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6503A -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503A
KR19990016503A KR1019970039072A KR19970039072A KR19990016503A KR 19990016503 A KR19990016503 A KR 19990016503A KR 1019970039072 A KR1019970039072 A KR 1019970039072A KR 19970039072 A KR19970039072 A KR 19970039072A KR 19990016503 A KR19990016503 A KR 1999001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amaged
spraying
coating
w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만기
Original Assignee
문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만기 filed Critical 문만기
Priority to KR101997003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503A/ko
Publication of KR1999001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03A/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각종 자동차의 표면 손상부(흠집)를 부분도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동차의 손상부(흠집)에 칠을하여 투명코팅제를 도포하면 그 주변에 광택도가 떨어지면서 자국이 남아 손상부(흠집)를 포함한 전체부분을 투명코팅제로 도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의 손상부분에 샌딩으로 1500메쉬 정도 미세한 흠집을 내어 금속보호제를 분사한 다음 손상부와 비손상부의 색상차이가 없도록 1,2차 현장조색하여 건조하고 코팅처리하면서 경계부의 기포를 조성물로 표면처리하고 컴파운드 분사후 광택처리한 것이 문제해결의 요지임.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의 손상부분(흠집)만을 도장하되 색상, 광택도에 차이가 없도록 복원하는 용도임.

Description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손상부(흠집)만을 부분도장, 광택작업하되 비손상부 즉, 새차출고시 처리된 도장부의 채도와 명도, 광택도에 차이가 없도록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자동차의 손상부분만을 도장하여 손상부분만을 투명코팅제로 처리할 경우 비손상부 즉, 새차출고시 처리된 도장부의 채도, 광택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기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손상부를 부분도장한 후 전체적으로 투명코팅제를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부분도장이라고 볼 수 없으면서 전체부분을 투명코팅처리하기 때문에 재료손실과 작업시간 및 경비를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전기한 도장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문(DOOR) 일부분이 손상(흠집)된 경우 손상부분에만 도장, 투명코팅처리할 경우 비손상부와 채도, 투명도가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손상부(흠집)에 도장작업하면서 문의 전체에 투명코팅제를 분사하여 광택도의 차이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면서 원재료 손실이 많아 비현실적이며, 투명코팅제를 전체적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환경오염도 심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차의 손상부(흠집)만을 부분도장하고, 투명코팅처리하되 비손상부 즉, 새차출고시의 도장부 채도와, 광택도 등에 차이가 없도록 복원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부분도장 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상부 2 : 주연부
3 : 경계부 4 : 자동차출고시 도장부
5 : 흠집
본 발명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동차의 손상부분(흠집)에 1500메쉬 정도로 미세한 흠집을 내어 금속보호제를 분사하고 손상부와 비손상부의 색상차이가 없도록 1,2차 현장조색하여 건조하며, 코팅처리하면서 경계부의 기포를 조성물질로 표면처리하여 컴파운드 분사후 광택처리함으로써 손상부만을 부분도장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실시예를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에 발생된 손상부(1) 표면에 도장부의 벗겨짐이 방지되고, 고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1300-1500메쉬 정도 흠집(5)이 발생되게 샌딩처리한 다음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흠집에 금속보호제인 프라이머를 분사하거나 찌그러짐이 발생된 부분에 도장용 퍼티를 고르게 도포하여 건조한다. 이때, 건조방법은 상온에서 약 5-10분정도 자연건조하거나 약 40-50℃로 강제건조한다.
완전 건조후에는 금속보호제가 분사된 표면이나, 퍼티가 도포된 표면을 수샌딩하여 이물질제거와 자동차출고시의 외장상태로 유지되게 평면 및 곡선 연마작업 한다.
손상부(흠집)(1)를 복원하기 위하여 먼저 부분도장할 부위와 그 주연부(2)의 기름, 먼지, 물, 왁스 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상태에서 출고시 자동차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현장조색하여 손상부(1)에 1차적으로 도료를 분사, 도포하여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손상부(1)의 일정 주연부(2)까지 현장조색된 도료를 2차적으로 분사,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체 원색과 동일하게 맞춘다.
이때, 도료는 도장건(분사기)를 이용하여, 건의 압력은 0.010-0.10㎏/㎠이 바람직하고 건과 분사면 간격은 약 20-30㎝가 떨어지게하여 2-3회로 나누어 고르게 분사, 도포한다.
손상부(1)와 그 주연부(2)에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코팅제를 분사함에 있어서는 도료를 도장건으로 분사할 때 분진이 그 주연에 날려 묻어있는 상태이므로 송진포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제거한다.
송진포로 분진을 제거한 후에는 공기분사기로 투명코팅제를 도장된 손상부(흠집)(1)와 그 주연부(2)에 1,2차로 나누어 고르게 분사하되, 공기분사기의 압력이 0.010-0.020㎏/㎠이고 분사면과 약 20-30㎝ 떨어진 상태에서 2-3회로 나누어 투명코팅제를 고르게 분사,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투명코팅제를 분사한 부분과 자동차출고시의 도장, 코팅 경계부(3)에는 기포가 발생하므로 알코올 중량비 20-30%와 신나 중량비 60-70%로 혼합하여서 된 조성물을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면 화학반응에 의한 기포가 소멸되어 표면이 균일하게 처리된다. 이와같이 마무리작업한 다음에는 완전히 건조하여 1차 광택처리한다.
손상부(1)와 그 주연부(2)를 도장한 다음 그 주변의 색상과 광택도에 차이가 없도록 복원하기 위하여 수샌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석유 중량비 40-50%, 에나멜신나 중량비 20-30%, 규조토 중량비 20-30%를 각 혼합하여 포오드컵 # 4로 20초/20℃ 정도의 점도를 가진 컴파운드로 손상부(1)와 그 주연부(2) 및 경계부(3)까지 고르게 분사하여 최종 광택처리함으로써 부분도장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1.
자동차에 흠집이 발생되어 손상부(1)를 복원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장용 퍼티를 도포하여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손상부(1)에만 도색하였더니 도색부위가 열등에 의하여 벗겨짐 현상이 일어나면서 새롭게 도장한 손상부(1)와 자동차출고시의 도장부(4) 색상과 투명도가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차이가 있어 품질을 만족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자동차의 손상부(1)와 그 주연부(2)에 샌딩하여 1500메쉬 정도의 미세한 흠집(5)을 발생시켜 금속보호제 또는 도장용퍼티를 분사, 건조한 다음 현장조색으로 도료를 1,2차 고르게 도포한 경과 도료가 흠집(5) 부분으로 침투하여 고착되므로 도장부분이 벗겨지거나 복원부의 색상이 자동차의 차체색상, 광택도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양호하였다.
실시예 3.
손상부(1)와 그 주연부(2)에 도료를 도포한 다음 투명코팅제를 분사하였더니 손상부(1)와, 주연부(2)와 자동차출고시 도장부(4)의 경계부(3)에 기포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으나, 공기분사기로 0.010㎏/㎠ 압력유지와 분사면과의 간격을 30㎝로 유지하여 손상부(1)와 그 주연부(2)에 투명코팅제를 1,2차로 나누어 분사하고, 상기 손상부(1), 그 주연부(2)와 자동차출고시 도장부(4)의 경계부(3)에 알코올 중량비 25%, 일반신나 중량비 75%를 혼합한 조성물을 분사하였더니 기포가 화학반응에 의해 완전하게 소멸되어 표면이 고르게 되고,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투명코팅제가 날리거나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
손상부(1)만을 도장작업하여 투명코팅하고 난 다음 광택작업하였더니 부분도장하였던 곳과 자동차출고시 도장부(4)의 채도, 광택도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손상부(1)와 그 주연부(2)까지 샌딩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석유 중량비 50%, 에나멜신나 중량비 25%, 규조토 중량비 25%를 각 혼합하여 된 컴파운드를 도포하여 최종 광택처리하였을때 부분도장부위와 자동차출고시 도장부(4)를 비교하여 채도와 광택도에 차이가 없는 실시효과를 얻었다.
위와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손상부에 수샌딩으로 1500메쉬 정도의 미세한 흠집을 내어 금속보호제를 분사하고 현장조색으로 도료를 1,2차 도포한 다음 손상부와 그 주연부까지 투명코팅제를 1,2차 분사하여 경계부의 기포를 알코올과 신나를 일정비로 혼합한 조성물로 표면처리하여 수샌딩과 컴파운드작업으로 차체와의 채도, 광택도를 동일하게 맞춤으로써 종래처럼 전체적으로 투명코팅 및 광택작업을 하지 않아 시간과 경비가 절감되면서 흠집복원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복원된 부분이 잘못되었더라도 종래처럼 전체면을 도색하지 않고 복원할 부분만을 재작업하여 차체와의 채도, 투명도를 신속,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와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에 발생된 손상부(흠집)에 부분도장하여 부분광택처리하거나, 손상부에 부분도장하여 전체면을 광택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손상부(흠집)와 그 주연부까지 샌딩으로 1300-1500메쉬 정도의 흡집내기 후 금속보호제 또는 도장용퍼티를 도포, 건조하여 수샌딩하는 방법과, 현장조색으로 손상부에 1차 도색, 건조후 그 주연부에까지 2차 도색하여 표면에 투명코팅제를 0.010-0.020㎏/㎠ 압력으로 1,2차 분사하는 방법 및 투명코팅제 분사부분과 자동차출고시 도장부의 경계점에 발생되는 기포를 알코올 중량비 20-30%, 신나 중량비 60-70%를 혼합한 조성물 분사로 표면처리하는 방법, 수샌딩 후 석유 중량비 40-50%, 에나멜신나 중량비 20-30%, 규조토 중량비 20-30%를 혼합한 컴파운드를 표면 분사후 최종 광택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KR1019970039072A 1997-08-16 1997-08-16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KR19990016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72A KR19990016503A (ko) 1997-08-16 1997-08-16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72A KR19990016503A (ko) 1997-08-16 1997-08-16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03A true KR19990016503A (ko) 1999-03-05

Family

ID=6609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72A KR19990016503A (ko) 1997-08-16 1997-08-16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5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291B1 (ko) * 1999-12-29 2002-03-20 송경흥 자동차의 흠집 제거 도장방법
KR100696252B1 (ko) * 1999-11-23 2007-03-20 비전스 이스트, 인크.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선박 표면의 페어링 및 도장의 방법과 그 장치
KR100749352B1 (ko) * 2006-05-26 2007-08-14 주식회사 세덴 자동차의 경미한 흠집 부분도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52B1 (ko) * 1999-11-23 2007-03-20 비전스 이스트, 인크.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선박 표면의 페어링 및 도장의 방법과 그 장치
KR100329291B1 (ko) * 1999-12-29 2002-03-20 송경흥 자동차의 흠집 제거 도장방법
KR100749352B1 (ko) * 2006-05-26 2007-08-14 주식회사 세덴 자동차의 경미한 흠집 부분도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181B2 (en) Method for preparing decorative glass using glass etching composition
KR19990067511A (ko) 금속 기재에 마무리제를 도포하는 방법
US4746385A (en) Process for covering an interior part with a layer of leather
US5082692A (en) Method for the touch up of scratched painted metal products
CN1159113C (zh) 一种修补机动车面漆的方法
US5851583A (en) Method of blending paint and spot painting
KR19990016503A (ko) 자동차의 손상부(흠집) 부분도장 방법
CN102702964A (zh) 一种汽车漆面封釉剂及其封釉方法
US5077086A (en) Method for the touch up of scratched painted metal products
KR100329291B1 (ko) 자동차의 흠집 제거 도장방법
KR100749352B1 (ko) 자동차의 경미한 흠집 부분도장방법
WO2001081008A3 (en) Polysaccharide-based protectiv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777760B1 (ko) 자동차 보수 도장용 블렌딩 액 조성물
KR20050036944A (ko) 자동차의 부분도장 방법.
KR20040068519A (ko) 자동차의 부분도장 방법
US1753616A (en) Process of finishing surfaces with cellulose nitrate lacquers
KR20070097390A (ko) 자동차의 부분 도장 방법
US6645554B1 (en) Method of using a multi-purpose flexible coating compound
KR900009145A (ko) 철도차량용 지붕도막재 및 그 도장방법
GB31965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oor covering materials an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the same
CN101429817A (zh) 历史建筑剥落漆修复工艺
US1485521A (en) Method of finishing siccative coatings
KR20050069372A (ko) 자동차의 흠집제거를 위한 청정도장방법
KR100853356B1 (ko) 자동차의 흠집제거를 위한 청정도장방법
KR100292257B1 (ko) 금속의장품의고광택마감도장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