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703U - Monitor-Mounted Mouse - Google Patents
Monitor-Mounted Mo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3703U KR19990023703U KR2019970036106U KR19970036106U KR19990023703U KR 19990023703 U KR19990023703 U KR 19990023703U KR 2019970036106 U KR2019970036106 U KR 2019970036106U KR 19970036106 U KR19970036106 U KR 19970036106U KR 19990023703 U KR19990023703 U KR 1999002370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se
- monitor
- main body
- keyboard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마우스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연산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본체와, 상기 컴퓨터본체에서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본체와 모니터 사이의 신호전송을 위한 모니터연결선과, 상기 모니터에 접속되는 마우스, 그리고 상기 모니터의 내부를 통하여 본체에, 마우스에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우스를 모니터에 직접 연결하고, 모니터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마우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의 연결부분의 간단한 정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mouse of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main body capable of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ing, a monitor for displaying a signal from the computer main body, a monitor connecting line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monitor, a mouse connected to the monito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conn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mouse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insid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u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via the monitor, so that the use of the mouse can be made conveni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parts of the main body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모니터에 부착함으로써, 더욱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용 마우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m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mputer mouse configured to be more convenient to use by attaching the mouse to the monitor.
통상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마우스는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컴퓨터의 본체에는, 모니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과, 키보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 그리고 기타 부대장치와 연결하는 연결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본체에 마우스를 연결하는 것은 연결선이 더욱 복잡하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른다.In a typical laptop computer, a mouse is connected to the body. In practice, however, because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is intricately entangled with the connectors for connecting to the monitor, the keyboard for connecting to the keyboard, and other accessories, the connection of the mouse to these bodies becomes more complicated. This is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in use.
그리고 통상 사용자는 모니터를 보면서 마우스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컴퓨터의 본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는,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보다 먼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컴퓨터의 본체와 마우스를 연결하는 경우, 연결 거리가 길기 때문에, 마우스의 연결선이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는 것은, 필요 이상으로 부품의 생산원가를 높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의 본체에 직접 마우스를 연결하는 경우,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는, 마우스와 본체와의 연결선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한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a user usually operates a mouse while looking at a monitor.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and the user is far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user, when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and the mouse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distance of the mouse is long. And securing a sufficient length in this way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of parts more than necessary. In addition, when the mou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the user who actually use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use becaus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mouse and the main body is insufficient.
실제로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은(즉 마우스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 컴퓨터의 본체보다 모니터와 더욱 근접한 위치에서 마우스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랩탑 컴퓨터의 본체보다 키보드가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더욱 가까운 위치에 있다는 것도 일반적인 사실이다.In fact, when using a laptop computer, it is common for the user's hand (ie the user's hand to operate the mouse) to operate the mouse in a position closer to the monitor than the body of the computer. It is also common for the keyboard to be closer to the user than to the laptop computer itself.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마우스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mouse easy to us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우스의 부착 예시도.1 is an illustration of the attachment of th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컴퓨터본체12 : 모니터10: computer main body 12: monitor
12a,14a : 마우스포트14 : 키보드12a, 14a: Mouse port 14: Keyboard
20 : 마우스22 : 모니터연결선20: mouse 22: monitor connection line
24 : 키보드연결선24: keyboard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연산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본체와, 상기 컴퓨터본체에서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본체와 모니터 사이의 신호전송을 위한 모니터연결선과, 상기 모니터에 접속되는 마우스, 그리고 상기 모니터의 내부를 통하여 본체에, 마우스에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우스 연결구조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mputer main body capable of a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ing, a monitor for displaying a signal from the computer main body, a monitor connecting line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monitor, the monitor Disclosed is a mouse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mouse connected to a mouse, and a signal conn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mouse to a main body through an interior of the monitor.
이러한 연결구조에 의하면, 마우스를 모니터에 직접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편리하게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nection structure, the mouse can be conveniently us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mouse to the monitor.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연산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본체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키보드와, 상기 컴퓨터본체와 키보드 사이의 신호전송을 위한 키보드연결선과, 상기 보드에 접속되는 마우스 그리고 상기 키보드의 내부를 통하여 본체에, 마우스에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우스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마우스를 키보드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우스의 사용성이 더욱 향상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main body capable of a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ing, a keyboard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omputer main body, a keyboard conn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keyboard, and the board Disclosed is a mouse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connected mouse and a signal conn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mouse to a main body through an inside of the keyboard. Also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use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keyboard, the usability of the mouse is further improved.
다음에는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우스 설치구조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마우스(20)는, 모니터(1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us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se 20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onitor 12.
모니터(12)의 일측에는 마우스(20)와 연결되기 위한 마우스포트(12a)가 설치되어 있고, 마우스(20)에서의 신호를 전송하는 마우스연결선(26)이 상기 마우스포트(12a)를 통하여 직접 모니터(12)에 연결된다.One side of the monitor 12 is provided with a mouse port 12a for connecting to the mouse 20, the mouse connecting line 26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mouse 20 is directly through the mouse port 12a Is connected to the monitor 12.
그리고 상기 모니터(12)와 본체(10) 사이에는 모니터연결선(2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연결선(22)은, 본체에서의 출력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마우스포트(12a)를 통하여 마우스(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본체(10)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니터연결선(22)은, 실제로 종래의 기능에 더하여, 마우스포트(12a)를 통하여 들어오는 마우스(20)에서의 입력신호를 본체(10)에 전달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The monitor 12 and the main body 10 are connected through a monitor connecting line 22. The monitor connection line 22 may include a signal line for display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main body on the monitor, and may also transmit a signal input from the mouse 20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mouse port 12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line for. Therefore, the monitor connecting line 22 actual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from the mouse 20 coming into the mouse port 12a to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function.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12)의 내부에는, 마우스포트(12a)와 본체와의 연결선(22)을 접속하는 포트(Pa)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신호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a separate signal line is provided inside the monitor 12 for connecting between the mouse port 12a and the port Pa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line 22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마우스(20)를 모니터(12)의 일측에 설치된 마우스포트(12a)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마우스(20)에서의 출력신호는 마우스포트(12a)를 통하여 모니터 내부로 들어가고, 모니터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신호연결라인을 통하여 모니터의 포트(Pa)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마우스(20)에서의 출력신호는 바로 컴퓨터의 본체(10)에 전달될 수 있게 되고, 본체 내부의 프로세서는 이러한 마우스(2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신호처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mouse 20 through the mouse port 12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nitor 12. By this configuration, the output signal from the mouse 20 enters into the monitor through the mouse port 12a and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ort Pa of the monitor through a separate signal connection line installed inside the monitor. Therefore, the output signal from the mouse 20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computer, and the processor inside the main body will be able to process the selected signal based on the signal of the mouse 20.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우스연결선(26)은 컴퓨터의 본체(10)가 아닌 모니터(12)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mouse connection line 26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 12 instead of the main body 10 of the computer, there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disadvantages.
다음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에 대하여 도 1을 같이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모니터(12)와 같이 키보드(14) 장체도 사용자에게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것임에 착안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우스(20)를 키보드(14)를 통하여 본체(10)에 연결하고 있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is embodimen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keyboard 14 body is also located closest to the user, such as the monitor 12.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ouse 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via the keyboard 14.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20)의 연결선(26)은, 키보드(14)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마우스포트(12a)를 통하여 키보드(1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14)는 키보드연결선(24)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10)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 키보드연결선(24)은, 첫재 키보드(14)에서의 출력신호를 본체(10)에 전달하는 기능과, 둘재 마우스(20)에서의 신호를 본체(10)에 전달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즉 제 1 실시예의 모니터연결선(22)과 동일하게, 키보드연결선(24)은 마우스(20)에서의 신호를 본체(10)에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키보드(14)의 내부에는 마우스(20)에서의 출력신호를 키보드연결선(24)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라인이 내장되어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 the connecting line 26 of the mouse 20 is connected to the keyboard 14 through another mouse port 12a provided in the keyboard 14. The keyboard 14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10 through a keyboard connection line 24. The keyboard connection line 24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keyboard 14 to the main body 10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mouse 20 to the main body 10. That is, like the monitor connection line 22 of the first embodiment, the keyboard connection line 24 includes a separate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mouse 20 to the main body 10.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parate signal line for connect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mouse 20 to the keyboard connection line 24 is built into the keyboard 14, of course.
여기서, 실제로 키보드(14) 또는 모니터(12)가, 본체(10)에 연결되는 접속플러그는, 본체(10)의 이면에서 정해진 크기와 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하나의 접속플러그를 이용하여 마우스(20)에서의 신호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처리를 위해서는 키보드(14) 또는 모니터(12)의 연결선의 접속플러그와 연결되는 본체의 연결포트(도시생략)에는 내부적으로 별도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키보드(14) 또는 모니터(12)의 연결포트의 연결핀의 개수를 조정하고, 그 일부를 마우스(20)에서의 신호를 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Here, the connection plug to which the keyboard 14 or the monitor 12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has a size and a position determi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cess the signal from the mouse 20 using one such plug. For the signal processing, the connection port (not shown)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ug of the connection line of the keyboard 14 or the monitor 12 should be configured to enable separate signal processing internally. For example, 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of the connection port of the keyboard 14 or the monitor 12 is adjusted, and a part thereof is used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mouse 20 to the main body.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키보드연결선(24) 또는 모니터연결선(22)에 있어서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은, 다시 각각 두개의 연결플러그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실제로, 마우스(20)에서의 신호가 모니터(12) 또는 키보드(14)의 내부를 통하는 모니터연결선(22) 또는 키보드(14)의 내부를 통하는 키보드연결선(24)에 마우스(20)의 신호라인을 포함시키되 , 상기 모니터연결선(22) 또는 키보드연결선(24)의 단부, 즉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다시 각각의 플러그(예를 들면 모니터플러그 및 마우스플러그, 또는 키보드플러그 및 마우스플러그)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 the keyboard connection line 24 or the monitor connection line 22 may be configured to have two connection plugs, respectively. This arrangement is in effect such that the signal from the mouse 20 is connected to the monitor connection line 22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onitor 12 or keyboard 14 or the keyboard connection line 24 through the interior of the keyboard 14. Including the signal line of, but at the end of the monitor connection line 22 or keyboard connection line 24, that is,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each plug (for example, monitor plug and mouse plug, or keyboard plug and mouse plug) Means to separate.
물론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하면 마우스(20)를 모니터(12) 또는 키보드(14)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use 2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 12 or the keyboard 14 to be us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장점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advantages in use are expected.
먼저 사용자는 본체에 직접 마우스를 연결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마우스의 조작성이 휠씬 향상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위치에 가장 근접한 모니터 또는 키보드에 마우스 연결포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마우스연결선에 의한 제한에서 해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본체(10)의 이면에 모니터,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선을 더욱 간편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컴퓨터를 더욱 정돈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기대된다.Firs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the mouse directly to the main body, the operability of the mouse is much improved. In other words, by providing a mouse connection port on the monitor or keyboard closest to the user's operation position, it can be freed from the limitation by the mouse connection lin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ocess the connection line for the connection to the peripheral device including a monitor, keyboard, etc.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computer can be used in a more orderly stat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6106U KR19990023703U (en) | 1997-12-08 | 1997-12-08 | Monitor-Mounted Mo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6106U KR19990023703U (en) | 1997-12-08 | 1997-12-08 | Monitor-Mounted Mo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3703U true KR19990023703U (en) | 1999-07-05 |
Family
ID=696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6106U Ceased KR19990023703U (en) | 1997-12-08 | 1997-12-08 | Monitor-Mounted Mo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3703U (en) |
-
1997
- 1997-12-08 KR KR2019970036106U patent/KR19990023703U/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18750B1 (en) |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with a cartridge connector | |
DE60015365D1 (en) | UNIVERSAL QUICK FASTENING DEVICE FOR AN LCD MONITOR | |
KR19990023703U (en) | Monitor-Mounted Mouse | |
JPH09223108A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impedance circuit | |
US6210212B1 (en) | Computer headphone extension cord device | |
US20050223142A1 (en) | Memory mouse | |
KR200197854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peripheral equipment to a computer | |
KR19980021774U (en) | Wired Infrared Communication Ports and Modules | |
KR200205298Y1 (en) | Keyboard having mouse port | |
KR19980062009U (en) | Port of computer | |
KR19980035676U (en) | PC with keyboard / mouse port installed at front / rear of monitor | |
US20040175965A1 (en) | Integrated device electronics connector | |
KR0138939B1 (en) | Multimedical system connector | |
KR200227794Y1 (en) | Interface socket assembly for computer | |
KR200175679Y1 (en) | Display device with USB hub and adjacent accessory bars | |
KR20090009213U (en) | Relay connector for computer, power supply for computer and computer with same | |
KR200265901Y1 (en) | Computer having keyboard/mouse sharer therein | |
KR19980044085U (en) | Computers that transmit audio data through the monitor cable | |
KR920704238A (en) | Optical signal receiving and evaluation device | |
KR200156467Y1 (en) | A computer with connector device to connect a remocon and a mouse | |
KR200176430Y1 (en) | Video board | |
KR200360027Y1 (en) | A control unit of a power supply for computer | |
KR200197837Y1 (en) | Personal computer | |
KR20000001653U (en) | mouse | |
KR100192866B1 (en) | Debugging card connection device of portable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9712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1127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