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3014U -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 Google Patents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014U
KR19990013014U KR2019970026208U KR19970026208U KR19990013014U KR 19990013014 U KR19990013014 U KR 19990013014U KR 2019970026208 U KR2019970026208 U KR 2019970026208U KR 19970026208 U KR19970026208 U KR 19970026208U KR 19990013014 U KR19990013014 U KR 19990013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switching unit
home mod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권
권순찬
채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26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014U/ko
Publication of KR19990013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014U/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특정한 CT-2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삽입시키는 충전단자(100)와; 상기 충전단자(100)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홈모드로 전환되는 CT-2단말기(200)와;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D2를 통해 하이(High)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부(210)와; 상기 제 1 스위칭부(210)에서 로우신호가 인에이블단자에 인가되면 아웃단자를 통해 전류가 MCU(240)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단자(220)와;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저항을 통해서 베이스단자에 전류가 공급되면 로우상태가 되는 제 2 스위칭부(230)와; 상기 제 2 스위칭부(230)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현재 CT-2단말기(200)가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면 홈 모드로 전환되고, 아웃단자를 통해 항상 하이상태를 유지하는 MCU(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CT-2를 사용하다가 집으로 들어와서 충전단자에 단말기를 올려놓으면, 상기 CT-2가 자동으로 홈 모드로 전환이 되어 가정내에서 별도의 외부적인 조작없이 무선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어 요금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본 고안은 제 2 세대 코드없는 전화기(Cordless Telephone the second : 이하 CT-2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CT-2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이용자가 집에 들어와서 단말기를 충전단자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홈모드(Home Mod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활동 중의 하나는 자기의 의사나 욕구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전달방법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언어, 글, 그림, 몸짓 등의 표현방법 외에 상호간에 합의된 신호방식에 의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상징적인 부호로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통신은 크게 전기가 없던 시대와 전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때부터의 통신으로 구분된다. 전기가 없던 시대에는 서로 의사를 전하기 위해서 멀리 있는 사람에게 걸어간다든지, 뛰어간다든지 또는 말을 타고 달려가서 전하든지 하는 지극히 기본적인 방법이 동원되었을 것이다. 어쨌든 사람이 집적 가야만 하는 형편이었다.
사람이 직접 가야만 하기에는 시간이 없고 불편하여 생긴 통신방법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통신방법과 같은 봉화가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와 같은 밀림지대에서는 불이나 연기를 이용한 방법의 통신은 아무래도 지형여건이 허락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아프리카에서는 주로 북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의사를 전달하였다.
그 외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외국에서 소형상점과 병원, 그리고 배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전성관이란 것이 있다. 전성관은 그냥 연통과 같이 속이 텅빈 것으로 말을 하는 사람이 관의 입구에 대고 말을 하면 다른 쪽에서 소리가 들린다. 이 전성관은 아무런 전기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전달수단이다.
초기의 이동전화방식은 고출력의 단일 대형무선기지국 단위로 운용되었으며 서비스지역은 반경 수십 ㎞로서 그 송신기의 출력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이때는 전파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여도 거의 해결방법이 없었으며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규모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가 없었다.
또한, 초기의 이동전화방식에서 가입자는 단일기지국의 서비스지역내에서만 통화가 가능하므로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지역의 주파수로 전환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통화가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한 지역에서 전화를 걸어 통화하는 도중에 그 지역을 벗어나면 다음 지역으로 넘겨줄 수 있는 무선회선의 통화채널전환(Handoff) 기능이 없기 때문에 통화중에 전화가 끊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통화를 완전히 끝낼 수 없는 불편함이 상존해 있었다.
특히, CT-2 단말기를 이용하여 불특정인과 통화를 하다가 가정에서 사용하려면 가정용 기지국을 댁내에 설치한 후, 단말기 외부의 키 조작으로 홈모드로 전환시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종래에 불특정한 키의 조작으로 인하여 홈모드로 전환되는 CT-2 단말기에서 소정의 충전단자에 CT-2 단말기를 삽입시켰을 때 자동으로 홈모드로 전환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는, 불특정한 CT-2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홈모드로 전환되는 CT-2단말기와; 상기 CT-2단말기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D2를 통해 하이(High)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스위칭부에서 하이신호가 인에이블(Enable)단자에 인가되면 아웃(Out) 단자를 통해 전류가 MCU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CT-2단말기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저항을 통해서 베이스단자에 전류가 공급되면 하이상태에서 로우(Low)상태로 변화되면서 온(On)되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현재 CT-2단말기가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면 홈 모드로 전환되고, 아웃단자를 통해 항상 하이상태를 유지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니트(Micro Control Unit : 이하 MCU라 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단자 200 : CT-2단말기
210 : 제 1 스위칭부 220 : 전원공급단자
230 : 제 2 스위칭부 240 : MCU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충전단자(100)는 불특정한 CT-2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삽입되고, CT-2단말기(200)는 상기 충전단자(100)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홈모드로 전환되고, 제 1 스위칭부(210)는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100)에 올려놓았을 때 다이오드(D2)를 통해 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게 되며, 전원공급단자(220)는 상기 제 1 스위칭부(210)에서 하이신호가 인에이블단자에 인가되면 아웃단자를 통해 전류가 MCU(240)에 공급되고, 제 2 스위칭부(230)는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100)에 올려놓았을 때 저항(R1)을 통해서 베이스단자에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230)는 온되며, MCU(240)는 상기 제 2 스위칭부(230)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를 인가받아 현재 CT-2단말기(200)가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므로 홈모드로 전환되고, 아웃단자를 통해 항상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만약 충전상태가 아니면 MCU(240)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상태이므로 MCU(240)는 로우신호를 다이오드(D3)에 계속보내게 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의 동작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특정인이 외부에서 CT-2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화를 하다가 집에 들어왔을 때 충전을 위한 목적으로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100)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 CT-2단말기(200)를 충전단자(100)에 올려놓으면 상기 충전단자(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다이오드(D2)를 통해 하이신호가 인가되면서 제 1 스위칭부(210)의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공급단자(220)의 인에이블단자에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이어, 상기 전원공급단자(220)의 인에이블단자에 인가된 로우신호가 아웃단자를 통해 Vcc 단자에 인가되어 MCU(240)에 전달되며, 상기 MCU(240)에서는 다이오드(D3)를 통해 항상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다이오드(D1)에 의해 상기 CT-2단말기(200)가 충전단자(100)에 놓여있으면 항상 전류가 인가되며, 전원공급단자(220)의 입력단자와 제 1 스위칭부(210)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23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MCU(240)에서는 현재 CT-2단말기(200)가 충전중인지 판단하여, 충전중이면 홈모드로 자동전환되어,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로 사용하여 일반전화요금이 부가되고, 다시 CT-2단말기(200)를 외부로 가지고 나가서 공중전화용으로 사용하려면 외부키의 조작으로 다시 전환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CT-2를 사용하다가 집으로 들어와서 충전단자에 단말기를 올려놓으면, 상기 CT-2가 자동으로 홈 모드로 전환이 되어 가정내에서 별도의 외부적인 조작없이 무선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어 요금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불특정한 CT-2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홈모드로 전환되는 CT-2단말기와; 상기 CT-2단말기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D2를 통해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스위칭부에서 하이신호가 인에이블단자에 인가되면 아웃단자를 통해 전류가 MCU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CT-2단말기를 충전단자에 올려놓았을 때 저항을 통해서 베이스단자에 전류가 공급되면 로우상태로 변화되면서 온되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현재 CT-2단말기가 충전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면 홈 모드로 전환되고, 아웃단자를 통해 항상 하이상태를 유지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KR2019970026208U 1997-09-19 1997-09-19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KR19990013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08U KR19990013014U (ko) 1997-09-19 1997-09-19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08U KR19990013014U (ko) 1997-09-19 1997-09-19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14U true KR19990013014U (ko) 1999-04-15

Family

ID=6968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08U KR19990013014U (ko) 1997-09-19 1997-09-19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0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8165B (zh) 多蓝牙链接移动终端的一键通对讲机
ATE226376T1 (de) Mobilfunkgerät mit verringertem tastensatz
GB0108056D0 (en) A communications system
GB2384953B (en) Mobile-assisted network based techniques for improving accuracy of wireless location system
GB2320859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60139103D1 (de) Handy mit gps-empfänger
IT1256571B (it) Ricetrasmettitore radio dotato di capacita' di chiamata fissa.
BR9809309A (pt) Sistema provendo funcionalidades de telefonia e controle remoto, e, telefone móvel multifuncional
TW366634B (en) A mobile station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s
US6212403B1 (en) Wireless telephone battery charging whi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s
EP1211648A3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SE9800652L (sv) Förfarande för att sända positionsangivelser i ett mobiltelefonisystem
US5406617A (en) Cordless telephone/entry intercom system
MY119109A (en) Telephone system having disconnection information outputting function
KR19990013014U (ko) 자동 홈모드 전환기능이 부가된 ct-2
KR100360621B1 (ko) 캐릭터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합한 캐릭터인형
CN209642656U (zh) 一种中继电台
CN203984688U (zh) 移动终端蓝牙链接ptt对讲装置
JPS63121349A (ja) コ−ドレス電話装置
US20040266478A1 (en) Wireless phone adapter
CN201708838U (zh) 一种有线和无线电话融合设备
JPH10136116A (ja) パソコン通信共用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
SE9603373L (sv) Effektstyrningskrets i trådlöst mobilkommunikatonssystem
KR200257698Y1 (ko)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CN110120823A (zh) 一种中继电台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91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