지부재(237)(238)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기록급지(7)가 도 8a에 나타낸 바와같이 감기면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235)가 각각 기립한다. 즉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235)는 각각 축본체(231)로부터 돌출한다.
기록급지(7)를 권취축(23)으로부터 분리하려면 먼저 권취축(23)을 프린터(1)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기록급지(7)를 손으로 잡고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즉 화살표 R방향으로) 권취축(23)에 대해 가볍게 회전시킨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235)는 이후 기록급지(7)의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로부터 외력(즉 마찰력)으로 인해 화살표R방향으로 낙하한다(도 8b 참조). 그 결과, 권취축부(230)에 감긴 최내측 부변부 기록급지(7a)는 축본체(231)의 외주면(231d)으로부터 들뜨는 상태가 된다. 즉, 기록급지(7a)는 외주면(231d)에 대해 느슨해지고, 감긴 기록급지(7)는 권취축(2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10 -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축의 제2실시예로서, 도 10은 그 외관 평면도, 도 11은 내부구조의 개략도. 도 12는 주요 동작의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은 부품은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 도 12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취축(23A)에도 지지분리부재(234)가 배치되며, 이것은 상기 제1실시예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축본체(231)의 일측부에는 지지분리부재(234)가 지지되어 그 지지축(234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 지지분리부재(234)의 발톱부(234d)와 축본체(231)의 타측에 형성된 발톱부(231d)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36)이 연계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기록급지(7)를 권취축(23A)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권취축(23A)을 먼저 프린터(1)로부터 분리하고, 손으로 기록급지(7)를 파지한 후 권취방향과 반대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가볍게 회전시킨다. 이후 지지분리부재(234)가 외력(마찰력)에의해 기록급지(7)의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로부터 화살표R 방향으로 낙하한다(도 12 참조). 그 결과, 권취축부(230) 둘레에 감긴 기록급지(7)의 최내측주변부(7a)는 축본체(231)의 내주면(231d)으로부터 들뜨게된다. 즉,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가 외주면(231d)에 대해 느슨해져 기록급지(7)는 권취축(23A)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권취축이 제1실시예에 사용된 권취축보다 구조상 단순하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제1실시예는 2개의 지지분리부재(234)(235)를 가지고 있는 반면, 제2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지지분리부재(234)만 필요하다. 그 밖의 나머지 부분 및 그 동작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3은 그 평면도, 도 14는 요부구조 정면도, 도 15는 요부 평면도, 도 16a는 주요동작 설명도, 도 16b 및 도 17은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동작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에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배치되며, 이것은 권취축(23B)의 축N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지지분리부재(239)(240)는 각각 축본체(23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지지되어 각 지지축(239a)(240a)를 중심으로 각각 자유롭게 회전한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236)이 연계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스피링(236)은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를 기립시키고, 그 각각의 지지부(239d)(240d)를 축본체(231)의 측면부로부터 돌출시킨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측면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권취축(23B)에 고정부(230c)가 형성된다. 그 결과,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는 각각 도 16a의 기립상태에서부터 기록급지(7)의 분리방향(도 17의 화살표 B, C방향)으로만 낙하할 수 있다.
위와같은 구조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 16a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록급지(7)는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가 각각 기립한 상태에서 권취축(23B)둘레에 감긴다. 즉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각 지지부(239d)(240d)는 축본체(231)로부터 돌출한다.
기록급지(7)가 권취축(23B)으로부터 분리될 때 권취축(23B)은 먼저 프린터(1)로부터 분리된다. 기록급지(7)를 손으로 잡고 축본체(231)의 선단방향(화살표A방향)으로 가볍게 회전시킨다. 그리고, 기록급지(7)의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가 화살표A방향으로 하강한다(도 16b 및 도 17 참조). 그 결과, 권취축부(230) 둘레에 감긴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가 축본체(231)의 외주면(231d)으로부터 들뜨게 된다. 즉,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는 외주면(231d)에 대해 느슨해지며,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게 되어 감긴 기록급지(7)가 권취축(23B)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 밖에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의 요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에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실시예와 유사한 지지분리부재(239)(240)가 축본체(23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되면서, 각 지지축(239a)(240a)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4실시예에서 각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경사각도는 축N과 각 지지축(239a)(240a)의 회전축 간의 각도θ가 약 45°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8 참조).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권취축(23C)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분리할 때는 먼저 권취축(23C)을 프린터(1)에서 분리한다. 이후 기록급지(7)를 손으로 잡고 기록급지을 감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볍게 돌린다. 이와는 달리 축본체(231)의 선단방향(도 18의 화살표A 방향)으로 기록급지(7)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그 결과,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로부터 가해진 외력이 각 지지분리부재(239)(340)를 하강시키게되어 권취축부(231) 둘레에 감긴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가 축본체(231)의 외주면(231d)로부터 들뜬다. 즉, 기록급지(7a)는 축본체(231)의 외주면(231d)에 대해 느슨해지고(도 16b 참조),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록급지(7)는 권취축(2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 밖에 나머지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을 나타내며, 도 19는 정면방향으로 볼 때 요부 부분단면도, 도 20은 평면방향으로 볼 때 요부 부분단면도, 도 21은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동작 설명도, 도 22는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동작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권취축(23D)에 있어서는 축본체(231)의 상부 및 하부에 한쌍의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배치된다.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분리부재(239)(240)는 기록급지(7)의 분리방향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권취부(232)(233)로 구성된 권취축부(230)의 주변에는 슬리브형 작동부재(241)가 끼워진다. 한편,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각 지지부(239d)(240d)는 구멍(241a) 및 작동부재(241)로부터 돌출하며, 각 구멍(241a)은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같이, 작동부재(241)의 선단부는 권취플랜지(25)의 베이스부(25a)에 형성된 홈(25b) 내에 끼워진다. 또, 2개의 권취부(232)(233)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안내부(232a)(233a)를 따르는 축본체(230)의 축N 방향으로 작동부재(241)의 선단부가 미끄러진다. 또, 작동부재(241)의 내주면에는 고정용 돌기(241b)가 형성된다. 즉 도 21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본체(231)에 형성된 고정용 홈(231e)의 벽부(231f)와 고정용 돌기(241b) 간의 결합에 의해 작동부재(241)는 축본체(23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부재(241)로부터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각 지지부(239d)(240d)가 돌출한 상태에서 기록급지(7)가 권취축(23D)에 감긴다(도 21 참조). 그 결과,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각 지지부(239d)(240d) 상에 기록급지(7)가 지지된 상태에서 기록급지(7)가 작동부재(241)에 감길 수 있다.
권취축(23D)으로부터 기록급지(7)가 분리될 때 먼저 권취축(23D)이 프린터(1)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손으로 기록급지(7)를 잡고 축본체(231)의 선단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최내측주변 기록급지(7a)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작동부재(241)가 이동하게된다(도 22 참조). 또, 2개의 지지부재(239)(240)는 기록급지(7a)와 작동부재(241) 모두의 이동에 기인하여 동일한 방향 즉 화살표A 방향으로 하강한다.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는 작동부재(241)의 구멍(241a)의 개방단부에 대해 가압되므로 작동부재(241)의 내측부로 들어가게된다. 그 결과 작동부재(241)의 외주변에 감긴 최내측기록급지(7a)가 들뜨게된다. 즉, 기록급지(7a)는 작동부재의 외주변에 대해 느슨해진다. 따라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록급지(7)는 권취축(23D)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기록급지(7)가 분리될 때 작동부재(241)가 기록급지(7)와 함께 이동하므로 기록급지(7) 뿐만아니라 작동부재(241)에서도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 (240)에 외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기록급지(7)를 더욱 확실히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이에따라 기록급지의 분리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된다. 그 밖의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간단한 동작으로 권취축(23D)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권취축(23D)이 감긴 기록급지(7)를 권취축(23D)의 둘레방향으로 간단하게 회전시키거나 축N방향으로 간단히 잡아당겨 권취축(23D)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을 도시한 것으로, 그 정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권취축(23E)에서는 축본체(23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권취플랜지(25)와 반대되는 곳에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배치된다. 선행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록급지(7)의 분리방향이되는 권취축(23E)의 축N 방향으로 지지분리부재(239)(240)가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권취플랜지(25) 측에 배치된 2개의 기록급지 지지부(251)는 각각 권취축(23E)과 일체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제1위치에서 지지분리부재(239)(24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제6실시예에 있어서, 기록급지(7)는 지지분리부재(239)(240)의 지지부(239d)(240d)와 기록급지 지지부(251)(252) 사이에 연계된 상태로 권취축(23E)에 감기며, 그 감기는 상태는 권취축(23E)의 축과 평행하다.
권취축(23E)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분리할 때는 먼저 프리터(1)로부터 권취축(23E)을 분리한다. 선행 제3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배치되므로 도 17에 나타낸 방법으로 지지분리부재(239)(240)가 내려온다. 그 결과, 감긴 이후 기록급지의 측면쪽이 죽순과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록급지가 분리된다. 각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올 때까지 이미 감긴 기록급지(7)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권취축의 축N 방향으로 기록급지(7)가 이동할 때는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적합하다. 권취축의 축N 방향은 기록급지 지지부와 같은 방향이다.
기록급지(7)의 폭이 90mm 이하일 때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기록급지 지지부(251)(252)의 길이L1을 15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길이L1이 작을수록 권취축(23E)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분리하는 효율이 높다. 그러나, 급지폭이 크면 권취축의 축과 평행하게 기록급지를 감기가 어렵게된다. 또, 기록급지(7)의 타단부로부터 제6실시예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길이L2가 약 10mm로 설정된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기록급지 지지부(251)(252)는 권취플랜지(25)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기록급지 지지부(251)(252)를 권취플랜지(25)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특히 기록급지(7)의 폭을 증대시킬 때 지지분리부재(239)(240) 사이의 간격을 길게하면 권취축(23E)과 평행하게 기록급지(7)를 감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같은 경우에, 지지분리부재(239)(240)의 위치를 이동시켜 균형을 잡고 그 결과로 권취축과 평행한 상태로 기록급지(7)를 감는다. 그러나, 기록급지 지지부가 권취플랜지(25)로부터 상호 떨어져 형성된 경우는 기록급지(7)가 접촉될 수 있는 기록급지 지지부의 각 접촉부(251a)의 길이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권취축으로부터 기록급지(7)를 분리시키기위한 효율이 크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권취축에 관한 것으로서, 도 24는 그 정단면도, 도 25는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온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동작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는 선행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취플랜지(25) 상의 축본체(23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권취축(23F)에 지지분리부재(239)(240)를 배치한다.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록급지 분리방향인 권취축(23F)의 축방향N으로 지지분리부재(239)(240)가 하강한다. 권취플랜지(25)의 반대측에 지지분리부재(239-1)(240-1)가 배치되며,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기록급지 분리방향인 권취축(23F)의 축N 방향으로 하강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7실시예에 따르면, 기록급지(7)는 지지분리부재(239)의 지지부(239d)(239d-1) 사이에 연계된 상태로 권취축(23F)에 감긴다. 또 기록급지(7)는 지지분리부재(240)의 지지부(240d)(240d-1) 사이에도 연계되며, 그 감기는 상태는 권취축(23F)의 축N과 평행하다. 제7실시예에 의해 기록급지가 감긴상태는 선행 제6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권취축(23F)(프린터(1)로부터 분리된 상태)으로부터 감긴 기록급지(7)가 분리될 때 지지분리부재가 권취플랜지(25) 측에 배치되므로 도 25에서와 같이 지지분리부재가 하강한다. 그 결과 감긴후 기록급지(7)의 측면쪽이 죽순과 같이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록급지(7)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6실시예 보다 더욱 기록급지를 분리하기 위한 효율이 향상된다.
그 밖에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선행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분리부재가 축방향으로 내려올 때 뿐만아니라 권취축의 둘레방향으로 내려올 때도 상기 슬리브형 작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권취축의 축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지지분리부재가 내려올 때도 슬리브형 작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지지분리부재가 회전하면서 내려와서 기록급지의 권취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기록급지를 분리하기위해 사용하는 외력에 의해 지지분리부재를 미끄러지게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캔티레버 방식으로 지지되는 형태의 권취축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2개의 단부가 지지되는 형태의 권취축, 양측에 권취플랜지를 배치한 형태의 권취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캔티레버 방식으로 권취축이 지지될 때 본 발명은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되는 스프링이 코일스프링임을 나타내고 있지만 평판형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스프링 대신에 2개의 지지분리부재(239)(240)의 각 바닥에 철편(239e)(240e)을 매립하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본체에 자석(254)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분리부재(239)(240)는 자석(254)에 의해 부착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기립한다. 기록급지가 권취축(23B)으로부터 분리될 때 지지분리부재(239)(240)는 전술한 바와같이 하강한다.
또,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도 28a의 개략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권취부(232)(233)에 의해 축본체(231)가 샌드위치되는 형태의 권취축에 대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들어 도 28b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지 1개만의 권취부(232)를 권취축에 적용시킬 수 도 있다. 또, 도 28c 및 도 28d와 같이 축본체 및 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도트 임팩트형 프린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역학 프린터, 잉크 제트 프린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스프링이 코일스프링임을 가정하고 있지만 평판형 스프링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권취축에 감긴 인쇄기록매체를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를 재배치하기위한 효율이 매우 높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고, 기록급지가 권취축에 양호하게 감기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기록매체 시트를 감는 권취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감는 권취축부와,
    상기 권취축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지분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 보다 상기 권취축부의 축에 가까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분리부재와 접촉한 상기 기록매체가 이동할 때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권취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권취축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권취축부에 감긴 기록매체가 재감기는 방향,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 재감기는 방향 및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조합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중에서 선택되는 권취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부의 주변에 배치된 슬리브형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슬리브형 작동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분리부재에 외력을 가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슬리브형 작동부재에 감기게되는 권취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위치에 위치하는 권취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위치에 위치하는 권취축.
  6. 제2항에 있어서,
    권취플랜지 및 기록매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플랜지는 상기 권취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의 측면쪽과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를 안내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 보다 상기 권취플랜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변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분리부재로부터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할 때 상기 권취축의 축으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지지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분리부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권취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다수의 지지분리부재로 구성되는 권취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부의 주변부에 배치된 슬리브형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슬리브형 작동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지지분리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분리부재에 외력을 가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슬리브형 작동부재에 감기는 권취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위치에 위치하는 권취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위치에 위치하는 권취축.
  11. 제1항에 있어서
    권취플랜지와 기록매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플랜지는 상기 권취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의 측면쪽과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를 안내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 보다 상기 권취플랜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변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분리부재로부터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기록매체 지지부는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가능할 때 상기 권취축의 축으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지지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분리부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권취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부에 장착된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권취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다수의 지지분리부재로 구성되는 권취축.
  13. 프린터본체에 장착되어 기록매체를 인쇄하는 인쇄헤드와,
    상기 인쇄헤드에 의해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를 연속적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급지이송기구와,
    권취축과,
    상기 급지이송기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권취축에 감도록 작용하는 권취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축은
    상기 기록매체를 감는 권취축부와,
    상기 권취축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지분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 보다 상기 권취축부의 축에 가까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분리부재와 접촉한 상기 기록매체가 이동할 때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프린터.
  14. 프린터본체에 장착되어 기록매체를 인쇄하는 인쇄헤드와,
    상기 인쇄헤드에 의해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를 연속적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급지이송기구와,
    권취축과,
    상기 급지이송기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권취축에 감도록 작용하는 권취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축은
    상기 기록매체를 감는 권취축부와,
    상기 권취축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지분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분리부재가 상기 권취축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기록매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 보다 상기 권취축부의 축에 가까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분리부재와 접촉한 상기 기록매체가 이동할 때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지지분리부재는 권취축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권취축부에 감긴 기록매체가 재감기는 방향, 상기 권취축의 축방향, 재감기는 방향 및 권취축의 축방향을 조합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중에서 선택되는 프린터.
KR1019980032980A 1997-10-02 1998-08-14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KR100804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24497 1997-10-02
JP1997-270244 1997-10-02
JP20678298A JP3719334B2 (ja) 1997-10-02 1998-07-22 巻取り軸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1998-206782 1998-07-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505A Division KR100771269B1 (ko) 1997-10-02 2006-03-27 권취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97A true KR19990036597A (ko) 1999-05-25
KR100804332B1 KR100804332B1 (ko) 2008-07-17

Family

ID=265158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980A KR100804332B1 (ko) 1997-10-02 1998-08-14 권취축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KR1020060027505A KR100771269B1 (ko) 1997-10-02 2006-03-27 권취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505A KR100771269B1 (ko) 1997-10-02 2006-03-27 권취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106175A (ko)
EP (1) EP0906883B1 (ko)
JP (1) JP3719334B2 (ko)
KR (2) KR100804332B1 (ko)
CN (1) CN1160200C (ko)
DE (1) DE69816214T2 (ko)
HK (1) HK1018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284B2 (en) * 2000-11-02 2009-04-14 Danfoss A/S Dielectric composi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electric composite
CN101239679B (zh) * 2007-02-06 2012-06-0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绕轴和使用该卷绕轴的打印机
TWI348972B (en) * 2008-10-08 2011-09-21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CN101722744B (zh) * 2008-10-22 2011-05-04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介质承载装置
US20110038657A1 (en) * 2009-08-16 2011-02-17 Moshe Benizri Print System
US8228641B2 (en) * 2009-11-03 2012-07-24 Seagate Technology Llc Controlling mechanical distortion in a member
JP5113889B2 (ja) * 2010-08-05 2013-01-0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機器および巻取アタッチメント
JP5776875B2 (ja) * 2011-02-15 2015-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118516B2 (ja) * 2012-07-24 2017-04-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103381718B (zh) * 2013-07-02 2015-12-23 苏州威仕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幅面打印机的卷绕架的卷筒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6089A (en) * 1937-05-26 1939-04-25 Maurice G Hinnekens Chuck
US3018977A (en) * 1958-08-27 1962-01-30 Dagens Nyheters Aktiebolag Driving mandrel for rolls of paper in printing and similar machines
US3360208A (en) * 1965-07-26 1967-12-26 Juan L Winkler Apparatus for winding textile threads
US4143829A (en) * 1978-02-27 1979-03-13 Martin Automatic, Inc. Core chuck
JPS5566156A (en) * 1978-11-13 1980-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mote control unit
US4496114A (en) * 1981-07-22 1985-01-29 Hiroshi Kataoka Winding shaft provided on surface with spool fixing rollers
FR2612904B1 (fr) * 1987-03-27 1990-03-09 Sireix Broche pour devidoir de bobines
US4978082A (en) * 1988-03-29 1990-12-18 Teijin Seiki Co., Ltd. Bobbin holder
US4911376A (en) * 1988-09-14 1990-03-27 Thompson Johnnie W Expandable shaft
DE69032842T2 (de) * 1989-05-08 1999-06-02 Mitsubishi Denki K.K., Tokio/Tokyo Drucker
DE3927915A1 (de) * 1989-08-24 1991-02-28 Schloemann Siemag Ag Haspeldorn mit notentspreizung fuer einen bandhaspel
US5460339A (en) * 1993-11-23 1995-10-24 Drew; Julius Locking winding shaft
JPH0825825A (ja) * 1994-07-08 1996-01-30 Ricoh Co Ltd ロール状感熱孔版マス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65918A (ja) 1999-06-22
EP0906883A1 (en) 1999-04-07
HK1018891A1 (en) 2000-01-07
DE69816214T2 (de) 2004-04-15
CN1160200C (zh) 2004-08-04
DE69816214D1 (de) 2003-08-14
KR100804332B1 (ko) 2008-07-17
KR100771269B1 (ko) 2007-10-29
US6328490B1 (en) 2001-12-11
KR20060035678A (ko) 2006-04-26
CN1213614A (zh) 1999-04-14
EP0906883B1 (en) 2003-07-09
JP3719334B2 (ja) 2005-11-24
US6106175A (en) 2000-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269B1 (ko) 권취축
CN100469587C (zh) 可拆卸地安装到一色带盒上的色带装置
US6504564B1 (en) Ink ribbon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printer
US5917533A (en) Thermal line printer
JPH0356349A (ja) 記録装置
CN1331684C (zh) 带有色带防松弛机构的色带盒
JP2000508284A (ja) ロール支持ハブ
TWI225830B (en) Winding core for ink ribbon, winding core set for ink ribbon, ink ribbon cassette, and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JP2024063482A (ja) プリンタ
JP2006306511A (ja) ロール紙頭出し機構、給紙カセット、及びプリンタ
JP3031450B2 (ja) 印字用カセット
JP2007160801A (ja)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05881A (ja) リボンカセット
JP2001205906A (ja) リボンカセット
CN1935526A (zh) 色带盒和色带盒体
JP3782275B2 (ja) リボンカセット
RU2071918C1 (ru) Подзаряжаемая кассета с красящей лентой и зарядный блок для кассеты
WO1987006884A1 (en) Ribbon cassette
JP7275620B2 (ja) プリント用メディアの組合体、嵌合部材及び梱包物
JP2013124141A (ja) ロール保持部材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2001130075A (ja) インクリボン保持用カートリッジ
WO2020044542A1 (ja) プリンタ
JP3033283B2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紙装填方法
JPS6073875A (ja) 画像形成装置
JP3570245B2 (ja) インクリボンホルダ及び熱転写式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14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031

Appeal identifier: 2006101001770

Request date: 2006022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10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27

Effective date: 200710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10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227

Decision date: 20071031

Appeal identifier: 200610100177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3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