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934A -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 Google Patents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8934A KR19990018934A KR1019970042215A KR19970042215A KR19990018934A KR 19990018934 A KR19990018934 A KR 19990018934A KR 1019970042215 A KR1019970042215 A KR 1019970042215A KR 19970042215 A KR19970042215 A KR 19970042215A KR 19990018934 A KR19990018934 A KR 19990018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region
- metal
- memory device
- semiconductor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4—Bit-line control circui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 아웃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비트라인의 전압을 전달하는 전달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접속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그라운드와 비트라인은 메탈영역들로 형성하고, 셀들의 활성영역을 상기 비트라인인 메탈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워드 라인이 접속되는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위해 폴리를 순차적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전달 트랜지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셀들을 도전영역으로 연결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 array out method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transfer transistor for transferring a voltage of a bit line in a memory cell array;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cells, a ground and a bit line formed of metal regions, the active region of the cell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etal region of the bit line, the cell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word line thereon The polys are sequentially arranged for the gates of the gates, and then the cell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transistors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reg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레이 아웃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최근들어 출시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저전압에서 동작하거나, 독립 반도체 장치들을 결합하는 복합 반도체 장치로 변해가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상기 저전압용 메모리 셀을 위한 공정과 설게 기술 개발이 동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 롬)는 셀의 구조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그 첫 번째는 낸드형(nand type)이고 그 다음으로는 노어형(nor type)으로서 그에 맞게 메모리 셀 어레이(memory cell array)를 레이아웃(layout)하게 된다.In recent years,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that are released in recent years tend to operate at low voltages or become complex semiconductor devices combining independent semiconductor devices. Therefore, development of a process and design technology for the low voltage memory cell should be accompanied. In general, random access memory (ROM)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cells. The first is a nand type, and the next is a nor type. It will layout the memory cell array.
도 1은 낸드 구조의 셀 어레이를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artial illustration of a cell array of NAND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셀들은 스트링 선택 신호가 게이트로 인가되는 트랜지스터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셀들을 레이 아웃시에는 칩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주 목적이며, 이는 네트다이(netdie) 증가가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은 낸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그 면적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낸드 구조로 어레이를 구성하게 되면 칩의 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소비 전류도 적게 흐르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a transistor to which a string select signal is applied as a gate. The main purpose is to minimize the area of the chip when the cells are laid out, because the increase in netdie will redu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The area is minimized by using the NAND structur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array is formed of the NAND structure, not only the area of the chip may be reduced but also the operating current flows less.
도 2는 도 1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이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스트링 라인이 두 개 있을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ayout of FIG. 1, which shows a case where there are two string lin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1.
이하 하나의 스트링 라인의 레이아웃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그라운드와 비트라인을 위한 메탈영역들(10a,20)이 존재하고, 셀 트랜지스터들(M1∼M32)을 위한 활성 영역(30a)이 메탈 영역(10a)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워드라인(W/Li)이 접속되는 셀 트랜지스터들(M1∼M32)의 게이트를 위해 폴리(poly)들이 상기 활성 영역(30a)위에 순차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셀들이 직렬로 접속된다. 그런 다음에는 비트 라인과 접지를 위한 메탈 컨택(metal contact)을 하면 레이 아웃 구성은 끝이 나게 된다.Hereinafter, only the layout of one string line will be described. The metal regions 10a and 20 for the ground and the bit line exist, and the active region 30a for the cell transistors M1 to M32 is the metal region 10a. Is formed above.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by sequentially arranging polys on the active region 30a for the gates of the cell transistors M1 to M32 to which the word lines W / Li are connected. Then the metal contacts for the bit lines and grounds complete the layout configuration.
도 3은 노어 구조로 된 셀들이 도시되어 있다.3 shows cells with a NOR structure.
노어 구조는 게이트로 워드라인이 접속되고 드레인은 비트라인에 각각 접속되고, 소오스는 접지되는 셀 트랜지스터들(MR1∼MR32)이 선택 트랜지스터(M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비트라인과 접지사이에 셀들이 병렬 연결됨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동작이 수행되고 특히 저전압, 저전류에서는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노어형 셀들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노어형은 활성화영역에 셀들이 채널들이 형성되고 비트라인과 접지에 셀들 각각이 컨택으로 연결됨으로써 비트라인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런데 제품 경쟁시 칩 면적 최소화가 최우선이므로 상기 셀들이 병렬로 연결되는 노어 구조보다는 낸드 구조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NOR structure, the word lines are connected to the gates, the drains are connected to the bit lines, and the cell transistors MR1 to MR32 which are grounded are connected to the selection transistors M0 in parallel. Therefore, as the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bit line and the ground, selecting any one of them ha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especially at low voltage and low curr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NOR-type cells according to FIG. 3. In the NOR type, it can be seen that cells are connected to the bit line in parallel by forming channels in the active region and connecting the cells to the bit line and the ground. However, since chip area minimization is a top priority in product competition, the NAND structure is preferred to the NOR structure in which the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낸드구조는 칩의 면적이 줄어드는 효과는 있지만 모든 셀들이 도통되어야만 동작되기 때문에 저전압, 저전류에서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노어 구조에서는 저전압 저전류에서 동작이 용이한 이점은 있지만 단위 레이아웃 면적이 동일한 디자인 룰(design rule)을 이용한 낸드 구조보다 3 배이상 커지게 되고, 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할 때 6배 이상 레이아웃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NAND structur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rea of the chip, but since all cells operate only when they are connected, a problem occurs that causes malfunction at low voltage and low current. In addition, the NOR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easy operation at low voltage and low current, but the unit layout area is three times larger than the NAND structure using the same design rule, and the layout is more than six times when configuring the entire memory cell array. The problem is that the area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노어구조의 셀 어레이를 낸드 구조로 레이아웃을 구성하여 저전압, 저전류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칩의 단위 레이 아웃 면적도 줄일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t low voltage and low current, and also reducing the unit layout area of a chip by forming a NAND structure of a cell array having a NOR structure.
도 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의 낸드 셀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NAND cell unit constituting a memory cell array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2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의 낸드 셀 유니트를 위한 레이아웃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layout pattern for one NAND cell unit constituting a memory cell array:
도 3은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노어 셀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NOR cells constituting a memory cell arra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어셀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 일부 레이 아웃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layout pattern of a portion of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NORc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a, 100b : 메탈영역 140a, 140b : 제 1 활성 영역100a and 100b: metal regions 140a and 140b: first active region
160a, 160b : 제 2 활성 영역 180a, 180b : 도전 영역160a, 160b: second active region 180a, 180b: conductive region
(구성)(Configu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의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비트라인의 전압을 전달하는 전달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접속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그라운드와 비트라인은 메탈영역들로 형성하고, 셀들의 활성영역을 상기 비트라인인 메탈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워드라인이 접속되는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위해 폴리를 순차적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전달 트랜지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셀들을 도전영역으로 연결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 transfer transistor for transferring a voltage of a bit line in a memory cell array, and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ransfer transistor. The bit line is formed of metal regions, the active regions of the cells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it region of the metal region, and poly is sequentially arranged for the gate of the cell transistor to which the word line is connected. The cell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transistors are connected to a conductive area.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은 상기 비트라인인 메탈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ductive region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etal region which is the bit lin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 영역은 메탈보다는 도전성이 약하고 저항보다는 도전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ductive region is characterized by weaker conductivity than metal and higher conductivity than res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두 개의 전달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전달 트랜지스터에 셀들이 병렬로 접속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활성영역은 한쪽이 하나의 비트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다른쪽은 그라운드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전달신호들이 인가되는 게이트들을 위해 두 개의 폴리들이 상기 활성영역위에 비트라인과 상반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들의 연결을 위해 전기는 통하나 저항성은 메탈보다 높은 도전영역을 상기 비트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two transfer transistors and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transfer transistor in a memory cell array, an active region in which the transfer transistors are formed has one bit line on one side thereof. Are connected in common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ground, respectively, and two poly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bit line on the active region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transistors for gates to which different transfer signals are applied. In order to connect the transistors, the conductive region, which is electrically conductive but resistive,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it lin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레이아웃방법을 참고 도면들 도 3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ell layout method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4를 참고하면 노어구조로 된 셀 어레이는 낸드 구조에서와 비슷하게 셀들의 활성영역에 폴리들을 일렬로 배열하고, 단 선택 트랜지스터에 셀들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메탈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형성시킴으로써 전체 칩 면적을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cell array having a NOR structure arranges polys in a line in an active region of cells similarly to a NAND structure, and a portion in which cells are common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elect transistor is formed in a region different from a metal region. This can reduce the total chip area.
도 3은 노어구조의 셀 어레이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shows a portion of a cell array of a NOR structure.
도 3을 참고하면, 셀 어레이는 스트링 선택 신호(S/S)가 인가되는 게이트와 비트라인에 접속되는 드레인과 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소오스를 갖는 선택 트랜지스터(M0)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인 제 1 노드와 접지사이에 채널이 병렬로 접속되는 셀들(MR1∼MR32)을 구비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선택 트랜지스터(M0)에 셀들이 각각 분리되어 접속되어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셀들은 워드라인이 접속되는 게이트와 상기 제 1 노드에 드레인들이 공통으로 접속되고 소오스들은 모두 접지되는 트랜지스터들이다.Referring to FIG. 3, a cell array includes a select transistor M0 having a gate connected to a string select signal S / S, a drain connected to a bit line, and a source connected to cells in common, and a source of the transistor. The cells MR1 to MR32 are connected between one node and ground in parallel. This simply shows that the cells are separately connected to one selection transistor M0. The cells are transistors in which drains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gate and the first node to which a word line is connected, and the sources are grounded.
도 4는 노어형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이는 도 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셀 어레이가 하나 더 추가되었을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NOR cell array, which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more cell array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FIG. 3 is added.
도 4를 참조하면, 기판 영역위에 그라운드인 제 1 메탈영역(100a, 100b)과 비트라인(BL)인 제 2 메탈 영역(120)이 배치된다. 그라운드인 제 1 메탈 영역(100a, 100b)과 비트라인을 위한 제 2 메탈영역(120) 상부에 선택 트랜지스터(M0)를 위한 제 1 활성영역(140)이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신호(S/S)가 인가되는 게이트의 폴리들이 상기 제 1 활성영역(100a, 100b) 위에 배치되고, 비트라인과의 접속을 위해 제 2 메탈영역(120)과 제 1 활성영역(140)을 컨택한다. 그리고 제 1 메탈 영역(100a, 100b) 상부에 제 1 활성 영역(140)을 제외한 나머지에 셀 트랜지스터들(MR1∼M32)을 위한 제 2 활성 영역(160a 160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활성 영역(160a, 160b)은 상기 비트라인인 제 2 메탈 영역(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워드라인과 접속되는 셀들의 게이트는 폴리들로 제 2 활성 영역(160a, 160b) 상부에 상기 비트라인과 반대 방향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셀 트랜지스터들(MR1∼MR32)의 소오스들을 위해 제 1 메탈 영역(100a, 100b)과 제 2 활성영역(160a, 160b)을 상호 연결한다. 상술한 노어 구조는 제 2 활성영역위에 폴리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것은 낸드 구조와 동일하며, 소오스들을 위한 메탈 컨택을 했다는 것만이 도 2의 그것과 다르다.Referring to FIG. 4, first metal regions 100a and 100b which are ground and a second metal region 120 which is a bit line BL are disposed on a substrate region. A first active region 140 for the selection transistor M0 is formed on the first metal regions 100a and 100b which are ground and the second metal region 120 for the bit line. The polys of the gate to which the selection signal S / S is applied are disposed on the first active regions 100a and 100b, and the second metal region 120 and the first active region 140 are connected to the bit lines. ). Second active regions 160a and 160b for cell transistors MR1 to M32 are formed on the first metal regions 100a and 100b except for the first active region 140. In this case, the second active regions 160a and 160b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metal region 120 which is the bit line, and gates of the cells connected to the word line are formed of polys. 160b) is arrang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bit line. The first metal regions 100a and 100b and the second active regions 160a and 160b are interconnected for the sources of the cell transistors MR1 to MR32 that are grounded to ground. The NOR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identical to the NAND structure in which polys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second active region, except that the metal contacts for the sources are made.
계속해서, 제 1 노드와 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들과의 공통 접속을 위해 메탈보다는 도전성이 낮고, 저항보다는 도전성이 높은 도전영역(180)을 배치한 다음 컨택을 통해 제 1 노드과 드레인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 1 노드(N1)와 드레인과의 연결을 위해 메탈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그로 인해 전체 메탈 개수가 증가하여 전체 칩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메탈 대신에 도전막을 이용하면 제 1 노드(N1)와 드레인의 상호 접속도 가능하고, 면적도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Subsequently, for the common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drains of the cell transistor, a conductive region 180 having a lower conductivity than the metal and a higher conductivity than the resistance is disposed, and then the first node and the drain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In this case, a metal may be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drain, but this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total number of metals increases to increase the total chip area. Therefore, if the conductive film is used instead of the metal, the first node N1 and the drain can be interconnected, and the area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노어구조를 갖는 셀 어레이를 낸드 구조의 셀 어레이의 레이 아웃과 비숫하게 셀들의 활성영역을 직렬로 배열하고 대신 셀들이 병렬 접속되는 노드와의 연결을 위해 메탈 영역대신 도전영역이 배치 됨으로써 메탈 수도 줄일 수 있고, 셀들이 직렬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전체 칩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By arranging the cell array having the NOR structure as above, the active regions of the cells are arranged in series with the layout of the NAND structure, and instead, the conductive regions are disposed instead of the metal regions for connection with the nodes where the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number of metals can be reduced and the total chip area is reduced as the cells are arranged in series.
상술한 바와 같은 노어구조를 갖는 셀 어레이를 낸드구조에서와 같이 셀들의 활성영역을 직렬로 배열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arranging the cell array having the N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NAND structure, the active area of the cells is arranged in series, thereby reducing the layout area.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2215A KR19990018934A (en) | 1997-08-28 | 1997-08-28 |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2215A KR19990018934A (en) | 1997-08-28 | 1997-08-28 |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934A true KR19990018934A (en) | 1999-03-15 |
Family
ID=6603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2215A Withdrawn KR19990018934A (en) | 1997-08-28 | 1997-08-28 |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893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3939A (en) * | 2009-10-09 | 2012-08-23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Logic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1997
- 1997-08-28 KR KR1019970042215A patent/KR1999001893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3939A (en) * | 2009-10-09 | 2012-08-23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Logic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7692B1 (en) | Circuit wiring arrangemen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arrangement | |
US7471545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6838713B1 (en) | Dual-height cell with variable width power rail architecture | |
US7453126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ayout area reduced | |
US5416350A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vertical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bit lines | |
US20190088585A1 (en) | Memory Circuits and Routing of Conductive Layers Thereof | |
JP3104319B2 (en) | Non-volatile storage device | |
US7508238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US5105385A (en) | Cell array pattern layout for eeprom device | |
KR100314973B1 (en) | Global wir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ple-port random access memory | |
US7259977B2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ierarchized bit lines | |
US6856542B2 (en) | Programmable logic device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
KR100379289B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Logic Circuit Comprising Transistor with Lower Threshold Voltage Values and Improved Pattern Layout | |
KR101173726B1 (en) |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
US5291045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a differential cell in a memory cell | |
US20060059449A1 (en) | Line layout structur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
US7411808B2 (en) | Method for reading ROM cell | |
US6618282B1 (en) | High density ROM architecture with inversion of programming | |
EP0001164B1 (en) | Integrated read-only memory | |
US6355982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airs of bit lines arranged on both sides of memory cells | |
KR19990018934A (en) | Layout method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R cells | |
US6642587B1 (en) | High density ROM architecture | |
US20060198219A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US5696803A (en) | Barrel shif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4627028A (en) | Memory decoder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