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21442U - 세탁기의 펄세이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펄세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442U
KR19990021442U KR2019970034939U KR19970034939U KR19990021442U KR 19990021442 U KR19990021442 U KR 19990021442U KR 2019970034939 U KR2019970034939 U KR 2019970034939U KR 19970034939 U KR19970034939 U KR 19970034939U KR 19990021442 U KR19990021442 U KR 199900214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washing
laundry
rotating body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4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442U/ko
Priority to TW087111916A priority patent/TW393543B/zh
Priority to JP10240865A priority patent/JPH11179086A/ja
Publication of KR19990021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44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공정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펄세이터의 상방 양측으로 세탁수를 분출시켜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에 세탁물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세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관한 것이다.
즉, 탈수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면서 클러치부의 세탁축과 연결되는 회전체상에 소정의 날개가 구비된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 중앙에 소정높이의 분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분출구에 세탁수를 양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소정형상의 분출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펄세이터
본 고안은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공정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펄세이터의 상방 양측으로 세탁수를 분출시켜 펄세이터의 중앙 상측에 세탁물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세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세탁기의 펄세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펄세이터(Pulsator)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품으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 감지하여 세탁 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세탁수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류하는 외조(2)가 설치되고, 외조(2)의 외측 바닥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모터부재(3)가 설치되며, 상기 외조(2)의 외측 바닥에는 모터부재(3)로부터 벨트(4)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펄세이터 또는 세탁 겸용 탈수조를 구동시키는 클러치부(5)가 장착되고, 상기 외조(2)의 내부에는 클러치부(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할 수 있도록 세탁 겸용 탈수조(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세탁 겸용 탈수조(6)의 상측에는 탈수시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도 회전되도록 세탁 겸용 탈수조(6)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밸런서(7)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 겸용 탈수조(6)내의 바닥면에는 세탁 겸용 탈수조(6)내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펄세이터(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펄세이터(8)의 구조를 보면 도 2와 같이 클러치부(5)의 세탁축(5a)과 연동되는 원형상의 회전체(8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8a)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8b)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수위 감지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외조(2)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탁수의 수위를 검출해서 세탁물에 따른 세탁수를 외조(2)내에 급수하는 급수장치(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조(2)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 및 헹굼시에 생성된 오염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수단(10)이 설치되고, 세탁 겸용 탈수조(6)의 내측에는 펄세이터(8)의 회전에 따라 수류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1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는 탈수조(6)내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조작 조건을 선택한 후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급수장치(9)를 통해서 외조(2)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행정이 진행되고, 상기 외조(2)내에 공급된 세탁수가 지정된 량만큼 저수가 완료되면 모터부재(3)가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모터부재(3)의 회전력은 벨트(4)를 통해 클러치부(5)에 전달되며, 상기 클러치부(5)에서는 모터부재(3)의 회전력을 받아 소정의 속도로 감속된 다음, 상기 펄세이터(8)를 회전시켜 탈수조(6)내의 세탁수를 회류시는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즉, 상기 펄세이터(8)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8a)의 날개(8b)들에 의해 탈수조(6)내의 세탁수가 회전체(8a)의 가장자리에서 상승한 다음, 회전체(8a)의 중심부로 하강하는 하트형상의 상,하 수류를 형성시키는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 다음, 세탁행정이 종료되면, 외조(2)의 하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도시는 생략함)가 온(개방) 되면서 외조(2) 및 탈수조(6)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수단(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행정이 진행된다.
그 후, 세탁수의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됨과 동시에 급수수단(9)을 통해서 외조(2)의 내부에 헹굼용 세탁수가 공급되어 세탁물의 헹굼에 필요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는데, 전술한 세탁 행정과 같이 모터부재(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클러치부(5)의 구동력에 따라 펄세이터(8)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정, 역 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에 스며 있는 오염물 및 세제를 헹구는 헹굼행정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헹굼행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최종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배수수단(10)을 통해서 외조(2) 및 탈수조(6)내에 저류되어 있는 헹굼이 완료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클러치(5)의 구동력에 따라 탈수조(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탈수조(6)내의 세탁수 및 세탁물에 스며 있는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탈수행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펄세이터(8)가 정역회전될 때 발생되는 회전수류를 이용하여 세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중앙으로 쏠리면서 서로 꼬이기 때문에 세탁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세탁효율이 극히 저하된다. 즉, 회전수류가 발생되면 세탁물이 회전물살에 의해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서로 비벼지며 세탁이 진행되는데, 이때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중앙으로 쏠리면서 서로 꼬임과 동시에 비틀어진다. 이렇게 꼬여진 세탁물은 회전수류에 의해 잘 비벼지지 않으므로 세탁성이 크게 저하되고 그에 따라 세탁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펄세이터의 회전체의 상부 중앙에 유입공으로부터 그 내부로 흡입된 세탁수를 탈수조의 상방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분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분출구에 세탁수를 양 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두 개의 분출공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두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세탁수로서 세탁물이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회전체의 날개에 의해 회류되고 있는 세탁물에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세탁수를 충돌시켜 세탁물을 두들겨 주므로서 세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펄세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탈수조 20:펄세이터
21:회전체 21a:날개
21b:분출구 21c:분출공
21d:유입공 21e:가이드
21f:유입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수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면서 클러치부의 세탁축과 연결되는 회전체상에 소정의 날개가 구비된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 중앙에 소정높이의 분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분출구에 세탁수를 양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소정형상의 분출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체의 측벽부와 저부에 다수의 유입공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펄세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류하는 외조(2)가 설치되고, 외조(2)의 외측 바닥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모터부재(3)가 설치되며, 상기 외조(2)의 외측 바닥에는 모터부재(3)로부터 벨트(4)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펄세이터 또는 세탁 겸용 탈수조를 구동시키는 클러치부(5)가 장착되고, 상기 외조(2)의 내부에는 클러치부(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할 수 있도록 세탁 겸용 탈수조(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탈수조(6)의 상측에는 탈수시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도 회전되도록 탈수조(6)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밸런서(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조(6)내의 바닥면에는 탈수조(6)내에 수용된 세탁수를 회류시켜 세탁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펄세이터(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펄세이터(20)는 클러치부(5)의 세탁축(5a)과 연결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2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1)의 상면부에 복수의 날개(21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1)의 상면 정중앙에는 소정 높이의 분출구(21b)가 형성되고, 상기 분출구(21b)의 상단부에 소정크기의 두 분출공(21c)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1)의 측벽부에 세탁수를 흡입할 수 있는 유입공(21d)이 형성된다. 즉, 상기 펄세이터(20)의 회전체(21)가 정.역회전을 하게되면, 회전체(21) 주변의 세탁수가 유입공(21d)을 통해 회전체(21)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회전체(21) 상부의 분출공(21c)를 통해 탈수조(6)의 상방으로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1)의 저부에는 복수의 가이드(21e)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1e)의 사이 사이에 다수의 유입공(21f)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탈수조(6)내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조작 조건을 선택한 후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급수장치(9)를 통해서 외조(2)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행정이 진행된다.
상기 외조(2)내에 공급된 세탁수가 지정된 량만큼 저수가 완료되면, 외조(2) 저부에 설치되어진 모터부재(3)가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모터부재(3)의 회전력은 벨트(4)를 통해 클러치부(5)에 전달되며, 상기 클러치부(5)에서는 모터부재(3)의 회전력을 받아 소정의 속도로 감속된 다음, 펄세이터(20)를 회전시켜 탈수조(6)내의 세탁수를 회류시키는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펄세이터(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21)의 날개(21a)들에 의해 탈수조(6)내의 세탁수가 회전체(21)의 가장자리에서 상승한 다음, 상기 회전체(21)의 중심부로 하강하는 하트형상의 상,하 수류를 형성시키므로서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20)가 정.역회전을 반복할 때, 도 4와 같이 탈수조(6)내의 세탁수가 회전체(21)의 측벽과 저부에 형성되어진 유입공(21d)(21f)을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된 다음, 그 세탁수가 회전체(21) 중앙의 분출구(21b)에 집중됨과 동시에 그 상단의 두 분출공(21c)을 통해 탈수조(6)의 상방으로 분출되어 회전체(21)의 날개(21a)에 의해 회류되고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주므로서 세탁물이 회전체(21)의 중앙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와 같이 분출되는 세탁수는 회전체(21)의 날개(21a)에 의해 일정하게 회류되는 세탁물을 사방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세탁물을 여러 각도에서 두들겨주므로서 세탁물에 붙어 있는 찌든때를 분리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21)의 날개(21a)로서 세탁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류시켜 세탁공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체(21)의 날개(21a)에 의해 회류되고 있는 세탁물을 두 분출공(21c)로부터 분출된 세탁수로 두들겨 주므로서 세탁물이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세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다음, 세탁행정이 종료되면, 외조(2)의 하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도시는 생략함)가 온(개방) 되면서 외조(2) 및 탈수조(6)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수단(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행정이 진행된다.
그 후, 세탁수의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됨과 동시에 급수수단(9)을 통해서 외조(2)의 내부에 헹굼용 세탁수가 공급되어 세탁물의 헹굼에 필요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는데, 전술한 세탁 행정과 같이 모터부재(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클러치부(5)의 구동력에 따라 펄세이터(20)의 회전체(21)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정, 역 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 및 세제를 헹구는 헹굼행정이 진행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조(6)내의 세탁수가 회전체(21)의 유입공(21d)(21f)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회전체(21) 상부의 분출공(21c)을 통해 탈수조(6)의 상방 양측으로 분출되며, 이렇게 양측으로 분출된 세탁수는 회전체(21)의 날개(21a)에 의해 회류되다가 그 중앙으로 집중되는 세탁물을 탈수조(6)의 내벽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세탁물을 두들겨 세탁물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 및 세제를 효과적으로 헹구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헹굼행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최종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배수수단(10)을 통해서 외조(2) 및 탈수조(6)내에 저류되어 있는 헹굼이 완료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클러치(5)의 구동력에 따라 탈수조(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탈수조(6)내의 세탁수 및 세탁물에 스며 있는 세탁수를 탈수시키는 탈수행정이 진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펄세이터(20)의 회전체(21)의 상부 중앙에 유입공(21d)(21f)으로부터 그 내부로 흡입된 세탁수를 탈수조(6)의 상방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분출구(21b)를 형성하되, 상기 분출구(21b)에 세탁수를 양 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두 개의 분출공(21c)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두 분출공(21c)으로부터 분출되는 세탁수로서 세탁물이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회전체(21)의 날개(21a)에 의해 회류되고 있는 세탁물에 분출공(21c)으로부터 분출된 세탁수를 충돌시켜 세탁물을 두들겨 주므로서 세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탈수조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면서 클러치부의 세탁축과 연결되는 회전체상에 소정의 날개가 구비된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 중앙에 소정높이의 분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분출구에 세탁수를 양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소정형상의 분출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측벽부와 저부에 다수의 유입공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19970034939U 1997-11-29 1997-11-29 세탁기의 펄세이터 Ceased KR19990021442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39U KR19990021442U (ko) 1997-11-29 1997-11-29 세탁기의 펄세이터
TW087111916A TW393543B (en) 1997-11-29 1998-07-22 Pulsator assembly for use in a washing with guide grooves for forming a spouting washing water
JP10240865A JPH11179086A (ja) 1997-11-29 1998-08-26 洗濯機用パルセータ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39U KR19990021442U (ko) 1997-11-29 1997-11-29 세탁기의 펄세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42U true KR19990021442U (ko) 1999-06-25

Family

ID=6969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939U Ceased KR19990021442U (ko) 1997-11-29 1997-11-29 세탁기의 펄세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4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WO2013035278A1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3035277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15625B1 (ko)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KR100308656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JPH10235064A (ja) 乱流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10023865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38658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21442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43525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21443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43507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43506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JP201409709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9990021441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43524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352473B1 (ko) 세탁기의 측면수류 분출장치_
KR0136203Y1 (ko) 세탁기의 수류제어장치
KR100292267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JPH10156089A (ja) 洗濯機の洗濯水ポンピング装置
KR100283659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100292888B1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KR20000039118A (ko) 세탁수 순환식 통돌이 세탁기
KR100225644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100225645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9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