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853U - Headlight intensity control - Google Patents
Headlight intensity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4853U KR19990024853U KR2019970037335U KR19970037335U KR19990024853U KR 19990024853 U KR19990024853 U KR 19990024853U KR 2019970037335 U KR2019970037335 U KR 2019970037335U KR 19970037335 U KR19970037335 U KR 19970037335U KR 19990024853 U KR19990024853 U KR 1999002485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light
- switch
- light
- brightness
- brightness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A.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헤드라이트의 광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brightness control device of the headlight.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헤드라이트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 광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o provide a headlight brightness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headlight.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등화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전조등단과 오프단을 가지는 라이트 스위치와, 상기 라이트 스위치의 스위치가 전조등단과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류량을 조절하는 광도 조절 스위치와,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에 의해 조절된 전류량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전조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 equalizer, comprising: a battery, a light switch connected to the battery, the light switch having a headlamp end and an off end; a light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a current amoun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when the switch of the light switch is connected to the headlight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lamp is turned on by receiving the amount of current controlled by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 이용한다.Used for car headlights.
Description
본 고안은 헤드라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라이트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 광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light brightness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headligh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의 용도에 따른 종류에는 조명용, 신호용, 지시용, 경고용, 장식용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조명등은 전조등(Head Light 또는 Head Lamp), 안개등(Fog Lamp), 후진등(Back Up Lamp), 실내등(Room Lamp), 계기등(Meter Lamp)으로의 분류한다.In general, the typ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qualizer of the vehicle is divided into lighting, signaling, indicating, warning, decorative. Lighting lamps are classified into head lights or head lamps, fog lamps, back up lamps, room lamps, and meter lamps.
상기 전조등은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안전 주행을 위해 사용되는 조명으로써 구조상으로 분류하면 시일드 빔형과 세미 시일드 빔형 등이 있고, 사용상으로 나누면 2등식, 4등식이 있다.The headlamp is a light used for the driver's safe driving when driving at night, and is classified into a structural structure such as a shielded beam type and a semi-sealed beam type, and divided into two types of use.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라이트 스위치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headlight switch unit.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은 다기능 스위치 바(Bar)이고, 12는 라이트 스위치이다. 상기 다기능 스위치(10)는 윈도우 브러쉬(Window Brush)의 동작을 온/오프하고, 전조등 및 미등을 온/오프하며, 전조등의 상하향등을 조정한다. 상기 라이트 스위치(12)는 일반적으로 3단 스위치이며, 로터리 스위치로써 전조등 및 미등을 온/오프한다.Referring to FIG. 1, reference numeral 10 in the drawings denotes a multifunction switch bar, and 12 denotes a light switch. The multifunction switch 10 turns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window brush, turns on and off the headlights and taillights, and adjusts the headlights up and down. The light switch 12 is generally a three-stage switch, and is a rotary switch to turn on and off the headlights and taillights.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일반적인 전조등은 범령으로 정해진 밝기를 가지고, 또 대향차와 교차할 때 눈부심을 주지않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램프내에는 주행용과 교차용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각각 반사경으로 반사되어, 주행빔 및 교차빔이 되며, 이들이 렌즈에 의해 적절한 배광이 되어 전방을 정확하게 비추게 되어 있다.The general headlamp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should have the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command and the performance that does not cause glare when crossing the opposite difference. For this reason, there are filaments for traveling and crossing, which are reflected by reflecting mirrors, respectively, to be traveling beams and crossing beams, and these light rays are properly distributed by the lens to accurately illuminate the front.
그러나 전조등의 광도는 일정하여 교차할 때 상대측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와 같이 야간에도 밝은 곳에서 전조등의 광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전원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rightness of the headlights may interfere with the driver's vision when crossing at regular interval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unnecessarily consumed because the brightness of the headlights must be kept constant in a bright place at night as in a city.
따라서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을 구분하여 전조등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 광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light brightness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headlight by distinguishing the bright and dark places at nigh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등화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전조등단과 오프단을 가지는 라이트 스위치와, 상기 라이트 스위치의 스위치가 전조등단과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류량을 조절하는 광도 조절 스위치와,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에 의해 조절된 전류량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전조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qualizing device comprising: a battery, a light switch connected to the battery, having a headlight stage and an off stage, and a switch of the light switch connected to the headlight stage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brightness control switch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is applied, and the headlight is turned on by receiving the current amount adjusted by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도 1은 통상적인 헤드라이트 스위치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headlight switch unit.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칭부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light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 광도 조절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headlight brightn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부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light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은 다기능 스위칭 바이고, 14는 라이트 스위치부이며, 16은 광도 조절 스위치이다. 상기 다기능 스위치 바(10)와 라이트 스위치부(14)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며, 상기 라이트 스위치부(14)는 일단에 홈을 가진다.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16)는 상기 라이트 스위치부(14) 일단의 홈에 연결되어 내부 회로와 연결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reference numeral 10 denoted in the figure is a multifunctional switching bire, 14 is a light switch unit, and 16 is a brightness control switch. The multifunction switch bar 10 and the light switch unit 14 func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light switch unit 14 has a groove at one end.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16 is connected to a groove of one end of the light switch unit 14 and is connected to an internal circui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 광도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eadlight intensit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6은 광도 조절 스위치이고, 18은 전원부이고, 20은 딤머 스위치이며, 21은 퓨즈블록이다. 상기 전원부(18)는 전조등 회로 전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16)는 상기 전원부(18)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으며, 가변된 저항값에 따라 전류량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머 스위치(20)는 윈도우 브러쉬의 동작을 온/오프한다. 그리고 퓨즈블록(21)은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퓨즈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참조된 부호 22는 미등이고, 23은 전조등이다.Referring to FIG. 3, reference numeral 16 in the drawings denotes a brightness control switch, 18 denotes a power supply unit, 20 denotes a dimmer switch, and 21 denotes a fuse block. The power supply unit 18 supplies power to the overall headlight circuit.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16 receiv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8 and adjusts and outputs a current amount according to a variable resistance value. The dimmer switch 20 turns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window brush. And the fuse block 21 has a plurality of fuses to prevent the overcurrent flows. Reference numeral 22 in the drawings is a tail light, 23 is a headlamp.
상기 도 2에서 사용자가 라이트 스위치부(14)를 회전시켜 라이트 스위치부(14) 표면의 화살표를 전조등 텍스트에 위치시키면 도 3에서 라이트 스위치(14)는 전조등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부(18)는 전조등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된 전원은 광도 조절 스위치(16)의 저항값에 해당하는 전류를 딤머스위치(20)와 퓨즈블록을 통해 전조등(23)을 제공한다. 전조등(23)은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16)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한다. 상기 점등된 빛의 광도는 상기 광도 조절 스위치(16)를 통해 출력된 전류값에 따라 조절된다.In FIG. 2, when the user rotates the light switch unit 14 to position the arrow on the surface of the light switch unit 14 in the headlight text, the light switch 14 is connected to the headlight stage in FIG. 3. Therefore, the power supply unit 18 supplies power through the headlamp stage. The supplied power supplies a headlamp 23 through a dimmer switch 20 and a fuse block with a current corresponding to a resistance value of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16. Headlight 23 is turned on by receiving the current output from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16. The brightness of the lit l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output through the brightness control switch 16.
따라서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밝은 곳과 어두운 곳에서의 빛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ecause it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light in bright and dark places at nigh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이점은 빛의 광도를 조절하므로써 반대 방향에서 오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므로써 상대측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er's view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 safe driving of the other driver.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7335U KR19990024853U (en) | 1997-12-15 | 1997-12-15 | Headlight intensity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7335U KR19990024853U (en) | 1997-12-15 | 1997-12-15 | Headlight intensity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4853U true KR19990024853U (en) | 1999-07-05 |
Family
ID=6969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7335U Withdrawn KR19990024853U (en) | 1997-12-15 | 1997-12-15 | Headlight intensity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4853U (en) |
-
1997
- 1997-12-15 KR KR2019970037335U patent/KR19990024853U/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9739B1 (en) | Incandescent lamp | |
US5130903A (en) | Arrangement in vehicle headlamps | |
KR0135320B1 (en) | Automotive Equalizer with Color Correction | |
CN107642754B (en) | Multiplexing lamp for front fog lamp and daytime running lamp of vehicl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9990024853U (en) | Headlight intensity control | |
US3206723A (en) | Vehicle dual intensity warning signal circuit | |
US2076074A (en) | Ligh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EP0805763B1 (en) |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headlights of automotive vehicles | |
JPH07246873A (en) | Vehicle headlights | |
KR0166299B1 (en) | 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 |
KR970004732B1 (en) | Headlight control circuit of car | |
KR0139429Y1 (en) | Lamp control circuit of a car | |
KR970006282Y1 (en) | Rear lamp and circuit of a car | |
KR19980053304A (en) | Vehicle headlight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
KR100231539B1 (en) | Head lamp of a car | |
KR980007462U (en) | Flashing fog light | |
KR100204294B1 (en) | Foglamp on/off system | |
KR200160065Y1 (en) | Irradiation beam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headlamp | |
JPH0346979Y2 (en) | ||
KR19980078774A (en) | Headlamps of vehicles | |
KR19990027192U (en) | Headlight control device | |
KR19990041851A (en) | Fuzzy Equalizer for Automotive | |
JP2004284371A (en) | Dimming device for headlight in automobile | |
KR20060072710A (en) | Position lamp structure of a vehicle | |
US20020096997A1 (en) | Vehicle headlamp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1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