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4220A -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220A
KR19990034220A KR1019970055724A KR19970055724A KR19990034220A KR 19990034220 A KR19990034220 A KR 19990034220A KR 1019970055724 A KR1019970055724 A KR 1019970055724A KR 19970055724 A KR19970055724 A KR 19970055724A KR 19990034220 A KR19990034220 A KR 1999003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damper
top mount
ca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승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5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220A/ko
Publication of KR1999003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220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차체에 체결되는 바디볼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볼트(11)가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으로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가 형성된 본체(10)는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가 타원형의 본체(10)를 체결부(12)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12)의 외측면에 접하고 있는 베어링(20)과 바디볼트(11)간의 거리를 임으로 조절하여 캠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소유한 소유주가 간단한 수정작업을 통해 캠버의 각도를 부(-) 상태로 조절하게 되고, 고속으로 주행시에도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억제되어 차량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스티어링링키지와 차체사이에 스티어링댐퍼가 부착되도록 하는 탑마운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으로 변경하여 캠버각을 조정해 가면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스티어링기어에서 발생된 힘을 프론트휠에 전달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으로 변경해 가면서 진행되도록 하는 스티어링링키지와 차체 사이에는 스티어링계통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소되도록 하는 스티어링댐퍼가 탑마운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각으로 형성된 본체(10)의 상부와 하부 및 좌우 양측에 각각의 바디볼트(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의 외측면에는 볼베어링(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는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12)에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 및 좌우 양측에 형성된 바디볼트(11)가 차체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차량에 설치된 앞바퀴의 중심선이 노면과 수직선을 이루는 캠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는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가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계로, 차량에 설치된 앞바퀴의 중심선이 노면과 수직선을 이루는 캠버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고속으로 주행중 코너링을 수행하면 차량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안전에 위협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스포츠드리이브를 즐기는 일부 차량 소유자는 캠버의 각이 부(-)상태를 유지하도록 본체의 중심으로 부터 체결부(12)가 일측으로 쏠리게 형성된 별도의 탑마운트를 제작하여 스티어링댐퍼에 체결한 후 차체와 스터링 링키지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또한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가 별도의 탑마운트를 제작하여 스티어링댐퍼에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별도의 제작비 및 설치비가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체의 좌우 양측에 차체에 체결되는 바디볼트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볼트가 형성된 본체의 일측으로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본체를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가 체결부를 중심으로 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의 외측면에 접하고 있는 베어링과 바디볼트간의 거리를 임으로 조절하여 캠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소유한 소유주가 간단한 수정작업을 통해 캠버의 각도를 부(-) 상태로 조절하게 되고, 고속으로 주행시에도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억제되어 차량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댐퍼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댐퍼구조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바디볼트
12 : 체결부 20 : 베어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차체에 체결되는 바디볼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볼트(11)가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으로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가 형성된 본체(10)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타원형 본체(10)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체결부(12)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어링(20)과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바디볼트(11)와 베어링(20)과의 간극이 조정되고, 상기 간극이 조정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가 캠버의 각도를 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가 타원형의 본체(10)를 체결부(12)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12)의 외측면에 접하고 있는 베어링(20)과 바디볼트(11)간의 거리를 임으로 조절하여 캠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소유한 소유주가 간단한 수정작업을 통해 캠버의 각도를 부(-) 상태로 조절하게 되고, 고속으로 주행시에도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억제되어 차량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차체에 체결되는 바디볼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볼트(11)가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으로 스티어링댐퍼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가 형성된 본체(10)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용 탑마운트구조.
KR1019970055724A 1997-10-28 1997-10-28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KR19990034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724A KR19990034220A (ko) 1997-10-28 1997-10-28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724A KR19990034220A (ko) 1997-10-28 1997-10-28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220A true KR19990034220A (ko) 1999-05-15

Family

ID=6604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724A KR19990034220A (ko) 1997-10-28 1997-10-28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2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4220A (ko) 차량의 스티어링 댐퍼용 탑마운트구조
CN209833762U (zh) 商用车的转向总成
KR100231244B1 (ko) 구동조향차륜 조립체
KR200287823Y1 (ko) 자동차의 차폭 조절용 허브 스페이스
KR100528643B1 (ko) 휠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100525800B1 (ko) 휠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200156275Y1 (ko)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정구조
JPH1035545A (ja) 車両のバランス制御装置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KR0131900Y1 (ko) 자동차의 캠버 및 캐스터 각 조절용 와셔
KR0122938Y1 (ko) 토우 인 변경가능한 자동차 텐션로드 장착구
KR100280913B1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캐스터각 조정구조
KR100369149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030582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200142040Y1 (ko) 조향 너클
JPH0527284Y2 (ko)
KR19980031513U (ko) 프론트 컨트롤암의 장착구조
CN118124708A (zh) 摩托车
KR100192285B1 (ko) 서스펜션 암의 마운팅 부쉬
KR100599488B1 (ko) 듀얼 링크 현가장치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0249905B1 (ko) 자동차용 서스펜션
KR016579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차체 결합구조
KR970003562Y1 (ko) 휠타입 중장비의 흙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