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4337U - 크로스 타입 핸드폰 - Google Patents

크로스 타입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337U
KR19990034337U KR2019980000647U KR19980000647U KR19990034337U KR 19990034337 U KR19990034337 U KR 19990034337U KR 2019980000647 U KR2019980000647 U KR 2019980000647U KR 19980000647 U KR19980000647 U KR 19980000647U KR 19990034337 U KR19990034337 U KR 19990034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phone main
sides
flexib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2019980000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337U/ko
Publication of KR19990034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337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로스 타입의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부와 송신부를 구비한 핸드폰 본체로부터 수신부를 구비한 수신부 몸체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핸드폰 자체의 크기를 콤팩트화하여 취급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하부에 각각의 단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단턱의 중앙부에는 송신부를 형성시키며, 좌,우 양측으로는 레일을 형성시키되, 이의 내부에는 수신부 몸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의 마모방지와 속도조절을 위한 롤러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였으며, 다이얼부의 상부에는 플렉시블 와이어가 설치되어 이 플렉시블 와이어가 작용시(플렉시블 와이어가 접었다 펴졌다할 때) 이를 안내 및 수용하도록 요홈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 상,하에는 스톱퍼 볼을 수용하며 안착시키는 스톱퍼볼 안착부를 형성시켜서된 핸드폰본체와, 상기 핸드폰본체와 결합되며 핸드폰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져 롤러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딩되도록 내측 양측에 가이드를 형성시켰고, 중앙부에는 스톱퍼 볼을 삽입설치 하였으며, 양측으로는 핸드폰본체의 요홈에 연결설치된 플렉시블 와이어의 끝단부를 연결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핸드폰 본체내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형성시켜서된 수신부 몸체를 상호 연결설치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크로스 타입 핸드폰
본 고안은 크로스 타입의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부와 송신부를 구비한 핸드폰 본체로부터 수신부를 구비한 수신부 몸체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핸드폰 자체의 크기를 콤팩트화하여 취급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들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플립형 핸드폰으로서 다이얼부(14) 및 송신부(12)와, 수신부(13)가 핸드폰본체(10)에 구비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핸드폰본체(10)의 저부에 형성된 플립(11)을 연다음 통화 또는 전화를 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송,수신부 및 다이얼부(12)(13)(14)를 핸드폰 본체(10)에 구비시킨 플립형 핸드폰은 크기를 콤팩트화 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고, 그에따른 취급 및 휴대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미설명부호 (15)는 안테나이고. (16)은 액정화면부. (17)은 밧데리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형 핸드폰 외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도면미도시)들은 다이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부피가 플립형 핸드폰보다 더크므로 취급 및 휴대가 불편함은 물론, 휴대중에 각종 기능의 버튼들이 눌려지게 되어 그에따른 예기치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들중에 국내 모사에서 제작된 핸드폰은 사용할때에 송신부를 구비한 핸드폰 본체로부터 수신기부를 갖는 덮개를 약간 밀어올리는 기능이 있으나 이는 핸드폰의 ON,OFF 기능일 뿐 그 외의 기능은 갖고있지 않으며 부피가 너무커서 취급 및 휴대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송신부와 다이얼부를 구비한 핸드폰 본체로부터 수신부를 구비한 수신부 몸체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작하여 통화자가 사용할 때(전화통화시) 송신부는 사람의 입에 최대한 근접하게하고, 수신부는 사람의 귀에 최대한 근접하게 하여 송,수신을 정확하게 할수 있으며, 핸드폰 자체의 크기로 콤팩트화 함으로서 휴대를 간편하게 한 크로스 타입의 핸드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특징은 상,하부에 각각의 단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단턱의 중앙부에는 송신부를 형성시키며, 좌,우 양측으로는 레일을 형성시키되, 이의 내부에는 수신부 몸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의 마모방지와 속도조절을 위한 기어식롤러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였으며, 다이얼부의 상부에는 플렉시블 와이어가 설치되어 이 플렉시블 와이어가 작용시(플렉시블 와이어가 접었다 펴졌다하는 작용) 이를 안내 및 수용하도록 요홈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 상,하에는 스톱퍼 볼을 수용하며 안착시키는 스톱퍼볼 안착부를 형성시켜서된 핸드폰본체와, 상기 핸드폰본체와 결합되며 핸드폰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져 롤러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딩되도록 내측 양측에 기어이빨이 형성된 가이드를 형성시켰고, 중앙부에는 스톱퍼 볼을 삽입설치 하였으며, 양측으로는 핸드폰 본체의 요홈에 연결설치된 플렉시블 와이어의 끝단부를 연결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핸드폰 본체내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형성시켜서된 수신부 몸체를 상호 연결설치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립형 핸드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크로즈타입 핸드폰의 플렉시블 와이어 작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수신부몸체가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수신부몸체 개폐시 수신부몸체고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의한 부호의 설명〉
20 : 핸드폰 본체 21.21a : 단턱
22 : 송신부 23 : 레일
24 : 롤러 25 : 안테나
26 : 다이얼부 27 : 요홈
27a : 돌출부 27b : 공간부
28 : 플렉시블 와이어 29 : 스톱퍼볼 안착부
30 : 수신부 몸체 31 : 스톱퍼 볼
32 : 가이드 33 : 수신부
34 : 밀음부 35 : 덮개부
본 고안의 도 2는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크로스타입 핸드폰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크로즈타입 핸드폰의 플렉시블 와이어 작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수신부 몸체가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크로즈타입 핸드폰 수신부 몸체 개폐시 수신부몸체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다이얼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본체(20)의 저부와 상부에는 각각의 단턱(21)(21a)을 형성시켜 수신부 몸체(30)와 완전 결합시 긴밀한 체결력과 밀폐력을 갖도록 하였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단턱(21)의 중앙부에는 송신부(22)를 형성시키며, 상기 핸드폰 본체(20)의 좌,우 양측으로는 레일(23)을 형성시키되, 이의 내부에는 수신부 몸체(30)가 레일(23)을 따라 상.하슬라이딩될 때 가이드(32)의 마모방지와 수신부 몸체(30)의 슬라리딩 속도조절을 위한 기어식 롤러(24)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였고, 다이얼부(26)의 상부에는 플렉시블 와이어(28)가 설치되어 이 플렉시블 와이어(28)의 절첩시(접었다 펴졌다할 때) 이를 안내 및 수용하도록 요홈(27)을 형성시켰다.
또한 핸드폰 본체(20)의 상,하에는 스톱퍼 볼(31)을 수용하며 안착시키는 스톱퍼볼 안착부(29)를 형성시켜 수신부 몸체(30)를 상부로 밀어올리거나 하부로 내려 고정시킬때에 수신부 몸체(30)내측 중앙부에 설치된 스톱퍼 볼(31)이 상기 스톱퍼볼 안착부(29)에 긴밀히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한편 수신부 몸체(30)는 핸드폰 본체(20)와 결합되며, 핸드폰 본체(20)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23)에 끼워져 롤러(24)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딩되도록 내측 양측에 가이드(32)를 형성시켰고, 상기 수신부 몸체(30)내측 중앙부에는 스톱퍼볼(31)을 삽입설치 하였으며, 양측으로는 핸드폰 본체(20)의 요홈(27)에 연결설치된 플렉시블 와이어(28)의 끝단부를 연결 설치하였다.
그리고 수신부 몸체(30)의 상부에는 핸드폰 본체(20)내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35)를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수신부 몸체(30)외측 저부에는 밀음부(34)를 약간 돌출되게 형성시켜 수신부 몸체(30)를 상부로 밀어올릴때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25)는 안테나이고, (B)는 밧데리이며,(36)은 액정화면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전화가 걸려와 수신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핸드폰 본체(20)와 수신부 몸체(30)가 결합된상태)에서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수신부 몸체(3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되면 송신부(22)와 수신부(33)간의 거리가 확장되면서 통화자의 귀와 입에 송신부(22)와 수신부(33)가 최대한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수신부 몸체(30)를 상부로 밀어올릴때에는 수신부 몸체(30)의 저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밀음부(34)를 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수신부 몸체(30)의 가이드(32)가 레일(23)에 설치된 롤러(24)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되면 플렉시블 와이어(28)는 도 5a와 같은 상태(접혀진상태)에서 도 5b와 같은 상태(펴진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는 핸드폰본체(20)에 형성된 요홈(27)내에서 작용(접혔다 펴졌다하는상태)이 이루어지고,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접혀지거나 펴지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내에는 신호를 주고받는 선과 전원을 통전시키는 선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 몸체(30)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에서 수신부 몸체(30)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수신부 몸체(3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스톱퍼 볼(31)이 핸드폰 본체(20)의 상부 상측에 형성된 스톱퍼볼 안착부(29)에 긴밀히 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부 몸체(30)가 도 8a와 같이 핸드폰 본체(20)에 형성된 다이얼부(26)를 덮을때(핸드폰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역시 핸드폰 본체(20)의 상부 하측에 형성된 스톱퍼볼 안착부(29)에 스톱퍼 볼(31)이 안착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력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핸드폰 본체(20) 양측에 형성된 레일(23) 내측에 기어식 롤러(24)를 설치한 이유는 수신부 몸체(30)가 슬라딩 될 때에 원활하고 정확한 슬라이딩을 이루게 함은 물론, 가이드(32)의 마모를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핸드폰 본체(20)와 수신부 몸체(30)와의 통전은 플렉시블 와이어(28)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5a와 같은 상태나 도 5b와 같은 상태에서도 항상 전원이 끈기지 않고 통전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와이어(28)는 요홈(27)내에서 퍼지거나 접어지기 때문에 사용도중 수신부 몸체(30)의 내측면과 마찰이 없어 훼손의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가 접어지거나 펴질때에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의 보호를 위하여 요홈(27)에 돌출부(27a)와, 공간부(27b)를 형성시킴으로써 플렉시블 와이어(28)의 안전한 접힘 및 펴짐을 유도할 수 있다.
단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가 도 5b에서와 같이 펴진 상태에서 접혀질때에는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28)의 중앙부가 구부러지면서 공간부(27b)로 약간 들어가게 되는바, 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공간부(27b)를 형성한 것이고, 돌출부(27a)는 도5a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플렉시블 와이어(28)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 플렉시블 와이어(28)의 거리를 확보해 줌은 물론,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크로스 타입 핸드폰은 핸드폰 본체(20)의 상부와 하부에 단덕(21)(21a)을 형성시켰는데, 이는 수신부 몸체(30)가 핸드폰 본체(20)에 완전히 체결되었을때에 핸드폰 본체(20)내로의 이물질 침입을 예방함과 아울러 핸드폰자체의 외관을 콤팩트화 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송신기능과 다이얼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본체로부터 수신기능을 구비한 수신부 몸체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때 에 송신부는 사람의 입에 최대한 근접하게하고 수신부는 사람의 귀에 최대한 근접하게 하여 송,수신을 정확하게 할수 있으며 핸드폰 자체의 크기를 콤팩트화 함으로서 휴대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

Claims (1)

  1. 상,하부에 각각의 단턱(21)(21a)을 형성시키고, 이의 저부에 형성된 단턱(21)의 중앙부에는 송신부(22)를 형성시키며, 좌,우 양측으로는 레일(23)을 형성시켰고, 이 레일(23)의 내부에는 수신부 몸체(3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32)의 마모방지와 속도조절을 위한 기어식 롤러(24)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였고, 다이얼부(26)의 상부에는 플렉시블 와이어(28)가 설치되어 절첩시 이를 안내 및 수용하도록 요홈(27)을 형성시켰으며, 중앙부 상,하에는 스톱퍼 볼(31)을 수용하며, 안착시키는 스톱퍼볼 안착부(29)를 형성시켜서된 핸드폰 본체(20)와, 상기 핸드폰 본체(20)와 결합되며,핸드폰 본체(20)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23)에 끼워져 기어식 롤러(24)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딩되도록 내측 양측에 기어이빨이 형성된 가이드(32)를 형성시켰고, 내측 중앙부에는 스톱퍼 볼(31)을 삽입설치하였으며, 양측으로는 핸드폰 본체(20)의 요홈(27)에 연결설치된 플렉시블 와이어(28)의 끝단부를 연결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핸드폰 본체(20)내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35)를 형성시켰으며, 외측 하부에는 밀음부(34)를 약간 돌출되게 형성시켜서된 수신부 몸체(30)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크로스 타입 핸드폰.
KR2019980000647U 1998-01-21 1998-01-21 크로스 타입 핸드폰 KR199900343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47U KR19990034337U (ko) 1998-01-21 1998-01-21 크로스 타입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47U KR19990034337U (ko) 1998-01-21 1998-01-21 크로스 타입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37U true KR19990034337U (ko) 1999-08-25

Family

ID=6971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647U KR19990034337U (ko) 1998-01-21 1998-01-21 크로스 타입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337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451800B1 (ko) * 2000-02-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100454485B1 (ko) * 2000-08-18 2004-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셀룰러 폰
KR100605862B1 (ko) * 2002-07-0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807914B1 (ko) * 2000-02-07 2008-02-27 김민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KR100869918B1 (ko) * 2007-07-30 2008-11-21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00B1 (ko) * 2000-02-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100807914B1 (ko) * 2000-02-07 2008-02-27 김민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KR100454485B1 (ko) * 2000-08-18 2004-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셀룰러 폰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605862B1 (ko) * 2002-07-0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869918B1 (ko) * 2007-07-30 2008-11-21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슬라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5151946A (en) Variable configuration portable telephone
US6681014B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US20040209657A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US5638441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with rotatable cover allowing enhanced option key access
KR100587773B1 (ko) 곡면 슬라이드 폰
KR19990034337U (ko) 크로스 타입 핸드폰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JP2000106594A (ja) 携帯型電話装置
KR0163257B1 (ko) 개선된 송수화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587774B1 (ko) 부채형 슬라이드 폰
KR100690756B1 (ko)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38544B1 (ko) 휴대용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시디 장치
KR20010073865A (ko) 휴대폰의 슬라이드식 커버
KR100974678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205526Y1 (ko)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형 휴대폰
KR100762617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970000295Y1 (ko) 무선전화기 핸디셋(handy set) 덮개의 절첩구조
KR101533845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KR970001749Y1 (ko) 커버식 무선전화기의 통화 버튼 구조
JPH0879355A (ja) 携帯形電話機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1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2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