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6829A -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829A
KR19990016829A KR1019970039516A KR19970039516A KR19990016829A KR 19990016829 A KR19990016829 A KR 19990016829A KR 1019970039516 A KR1019970039516 A KR 1019970039516A KR 19970039516 A KR19970039516 A KR 19970039516A KR 19990016829 A KR19990016829 A KR 1999001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moving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2232B1 (ko
Inventor
인문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2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H01L21/677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the workpiece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판(LCD)의 투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 표시판이 적재된 트래이를 여러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고, 사용된 빈 트래이를 그 반대 방향으로 후송시킬 수 있도록 상, 하 복렬로 이루어진 이송대와, 상기 트래이들로부터 최하단의 트래이만 투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단씩 분리시키는 트래이 분리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고정 팰릿으로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소정의 작업이 수행된 액정 표시판을 고정 팰릿으로부터 트래이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액정 표시판을 이동시키는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취출되는 액정 표시판의 정확한 작업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되는 한 단의 트래이로부터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빈 트래이를 취출할 수 있도록 트래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트래이 리프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판(LCD)의 투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판을 복수의 트래이에 담아 소정의 작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송대 위에 일련으로 공급할 때 상기 트래이를 한 단씩 분리하며 액정 표시판을 자동으로 위치 결정시켜 로딩/ 언로딩(Loading/ Unloading)시키기 위한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나 휴대용 컴퓨터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액정 표시판(LCD Panel)을 제조할 때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공될 LCD 를 하나씩 투입하게 되고, 해당 공정이 완료되면 이를 취출한다.
종래에는 액정 표시판을 투입 및 취출할 때 주로 수동 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작업 시간 및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판을 다수의 트래이에 다단으로 적재 투입하고, 한 단씩 분리된 트래이로부터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여 자동으로 위치를 결정한 후 로딩 및 언로딩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판(LCD)의 투입 및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판(LCD)의 투입 및 취출 장치는, 액정 표시판이 적재된 트래이를 여러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고, 사용된 빈 트래이를 그 반대 방향으로 후송시킬 수 있도록 상, 하 복렬로 이루어진 이송대와, 상기 트래이들로부터 최하단의 트래이만 투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단씩 분리시키는 트래이 분리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고정 팰릿으로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소정의 작업이 수행된 액정 표시판을 고정 팰릿으로부터 트래이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액정 표시판을 이동시키는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취출되는 액정 표시판의 정확한 작업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되는 한 단의 트래이로부터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빈 트래이를 취출할 수 있도록 트래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트래이 리프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이송대 및 트래이 분리 수단의 정면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트래이 분리 수단의 측면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의 정면도.
도 5 는 도 4 의 측면도.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위치 결정 수단의 상세도.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트래이 리프팅 수단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판, 20 : 트래이,
30 : 고정 팰릿, 100 : 이송대,
150 : 가이드 레일, 200 : 트래이 분리 수단,
212, 232, 234, 242, 244, 252, 422, 424 : 실린더 부재,
210 : 스토퍼, 222, 224 : 걸림 부재,
250 : 지지판, 260 : 센서,
300 : 액정표시판 이동 수단, 310 : X 축 로봇,
320 : Y 축 로봇, 330 : Z 축 로봇,
342, 344, 346 : 진공 패드, 400 : 위치 결정 수단,
412, 414, 416, 418 : 기준 위치 블록, 432, 434 : 가이드 부재,
500 : 트래이 리프팅 수단, 510 : 수직 가이드 부재,
520 : 승강 부재, 522 : 볼 스크류,
530 : 모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 은 액정 표시판(LCD Panel)을 나타내고, 상기 액정 표시판은 트래이(Tray)(20)에 담겨진 상태로 소정의 공정 작업을 위하여 투입된다.
부호 100 은 이송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액정 표시판(10)이 적재된 트래이(20)를 24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사용된 빈 트래이(20)를 그 반대 방향으로 후송시킬 수 있도록 상, 하 복렬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 에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100)는 상, 하부 프레임(110)(120)에 각 각 소정 간격을 두고 타이밍 벨트(130)와 접하고 있는 벨트 풀리(140)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 풀리(140)의 회전에 따라 트래이(20)를 일련으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110)(120) 상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50)이 설치되고, 이는 12″ ∼ 17″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액정 표시판(10)을 담은 트레이(20)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송 폭을 가변 조절시킬 수 있다.
부호 200 은 트래이 분리 수단으로서, 이는 투입되는 24 단의 트래이(20) 들로부터 최하단의 트래이만 한 단씩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즉, 도 3 에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200)은 트래이(20)의 투입에 따라 이송 작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210)와, 상기 트래이(20)의 양단 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222)(224)와, 상기 걸림 부재(222)(224)를 광 센서(260)의 감지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복수의 실린더 부재(232)(234)(242)(2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10)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212)와 볼 부쉬(Ball Bush)(214)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222)(224)는 수평 방향으로 실린더 부재(232)(234)의 선단에 장착되고, 다른 실린더 부재(242)(24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200)은 트래이(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지지판(250)과, 상기 지지판(25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2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250)도 역시 볼 부쉬(254)에 의하여 지지되어진다.
부호 300 은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트래이(20)로부터 고정 팰릿(30)으로 액정 표시판(10)을 취출하거나 소정의 작업이 수행된 액정 표시판을 고정 팰릿(30)으로부터 트래이(20)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액정 표시판(10)을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도 4 및 도 5 에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300)은 액정 표시판(10)을 X, Y, Z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로봇(310)(320)(330)과, 상기 로봇(310)(320)(330) 중 Z 축 로봇(330)에 의하여 액정 표시판(10)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하여 여러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흡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진공 패드(342)(344)(346)를 포함한다.
여기서, X 축 로봇(310)의 외면에 Y 축 로봇(320)이 브라켓(322)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Y 축 로봇(320) 상에는 Z 축 로봇(330)이 다른 브라켓(332)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Z 축 로봇(330)의 선단에는 액정 표시판(10)을 진공 흡착할 수 있는 다수의 진공 패드(342)(344)(346)가 브라켓(347)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 패드(342)(344)(346)는, 로킹 플레이트(341) 상에 방사상으로 액정 표시판(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장착된 복수의 LCD 이동용 진공 패드(342)와, 상기 액정 표시판(10)의 이동시 게이트(Gate)나 소오스(Source) PCB 를 흔들리지 않도록 보조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PCB 고정용 진공 패드(344)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과 별도로 액정 표시판(10)을 X, Y, Z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미세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용 진공 패드(346)를 구비한다.
부호 400 은 위치 결정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상기 로봇(310)(320) (330)의 이동에 따라 트래이(20)로부터 취출되는 액정 표시판(10)을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도록 정확한 작업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이다.
즉, 도 6 에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수단(400)은, 액정 표시판(10)을 안착시키는 안착대(402)(404)를 셋팅된 위치에 맞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 부재(422)(424)가 그 양 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432)(434)가 상기 실린더 부재(422)(42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안착대(402)(404)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대(402)(404) 위에는 액정 표시판(10)이 충돌됨으로써 기준 위치를 맞출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기준 위치 블록(412)(414)(416)(418)을 X, Y 방향으로 각 각 구비한다.
부호 500 은 트래이 리프팅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트래이 분리 수단(200)에 의하여 분리되는 한 단의 트래이(20)로부터 액정 표시판(10)을 취출하거나 빈 트래이를 취출할 수 있도록 트래이(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단이다.
즉, 도 7 에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래이 리프팅 수단(500)은 트래이(20)를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회동되는 수직 가이드 부재(510)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51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볼 스크류(522)에 의하여 결합된 승강 부재(520)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51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530)의 축과 수직 가이드(510)의 축은 각 각 풀리(532)(512)에 의하여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정 표시판(10)이 하나씩 담긴 트래이(20)를 24 단으로 적재하여 이송대(100)의 상부 프레임(110) 쪽으로 투입한다.
이 때, 상기 이송대(100)는 별도의 스토퍼가 아닌 브레이크 모터(160)에 의하여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24 단의 트래이(20)가 트래이 분리 수단(200)에 의하여 최 하단의 트래이(20)만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고, 나머지 23 단의 트래이(20)는 상승케 한다.
이 때, 상기 트래이의 정지 작용은 스토퍼(21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의 실린더 부재(232)(234)의 작용에 따라 걸림 부재(222)(224)가 트래이(20)의 턱 부분을 밀착되고, 수직 방향의 실린더 부재(242)(244)에 의하여 들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23 단의 트래이(20)가 상승된 것이 양 쪽의 광센서(260)에 의하여 감지되면, 최하단의 트래이(20)는 다시 이송된다.
1 단의 트래이(20)가 이송 완료된 후에는 23 단의 트래이는 다시 원위치로 하강된다.
이러한 동작은 24 단의 트래이가 다 소모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 액정 표시판(10)은 위치 결정 수단(400)에 의하여 정확한 공정 위치를 잡기 위한 위치를 결정한다.
이 때에는 Z 축 로봇(330)의 선단에 장착된 다수의 진공 패드(342)(344)에 의하여 액정 표시판(10)을 흡착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액정 표시판(10)은 위치 결정 수단(400)의 안착대(402)(404) 위에 언로딩됨과 동시에, Z 축 로봇(330)의 위치 결정용 진공 패드(346)에 의하여 X, Y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액정 표시판(1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이 완료되면, Z 축 로봇(330)의 다른 진공 패드(342)(344)에 의하여 액정 표시판(10)이 다시 흡착된 후 고정 팰릿(30) 상에 안착하여 공정 대기한다.
이 후, 상기 액정 표시판(10)은 경화기(600)이나 디스펜서(Dispenser)(700)로 이동되어 해당 작업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트래이(20)로부터 로봇에 의하여 액정 표시판(10)이 상승되면, 빈 트래이는 하부 프래임(120) 쪽으로 하강되어 진행(투입) 방향과 정 반대 방향으로 취출된다.
이렇게 취출된 빈 트래이(20)가 트래이 분리 수단(200) 쪽에 도달되면, 수평 방향의 실린더 부재(232)(234)가 전진하여 걸림 부재(222)(224)에 의하여 트래이 1 단을 잡는다. 이 상태에서 빈 트래이(20)가 공급되면, 홀딩된 트래이를 다시 놓게 된다.
이러한 동작도 24 단의 트래이가 적재될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빈 트래이(20)가 24 단이 다 적재된 후에는 하부 프레임(120)의 이송대를 타고 취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 과정은 전체적으로 보면 액정 표시판(10)을 트래이(20)로부터 고정 팰릿(30)으로 투입하는 로딩 과정에 관한 것이고, 상기 팰릿(30)의 액정 표시판(10)을 트래이(20)로 회수하는 언로딩 과정도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공정 작업에 투입되는 액정 표시판을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할 뿐만 아니라 투입 및 취출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액정 표시판이 적재된 트래이를 여러 단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고, 사용된 빈 트래이를 그 반대 방향으로 후송시킬 수 있도록 상, 하 복렬로 이루어진 이송대와,
    상기 트래이들로부터 최하단의 트래이만 투입 또는 취출할 수 있도록 한 단씩 분리시키는 트래이 분리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고정 팰릿으로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소정의 작업이 수행된 액정 표시판을 고정 팰릿으로부터 트래이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액정 표시판을 이동시키는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과,
    상기 트래이로부터 취출되는 액정 표시판의 정확한 작업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되는 한 단의 트래이로부터 액정 표시판을 취출하거나 빈 트래이를 취출할 수 있도록 트래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트래이 리프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 투입 및 취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는 트레이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송 폭을 가변 조절시킬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은 트래이의 투입에 따라 이송대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트래이의 양단 턱을 걸어올릴 수 있는 걸림 부재와,
    상기 걸림 부재를 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복수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 분리 수단은 트래이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 하로 작동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판 이동 수단은 액정 표시판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X, Y, Z 축 로봇과,
    상기 로봇 중 어느 하나의 축 로봇에 액정 표시판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하여 여러 위치로 변경 가능하게 흡착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다수의 진공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하여 언로딩된 액정 표시판이 접촉될 수 있도록 미리 기준 위치가 설정된 복수의 기준 위치 블록과,
    액정 표시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위치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의 작동에 따라 기준 위치 블록을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 리프팅 수단은 트래이를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회동되는 수직 가이드 부재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볼 스크류에 의하여 결합된 승강 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KR1019970039516A 1997-08-20 1997-08-20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KR10024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516A KR100242232B1 (ko) 1997-08-20 1997-08-20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516A KR100242232B1 (ko) 1997-08-20 1997-08-20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29A true KR19990016829A (ko) 1999-03-15
KR100242232B1 KR100242232B1 (ko) 2000-02-01

Family

ID=1951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516A KR100242232B1 (ko) 1997-08-20 1997-08-20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2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15B1 (ko) * 1999-12-21 2006-01-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셀의 봉지제 및 액정 검사 시스템
WO2019054761A1 (ko) * 2017-09-14 2019-03-21 (주)디이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fpcb 교체시스템
CN110267516A (zh) * 2019-06-12 2019-09-20 港加贺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自动插件机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KR20240053909A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엔피엑스 정위치 상태의 트레이 이송이 가능한 기판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417B1 (ko) * 2016-11-21 2018-02-21 (주)수에코신소재 자동 투입 및 취출용 지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15B1 (ko) * 1999-12-21 2006-01-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셀의 봉지제 및 액정 검사 시스템
WO2019054761A1 (ko) * 2017-09-14 2019-03-21 (주)디이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fpcb 교체시스템
CN110267516A (zh) * 2019-06-12 2019-09-20 港加贺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自动插件机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KR20240053909A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엔피엑스 정위치 상태의 트레이 이송이 가능한 기판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2232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52491B (zh) 丝印上下料设备
CN211970792U (zh) 丝印上下料设备
CN216996634U (zh) 单晶硅上料转运装置
US5220715A (en)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ing apparatus
CN113071887A (zh) Ic载板放板机
KR100242232B1 (ko)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JP4879181B2 (ja) ワークハンドリング装置
KR100339499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의 로더 장치 및 그 방법
TWI393901B (zh) 工件搬運裝置
CN110788662A (zh) 自动上下料机、自动上下料装备和方法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JPH1159903A (ja) 板材の集積方法および装置
CN112224886A (zh) 一种玻璃基板自动装卸设备
CN110687045A (zh) 一种工业机器人芯片规整装置及规整方法
JPH05306003A (ja) パレットストッカー
KR100325528B1 (ko) 트레이공급장치
TWI840092B (zh) 電子元件載運機構及作業機
KR102744246B1 (ko) 올인원 타입의 픽 앤 플레이스 시스템
CN219536446U (zh) 一种内层板上料设备
CN215515658U (zh) 料盘供料流水线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H0568917U (ja) ワーク収納装置
JPH05285778A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搬送装置
JPH0249175B2 (ko)
KR100550874B1 (ko) 자동 칩 적재 및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