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6421U -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421U
KR19990036421U KR2019980002291U KR19980002291U KR19990036421U KR 19990036421 U KR19990036421 U KR 19990036421U KR 2019980002291 U KR2019980002291 U KR 2019980002291U KR 19980002291 U KR19980002291 U KR 19980002291U KR 19990036421 U KR19990036421 U KR 19990036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ge
corners
car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02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421U/ko
Publication of KR19990036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21U/ko

Link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지내의 바닥에 하중 검출수단을 부착하여 케이지에 실리는 하중을 검출함으로써 하중 검출수단이 받는 무리한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지(11)의 내부 바닥(1)에 모서리 4개소 또는 대각 방향의 2개소에만 로드 셀(2)을 부설하고 (이때 나머지 모서리 부에는 등가의 탄성 지지 수단(3)을 부설하는 방식으로 하중 검출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4개 모서리로부터의 대각선상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4개소에 역시 등가의 탄성지지수단(3)을 부설하여 그 상부에 진정한 스텝부인 바닥판(4)을 부설함으로써, 승객의 발디딤에 따른 처짐이 없는 지지 안정감을 도모케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본 고안은 일반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지내의 바닥에 하중 검출수단을 부착하여 케이지에 실리는 하중을 검출함으로써 하중 검출수단이 받는 무리한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구축된 승강로 상을 승강 하는 카(CAR)에 승객을 실어 각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장치로써,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유압식으로 카를 승강되게 한 것도 있으나, 통상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권상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권상식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설치상태는 도 1에서와 같이 승강로 상부의 기계대(100)에 설치되는 모터(M)의 구동력이 감속기(210)를 거쳐 구동 시브(220)를 구동시킴에 따라 시브홈과 와이어 로프(W)와의 마찰력에 의해 카(10)를 승강시키는 권상기(200)와, 기계대(1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보조 시브(230)를 걸쳐 와이어 로프(W)의 반대쪽에 걸어진 균형추(20)와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면서 카(10)의 승강을 이룬다.
한편, 이때 상기 카(10) 및 균형추(20)는 승강로 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고, 이렇게 승강되는 카가 각 층의 정확한 위치에 착상되도록 보상 체인(300)이 카(10)와 균형추(20)의 저부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이런 상황에서 카 측의 하중은 승객의 탑승 하중과 승강로 내 카(1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임의의 층에 정지해 있던 카(10)가 출발하기 위해 권상기(200)의 브레이크 장치(도시 안됨)를 개방하는 순간 카(10)측과 균형추(20)측의 하중 차이를 보상해 주지 않으면 엘리베이터의 출발시 충격이 발생하게 되므로 승차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카(10)측에 센서를 부착하여 케이지(11)에 탑재된 하중을 검출하고, 이 검출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역방향 토크를 구동 시브(210)에 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기동시의 충격을 억제하는 하중 보상 방법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적재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는 종래 차동 트랜스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검출 정도의 향상을 위하여 로드 셀 등의 하중 검출센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하중 감지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서와 같이 포괄적 개념의 카(10)에서 승객이 탑승하는 실내체인 케이지(11)의 저면과 카(10)의 하부 프레임(12) 사이의 4곳에 방진고무(13)를 두고, 그 상부로 하중 검출수단인 로드 셀(14A)을 얹어 승객의 타고 내림에 따른 하중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대각의 두 곳만 로드 셀(14A)을 설치하고, 나머지 두 곳에는 등가의 탄성지지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하중 검출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 2b는 종래 다른 구성 예로써, 하중 검출수단인 로드 셀(14B)을, 카(10)를 매단 와이어 로프(W) 즉 메인 로프를 지지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5A, 15B) 사이에 취부하여 케이지(11)에 하중이 실릴 때, 이 두 개의 플레이트(15A, 15B) 사이에 설치된 로드 셀(14B)에 의해 하중을 측정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2a는 케이지(11)를 하중 검출수단인 로드 셀(14A)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지(11)에 승객이 타고 있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케이지 자체의 하중을 로드 셀(14A)이 감당해야 한다.
따라서 로드 셀(14A)의 용량은 케이지(11)의 정격 적재 용량보다 더 큰 것을 사용해야 하므로 그 만큼 비용도 증가한다.
한편, 도 2b에서와 같은 방식은 로드 셀(14B)이 케이지(11)는 물론 카(10) 전체와 보상 체인(300)의 하중까지 감당해서 지지해야 하므로, 검출 정도에 비해 과다하게 큰 용량의 로드 셀(14B)을 사용해야 한다는 과도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런 종래 두 가지 기술은 모두 하중 설치 수단인 로드 셀의 설치 및 보수에 따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로프식 엘리베이터용 하중 검출장치가 케이지 또는 보상 체인 등의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검출 수단인 로드 셀의 용량이 커짐에 따른 과다한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에 추가되는, 즉 승객의 출입에 따른 하중 부담 정도의 로드 셀 용량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하중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지의 내부 바닥에 모서리 4개소 또는 대각 방향의 2개소에만 로드 셀을 부설하고 (이때 나머지 모서리 부에는 등가의 탄성지지수단을 부설하는 방식으로 하중 검출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4개 모서리로부터의 대각선상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4개소에 역시 등가의 탄성지지수단을 부설하여 그 상부에 진정한 스텝부인 바닥판을 부설함으로써, 승객의 발디딤에 따른 처짐이 없는 지지 안정감을 도모케 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 개략도.
도 2a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2b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카의 다른 예를 보인 하중 검출장치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중 검출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용 카의 측면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카 11: 케이지
1: 바닥 2: 로드 셀
3: 탄성지지수단 4: 바닥판
이하에서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중 검출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용 카의 측면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엘리베이터의 카측과 균형추 측의 무게보상을 위한 수단으로 카측의 하중을 센싱하는 하중 검출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케이지(11)의 내부 바닥(1)의 모서리 4개소 또는 대각 방향의 2개소에만 로드 셀(2)을 부설하고 (이때 나머지 모서리 부에는 등가의 탄성지지수단(3)을 부설하는 방식으로 하중 검출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4개 모서리로부터의 대각선상의 임의 위치의 내측으로의 4개소에 역시 등가의 탄성지지수단(3)을 부설하고, 그 상부에 진정한 스텝부인 바닥 판(4)을 부설하여 승객의 발디딤에 따른 처짐이 없는 지지 안정감을 도모케 한다.
즉, 케이지(11)의 바닥(1,4)을 2중으로 만들고, 그 사이에 하중 검출수단인 로드 셀(2)과 탄성지지 수단(3)을 취부하며 나머지 구성은 종래의 2a도와 같은 구조이다.
도 4a는 2중 바닥구조를 확대한 단면의 도면이고, 도 4b는 그 평면도로써 11a는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가이드 레일의 센타 라인이고, 11b는 케이지(11)의 좌우 중심축이다.
그리고 12a와 12b는 11a와 11b의 교점을 지나는 케이지 바닥(1,4)의 대각선이다.
상기 로드 셀(2) 및 탄성지지수단(3)은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12a,12b)의 임의의 선상에 취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카(10)가 정지시 승객이 탑승하는 케이지(11) 바닥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의 바닥판(4)이다.
따라서 상부 바닥판(4)에 탑승객의 하중이 적재되면 로드 셀(2)과 탄성지지 수단(3)으로 구성된 하중 검출장치가 하중을 검출하며, 상기 로드 셀(2)을 케이지 바닥(1,4)의 대각선(12A,12B)상에 취부함으로써, 하중의 분포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하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검출 하중 값은 케이지(11) 또는 보상 체인(300) 등의 하중이 부가되지 않고, 케이지(11) 내부의 바닥판(4)과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의 하중만이 부가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적재 용량에 맞게 하중 검출수단인 로드 셀(2)의 용량을 결정하여 취부할 수가 있다.
또한 로드 셀(2)과 탄성지지수단(3)의 설치 후,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로드 셀과 이 탄성지지수단을 교체 또는 수리 할 경우에는 조립된 상부 바닥판(4)을 들어올린 후, 교체 또는 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도 용이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일반 로프식 엘리베이터용 하중 검출장치가 케이지 또는 보상 체인 등의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검출수단인 로드 셀의 용량이 커짐에 따른 과다한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에 추가되는, 즉 승객의 출입에 따른 하중 부담 정도의 로드 셀 용량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로드 셀의 교체 또는 수리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카측과 균형추 측의 무게보상을 위한 수단으로 카측의 하중을 센싱하는 하중 검출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케이지(11)의 내부 바닥(1)의 모서리 4개소 또는 대각방향의 2개소에만 로드 셀(2)을 부설하고, 나머지 모서리 부에는 등가의 탄성지지수단(3)을 부설하며, 상기 4개 모서리로부터의 대각선상의 임의 위치의 내측으로 4개소에 역시 등가의 탄성지지수단(3)을 부설하고, 그 상부에 진정한 스텝부인 바닥판(4)을 부설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KR2019980002291U 1998-02-20 1998-02-20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KR199900364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91U KR19990036421U (ko) 1998-02-20 1998-02-20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91U KR19990036421U (ko) 1998-02-20 1998-02-20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21U true KR19990036421U (ko) 1999-09-27

Family

ID=6971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91U KR19990036421U (ko) 1998-02-20 1998-02-20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4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8C (zh) 电梯负荷的测定方法与装置
EP2043938B1 (en) Elevators
KR20000022580A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KR20030051900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7021405B (zh) 电梯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9990036421U (ko) 엘리베이터용 카의 하중 검출장치
JP37978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226052A (ja) エレベータの昇降体重量測定方法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81947B1 (ko)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EP1717185B1 (en) Elevator
JP2002003118A5 (ko)
KR100923174B1 (ko) 하중 측정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302364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かご間隔調整装置
JP460177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JP2001302134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2001226056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6807717U (zh) 一种有机房客梯升层改无机房客梯结构
JP2008207939A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
CN210953657U (zh) 单梁静载试验的加载装置
WO2024094291A1 (en) A load measurement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a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2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