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7613U -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 Google Patents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613U
KR19990017613U KR2019990001461U KR19990001461U KR19990017613U KR 19990017613 U KR19990017613 U KR 19990017613U KR 2019990001461 U KR2019990001461 U KR 2019990001461U KR 19990001461 U KR19990001461 U KR 19990001461U KR 19990017613 U KR19990017613 U KR 19990017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mold
automobile
mil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권인제
Original Assignee
이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규 filed Critical 이인규
Priority to KR201999000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613U/ko
Publication of KR19990017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1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반죽 완구인 칼라밀을 형틀을 이용하여 소정의 틀에 덧씌우기를 하여 칼라밀이 덧씌워진 형틀을 자동차 완구의 몸체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되는 칼라밀을 이용한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자동차 형상을 그대로 답습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시에 손상이 생길 경우에는 부품의 교환이 불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부품도 동시에 버려지게 됨으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상에 따라 칼라밀(14)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부(10)를 형성한 상부형틀(2)에 경첩으로 힌지 된 하부형틀(4)에 자동차 완구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틀(18)을 고정하여 상, 하부형틀(2)(4)의 결합을 통하여 요입부(10)에 충진된 칼라밀(14)을 자동차 완구 몸체로 성형하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 완구.

Description

몸체의 변경이 가능한 칼라밀 자동차 완구 {COLOR WHEAT AUTOMOBILE CAN BE CHANGE THE BODY}
본 고안은 자동차 완구의 몸체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가지 색상의 칼라밀(밀가루에 여러 가지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도록 된 밀가루 반죽 완구)을 형틀에 넣고 형 밖에서 힘을 가하여 소정의 형상을 만들어 이를 자동차 완구의 몸체로 사용하도록 하여 자동차 완구 몸체를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싫증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자동차 형상을 그대로 답습한 형태로 구성되어 완구의 외형을 바꾸거나 또는 변경하는 것은 제안되고 있지 못하고 통상 로봇 형상 또는 자동차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여러 가지 구비하여 이의 조립을 통하여 로봇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한 것으로, 이는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한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변신 완구는 주로 로봇의 형상을 가진 완구를 다수개 구비한 후 이의 합체를 통하여 보다 큰 로봇의 모양으로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로봇 완구로서의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주행 완구로서의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모양이 변하는 것이 아닌 분해 및 결합을 통하여 다른 모양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모양의 변화에 한계가 있고 자동차를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도록 된 완구인 칼라밀을 자동차의 외형을 한 형틀에 넣고 형 밖에서 힘을 가하여 자동차의 외형을 만들어 이를 자동차 몸체로 사용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 완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외형을 구성하는 형틀을 다양한 모양의 자동차 외형으로 구비하여 반죽 완구인 칼라밀의 재사용을 통하여 자동차 완구를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가 칼라밀을 반죽하여 자동차 완구 몸체를 직접 만들어 물건을 만드는 능력과 이것을 통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공작(工作)교육에 우수한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상부형틀에 칼라밀이 주입되어 하부형틀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칼라밀을 성형한 상부형틀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결합틀을 자동차 완구에 결합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부형틀의 또 다른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상부형틀4: 하부형틀
6: 고정홈8: 걸림턱
10: 요입부12: 돌출턱
14: 칼라밀16: 걸림단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내지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상에 따라 칼라밀(14)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부(10)를 형성한 상부형틀(2)과, 좌우 선단으로 고정홈(6)과 걸림턱(8)을 형성한 하부형틀(4)을 경첩식으로 힌지시켜, 상기 하부형틀(4)에 돌출턱(12)과 걸림단(16)을 형성한 결합틀(18)을 고정하여 상, 하부형틀(2)(4)의 결합을 통하여 요입부(10)에 충진된 칼라밀(14)을 자동차 완구의 몸체로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칼라밀(14)을 충진하여 자동차 완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요입부(10)의 형상은 자동차 완구의 외관을 변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요입부(10)에 충진되는 칼라밀(14)을 상,하부형틀(2)(4)의 결합으로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형틀(4)에 고정되어 자동차 완구에 결합되는 결합틀(18)은 좌우 선단으로 돌출턱(12)과 걸림단(16)을 형성하여 하부형틀(4)의 일단측에 형성된 걸림턱(8)에 걸림단(16)을 결합한 후 돌출턱(12)을 고정홈(6)에 삽입 고정시켜 상,하부형틀(2)(4)의 결합시 결합틀(18)이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동차 완구에 결합틀(18)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형틀(2)에 충진되어 상,하부형틀(2)(4)의 가압으로 자동차의 외관 형상으로 성형되는 칼라밀(14)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도록 된 반죽 완구이므로 칼라밀(14)의 성형 후 말랑말랑한 상태를 유지하여 그 자체로는 자동차 완구에 결합이 어려우므로 결합틀(18)의 상면에 안치하여 상기 결합틀(18)을 자동차에 결합하여 자동차 완구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결합틀(18)의 외형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칼라밀(14)이 쉽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형상이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가능하며, 상부형틀(2)에 결합되면 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하부형틀(2)(4)은 경첩으로 힌지시켜 그 회전을 통하여 가압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상,하부형틀(2)(4)을 분리하여 형성하여도 결합이 가능한 것이므로 반드시 경첩으로 힌지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외관에 따라 그 형상을 형성한 요입부(10)에 칼라밀(14)을 충진하고, 하부형틀(4)에는 자동차 완구에 결합되는 결합틀(18)을 고정한 후 상,하부형틀(2)(4)을 가압 결합하면 말랑말랑한 상태로 충진된 칼라밀(14)이 하부형틀(4)에 고정된 결합틀(18)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칼라밀(14)의 성형시 요입부(10)에 충진된 칼라밀(14)의 체적이 커야만 가압에 의하여 완벽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칼라밀(14)을 상부형틀(2)의 선단과 거의 일치되도록 주입하여야 하며 상,하부형틀(2)(4)의 가압 후 찌꺼기는 상부형틀(2)과 결합틀(18)의 틈새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이를 제거한 후 결합틀(18)을 자동차 완구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칼라밀(14)은 성형 후 대략 일주일 정도 말랑말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자동차 완구의 몸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틀(18)에 밀착고정된 칼라밀(14)을 제거하여 적당히 반죽한 후 상부형틀(2)에 형성된 요입부(10)에 충진하여 상,하부형틀(2)(4)의 가압을 통하여 모양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자동차 완구를 다른 모양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 6도에 도시한 다른 모양의 상부형틀(2a)을 하부형틀(4)에 가압하면 자동차 완구의 외관이 변경되는 것이고 결합틀(18)을 자동차 완구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결합틀(18)을 자동차 완구에 결합하여 자동차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다수개의 결합틀(18)을 구비하여 칼라밀(14)을 성형하면 자동차 완구 몸체가 여러개 구비되므로 놀이시 보다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도록 된 완구인 칼라밀을 자동차의 외형을 한 형틀에 넣고 형 밖에서 힘을 가하여 자동차의 외형을 만들어 이를 자동차 몸체로 사용하므로 놀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자동차를 직접 만드는 공작 교육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상에 따라 칼라밀(14)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부(10)를 형성한 상부형틀(2)과, 좌우 선단으로 고정홈(6)과 걸림턱(8)을 형성한 하부형틀(4)을 경첩식으로 힌지시켜, 상기 하부형틀(4)에 돌출턱(12)과 걸림단(16)을 형성한 결합틀(18)을 고정하여 상, 하부형틀(2)(4)의 결합을 통하여 요입부(10)에 충진된 칼라밀(14)을 자동차 완구 몸체로 성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의 변경이 가능한 칼라밀 자동차 완구.
KR2019990001461U 1999-02-02 1999-02-02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KR199900176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61U KR19990017613U (ko) 1999-02-02 1999-02-02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61U KR19990017613U (ko) 1999-02-02 1999-02-02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3U true KR19990017613U (ko) 1999-05-25

Family

ID=5475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61U KR19990017613U (ko) 1999-02-02 1999-02-02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6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0010B1 (en) Injection moul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rticles from two components
EP0783907A1 (en) Toy construction kit
CN104225929B (zh) 黏土成形玩具
TW310281B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EP0144037B1 (de) Funktionales Formgestaltungselement für Spiele-, Geschenk-oder Werbeartikel
KR19990017613U (ko) 몸체의변경이가능한칼라밀자동차완구
KR200435034Y1 (ko) 완구딱지
US20090068923A1 (en) Color toy having clear color boundary
JP4224127B1 (ja) 成型遊具
KR200213589Y1 (ko) 체인블록완구용 바퀴
KR20180063468A (ko) 조립식 블록완구
JPH105451A (ja) 連結ブロック
KR100659690B1 (ko) 화장품 용기
KR200218837Y1 (ko) 망치 완구
KR19990017614U (ko) 칼라밀조형용성형틀
JP4674736B2 (ja) ケース体
JP2536548Y2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50039947A (ko) 화장용 브러시 손잡이 제조방법
JPH02236Y2 (ko)
GB2565137B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structional toy elements
KR200385496Y1 (ko) 캐릭터 완구가 결합된 캡구조
JP2007520314A (ja) スナップ式で嵌る教育用玩具の乗り物装置
KR200375156Y1 (ko) 컬러 캐릭터 그림이 인쇄된 입체 딱지
GB1585000A (en) Toy construction kits
JP3058903U (ja) シャボン玉吹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2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