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29644A - 차량 미러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차량 미러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644A
KR19990029644A KR1019980037077A KR19980037077A KR19990029644A KR 19990029644 A KR19990029644 A KR 19990029644A KR 1019980037077 A KR1019980037077 A KR 1019980037077A KR 19980037077 A KR19980037077 A KR 19980037077A KR 19990029644 A KR19990029644 A KR 1999002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mirror
drive
case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607B1 (ko
Inventor
오사무 츠야마
히로야스 오오누키
Original Assignee
모치마루 마모루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556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82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555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28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265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99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59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65589A/ja
Application filed by 모치마루 마모루,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치마루 마모루
Publication of KR1999002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 B60R1/061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by electrically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motor-reduction unit and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into oscill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8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additionally adjusting the wiper arm work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wi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temporarily uncoupling the wiper arm from th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하나의 구동부 케이스내에 구동에 관한 구성요소를 격납할 수 있고, 더구나, 링크부재를 짧게 하기 위해서, 미러(57a)가 미러 케이스(56)에 유지되고, 좌우모터(61) 및 상하모터(62)가 구동부 케이스(55)내에 격납되어, 각 모터(61,62)의 구동을 받아 경사운동기구수단이 미러(57a)를 경사운동시키고, 와이퍼모터(63)가 구동부 케이스(55)내에 격납되고, 와이퍼모터(63)의 회전을 전달하는 와이퍼구동전달수단이 구동부 케이스(55)내에 격납되고, 와이퍼구동전달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부(D) 및 회전축부(E)가 미러 케이스(56)에 격납되어, 변환수단으로서의 링크기구부(D) 및 회전축부(E)에 의해서 변환된 왕복회전운동에 의해서 와이퍼본체가 미러의 표면을 닦는다.

Description

차량 미러용 와이퍼
본 발명은, 도어 미러나 사이드미러 등의 미러의 경사운동을 전동으로 가능하게 한 차량미러에 와이퍼를 장착한 차량미러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차량의 도어 미러나 사이드미러에는, 그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을 닦는 것으로 시인성을 확보하는 와이퍼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4는, 이러한 와이퍼기능을 설치한 사이드미러(1)를 도시하고, 미러본체(10)와, 와이퍼본체(20)와, 이 와이퍼본체(20)를 미러본체(10)에 연결하는 링크기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미러본체(10)는, 수지제의 하우징(11), 하우징(11)에 고정된 보강플레이트(12), 보강플레이트(12)에 고정된 미러 구동유니트(13), 하우징(11)에 고정된 와이퍼 구동유니트(14), 미러 구동유니트(13)에 고정된 로드(15), 이 로드(15)를 통해 미러 구동유니트(13)에 걸어맞춤 유지된 미러베이스(16), 미러베이스(16)에 유지된 미러(17), 하우징(11)에 고정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차체에 고정된 스테이(2)를 끼워맞추는 유지플레이트(18), 유지플레이트(18)를 덮는 커버(19)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퍼본체(20)는 와이퍼 아암(21), 와이퍼 아암(21)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프라이머리 레버(22), 프라이머리 레버(22)의 양단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세컨더리 레버(23), 세컨더리 레버(23)에 걸쳐 유지된 버티브러(vertebra)(24), 버티브러(24)에 요동가능하게 유지된 와이퍼블레이드(25)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기구부(30)는, 와이퍼 구동유니트(14)의 출력축(14a)에 일단이 장착된 제1링크부재(31), 제1링크부재(31)의 타단에 축(32)을 통해 일단이 연결된 제2링크부재(33), 제2링크부재(33)의 타단에 축(34)를 통해 일단이 연결된 제3링크부재(35), 제3링크부재(35)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퍼샤프트(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3링크부재(35)에는, 하우징(11)에 돌출형성된 원통부(11a)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유지되는 통부(35a)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퍼샤프트(40)는, 한쌍의 샤프트부재(41,42)와, 이 한쌍의 샤프트부재(41,42)의 각 일단끼리를 연결하는 것으로 와이퍼샤프트(40)의 중간부를 굴곡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와이퍼샤프트(40)의 회전을 허용하는 커플링(43)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부재(41)의 타단(와이퍼샤프트(40)의 일단)은 통부(35a)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을 따라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샤프트(40)는 출력축(14a)의 회전구동에 따라서 각 링크부재(31, 33, 35)에 의해서 변환된 왕복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샤프트부재(42)의 타단(와이퍼샤프트(40)의 타단)은, 미러베이스(16)와 미러(17)를 관통한 상태로 와이퍼 아암(21)의 베이스부(21a)에 너트(26)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와이퍼 구동유니트(14)를 구동시키면 출력축(14a)이 회전한다. 이 회전에 연동하여 링크기구부(30)를 통해 샤프트부재(41)가 유지통부 (35a)와 일체로 원통부(11a) 내에서 왕복회전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연결부재(43)를 통해 샤프트부재(42)가 샤프트부재(41)와 일체로 왕복회전하여 와이퍼 아암(21)이 왕복회전운동한다. 와이퍼 블레이드(25)는, 이 와이퍼 아암(21)의 왕복회전운동에 의해 미러(17)의 표면을 닦는다.
이 때, 와이퍼샤프트(40)의 회전운동범위는 링크기구부(30)의 설정에 의존되어 있다. 와이퍼샤프트(40)에 대한 와이퍼 아암(21)의 결합위치는 와이퍼샤프트(40)의 회전범위에 따라서 조정된다. 또한, 이것에 의해서 미러(17)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25)의 닦는 범위가 결정된다.
한편, 이 닦는 범위는, 예컨대, 하우징(11)을 미러(17)의 표면보다도 돌출시킴으로써, 와이퍼본체(20)의 왕복회전운동 범위보다도 왕로·복로 모두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25)가 하우징(11)에 접촉함으로써 왕복회전운동범위가 닦는 범위와 일치한다. 이 때, 와이퍼본체(20)의 왕복회전운동범위가 닦는 범위보다도 크더라도, 그 차이는 약간량이기 때문에, 예컨대, 와이퍼 아암(21)의 변형이나 와이퍼 구동유니트(14)내의 와이퍼모터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와이퍼 아암(21)의 변형이나 와이퍼모터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허용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미러용 와이퍼에 있어서는, 미러 구동유니트(13)와 와이퍼 구동유니트(14)가 독립하여 설치된다. 더구나, 와이퍼 구동유니트(14)는 미러 구동유니트(1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와이퍼 구동유니트(14)의 출력축(14a) 및 축(32)은 와이퍼샤프트(4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에 각 구동 유니트(13,14)를 각각 조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립은, 나사 등의 부품비용이나 조립작업비용을 상승시킨다. 또한, 출력축(14a)과 축(32)에 걸치는 제3링크부재(35)는 길어진다. 이 제3링크부재(35)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미러 구동유니트(13)를 우회시키도록 설계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나의 구동부 케이스내에 구동에 관계하는 구성요소를 격납할 수 있고, 더구나, 링크부재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미러용 와이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이드미러의 하우징을 파단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미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의 확대도,
도 4는 피봇의 설명도,
도 5는 미러경사운동용의 모터구동에 연동하는 도 4에 도시된 로드주변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미러의 경사운동에 종동하는 로드주변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7은 와이퍼구동용의 모터구동에 연동하는 로드주변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미러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링크기구부와 회전축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링크기구부와 회전축부가 조립된 사시도,
도 11은 회전축부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링크기구부와 회전축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미러와 와이퍼본체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차량미러용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이드미러의 하우징을 파단한 상태의 생략도인 와이퍼본체로의 전달부분이 조립된 사시도.
다음에, 본 발명의 차량미러용 와이퍼의 실시예를, 대형차량용의 사이드미러에 적용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50은 미러본체이다. 이 미러본체(50)의 외주둘레 및 배면은 하우징(51)에 덮여 있다.
이 하우징(51)에는, 그 일부와 협동하여 사이드미러(B)를 차체의 미러설치축 또는 미러설치 피봇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52) 및 전원과 접속되는 커넥터(53)가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52)과 커넥터(53)는 커버(54)에 덮여 있다. 또한, 하우징(51)에는, 한쌍의 커버(55a, 55b)로 이루어지는 구동부 케이스(55)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부 케이스(55)에는 미러 케이스(56)가 경사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미러 케이스(56)는, 미러(57a)를 유지하는 미러 홀더(57)와, 미러 홀더(57)에 걸어 맞춤되는 한쌍의 베이스(58) 및 커버(59)를 구비하고 있다. 미러 케이스(56)에는 와이퍼본체(60)가 장착된다.
구동부 케이스(55)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57a)의 경사운동 및 와이퍼본체(6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C)가 수납되어 있다.
구동부(C)는, 미러(57a)를 차체좌우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키기위한 좌우모터(61)와, 미러(57a)를 차체상하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키는 상하모터(62)와, 와이퍼 본체(60)를 구동시키는 와이퍼모터(63)와, 제어회로(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 케이스(55)로부터는 로드(65∼68)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고, 이 각 로드(65∼68)의 선단에 미러 케이스(56)가 연결되어 있다.
로드(65∼68)는, 각 모터(61,62)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 케이스(55)로부터의 돌출량이 가변한다. 로드(65∼6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상의 머리부(65a∼68a)와, 원주형상의 몸통부(65b∼68b)와, 복수의 다리부(65c∼68c)와, 대향하는 2개의 다리부(65c∼68c)의 외측에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기(65d∼68d)를 수지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리부(65c∼68c)의 내부에는, 다리부(65c∼68c)의 외측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면이 U자형상인 스프링(69)이 삽입된다. 스프링(69)의 돌기부(69a)는 다리부(65c∼68c)의 걸어맞춤 구멍(65e∼68e) 에 걸어맞춤됨으로써 다리부(65c∼68c)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로드(65∼68)는 기본적으로는 대략 동일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로드(66∼67)의 머리부(65a∼67a)에는 하나의 돌기(65f∼67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68)의 머리부(68a)에는 2개의 돌기(68f)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모터(61)의 출력축(61a)에는 워엄기어(7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워엄기어(7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기어(71)의 대직경 기어(71a)가 맞물리고 있다. 다단기어(71)의 소직경 기어(71b)에는 로드(65)의 기단부를 덮는 통형상 기어(72)의 기어부(2a)가 맞물리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기어(72)의 내벽면에는 로드(65)의 걸어맞춤 돌기(65d)가 맞물리는 기어(7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모터(61)가 구동하면, 그 구동에 따라 워엄기어(70), 다단기어(71), 통형상기어(72)가 회전한다. 또한, 로드(65)의 머리부(65a)는 돌기(65f)에 의해 구름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불가능하게 베이스(58)의 원통형 걸어맞춤부(58a)에 걸어맞춤된다.
이 때문에, 통형상 기어(72)가 회전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서 기어(72b)에 안내되면서 로드(65)가 변위하여 구동부 케이스(55)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하게 된다. 한편, 로드(65)의 몸통부(65b)의 주위에는, 커버(55a)에 형성된 관통통부(55c)에 유지된 패킹(73)이 미끄럼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 대한 구동부 케이스(55)의 밀폐성이 유지되고 있다.
상하모터(62)의 출력축(62a)에는 워엄기어(74)가 고정되어 있다. 워엄기어(74)에는 다단기어(75)의 대직경 기어(75a)가 맞물리고 있다. 다단기어(75)의 소직경 기어(75b)에는 로드(66)의 기단부를 덮는 통형상기어(76)의 기어부(76a)가 맞물리고 있다. 또한, 로드(66)의 걸어맞춤 돌기(66d)는 통형상기어(76)의 기어(76b)에 맞물리고 있다.
한편, 상하모터(62)로부터 로드(66)의 변위에 이르는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좌우모터(61)로부터 로드(65)의 변위에 이르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부호를 도 5에 첨부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드(6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b)에 형성된 통부(55d) 내에 기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로드(67)는 로드(65,66)의 변위에 따라서 이 통부(55d) 내를 변위한다. 한편, 통부(55d)에는 상술한 기어(72b, 76b)에 상당하는 것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그 지름을 비교적 작은 지름으로 함으로써 다리부(67c) 및 스프링(69)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어맞춤 돌기(67d)가 통부(55d)에 탄성 접촉한다. 이에 따라, 그 변위에 따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와이퍼모터(63)의 출력축(63a)에는 워엄기어(77)가 고정되어 있다. 워엄기어(77)에는 다단기어(78)가 맞물리고 있다. 다단기어(78)에는 다단기어(79)가 맞물리고 있다. 다단기어(79)에는 통형상 다단기어(80)의 대직경 기어(8Oa)가 맞물리고 있다. 통형상 다단기어(80)의 소직경 기어(80b)에는 다단기어(81)의 대직경 기어(81a)가 맞물리고 있다. 다단기어(81)의 소직경 기어(81b)에는 센서기어(82)가 맞물리고 있다.
따라서, 와이퍼모터(63)가 구동하면, 워엄기어(77)를 통해, 다단기어(78, 79), 통형상 다단기어(80), 다단기어(81), 센서기어(82)가 연동하여 회전한다.
센서기어(82)의 저면에는, 회로기판(64)의 접점(64a)에 접촉하는 돌기 등이 반경방향 및 둘레방향에 어긋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센서기어(82)의 회전수(혹은 회전량)가 검출된다.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와이퍼모터(63)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즉, 미러(57a)는, 예컨대,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용의 와이퍼와 같이 계속해서 닦을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소정회수 (예컨대, 3회)의 닦기 동작이 행해진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구동을 정지시키고 있다.
한편, 로드(68)의 기단부는, 통형상 다단기어(80)의 내벽면에 축선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슬릿(80c)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로드(68)의 머리부(68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케이스(56)내에 설치된 전달기어(83)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전달기어(83)의 슬릿(83a)에 걸어맞춤 돌기(68f)를 걸어맞춤으로써 상대회전불가능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통형상 다단기어(80)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연동하여 로드(68) 및 전달기어(83)가 회전한다.
한편, 미러 케이스(65)내에는, 도 8∼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모터(63)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부(D), 및, 링크기구부(D)에 연결된 회전축부(E)가 설치된다.
링크기구부(D) 및 회전축부(E)는, 전달기어(8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84), 종동기어(84)에 설치된 편심축(85)에 일단이 축지지된 링크 아암(86), 링크 아암(86)의 타단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된 클러치플레이트(87), 클러치플레이트(87)의 표면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한 복수의 볼(88), 볼(88)을 오목부(89a)에 유지하는 대략 삼각형상의 유지클러치(89), 유지클러치(89)에 탄성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90), 코일 스프링(90)을 내장함과 동시에 유지클러치(89)를 회전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통부(91), 유지통부(91), 유지클러치(89), 클러치플레이트(87)를 관통한 상태에서 워셔(92)로 빠짐 방지되는 와이퍼샤프트(93)를 구비하고 있다.
종동기어(84)는, 미러 홀더(57)에 고정된 지지축(84a)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종동기어(84)에는, 편심축(85)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84b)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 아암(86)은, 종동기어(84)와, 종동기어(84)에 대향하고 또한 지지축(84a)과 동축에 커버(59)로 유지된 지지축(84c)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스페이서(84d)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스페이서(84d)에 편심축(85)의 타단을 삽입함으로써 종동기어(84)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클러치플레이트(87)는, 와이퍼샤프트(9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있고, 종동기어(84)의 회전에 연동하는 링크 아암(86)의 왕복운동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또한, 클러치플레이트(87)에는 항상 코일 스프링(90)의 가압에 의해서 볼(88)을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구멍(87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본체(60)에 그 닦는 범위를 넘는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이 볼(88)이 걸어맞춤 구멍(87a)으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클러치플레이트(87)로부터 와이퍼모터(63)에 이르는 각 구성요소에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은, 와이퍼본체(60)의 파손이나 와이퍼모터(63)의 손상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유지통부(91)의 상단 외주면에는 기어(9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통부(91)는, 유지클러치(89) 및 클러치플레이트(87)와 협동하여 와이퍼샤프트(93)를 상대회전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와이퍼본체(60)는, 나사(94)를 통해 와이퍼샤프트(9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와이퍼본체(60)는, 유지통부(91)의 상단을 덮음과 동시에 나사(94)를 삽입하는 나사삽입부(95a)를 정면에 가지는 아암 헤드(95), 아암 헤드(95)에 접속된 와이퍼 아암(96), 와이퍼 아암(96)의 선단에 접속된 아암 피스(97), 아암 피스(97)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프라이머리 레버(98), 프라이머리 레버(98)의 양단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세컨더리 레버(99), 세컨더리 레버(99)에 걸쳐 유지된 버티브러(도시하지 않음)에 요동가능하게 유지된 와이퍼블레이드(100), 아암 헤드(95)의 측벽면에 형성된 나사삽입부(95b)에 삽입되는 아암위치조정나사(101)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위치조정나사(101)에는, 유지통부(91)의 기어(91a)와 맞물리는 워엄기어(10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본체(60)는, 기어(91a)와 워엄기어(101a)와의 맞물림에 수반하는 로크상태에 따라, 와이퍼모터(63)의 구동에 연동하는 클러치플레이트(87)의 왕복회전운동이 볼(88), 유지클러치(89), 유지통부(91)를 통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와이퍼본체(60)가 왕복회전운동하여 미러(57a)의 표면을 닦는다 (도 2의 2점쇄선 참조).
이 때, 닦는 범위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 아암위치조정나사(101)의 머리부(101b)에 드라이버를 집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기어(91a)와 워엄기어(101a)와의 맞물림위치가 변화하면서, 유지통부(91), 유지클러치(89), 볼(88), 클러치플레이트(87)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퍼본체(60)의 닦는 범위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한편, 아암위치조정나사(101)에 의한 닦는 범위의 미세조정은, 나사(94)에 의해서 와이퍼샤프트(93)에 와이퍼본체(60)를 장착하였을 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어, 와이퍼본체(60)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링크 아암(86)의 타단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된 클러치플레이트(87)와, 클러치플레이트(87)의 표면상에서 구름운동가능한 복수의 볼(88)과, 이 볼(88)을 오목부(89a)에서 유지하는 대략 삼각형상의 유지클러치(89)로 클러치기구를 구성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88)을 폐지하여, 링크 아암(86)의 타단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된 클러치플레이트(187)와 대략 삼각형상의 유지클러치(189)를 대향시킨다. 또한, 그 대향하는 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187a)과 돌출부(189a)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역관계 또는 혼재하더라도 좋다)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홀더(57)에 리브(57b)를 형성함과 동시에, 와이퍼본체(60)의 미러(57a)에 대한 실제의 닦는 범위보다도 구동범위(와이퍼 작동각)를 약간 크게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은, 와이퍼 본체(60)가 미러(57a)의 닦는 범위 한계위치에 달하여 와이퍼본체(60)가 리브(57b)에 접촉되는 경우, 그 이상 와이퍼모터(63)가 구동하면 클러치기구가 빠져 모터계를 공회전시키고, 와이퍼모터(63)의 역회전에 의해서 클러치기구를 다시 접속하여 와이퍼본체(60)를 회전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미러(57a)의 닦는 범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조립시에 약간의 오차 등이 있더라도 실질적인 닦는 범위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퍼작동각의 설정이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러(57a)의 크기나 형상에 대한 구동계의 범용성이 향상되어, 비용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예컨대, 노후화됨에 따라 구동계에 백래시가 발생하여 와이퍼 작동각이 변화하였다고 해도, 와이퍼 작동각을 실제의 닦는 범위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음으로써 닦는 범위의 확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58)를, 미러(57a)의 경사운동용으로서 구동부 케이스(55)로부터의 돌출량을 가변시키는 동시에, 와이퍼본체(60)의 구동전달용으로서 회전시키는 겸용부재로 함으로써, 와이퍼샤프트(93)에 구동전달(연결)부재를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아암(86)을 짧게 할 수 있고, 더구나, 미러(57a)의 와이퍼샤프트(93)와 반대측에 와이퍼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각 로드(65∼68)의 구동부 케이스(55)로부터의 돌출량을 짧게 할 수 있어, 미러본체(50)의 편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미러를 유지하는 미러 케이스와, 구동부 케이스에 격납된 와이퍼구동수단과, 상기 구동부 케이스내에 격납되어 상기 와이퍼구동수단의 회전을 전달하는 와이퍼구동전달수단과, 상기 미러 케이스에 격납되어 상기 와이퍼구동전달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부와, 상기 미러 케이스에 격납되어 상기 링크기구부에 의한 왕복운동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축부와, 이 회전축부에 의해서 변환된 왕복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미러의 표면을 닦는 와이퍼본체와, 상기 구동부 케이스내에 격납되고 상기 미러를 경사운동시키는 미러경사운동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본체와 상기 회전축부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본체의 회전운동범위와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범위와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정수단과 걸어맞춤되는 피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구동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러 케이스에 연결된 회전가능하고 또한 돌출량 가변인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퍼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로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링크기구부에 상기 와이퍼구동수단의 구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부와 상기 회전축부와의 연결부분에 상기 와이퍼본체로부터의 하중이 소정 이상인 경우에 상기 링크기구부와 상기회전축부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클러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링크기구부측에 설치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측에 설치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각 플레이트부재의 한 쪽에 유지되어 다른 쪽에 걸어맞춤되는 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링크기구부측에 설치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측에 설치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각 플레이트부재에 형성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요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미러용 와이퍼.
KR1019980037077A 1997-09-30 1998-09-09 차량미러용와이퍼 KR100288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65558 1997-09-30
JP26556097 1997-09-30
JP26556197A JP3518278B2 (ja) 1997-09-30 1997-09-30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97-265561 1997-09-30
JP97-265560 1997-09-30
JP26555997A JP3482839B2 (ja) 1997-09-30 1997-09-30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97-265559 1997-09-30
JP9265558A JPH1199912A (ja) 1997-09-30 1997-09-30 車両外部電装品用ワイパー
JP98-59277 1998-03-11
JP10059277A JPH11165589A (ja) 1997-09-30 1998-03-11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44A true KR19990029644A (ko) 1999-04-26
KR100288607B1 KR100288607B1 (ko) 2001-05-02

Family

ID=2752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077A KR100288607B1 (ko) 1997-09-30 1998-09-09 차량미러용와이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8553A (ko)
EP (1) EP0904983B1 (ko)
KR (1) KR100288607B1 (ko)
DE (1) DE698125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4718B1 (en) * 1999-02-16 2001-12-04 Subernia Y. Johnson Side mounted retrofit wiper assembly
DE10134937A1 (de) * 2001-07-18 2003-02-06 Bosch Gmbh Robert Getriebe-Antriebseinheit mit Drehzahlerfassung
JP4122734B2 (ja) * 2001-07-23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ミラー装置
DE10161975B4 (de) * 2001-12-17 2005-10-13 Em Kunststofftechnik Gmbh Verstelleinhei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
US7370985B2 (en) * 2002-12-30 2008-05-13 Ian Boddy Vehicular mirror with slip clutch for jack screw actuator
EP1495912B1 (en) * 2003-07-10 2009-03-25 Ichikoh Industries, Ltd. Outer mirror tilting apparatus
JP4319597B2 (ja) 2003-11-07 2009-08-2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US7685670B2 (en) 2003-11-07 2010-03-30 Asmo Co., Ltd. Motor apparatus and wiper motor apparatus
EP1529701B1 (en) * 2003-11-07 2012-08-29 Asmo Co., Ltd. Output shaft assembly, motor apparatus and wiper motor apparatus
EP1529702B1 (en) * 2003-11-07 2009-07-15 Asmo Co., Ltd. Clutch device, motor apparatus and wiper system
JP4217187B2 (ja) * 2004-04-07 2009-01-2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ミラー位置検出装置
US7669275B2 (en) * 2004-11-16 2010-03-02 Asmo Co., Ltd. Clutch device and motor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408410B2 (ja) 2004-11-26 2010-02-0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装置
US20070266515A1 (en) * 2006-05-22 2007-11-22 Chiang-Fen Lin Wiper for an automobile rear-view mirror
DE102009014312A1 (de) 2009-03-25 2010-09-30 Valeo Systèmes d'Essuyag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insbesondere Wischerantrieb
CN104129367B (zh) * 2014-08-13 2015-12-30 余姚市利佛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后视镜
US10322703B2 (en) 2016-04-15 2019-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for integrating camera cleaning and door/trunk access for a vehicle
CN107499284A (zh) * 2016-06-14 2017-12-2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清洁安装在侧镜或其它车辆部件中的摄像头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702B2 (ja) * 1979-07-31 1985-07-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パ−付アウトサイドミラ−
IT8153115V0 (it) * 1981-04-07 1981-04-07 Vitaloni Spa Specchio retrovisore esterno per autoveicoli
JPS59153636A (ja) * 1983-02-18 1984-09-01 Tokai Rika Co Ltd ワイパ−付アウトサイドミラ−
US4870713A (en) * 1988-07-21 1989-10-03 Raynor George L Self cleaning truck mirror
US5203090A (en) * 1991-12-26 1993-04-20 Bouska Bill R Siding layout tool and method
JPH07304426A (ja) * 1994-05-10 1995-11-21 Ichikoh Ind Ltd バックミラー用ワイ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2520T2 (de) 2003-09-11
US6058553A (en) 2000-05-09
EP0904983A3 (en) 2001-09-26
EP0904983B1 (en) 2003-03-26
KR100288607B1 (ko) 2001-05-02
DE69812520D1 (de) 2003-04-30
EP0904983A2 (en)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607B1 (ko) 차량미러용와이퍼
EP0511203B1 (en)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EP1101652B1 (en) Reduction gear for vehicle seat
US4598605A (en) Mechanism with torque-limi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rearview-mirror
EP1065132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H0347220B2 (ko)
US4736484A (en) Windshield wiper system
KR20040023487A (ko) 미러 구동 장치
US7198392B2 (en) Torque limiting adjuster
JPH11165589A (ja)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H1199912A (ja) 車両外部電装品用ワイパー
JP3482839B2 (ja)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3518278B2 (ja)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H0536750Y2 (ko)
US4461190A (en) Gear operated remote control mirror and operative control
JP2645311B2 (ja) 往復ワイパー装置
JPH11348737A (ja) ワイパー付き車両用ミラー
JPS6037856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USRE33583E (en) Mechanism with torque-limi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rearview mirror
JPH09210049A (ja) マニュアル式シフトレバーの連結構造
JP376170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68492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가변 랙 변위 장치
KR101135102B1 (ko) 유리 와이퍼 장치용 구동 장치
JPH028837Y2 (ko)
JPH05259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9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