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5781A -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781A
KR19990015781A KR1019970038083A KR19970038083A KR19990015781A KR 19990015781 A KR19990015781 A KR 19990015781A KR 1019970038083 A KR1019970038083 A KR 1019970038083A KR 19970038083 A KR19970038083 A KR 19970038083A KR 19990015781 A KR19990015781 A KR 1999001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extract
drink
pres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준
Original Assignee
조성문
주식회사 산하종합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문, 주식회사 산하종합식품 filed Critical 조성문
Priority to KR101997003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781A/ko
Publication of KR1999001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781A/ko

Links

Landscapes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에 함유된 알긴산, 푸고이단, 라미나린 등 생리활성물질과 요드,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 클로로필과 같은 수용성 섬유, 각종 비타민 등을 추출한 미역추출물을 주재료로 한 미역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미역음료는 남해안의 청정해역에서 채취된 깨끗한 미역을 탈염, 분쇄, 자숙, 원심분리, 여과 등을 거쳐 1차 추출액을 얻는다. 원심분리하고 남은 잔사에 산을 첨가하여 잘게 마쇄한 뒤 자숙,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어 1차 및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당류와 구연산을 첨가하여 미역음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미역음료는 맛과 향취가 좋고 몸에 좋은 영양성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청정해역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원료로 자급할 수 있어서 어민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본원 발명은 미역에 함유된 알긴산, 푸고이단, 라미나린 등 생리활성물질과 요드,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 수용성 식이섬유 등을 추출하여 얻은 미역추출물에 당류, 유기산 등을 혼합한 미역을 주재로 한 미역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미역은 전통적인 해조식품으로 알려져 있고 조상대대로 산후조리나 대소사의 음식상에 미역국으로 애용되어 왔다. 미역을 소재로 한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특허출원 91-11992(공개93-1825) 미역,다시마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과 한국특허출원 95-15089(공개97-86) 미역귀를 주성분으로 한 쥬스 제조방법 등이 있으나 미역 그 자체를 이용하여 음료나 쥬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므로 식감이 좋지 못하고 맛과 향기 등이 강하여 음료로서 부적합한 면이 없지 않다.
해조류 중에서 미역성분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일본과 한국에서도 알긴산을 주재로 한 음료가 상품화되었고, 미역을 갈아서 퓨레를 만들어 조미료나 약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음료로 개발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은 각종 영양성분과 알긴산, 푸고이단, 라미나린 등 생리활성성분과 크로로필 등의 수용성 식물섬유의 장내기능, 요드와 칼슘 등의 무기물과 비타민은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음료로 개발한다면 현대인의 영양불균형이나 생리활성성분을 보충할 수 있어서 건강음료로서 기대가 모아진다.
미역에 들어 있는 주요성분으로서 알긴산은 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 소금으로부터 오는 고혈압 예방, 중금속 배설로 중독 예방과 푸코이산은 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 혈전예방과 라미나산은 혈압강화작용으로 고혈압 예방과 푸코스테롤은 혈중콜레스테롤 저하로 동맥경화 예방과 클로로필은 입냄새 제거로 청량감과 EPA는 혈소판응집제로 혈전 예방과 식이섬유는 대장암 예방, 변비 예방, 당뇨병 예방과 칼슘은 골격강화와 골다공증 예방 및 혈압강하와 마그네슘은 심장병 예방과 철은 빈혈 예방과 요드 인은 갑상선 호르몬 형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에 함유된 각종 생리활성물질과 식이섬유의 수용성은 크게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통상 열수 추출에 의해 미역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목적성분이 잘 추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미역에 함유된 전술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마쇄, 자숙 등의 방법으로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으나 미량의 유효성분만이 유리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연구한 끝에 산성영역과 알칼리성 특정영역에서 추출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고 본원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염장미역의 일반적인 성분은 수분 60.9%, 단백질 6.1%, 지방 0.8%, 탄수화물 10.5%, 회분 21.7%, 칼슘 182mg, 인 88mg, 철 3.3mg, 비타민 54.8 IU 함유되어 있다.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알긴산, 푸코이단, 라미나린, 푸코스테롤, 클로로필, EPA 등은 상기의 성분들 중에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1 도는 미역음료의 제조공정도이다.
* 원료의 준비
진도 및 완도의 청정해역에서 생산된 깨끗한 미역으로 가공하여 저장된 염장미역을 구입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한다.
* 수세 및 마쇄
염장미역에 대하여 3-5배의 물을 가하여 30-60분 동안 수침 또는 교반하고 2-3회 수세 및 탈수하여 염기를 제거한 후 믹서로 직경 1-3 mm 크기로 마쇄한다.
* pH 조절 및 자숙
마쇄된 미역에 대하여 5-10배의 물을 가하고 가성소다 또는 소다회로 pH 8.5 - 9.5로 조절하여 30-40℃에서 교반하면서 30분 내지 2시간에 걸쳐 자숙한다.
* 알칼리성 추출 및 농축 (1차 추출물)
충분히 자숙된 상등액과 마쇄 미역잔사를 원심분리하여 추출물을 얻고 진공농축기에서 농축하여 1차 미역 추출물을 얻는다.
* 산성 추출 및 농축 (2차 추출물)
원심분리하여 얻은 마쇄 미역 잔사에 대하여 1-5배의 물을 가하고 염산으로 pH 3.5-5.5로 조절하여 교반하면서 80-90℃에서 30분 내지 2시간동안 추출한다.
* 추출물의 혼합 및 분리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하고 염류와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미역추출물을 얻는다.
* 배합 및 미역음료의 제조
혼합된 1,2차 미역 추출물 90-97중량부에 대하여 포도당 1-2중량부, 올리고당 1.5-2.5중량부를 넣고 구연산으로 pH 6.0-6.5로 조절하여 멸균하고 포장하여 미역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
염장미역 1kg을 1-5 mm 크기로 마쇄하고 물 5ℓ를 가하여 가성소다로 pH 9.0으로 조절한 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자숙하였다. 원심분리하고 진공농축하여 염기성의 미역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분리하여 얻은 미역잔사 500g에 대하여 물 2.5ℓ를 넣고 염산으로 pH 4.0으로 조절하여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원심분리 및 진공농축하여 산성의 미역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과 실시예 2 에서 얻은 염기성 및 산성 미역추출물 혼합하여 염류와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물 96.5중량부와 포도당 1.5중량부와 올리고당 2.0중량부를 혼합하고 구연산으로 pH 6.5로 조절하여 멸균 및 포장하여 미역음료를 제조하였다.
[관능검사]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미역음료와 단순히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남녀 각각 5명(계10명)으로 하여 맛 12점, 향 4점, 색도 4점 만점으로 하여 미역음료 음용후의 종합적인 맛과 피로 회복효과를 관능검사 하였다.
[표 1]
미역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표 2]
피로회복에 대한 미역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상기의 표 1 및 표 2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음료는 맛, 향 및 색도 등이 기호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피로회복 효과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해 맛과 향취가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미역음료를 제조하여 공급함으로서 소비자에는 건강음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민에는 우리 자원을 활용함으로서 소득증대면에서 그 기여도가 클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역의 주성분인 알긴산, 푸코이산, 라미나린, 푸코스테롤, 클로로필, EPA, 식이섬유, 미네랄, 당, 아미노산 등의 성분을 추출하여 농축한 미역추출물과 포도당, 올리고당, 구연산 등을 혼합한 미역음료는 생리활성물질과 영양소가 골고루 혼합되어 있어 맛과 영양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는 미역음료를 제공하므로서 소비자의 건강증진과 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미역을 알칼리성 용액으로 추출, 분리, 감압 농축한 미역추출물과 잔사를 산성용액으로 추출, 분리, 감압 농축한 미역추출물을 혼합하여 얻은 상등액에 포도당, 올리고당, 구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용액으로 추출시의 pH 8.5-9.5이고, 산성 용액으로 추출시의 pH 3.5-5.5이고, 혼합된 미역음료의 pH 5.5-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70038083A 1997-08-09 1997-08-09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KR1999001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083A KR19990015781A (ko) 1997-08-09 1997-08-09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083A KR19990015781A (ko) 1997-08-09 1997-08-09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781A true KR19990015781A (ko) 1999-03-05

Family

ID=6600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083A KR19990015781A (ko) 1997-08-09 1997-08-09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7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969A (ko) * 2000-10-20 2002-04-26 정공익 일회용 캔 미역국 제조방법
KR20030020064A (ko) * 2001-08-29 2003-03-08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퓨코이단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20065A (ko) * 2001-08-29 2003-03-08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미역 유기산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3423B1 (ko) * 2000-10-17 2003-10-30 바램제약주식회사 다시마 분말을 이용한 식이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식이음료
KR20150013874A (ko) * 2012-08-03 2015-02-0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정석 장치 및 정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23B1 (ko) * 2000-10-17 2003-10-30 바램제약주식회사 다시마 분말을 이용한 식이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식이음료
KR20020030969A (ko) * 2000-10-20 2002-04-26 정공익 일회용 캔 미역국 제조방법
KR20030020064A (ko) * 2001-08-29 2003-03-08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퓨코이단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20065A (ko) * 2001-08-29 2003-03-08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미역 유기산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3874A (ko) * 2012-08-03 2015-02-0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정석 장치 및 정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1854B (zh) 一种胶原多肽饮品及其制备方法
CN110140777A (zh) 一种酸浆豆腐的制作工艺
JP3559487B2 (ja) ミネラル高含有牡蠣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5782A (ko) 다시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시마 음료의 제조방법
KR101086848B1 (ko) 멸치액젓의 부산물을 이용한 해물소스의 제조방법
CN103005058A (zh) 一种樱花奶茶及其制造方法
KR20000012555A (ko) 함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KR19990015781A (ko) 미역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역음료의 제조방법
CN1299614C (zh) 竹荪草莓饮料及其生产工艺和余渣利用的方法
KR102275330B1 (ko) 콜라겐 양배추즙 및 그 제조방법
CN103734858A (zh) 一种果蔬复合固体饮品
CN104839806B (zh) 一种胶冻状人参猪骨浓缩汤料及其制备方法
JP2900070B2 (ja) 食品用カリウム補給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96901A (zh) 一种蝉花沙棘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639382A (zh) 一种决明子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10432A (ko) 곡물 꿀 칼슘 먹물 해초 생선을 살균배합으로 응고 없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195524B1 (ko) 팥을 기조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JP2008125454A (ja) 健康補助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66706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감귤(柑橘) 홍차(과일침출 차)
CN104120076A (zh) 一种天然决明子醋及其制作方法
KR20160050560A (ko) 생마늘 식초 및 이 제조 방법
KR20020036906A (ko) 해초류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CN108013286A (zh) 一种全芦笋饮料及制备方法
CN103039623A (zh) 一种橘柚豆浆的制作方法
CN110547437A (zh) 一种营养型海鲜调味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