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20067U - 책갈피 표시구 - Google Patents

책갈피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067U
KR19990020067U KR2019970033467U KR19970033467U KR19990020067U KR 19990020067 U KR19990020067 U KR 19990020067U KR 2019970033467 U KR2019970033467 U KR 2019970033467U KR 19970033467 U KR19970033467 U KR 19970033467U KR 19990020067 U KR19990020067 U KR 19990020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display
bookshelf
elastic clamping
clamp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2019970033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067U/ko
Publication of KR19990020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067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해당하는 책장에 쉽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갈피 표시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박판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이루게한 표시구몸체를 얻고, 그 표시구몸체에는 어느 일측단부로부터 표시구몸체와 대면되게 절곡되어 그 표시구몸체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책장을 탄성적으로 협지하도록 된 탄성협지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사용에 편리성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책갈피 표시구
본 고안은 해당되는 책장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에 사용하는 책갈피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당해 책장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기능의 탄성협지부를 갖게한 책갈피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은 후 당해 책장을 용이하게 찾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책갈피 표시구를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책갈피에 대한 일예를 도 1 및 도 2에 표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책갈피 표시구의 사시도를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갈피 표시구(10)은 박상의 강판(鋼板)으로부터 프레스 기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형태를 이루게 형성한 표시구몸체(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구몸체(1)은 책장(5)의 어느 길이나 혹은 폭을 넓지 않는 길이를 이루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간 작은 길이를 이루게 형성함이 좋다.
상기 표시구몸체(1)의 어느 일단부에는 해당되는 책장(5)에 끼울 수 있도록 한 탄성편(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2)는 그 표시구몸체(1)의 일부를 절취함에 의하여 그 표시구몸체(1)로부터 탄성 가능하게 굽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2)를 굽혀지게 하는 이유는 그 탄성편(2)와 표시구 몸체(1)의 사이로 해당되는 책장(4)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편(2)의 길이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표시구몸체(1)의 형태는 도 1 및 도 2 표시의 형태이외에 다양한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3)은 자(Scale)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눈금부를 그리고 (7)은 책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독자들이 읽던 책(7)을 다시 읽을려고 하는 경우 해당되는 책장(5)를 용이하게 찾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책갈피 표시구(10)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책갈피 표시구(10)의 사용은 탄성편(2)에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탄성편(2)가 표시구몸체(1)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벌어지게 한 후, 그 탄성편(2)와 표시구 몸체(1)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책장(5)를 끼운 후 그동안 밀고 있던 탄성편(2)로부터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책장(5)는 탄성편(2)와 표시구몸체(1)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표시구(10)은 책장(5)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서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되는 책장(5)를 추후라도 용이하게 찾아서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책갈피 표시구(10)은 탄성편(2)를 책장(5)에 끼우려고 하면 표시구 몸체(1)로부터 일일이 탄성편(2)를 압압하여 벌어지게한 상태에서 그 사이로 책장(5)를 끼우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문에 책장(5)를 끼우는데에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책장(5)를 끼우게 될지 세심한 주의를 하지 않게 되면 상기 책장(5)가 탄성편(2)에 걸려서 찢어지게 하는 등의 폐단을 유발되게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책갈피 표시구 몸체의 어느 일단부에는 클립형태의 탄성협지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책장에 대한 끼움성 향상과 아울러 사용에 편리성을 갖게한 책갈피 표시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탄성협지부의 어느외측면은 광고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책갈피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해당되는 책장에 끼워두므로써 그 책장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 표시구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서 책장의 어느 길이와 같은 길이를 이루게 형성한 박판상의 표시구몸체; 및 상기 표시구 몸체의 어느 일측단으로부터 그 표시구 몸체의 일부와 대면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표시구 몸체와의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책장을 탄성적으로 협지하기 위한 안내경사부를 갖는 탄성협지부를 포함하는 책갈피 표시구에 있다.
상기 탄성협지부는 그 선단부에 설치되어 탄성협지부와 같이 책장을 압압하기 위한 소정형태의 압압편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압편의 표시구몸체와 대면하는 선단부측에는 책장의 안내경사면을 형성함이 좋다.
상기 탄성협지부의 어느 외측면은 광고면으로 제공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책갈피 표시구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책갈피 표시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또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어느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책갈피 표시구21 : 표시구몸체
22,32 : 탄성협지부24 : 안내 경사부
25 : 절곡부30,40,50 : 압압편
34 : 안내 경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책갈피 표시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종래의 도면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도면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20)은 박판상의 강판(鋼板)이나 혹은 수지판으로부터 소정의 형태를 이루게 형성한 표시구몸체(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구몸체(20)은 소정의 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표시구몸체(20)의 길이는 책장(5)의 가로 혹은 세로길이와 거의 같게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책장(5)의 가로 혹은 세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사용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표시구몸체(20)의 길이와 폭은 잭(7)의 크기에 따라의 임의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구몸체(20)의 어느 일단부에는 그 표시구몸체(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된 탄성협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협지부(22)는 상기 표시구몸체(20)의 일부위를 절곡부(25)를 개재하여 그 표시구몸체(20)측으로 절곡 형성한 것으로, 상기 탄성협지부(22)는 표시구몸체(20)와의 사이로 도입되는 해당책장(5)를 강하게 협지한다. 상기 절곡부(25)의 형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협지부(22)에는 그 선단부의 일부를 외측으로 향해 경사를 이루게 하여 상기 표시구몸체(20)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도입부를 형성하는 안내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협지부(22)의 길이는 임의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협지부(22)의 어느 외측면부는 캐릭터등의 그림이나 혹은 문자등을 기재할 수 있는 광고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책갈피 표시구(20)을 강판으로 제작하는 경우 외관을 미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마 및 다양한 색상의 도료코팅등의 후가공이 실행된다. 이러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부호(23)은 눈금부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읽고 있던 책(7)의 책장(5)를 표시하고져 함에는, 탄성협지부(22)의 안내 경사부(24)로써 형성된 표시구몸체(21)과 탄성협지부(22)의 벌어진 사이로 해당되는 책장(5)가 위치되게 한 후, 상기 표시구몸체(21)을 책장(5)를 향하여 그대로 밀게 되면 해당되는 책장(5)도 표시구몸체(21)과 탄성협지부(22)의 사이로 그대로 도입되면서 상기 탄성협지부(22)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책갈피 표시구(20)은 해당되는 책장(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책장(5)의 표시구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책갈피 표시구(20)을 책장(5)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결합시와는 반대로 실행하면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어느 일측면도로서,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20)의 탄성협지부(32)는 상기 일실시예와는 달리 그 탄성협지부(32)가 표시구몸체(21)의 어느 일측면 전체와 접촉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협지부(32)의 선단부에는 별도 형성한 원형상의 압압편(30)을 부착한 것이다. 상기 압압편(30)은 탄성협지부(32)와 같이 표시구 몸체(21)과의 사이로 도입되는 책장을 압압하는데에 이용되며, 그 압압편(30)의 표시구몸체(21)과의 대면측 선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한 안내경사면(34)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안내 경사면(34)는 책장이 탄성협지부(32)와 표시구몸체(21)과의 사이로 보다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함에 제공된다. 그 밖의 작용 및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 표시구의 또 다른 일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탄성협지부(32)의 압압편들(40,50)을 상기 제2실시예와는 달리 하는 형태를 이루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압압편(40)은 왕관형상을 그리고 압압편(50)은 하트형상을 이루게한 것으로, 이들 압압편(40,50)은 상기 형상이외의 형상을 이루게 임의로 변형실시할 수가 있다. 그 밖의 작용 및 구성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강판 혹은 수지판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와 폭을 이루게 제작한 표시구몸체(21)의 어느 일단부에는 클립기능의 탄성협지부들(22,32)를 형성한 것에 의하여, 어느 누구라도 책장을 손상시키게 하는 해당 책장에 쉽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협지부(22,32)로부터 제공되는 외측면은 캐릭터 혹은 상표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탄성협지부(32)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상의 압압편들로 하여금 장식효과를 발휘하게 한 효과도 있다.
또 탄성협지부들(22,32)로 하여금 책갈피 표시구를 의복등의 포켓부에 착용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책장표시구로 활용할 수 있게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해당되는 책장에 끼워두므로써 그 책장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책갈피 표시구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서 책장의 어느 길이와 같은 길이를 이루게 형성한 박판상의 표시구 몸체; 및
    상기 표시구 몸체의 어느 일측단으로부터 그 표시구 몸체의 일부와 대면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표시구 몸체와의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책장을 탄성적으로 협지하기 위한 안내경사부를 갖는 탄성협지부를 포함하는 책갈피 표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협지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그 탄성협지부와 같이 책장을 압압하기 위한 소정형태의 압압편을 더 포함하고, 그 압압편의 상기 표시구 몸체와 대면하는 선단부측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표시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협지부의 어느 외측면은 광고면으로 제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표시구.
KR2019970033467U 1997-11-24 1997-11-24 책갈피 표시구 Ceased KR19990020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67U KR19990020067U (ko) 1997-11-24 1997-11-24 책갈피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67U KR19990020067U (ko) 1997-11-24 1997-11-24 책갈피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067U true KR19990020067U (ko) 1999-06-15

Family

ID=6969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467U Ceased KR19990020067U (ko) 1997-11-24 1997-11-24 책갈피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0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22B1 (ko) * 2002-11-15 2006-03-20 이재한 책갈피 겸용 밑줄 자
KR100816814B1 (ko) * 2006-02-15 2008-03-31 홍동복 책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22B1 (ko) * 2002-11-15 2006-03-20 이재한 책갈피 겸용 밑줄 자
KR100816814B1 (ko) * 2006-02-15 2008-03-31 홍동복 책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3924A (en) roberts
US5890603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objects to appliances
KR19990020067U (ko) 책갈피 표시구
CA2416951A1 (en) Card holder
JPS6326719B2 (ko)
US6969037B2 (en) Display platform
KR200268688Y1 (ko) 책갈피용 꽂이
JPH0531989Y2 (ko)
KR200201116Y1 (ko) 명찰 케이스
KR0127752Y1 (ko) 서류제본물
KR200195719Y1 (ko) 다이어리의 낱장이 직립토록 되는 탁상용 다이어리
JPH0430901Y2 (ko)
KR101084726B1 (ko) 탁상용 명패
KR910009421Y1 (ko) 간판용 틀재의 연결구
KR200341678Y1 (ko) 밑줄자
KR950006568Y1 (ko) 메모리 클립용 흡착행거(hanger)
JPS6127168U (ja) 見出し標示用具
JPH0219271Y2 (ko)
KR880001525Y1 (ko) 탁상용 노트
JP3181124U (ja) ペーパーホルダー
JP3131604B2 (ja) ホルダー
KR200277628Y1 (ko) 클립 보조용 색인표
JPH08132792A (ja) 弾性体付き押しピン
KR100495944B1 (ko) 책의 펼쳐진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책갈피
JPH08156475A (ja) 文書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1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716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